최용덕 | 김정렬 | 김영환 | 박범집 | 이근석 | 장덕창 | 이영무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34acf1><tablebgcolor=#34acf1>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34acf1><tablebgcolor=#34acf1>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080,#7f7fff |
|||||
초대 김정렬 |
2대 이근석 |
3대 최용덕 |
4대 김정렬 |
5대 김창규 |
|
6대 신상철 |
7대 신유협 |
8대 박원석 |
9대 박희동 |
10대 주영복 |
|
11대 장지량 |
12대 윤응렬 |
13대 김성룡 |
14대 김두만 |
15대 옥만호 |
|
16대 손재권 |
17대 윤자중 |
18대 이희근 |
19대 김중보 |
20대 전창록 |
|
21대 이지영 |
22대 김인기 |
23대 백낙승 |
24대 한영규 |
25대 박용태 |
|
26대 전춘우 |
27대 전윤수 |
28대 곽영달 |
29대 서진태 |
30대 강민수 |
|
31대 배양일 |
32대 이광학 |
33대 이기현 |
34대 안병철 |
35대 주창성 |
|
36대 박성국 |
37대 김명립 |
38대 이찬 |
39대 박종헌 |
40대 황원동 |
|
41대 성일환 |
42대 오창환 |
43대 김용홍 |
44대 김영민 |
45대 이영만 |
|
46대 김형철 |
47대 박재복 |
48대 이건완 |
49대 황성진 |
50대 최현국 |
|
51대 박인호 |
52대 최성천 |
53대 박하식 |
54대 이상학 |
55대 윤병호 |
|
56대 공승배 |
57대 차준선 |
||||
※ 초대의 당시 직함은 육군항공사관학교장이었으며, 2대 이근석 교장부터 공군사관학교장으로 직함이 변경됨 | |||||
※ 초대~26대, 39대, 56대 : 소장 또는 소장 이하 / 27대~현임 : 중장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1954 김경진 육군소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李根晳
1917년 1월 17일 ~ 1950년 7월 4일 (향년 33세)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 창씨명은 아오키 모토미츠(青木根晳).2. 생애
1917년 1월 17일 평안남도 평원군 청산면 구원리(現 평안남도 평원군 운봉리)에서 태어났다.1933년 평양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이듬해인 1934년 일본 쿠마가야(熊谷)비행학교에 소년비행병 2기생으로 입교해 그곳에서 비행술을 배운 뒤 같은 해 졸업하였다. 그를 담당한 교관은 그가 조종술에 대단히 뛰어났다고 평했다고 한다. 이후 제64비행전대 요시오카(吉岡) 전투비행부대에 배속되었고, Ki-27 전투조종사로서 참전하여 첫 출격에서 격추를 기록하였으며 그때부터 관동군 부대에 배속되어 근무하였다. 만주에서 근무하면서 국민혁명군 소속 전투기 18대를 격추시키는 등의 활약을 하였다. 이후 제77비행전대 소속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전출되었으며 영국 공군을 상대로 5대를 추가로 격추시키는 기록을 세우게 되지만 1941년 12월 25일에 영국 공군 제67비행대대 소속의 브루스터 버팔로에게 격추되어 영국군의 포로가 되었고 이후 4년간 포로생활을 했다. 낙하산이 나무에 걸려서 매달려 있다가 포로로 잡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일본군 신분으로 최종계급은 준위로 마무리된다.[1]
8.15 광복 후 귀국하여 김정렬· 최용덕· 장덕창·이영무· 박범집· 김영환과 함께 공군 창설 7인 간부의 일원으로 항공부대의 창설에 기여하였다.[2] 그러나 미 군정은 그들의 경력을 인정하지 않아 조선경비대 보병학교에서 기초군사교육을 받아야 했다. 1948년 5월 5일에는 경기도 고양군 수색 소재 조선경비대 제1여단 사령부 내에 항공부대의 모체인 항공기지부대가 편성되어 통위부에 편입되었다. 이근석은 5월 14일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육군항공총감부에 배속. 7월 9일에 항공기지부대 초대 부대장이었던 백인엽 소령이 제4여단으로 전출되고 후임부대장으로 최용덕 대위가 부임되자 이근석은 군수참모로 업무를 수행하였다. 1949년 10월 1일에 공군이 육군으로부터 독립하여 나오자 제2대 공군사관학교 교장으로 부임해 1950년 5월 1일까지 역임했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비행단장에 보임되어 당시 보유중이던 10대의 건국호( T-6)를 3개 편대로 편성, 직접 지휘하여 조선인민군의 남하를 저지하려고 시도하였다. 조선인민군의 공격 방향을 고려하여 3개 편대를 경기도 개성부(現 개성시)· 파주군 임진면(現 파주시 문산읍) 방면과 양주군 의정부읍(現 의정부시)·양주군 이담면(現 동두천시)· 포천군(現 포천시) 방면, 강원도 춘천시 방면으로 출격시켜 조선인민군을 정찰하는 정보획득·위협비행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단순 정찰로 적의 남하를 저지할 수 없음을 인지한 이근석 대령은 건국기 육군 병기창에서 제조한 15kg의 국산 폭탄을 싣고 저고도로 비행하며 적진에 투하하는 작전을 지시하여 직접 폭격을 하기도 하였다. 한국 공군의 공중폭격은 당시 한국 공군이 보유하고 있던 폭탄 274개 전량을 소모할 정도로 긴박하게 전개되었다.
한편 1949년 창설된 조선인민군 공군은 개전 당시 이미 항공기 200여 대와 2,200명의 병력을 갖추어 질적, 양적으로 한국 공군을 압도하고 있었고, 제대로 된 방공망도 구성되지 않은 남한 상공을 유유히 비행하여 개전 당일 서울특별시 상공에 진입, 전란에 대한 회의 중이던 국회의사당에 기총소사를 가하고 돌아가는 등 육군보다 한 발 앞선 위협으로 남한 사회의 혼을 빼놓고 있었다. 정부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미국에 군사원조를 요청하게 되었고, 예상 밖의 북한 남침에 놀란 주일미군사령부는 서둘러 원조를 결정하고 조종사들을 보내줄 것을 한국에 요청했다. 당시 한국 공군의 조종사는 교육 중이던 인원을 제외하고 64명이었으나, 훈련 없이 전투기를 조종할 수 있는 인원은 그중에서도 극소수였다.
이근석은 한국 공군 조종사를 대표하여 전투기 인수단장으로 김영환· 김신·장성환 중령, 강호륜·박희동 대위, 김성룡·정영진·이상수·장동출 중위 등 9명과 함께 일본 이타즈케 기지로 갔다. 당시 미 극동 공군이 보유한 P-80(F-80) 슈팅스타같은 제트전투기들은 2차 대전 프롭기만을 몰아본 국군 조종사들에게 당장 주어지기는 무리였고, 더구나 최신예 전투기들인 만큼 막 전쟁이 일어난 신생 국가의 공군에 이 전투기들이 공여될 리도 없었다. 결국 미 극동 공군이 보유하고 있던 또다른 기종인 2차대전 프롭기 F-51 머스탱이 한국 공군에 인도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 머스탱들은 일선에서 물러나 예비 물자로 비축되거나 신예 제트전투기들의 훈련시 표적을 견인하는 용도 정도로만 쓰이고 있던 상황이어서 긴급한 재정비가 필요했다. 6월 27일 일본에 도착한 이근석 대령 일행은 T-6 연습기 2대로 유지비행을 실시한 후 정비를 마친 일부 F-51 전투기로 연습비행을 하려 했으나 기상상황으로 인해 지상교육만을 받았다.
인수단은 그렇게 미국에게 10대의 P-51 머스탱(F-51)을 인수하여 1950년 7월 2일에 돌아왔으며, 7월 3일에[3] 세 차례 출격하여 임무를 수행했다. 이것이 한국 공군에서 최초로 전투기가 출격한 작전이었다. 대령 이근석을 편대장으로 김영환·김신·장성환 등의 편대출격(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노량진동 방면)과 대위 박희동을 편대장으로 강호륜·김성룡·이상수의 편대출격( 시흥군 방면), 대위 박희동을 편대장으로 장동출·정영진의 편대출격(영등포동 방면)이었다. 이때의 임무는 제3보병사단 장 이응준의 요청에 의한 대지 공격이었으며, 무장은 기총만 탑재하여 이루어 졌다. 목표지점에 비행중 충주 북방에서 이동 중인 적 기동부대에 공격을 퍼부어 상당한 피해를 입히고, 적정을 정찰한 뒤 대구 공군기지로 귀환하였다. 이 날 연료집적소 한 곳과 탄약집적소 한 곳 전소, 탱크 2대, 차량 2대를 파괴하였으며, 적병사살 약 35명 등의 전과를 거두었다.
다음날인 7월 4일, 육군으로부터 시흥군 안양읍(現 안양시) 지역에 남하하고 있던 조선인민군 기갑부대를 공격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왔다. 이근석은 김영환·박희동·강호륜 등을 이끌고 편대를 구성하여 출격했고 이 기갑부대를 급강하 공격하던 중 경기도 시흥군 상공에서 적탄에 피격되어 추락해 장렬한 최후를 맞았다.
1951년 9월 태극무공훈장이 추서되었고 공군 준장으로 1계급 특진되었다. 유해는 1957년 4월 28일 국립서울현충원 제1장군 묘역에 이장되었다.
대구 K2 기지 정문을 들어서면 이근석 준장의 흉상이 있으며, 매년 이곳에서 지역 보훈청장 및 기지 내 장군 및 장병들이 참가하는 추모식을 거행한다. 또한 정문 바로 옆 면회장의 명칭도 "이근석관"이며, 1층 면회실 벽에 F-51과 다른 조종사들과 함께 새겨진 부조 작품도 존재한다.[4]
3. 전사에 대한 이야기
그의 전사에 대한 이야기에는 다소 논란이 있다.그중 하나는 지상공격 도중에 대공포에 피탄되자 그대로 조선인민군에게 충돌했다는 것인데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5] 주로 공군에서 주장하는 내용이다.
이어 2번기와 3번기의 공격이 계속됐고, 적의 탱크들은 화염에 휩싸인 채 오도 가도 못했다. 편대의 1차 공격을 끝내고 나머지 탱크에 재차 공격을 가하기 위해 이근석 대령은 급강하를 시작하며 로켓탄을 발사했다.
적 탱크를 폭파하고 기수를 올리려는 순간 난사하는 적의 포탄 중 한 발이 그가 조종하는 전투기의 엔진에 명중했다. 순식간에 기체는 붉은 화염으로 휩싸였고 도저히 수습할 길이 없었다.
모든 것을 포기한 이근석 편대장은 정신을 가다듬고 푸른 하늘로 마지막 상승을 시도했다. 그는 지상의 적정을 살핀 후 뒤따르는 편대기에게 "3번기 도로 좌방 탄약차량 공격, 건투를 빈다"라고 강한 어조의 마지막 명령을 내렸다.
이와 동시에 그의 불붙은 기체는 하늘에 반원을 그리며 적 탱크를 향해 돌진해갔다. 이어 지상에서는 화산이 폭발하는 듯한 폭음이 진동했다.
적 탱크를 폭파하고 기수를 올리려는 순간 난사하는 적의 포탄 중 한 발이 그가 조종하는 전투기의 엔진에 명중했다. 순식간에 기체는 붉은 화염으로 휩싸였고 도저히 수습할 길이 없었다.
모든 것을 포기한 이근석 편대장은 정신을 가다듬고 푸른 하늘로 마지막 상승을 시도했다. 그는 지상의 적정을 살핀 후 뒤따르는 편대기에게 "3번기 도로 좌방 탄약차량 공격, 건투를 빈다"라고 강한 어조의 마지막 명령을 내렸다.
이와 동시에 그의 불붙은 기체는 하늘에 반원을 그리며 적 탱크를 향해 돌진해갔다. 이어 지상에서는 화산이 폭발하는 듯한 폭음이 진동했다.
또 다른 하나는 표적고착, 즉 지상 공격 도중에 고도를 회복하는 데 실패하고 지상에 충돌했다는 것이다. 비록 이근석 대령이 경험이 많은 조종사였다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비행은 Ki-27로 했었는데[6] P-51은 Ki-27보다 훨씬 무겁고 조종특성이 다른 기체이다. 일례로 Ki-27은 지상 공격 시 강하고도가 1,400피트만 되어도 충분히 회복이 기능했지만 P-51은 최소한 2,000피트는 필요했다. 게다가 기종을 전환하는 일인 만큼 당연히 충분한 시간을 두고 훈련을 받아야 했지만 상황이 워낙 다급하다 보니 이근석 대령은 제대로 기종 전환 훈련도 받지 않은 상태로 출격한 상태였다.[7] 이 때문인지는 알 수 없으나 김정렬 장군은 한국 공군 조종사들의 출격을 중지시키고 미 공군 고문단에게 조종사의 훈련을 요청하게 되었다.
4. 기타
바우트-원이라는 만화에 나오는 이윤석 대령의 모티브가 된 인물이다.
[1]
연합군 포로로 잡히면서 더 이상의 진급이 없었기 때문에 일본군 경력자 중 '소위 이상의 장교, 또는 오장 이상의 헌병 경력자' 기준에 미달되어 이근석은 훗날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는 것은 면하게 되었다.
[2]
군번 50003
[3]
이날은 조종사의 날이기도 한데 다름아닌 이 첫 출격을 기리기 위해서라고 한다.
[4]
이 부조 작품은 2000년대 초에 병사 6명이서 2개월간의 노력 끝에 완성시켰다고 한다.
[5]
원문은
여기서 볼 수 있다.
[6]
버펄로에 격추될 때 탑승한 기체도 Ki-27이었다.
[7]
이·착륙 훈련만 간신히 받았다는 이야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