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7 20:27:01

왕산악


3대 악성
三大樂聖
왕산악
王山岳
우륵
于勒
박연
朴堧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문화부 심볼.svg 이달의 문화인물
(1990-1997)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0년
7월
김정희
8월
장영실
9월
김소월
10월
세종대왕
11월
김홍도
12월
신재효
1991년
1월
나운규
2월
정철
3월
한용운
4월
김정호
5월
방정환
6월
정약용
7월
문익점
8월
안익태
9월
허준
10월
주시경
11월
윤선도
12월
이해랑
1992년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1993년
1월
이이
2월
이인문
3월
장보고
4월
이천
5월
윤극영
6월
원효
7월
지석영
8월
안중근
9월
박연
10월
최현배
11월
장지연
12월
윤백남
1994년
1월
우륵
2월
황희
3월
김유정
4월
홍대용
5월
강소천
6월
이상백
7월
안견
8월
박은식
9월
박승희
10월
이희승
11월
정도전
12월
신채호
1995년
1월
강세황
2월
조식
3월
월터 정
4월
최무선
5월
이원수
6월
김병로
7월
이육사
8월
김구
9월
채동선
10월
김윤경
11월
이수광
12월
곽재우
1996년
1월
김만중
2월
최치원
3월
이순지
4월
서재필
5월
김명국
6월
유일한
7월
도선
8월
심훈
9월
왕산악
10월
정인승
11월
전형필
12월
이제마
1997년
1월
송석하
2월
성현
3월
최윤덕
4월
이중환
5월
초의 (의순)
6월
한호
7월
이세보
8월
박제가
9월
박진
10월
장지영
11월
왕인
12월
송진우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3대 악성 중 1명(고구려의 인물)
왕산악
王山岳
<nopad> 파일:왕산악 표준영정.jpg
출생 미상
사망 미상
국적 고구려
직업 음악가

1. 개요

[clearfix]

1. 개요

고구려의 인물. 삼국사기에는 본기가 아닌 잡지에 언급되며 동국통감에는 양원왕 8년에 거문고를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거문고를 만든 사람으로 유명하다. 김부식의 『 삼국사기』에 그 내용이 나온다.
玄琴之作也 新羅古記云 初晉人以七絃琴送高句麗 麗人雖知其爲樂器 而不知其聲音及鼓之之法 購國人能識其音而鼓之者厚賞 時第二相王山岳存其本樣 頗改易其法制而造之 兼製一百餘曲以奏之 於時玄鶴來舞 遂名玄鶴琴 後但云玄琴

거문고의 제작에 상관하여 『신라고기』[1]에서 이르기를, 처음 진(晉)나라[2] 사람이 칠현금을 고구려에 보내니 고구려인이 비록 그것이 악기임을 알아도 그 성음과 연주하는 법을 몰라 능히 그 음을 알아 타는 자에게 후상한다 하므로 때에 두 번째 재상[3]인 왕산악이 그 본래의 모양을 두고 자못 그 법제를 고치고 겸하여 백여 곡을 만들어 연주하니 이에 검은 학이 와서 춤추어 드디어 현학금이라 이름하고 뒤에 다만 거문고(玄琴)라 일렀다.
삼국사기 권제32 6장 뒤쪽 잡지 1악

문제는 기록이 이것뿐이라 이 사람이 활동하던 시기를 확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고구려에 칠현금을 보낸 진(晉) 나라를 동진(東晉; 316년~419년)으로 볼 경우 왕산악은 약 4세기경 사람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안악 3호분·무용총·장천1호분 등의 벽화에서 거문고의 원형으로 보이는 악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 참고한 사서이다. 전하지 않아 내용, 편찬 시기, 편찬자 등은 알 수 없다. [2] 서진 또는 동진일 것으로 보인다. [3] 기록에는 '第二相'이라고 적혀 있는데 사실 이것이 관직이나 지위를 나타내는 호칭인지도 확실하지 않으며 관직이라고 해도 기록이 적어 어떠한 관직인지 제대로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