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20:08:40

유(성씨)/목록

1. 성씨 柳(버들 류, 유)
1.1. 실존 인물
2. 성씨 劉(죽일 류, 유)
2.1. 실존 인물
2.1.1. 한국계 인물2.1.2. 중국계 인물
3. 성씨 兪(그럴 유)
3.1. 실존 인물
4. 한자 미상5. 예명6. 가상 인물

1. 성씨 柳(버들 류, 유)

2015년 기준 642,693명. 다만 柳 씨 중에서도 그냥 예전부터 '유'로 쓰는 사람들도 많다. '유'씨로 쓰는 사람이 70% 이상이고, '류'씨로 쓰는 사람은 30%가 채 되지 않는다. 2018년 기준 약 70% 정도가 유씨로 쓴다.[1]
류현진 등 류 씨로 쓰는 사람은 류(성씨) 문서 참조.

1.1. 실존 인물

2. 성씨 劉(죽일 류, 유)

강릉, 거창, 백천 등 14개의 본관이 있다. 인구는 2015년 기준 302,511명.

대성(大姓)은 강릉 유씨이며 시조는 유승비(劉承備)인데, 족보의 대시조는 유방이고 중간엔 유수도 있다고 되어 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광무제 - 명제 - 장제 - 청하효왕 유경 - 유경의 28세손 유전이 고려 시대에 귀화했다고 되어있다.[2]

시조(始祖) 유승비(劉承備)의 증손자인 유창(劉敞)이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좨주(成均祭酒) 등을 역임하고, 조선 개국공신에 책록되어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졌다.[3]

전라남도 장흥군[4] 장동면 하산리 산 60-2번지 연하동 제암산에 강릉유씨 천방공파[5]의 묘역이 있다.[6]

사실 劉 씨도 원음이 '류'지만 적극적으로 표기를 바꾼 柳 씨와 다르게[7] 劉 씨는 대다수가 두음법칙을 적용하여 그냥 '유'로 쓴다.
보통은 '묘금도'라고 불리는데 글자 뜻과는 상관 없는 파자(卯묘+金금+刀도=劉)이다. 본래의 훈을 버려두고 파자를 훈으로 새기는 까닭은 아마도 이 한자의 대표 훈이 죽이다 이기에 그런 듯 하다.

2.1. 실존 인물

2.1.1. 한국계 인물

2.1.2. 중국계 인물

3. 성씨 兪(그럴 유)

본관은 기계, 창원, 무안 등 총 15개. 인구는 2015년 기준 167,927명.

훈처럼 쓰이는 '인월도'는 글자 뜻과는 상관 없는 파자(人인+月월+刀도=兪)이다. 원래의 글자 뜻을 버려두고 파자를 훈으로 새기는 까닭은 '대답할 유', '그러할 유', '점점 유' 등 새기는 훈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10] 특히 '점점 유'는 愈로 더 많이 쓰기 때문이기도 하다.

3.1. 실존 인물

4. 한자 미상

5. 예명

6. 가상 인물

어감이 부드럽고 예뻐서 한국인 여자 캐릭터 성씨로 정말 많이 쓰인다. 소위 오타쿠 남작가들이 가장 선호하는 여캐 성씨. 이또한 해외 작품을 현지화할 때도 많이 쓰이며, 특히 히로인의 성씨로 굉장히 많이 쓰인다. 그래서 인구 비율에 비해 창작물에서 이름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아마추어 작가들도 그 영향을 받아 '여자 캐릭터 이름은 유씨로 해야지.' 하고 따라하는 경우도 있다.
주인공은 볼드체.


[1] 사실 다른 두음법칙의 적용 대상이 된 성씨들에 비하면 특이하게 높은 것이다. [2] 청하효왕 유경은 안제의 부친이기도 한데, 따라서 유전의 조상은 안제의 형제다. [3] 세종 실록에 실려있다.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312009_006 [4] 강릉 유씨 천방공파의 집성촌이다. [5] 천방공은 천방 유호인을 가리키며 경력공파의 분파이다. [6] 예조참의 유용순(7세 1421~1482), 통정대부해웅덕군수 유한필(8세 1440~1501), 입향조 이조좌랑 유계창(9세 1458~1528), 기자전 참봉 유선보(10세 1480~1542), 성균진사 천방 유호인(11세 1502~1584), 통훈대부 군자감정 유덕명(13세 1577~1641), 증통정대부 승정원좌승지 유상한(14세 1607~1668),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유경서(16세 1655~1716), 증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유준(17세 1712~1774) [7] 다만, 70% 이상이 그냥 '유'씨로 쓰고 있는 편이다. [8] 1921~2000. 前 법제처장이자 前 유신정우회 국회의원. [9] 한동안 창원 유씨 (기계 유)로 알려져 있었으나, 1theK 본인등판 비오 에피소드에서 강릉 유씨 (이길 유) 라고 밝혔다. # [10] 서경이나 예기 등에 등장한 용례를 보면 고대에는 '그렇습니다'고 대답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감탄사로 쓰인 것으로 짐작되며, 여기에서 발전해서 대답하다는 뜻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11] 시조 27세손 '濬'자 항렬 [12] 시조 27세손 '濬'자 항렬 [13] 시조 25세손 '鎭'자 항렬 [14] 시조 27세손 '植'자 항렬 [15] 시조 27세손 '濬'자 항렬 [16] 시조 27세손 '植'자 항렬 [17] 시조 27세손 '濬'자 항렬. [18] 본명은 마영선. [19] 본명은 주소영. [20] 본명은 엄홍식. [21] 본명은 안연석. [22] 본명은 이윤희. [23] 본명은 김수진. [24] 본명은 김치훈. [25] 본명은 김영준. [26] 본명은 박유하. [27] 본명은 왕유선. [28] 본명은 김수빈. [29] 본명은 송아리. [30] 본명은 김명구. [31] 니시자와 모모카의 한국명 [32] 세노오 아이코의 한국명 [33] 이름이 한글자가 아니라 그냥 성씨가 이름이다. [34] 모리 코고로의 국내판 이름. 한자는 柳(류)를 쓴다. [35] 모리 란의 국내판 이름. [36] 난스이 유고의 국내판 이름. [37] 본명은 이태풍. [38] 아미 유즈키의 국내판 이름. [39] 무토우 유우기의 국내판 이름. [40] 후도 유세이의 국내판 이름. [41] 후도 박사의 국내판 이름. [42] 히구라시 카고메의 국내판 이름. [43] 히구라시 소타의 국내판 이름. [44] 제로의 본명. [45] 오오하라 나나코의 국내판 이름. [46] 오오하라 시쥬로의 국내판 이름. [47] 히가시 세츠나의 국내판 이름. [48] 아마노가와 키라라의 국내판 이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