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07:27:19

최규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53년생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최규식(1953)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태극무공훈장 약장.png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태극무공훈장 부장.pn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1951
김용식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김용배
육군준장
1951
박노규
육군준장
1951
김백일
육군중장
1951
김홍일
육군중장
1951
함준호
육군중장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1951
최용남
해병소장
1951
김성은
해병중장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1952
이형근
육군대장
1951
권동찬
육군준장
1952
김종오
육군중장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1953
장덕창
공군중장
1953
최용덕
공군중장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1953
김교수
육군대위
1953
김한준
육군대위
1953
김용배
육군대장
1953
민기식
육군대장
1953
임충식
육군대장
1953
한신
육군대장
1953
김점곤
육군소장
1953
이성가
육군소장
1953
이용문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1953
김동빈
육군중장
1953
김종갑
육군중장
1953
백인엽
육군중장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1953
유재흥
육군중장
1953
최영희
육군중장
1953
함병선
육군중장
1953
최치환
총경
1954
김만술
육군대위
1954
허봉익
육군대위
1954
김경진
육군소령
1954
김웅수
육군소장
1954
송석하
육군소장
1954
엄홍섭
육군소장
1954
임선하
육군소장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1954
김옥상
육군일병
1954
조재미
육군준장
1954
안낙규
육군중사
1954
박병권
육군중장
1954
이응준
육군중장
1954
이준식
육군중장
1954
장도영
육군중장
1954
최석
육군중장
1954
최창언
육군중장
1954
박옥규
해군중장
1954
김석범
해병중장
1955
김창룡
육군소장
1955
정긍모
해군중장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1960
미군무명용사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1961
국군무명용사
-
1964
박정희
대통령
1966
이종세
육군상사
1966
강재구
육군소령
1966
이인호
해병소령
1967
송서규
육군대령
1967
채명신
육군중장
1967
지덕칠
해군중사
1967
정경진
해병대위
1967
신원배
해병소위
1968
최규식
경무관
1968
이익수
육군준장
1968
최범섭
육군중령
1970
이세호
육군중장
1972
이무표
육군대위
1972
임동춘
육군대위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1980
전두환(취소)
육군대장
2002
장철부
육군중령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2011
조달진
육군소위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

제27대 서울종로경찰서장
최규식
崔圭植
파일:최규식 경무관.jpg
<colbgcolor=#0054a6><colcolor=#fff> 출생 1932년 9월 9일
강원도 춘천군 신북면 우두리
(現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우두동)
사망 1968년 1월 21일 (향년 35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본관 전주 최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4a6><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최정헌, 어머니 정경덕
배우자 유정화
서훈 태극무공훈장
학력 춘천중학교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 중퇴)
동아대학교 (법학 / 학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1]
경력 육군단기장교후보생
포병소위 임관
군사기지사령부 정보장교
충청북도경찰국 정보과장
부산시경 정보과장
서울용산경찰서장
서울종로경찰서장
최종계급 경무관[2] (대한민국 경찰) }}}}}}}}}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경찰공무원. 본관은 전주(全州).[3]

2. 생애

1932년 9월 9일 강원도 춘천군 신북면 우두리(현 춘천시 우두동)에서 아버지 최정헌(崔廷憲)과 어머니 초계 정씨 정경덕(鄭慶德)[4] 사이에서 태어났다. 춘천중학교(당시 5년제)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에 입학했으나, 6.25 전쟁 중이던 1951년 학교를 중퇴하고 그해 4월 1일 단기 장교후보생으로 입대하여 훈련을 수료하고 9월 1일 대한민국 육군 포병 소위로 비로소 임관했다.

이후 2차례에 걸쳐 미국에 유학을 갔다 오기도 했다. 1960년 군수기지사령부에서 정보장교( 대위)로 근무하면서 박정희 당시 군수기지사령부 사령관의 부관으로 있었고 이듬해 5.16 군사정변 직후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중앙정보부 직원으로 근무하였다.

같은 해 경찰공무원이 되었고 동아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1967년 10월 서울특별시 종로경찰서장으로 부임하였다.

1968년 1월 21일 1.21 사태 당시 북한의 특수부대인 124군 부대 소속 무장공비인 김신조 일당 31명이 박정희 전 대통령 등 정부요인을 암살하기 위해 청와대를 기습하였다. 사건 당일 무장공비 일당이 대한민국 국군으로 위장하여 종로구 신영동 168-6번지 세검정을 거쳐 청운동 산1-1번지 창의문을 지나다가 형사 2명에게 검문을 당했다. 최규식 서장은 형사들의 보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해 무장공비들에게 직접 수하를 하며 신분을 밝힐 것을 요구하였으나 무장공비들이 먼저 총격을 가하여 제일 앞에 있던 최 서장은 그 자리에서 순직했다. 당시 자하문검문소를 근무했던 정종수 경사 역시 총격으로 순직하였다. 사후 이튿날 경무관으로 특진했으며, 1월 25일 태극무공훈장 추서받은 뒤 당일 국립서울현충원 제3유공자 묘역에 그의 유해가 안장되었다.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창의문 앞( 청운공원 부근)에 그를 기념하는 최규식경무관동상이 세워져 있다. 경찰대학 내에도 기념 동상이 세워져 있다. '김신조 사건' 순직 故최규식 경무관 동상 48년만에 재정비 경찰박물관에 그가 순직 시 착용했던 근무복과 점퍼, 기동모 등 유품들이 전시돼 있다.

비록 전쟁 때문에 중퇴하긴 했지만 당시 연세대학교를 다닐정도로 수재였으며 경찰관이 되고 나서도 그때 학업을 미쳐 마치치 못한 것에 대한 한 때문인지 부산시경 재직 중에도 동아대학교 야간반을 다니며 틈틈히 공부하여 결국 졸업장을 따냈다. 서울로 발령받은 후에도 부산대학교 교수들이 서울까지 상경해 가며 도와준 덕분에 논문을 발표하여 석사학위를 받았다. 하지만 1.21 사태로 순직하여 학위 수여는 그의 배우자가 받게 되었다.

육영수 여사가 그를 상당히 신뢰했다고 한다. 평소에도 그의 일하는 모습이나 인품 등을 자주 칭찬했었고 경찰 임관 7년만에 서울의 중심부인 종로경찰서장까지 오를 수 있었던 것도 육영수 여사가 박정희 전 대통령에게 추천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의 사망 소식을 듣자 매우 안타까워했고 최 서장의 아내 유정화 여사에게 육 여사가 직접 전화를 걸어 울면서 부고를 알릴 정도였다.

[1] 1968년 2월, 사후 석사학위가 수여되었다. [2] 사후 추서, 생전 최종계급은 총경 [3] 한성판윤공파. # [4] 정필선(鄭弼善)의 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