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23:50:24

OGN

온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ATA 공항 코드에 대한 내용은 요나구니 공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온게임넷을 운영하던 법인에 대한 내용은 온게임네트워크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암호화폐 기업에 대한 내용은 오리진 프로토콜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OGN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유료
방송
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 파일:아프리카TV 로고(화이트, 컬러 심볼 포함).svg 파일:OGN-logo.svg
인터넷
방송
파일:SOOP 로고.svg 파일:SOOP 로고(화이트).svg (舊 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 파일:아프리카TV 로고(화이트, 컬러 심볼 포함).svg ) 파일:인챈트로고.png 파일:esports KBS.png
폐국 파일:MBC GAME 로고.svg 파일:gametv20030929.jpg 파일:gomexp.jpg 파일:ggtv.gif
파일:runemedia.jpg 파일:SPOTV GAMES.png 파일:헝그리앱tv_로고.png 파일:나이스게임TV.png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스포츠 전문 채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종합
파일:KBS N SPORTS 로고.svg 파일:MBC SPORTS+ 로고.svg 파일:SBS Sports 로고.svg 파일:logo_jtbc3.png
파일:tvN SPORTS 로고 가로형.svg 파일:tvN SPORTS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skySports 로고.svg 파일:맥스포츠 로고.png 파일:SPOTV 로고.svg 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
파일:SPOTV2 로고.svg 파일:SPOTV2 로고 화이트.svg 파일:SPOTV Golf&Health 로고.png 파일:SPOTV Golf&Health 로고 화이트.png 파일:SPOTV Prime.png 파일:SPOTV Prime 로고 화이트.png 파일:IB SPORTS 로고.png
파일:GOLF&PBA.png 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 파일:아프리카TV 로고(화이트, 컬러 심볼 포함).svg 파일:STN SPORTS.png 파일:생활체육TV.png
파일:BallTV 로고.png 파일:SMT 스포츠 로고.jpg
골프 당구
파일:SBS Golf 로고.svg 파일:SBS Golf 2 로고.svg 파일:JTBC GOLF.png 파일:빌리어즈TV 로고.png 파일:빌리어즈TV 로고(대부분 백색).png
바둑 장기 · 체스 e-스포츠
파일:바둑TV 로고.svg 파일:K바둑 로고.png 파일:브레인 TV 로고.jpg 파일:OGN-logo.svg
볼링 산악 낚시
파일:볼링플러스 로고.png 파일:마운틴TV 로고.png 파일:FTV_headerlogo.png 파일:한국낚시방송 로고.svg
외국어 방송 인터넷
파일:Eurosport Logo.svg 파일:아이탑21 스포츠 로고.jpg
폐국한 채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383e8><colcolor=#fff> e스포츠 OP.GG SPORTS
배틀그라운드 팀해체 · 발로란트 팀해체
Apex 레전드 팀해체 · OP GAMING Ardor해체
기타 커뮤니티 · OGN( 44층 지하던전)
해체 해체된 e스포츠 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OGN-logo.svg OGN
(주)OGN
}}}
World's 1st e-Sports Channel
설립일 <colbgcolor=#fff,#1f2023> 2000년 2월 2일
개국일 2000년 7월 24일
채널 구분 유료방송채널[1]
운영 유형 민영방송
장르 게임 / e스포츠 채널
본사 소재지
OP.GG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07
방송
품질
화질
--[[NTSC|
486-line/59.94㎐
]][2],-- [[HD(해상도)|
FHD 1080/60i
]]
음향
[[스테레오포닉 사운드|
2채널 스테레오
]]( AC-3/ AAC)
모회사 OP.GG
대표이사 남윤승[3]
스트리밍 [include(틀:Wavve 표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44]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캐치프레이즈3. 역대 로고4. 역사5. 특징
5.1. 오덕 요소5.2. 온게임넷의 인터랙티브 프로그램5.3. 정보오락
6. 비판 및 논란7. 프로게임단 후원8. 프로그램9. 관련 인물
9.1. 중계진 및 출연진9.2. 과거 중계진 및 출연진
10. 사건 사고11. 여담12.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OP.GG 산하의 케이블 게임 전문채널로 세계 최초 e스포츠 전문 방송국이다.

정식 풀네임은 온게임넷(On Game Network). 통칭 온겜. 온게임넷 스타리그가 정점이었던 시절 스타크래프트 갤러리를 시작으로 옹겜, 옹겜넷이라는 배리에이션 통칭도 인터넷에서 통용되고 있다.

2. 캐치프레이즈

3. 역대 로고

파일:온게임넷 로고.svg 파일:OGN 로고(2015-2018).svg
2000년 ~ 2015년[5] 2015년 ~ 2018년
파일:OGN 로고.svg 파일:OGN-logo.svg
2018년 ~ 2023년
2023년 9월 ~ 현재[6]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OGN/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특징

5.1. 오덕 요소

지금은 많이 죽었지만 예전에는 많은 오덕을 위한 프로그램이 많았다. 특히 《게임박스》는 당시 정식발매가 전혀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비디오게임 정보와 함께 한쪽은 무조건 비판하고, 한 쪽은 무조건 옹호하는 코너, 궁금한 비디오 게임 정보를 물어보는 코너 등 다양한 요소가 있었다. 더더욱 오덕 요소가 넘쳐나는 프로그램은 《게임 인 게임》은 본격 매니아 프로그램을 자처하며 진행자 두 명의 PD가 컴퓨터에 대한 정보라든지, 게임 공략 등을 제공했다.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출시 당시에는 헬로 플스마켓이라는 프로그램도 있었다.

《DO THE G(두더지)》가 그 명맥을 이었으나, 2009년 9월 3일 방송분을 끝으로 휴방하기로 결정하면서 현재는 맥이 완전히 끊어진 상태다. 2010년 1월 두더지에 나온 초고수 부분만 똑 떼어내서 '초고수'라는 이름으로 방영했으나 이마저도 4회 닌자가이덴2 초고수편을 끝으로 종영했다.

PD가 밝히기로는 비디오 게임 프로그램 같은 경우 협찬이나 스폰서가 전혀 안 들어온다는 모양. 또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려면 한 달 정도의 기획 기간을 거치고 나서야 촬영과 방영이 이뤄지는데, 대부분의 비디오 게임은 이정도 시간이 지나고 나면 인기가 내리막길을 탄다는 이유도 비디오 게임을 다루는 프로그램이 약세인 이유라고 한다.

게임플러스 2014년 7월 11일 방영분에서는 MC 허완욱 오성균 해설과 함께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니코니코니를 시전했다. 손발이 오그라든다. 이 외에도 게임플러스에서는 매년 지스타에 취재를 간다. 포켓몬 GO가 유행했을 때는 속초시에 가기도 했다.

2000년대 플레이스테이션 2 발매 때까지만 하더라도 쇽쇽드라마 부르르르르 등을 방영하는 등 플빠였던 것처럼 보였지만 최근에는 소원의 섬 캐릭 아일랜드 방영으로 인해 닌빠 노선으로 전향한 것 같아보였으나, 캐릭 아일랜드 완전 종영 이후로 중립적 노선(?)을 지향하는 것으로 보인다. 2019 LG울트라기어 OSL 퓨처스 대회 때 메인 스폰서 LG전자 외에도 플랫폼 스폰서로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코리아를 지정한 걸로 보아서 다시 플빠로 돌아선 모양이다. OP.GG 산하의 신생 OGN은 중립 노선으로 돌아왔다.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을 맞이하여 단군을 초빙해 진행하는 롤챔스 씹기 코너 "Weekly LCK" 첫 회에서 Longzhu Gaming 문서를 참고한 것이 확인되었다.

5.2. 온게임넷의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5.3. 정보오락

한동안 적자가 누적되던 2010년대 초에는 더 지니어스, 슈퍼스타 K,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코리아 CJ E&M 계열 방송사의 프로그램들을 방영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투니버스와 같이 마이웨이 스페셜 방송의 셔틀이 되며 게임채널에서 왜 영화 특집을 하느냐며 팬들의 반발을 사기도... 2017년 말에도 LCK 등의 시즌이 종료되고 다른 게임들의 중계권이 넘어가자 시간 떼우기로 신서유기, 더 지니어스 등이 방영되기도 했다.[10] 또한 이 시기에 게임과 무관한 <내가 니 App이다>, <스마트 IT수다>, <비디오 서바이벌 디렉터쇼> 등 IT 관련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하여 편성하거나 광고 중 클립으로 일렉트로닉 뮤지션들에 대한 내용을 꼭지로 보낸 적도 있었는데, 적자가 누적되자 채널 장르 변경을 심각하게 고려해보기도 했다는 것과 연관지어보면 아무래도 게임 전문 채널에서 IT/스마트기기 전문 채널로 서서히 변경하려고 시도하려다 만 듯하다.

아육대의 게임 버전인 게임돌림픽으로 한 수를 두면서 화제를 몰고 오는 데에는 성공했다. 기존 시청자들보다는 아이돌 팬덤을 타겟으로 한 것이지만, 출연 아이돌들이 게임에 호의적이기 때문에 기존 시청자들의 반응도 나쁘지 않다. 2018년, 19년에 시즌제로 진행했고, 문제가 없다면 매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트위치 등을 통한 인터넷 방송 콘텐츠를 접목시키는 시도도 하고 있는데, 킬미더머니의 경우 오킹, 소우릎, 석티비, 윤루트, 미라클티비, Seayureka, 딩셉션, 눈쟁이 등 유명 스트리머나 BJ를 출연시켜서 각종 게임에서 시청자들이 저격하는 콘텐츠로 트위치 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11] 시즌제와 유사하게 불규칙적으로 방송하고 있지만, 2020년에도 방영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코로나19 때문에 취소되었다.

6. 비판 및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OGN/비판 및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프로게임단 후원

모기업 온게임네트워크는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단인 KOR을 인수하여 온게임넷 스파키즈로 창단해 운영했으며, 2009년 하이트맥주에게 명명권을 판매해 하이트 스파키즈라는 이름이 되기도 했다.[12]

2010년에 선수단 운영권 등을 CJ스포츠에 넘긴 후 CJ 엔투스의 유니폼 패치 스폰서에 참여하는 정도였으나, 2015년 12월 CJ 엔투스 운영주체가 CJ 스포츠에서 CJ E&M으로 이전하면서 OGN 스폰을 따게 되었다.[13][14] 운영비 전액도 OGN이 부담했다. 이후 팀명이 OGN 엔투스로 변경되면서 운영은 CJ ENM이 맡았다. 온게임넷 스파키즈가 하이트 스파키즈로 변경된 이후 오랜만에 채널명을 팀명에 쓴 셈. 다행히 CJ, OGN 엔투스로 변경된 이후로는 온게임넷 스파키즈 시절의 막장운영은 안 나왔다.

2020년 11월 30일 해체했고, OP.GG의 인수 이후 게임단 운영은 OP.GG 측의 이름으로 운영 중이다.

8. 프로그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OGN/프로그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관련 인물

9.1. 중계진 및 출연진

9.2. 과거 중계진 및 출연진

10. 사건 사고

11. 여담

12. 관련 문서


[1] 2003년부터 IPTV가 개국하는 2008년까지는 케이블TV 채널로만 기능했었다. [2] 2006년 디지털 제작환경을 갖춘 이후로는 2013년 3월까지 SD 480/60i로 제작하고 기존의 486-line/59.94㎐은 아날로그 케이블 송출 용도로만 사용. [3] OP.GG 인수 전 OGN 제작국장. [B44] 44층 지하던전 [5] 로고 전환이 서서히 이루어지던 리뉴얼 초기에는 홈페이지나 유튜브 영상 내의 유튜브 계정 링크 아이콘 등에 일부 흔적이 남아있었으나 그것들까지 현 로고로 거의 다 교체완료된 지금은 켠김에 왕까지 로고에만 조그맣게 남아있다. 그마저도 2016년에 본방 재개와 함께 지워지면서 2016년부터는 완전히 역사속으로 사라졌으며, 개국 16주년 기념 영상에서 잠깐 다시 사용되었다. 다만 이 시절의 명칭이던 온게임넷이란 이름은 홈페이지 도메인으로 여전히 쓰이고 있고, OGN으로 바뀐 지금도 프로그램 광고 때 간간히 온게임넷이라고 말할 때가 있다. 또한 이 로고는 색깔이 다르다거나, 봄 한정으로 꽃무늬 패턴, 여름 한정으로 가운데 문양이 해 모양으로 바뀌어 있는 등 바리에이션이 몇가지 있었다. [6] 모기업 OP.GG 로고에 맞추어 파란색으로 바뀌었다. [7] 2000년 9월 4일 첫방송. [8] 그대신 동시대 비슷한 방식으로 운영되던 전화 참여형 프로그램과는 달리 전화통화료, 정보이용료를 전혀 받지 않았다! 방송 담당자와의 전화연결에 성공하면 이름이나 나이 등을 물어본 뒤, 차례가 되면 전화를 주겠다고 하며 일단은 끊는다. 그리고 방송 중 자신의 차례가 되면 방송국으로부터 오는 전화를 받으면 길수현과의 핫라인이 연결되는 식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드는 비용은 담당자와 잠깐 통화하는 1~2분 시내(또는 시외) 요금이 전부였다. [9] 이후 걸스데이 멤버로 활동하였고, 걸스데이 탈퇴 후에는 비밥의 멤버로 활동하였다. [10] 사실 과거 MBC GAME MBC 본사 예능을 재방송해주는 경우가 있긴 했으니 그렇게 비판 받을 문제는 아니다. 과거에는 시간 때우기로 스타 1을 무한으로 재방송해주는 경우가 많았지만, CJ 인수 후로는 게임 재방보다 tvN 등에서 방영하는 이런 예능 재방송이 광고 수익/시청률 면에서 더 이득인 지경이다. [11] 배틀그라운드 종목에서 트위치 스트리머를 중심으로 섭외하고 있다. [12] CJ 엔투스와 합병 후에도 한동안은 하이트 엔투스라는 명칭을 썼다. [13] 대대적 리빌딩 CJ 엔투스, CJ E&M에서 직접 운영한다. [14] 합병 직후에도 CJ 엔투스 유니폼에 온게임넷 로고를 새긴 적이 있다. [15] 원래 롤인비~12 스프링까지는 김동준, 엄재경 2인체제였지만, 엄재경이 롤 해설에서 하차한 이후 강민이 새로 합류하면서 12 서머부터 김동준, 강민 2인체제로 진행되었다. 이후 13-14 윈터에서 이현우가 합류하면서 3인체제가 되었고, 윈터시즌이 끝난 이후에는 박용욱, 복한규, 정노철이 새로 합류하게 되었다. 2014년 들어서는 롤챔스 결승, 올스타전이나 롤드컵에서 김동준, 강민, 이현우, 초브라 모두 나오는 4인 해설도 나왔다. [16] 스타크래프트 2는 온게임넷에서 2014년부터 중계를 포기했다. [17] 마스카스톤라는 닉으로 유명한 하스스톤 스트리머. [18] 엔씨소프트 소속 블소 운영자 GM백진. 이전부터 다음팟 블소TV 등에서 해설을 담당했다. [19] 싱글매치 한정. 현재 김정민은 2016 싱글 토너먼트 시즌 1 이후로 블레이드 앤 소울 해설에서 오버워치의 해설을 하다 배틀그라운드의 해설을 하고있다. [20] 이 중에서 이동진, 신정민은 베타 시즌에는 PSSC, 솔로 모드만 중계했다. [21] 정규시즌 한정. 고수진은 꼬꼬갓이라는 배그 스트리머로 배그 정규시즌 2018 코리아 시즌1때 해설로 합류했다. [22] 김재원은 베타시즌에만 PSS해설진으로 중계했다. [23] 카트걸 [24] 2016 OGN 공채 합격 아나운서. 10월 7일자 오버워치 APEX 모습만 봤을 때는 오버워치를 아예 모르는 듯... 인터뷰 실력도 엉망이라는 글이 채팅에 계속해서 올라왔다. 오버워치 APEX 시즌1 8강 이후 하차하였으며, 지금은 퇴사를 한걸로 알고 있다. [25] 마스터즈 오브 섀도우버스 코리아 시즌 2부터 합류. [26] 2018 LCK 스프링 때 합류했으나 2018 LCK 섬머때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이후 KSL 시즌 2에 보이기 시작. 이전에 두산 베어스 SPOTV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는 베어스포티비의 캐스터를 2016년에 진행한 경력이 있다. [27] 2013년 초 SPOTV GAMES 이적. [28] 2001년 퇴사. [29] 본명은 조한규. 2015년 6월 ESL로 이직. [30] 챌린지리그 중계 캐스터를 한 적이 있다. 얼굴색 하나 안 바뀌고 태연하게 개드립을 여럿 터뜨린 것으로 이름을 날렸다. 그 후 MBC GAME으로 옮겨 팀리그 및 프로리그 진행. 스타판에서 떠난 이후에는 XTM(현 tvN SHOW)에서 스포츠(격투기, 비치발리볼 등)캐스터로 활동중이다. [31] iTV, 현 서울경제TV 아나운서. MC용준이 떠난 후, iTV에서 스타리그 진행. iTV 폐국 후 온게임넷 스페셜(이벤트 경기) 진행. 화려한 개드립으로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32] 퇴사 후 개인 PC방 운영중이다. [33] 2014년 4월 개인사정으로 인해 하차. 이후 중국 프로팀 EDG 코치로 합류했다. [34] 공식적으로 해설을 그만 둔 것은 아니고 현재는 직접 프로그램 출연보다는 프로덕션 쪽에서 일하는 것으로 보인다. [35] 곰TV로 이적해서 IPL 해설을 담당하다가 SPOTV GAMES로 이적했으며, SPOTV GAMES도 폐지되었다. [36] MBC GAME에서 이적할때는 스타2 해설이었으나, 도타2 인비테이셔널부터 도타2 해설을 맡았다. 이후 SPOTV GAMES에서 활동중이다. [37] CJ 엔투스 리그 오브 레전드 팀 코치로 영입되었다. [38] 감독으로서 HUYA 타이거즈 창단. [39] 하차 이후 제8게임단 감독으로 복귀했다. [40] 2016년 8월 21일 경기를 끝으로 입대으로 하차. [41] 켠김에 왕까지에 허강조류 멤버로 나왔으며 OGN에 유비스(장민호, 김무경, 이충인, 김준우) 출신의 장민호(본명: 장호근)가 나오지 못했다. [42] 시키면 한다! 약간 위험한 방송에서 대신걸로 활동하기도 했다. [43] 2010년 켠김에 왕까지에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44] 최은애와 함께 쇼핑몰 운영중이다. [45] 10편의 오버워치 정보 시리즈 방구석 정보 토크 ABOUT APEX&CHALLENGERS 진행자, 오버워치 선수 인터뷰 시리즈 이녕이의 단독코너 라면 먹고갈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현재는 프리랜서 [46] 현재 SBS 런닝맨에서 유재석, 지석진, 김종국, 하하, 송지효, 전소민과 함께 진행중이다. [47] 곰TV 이적, 이후 학업중. [48] 서연지와 함께 쇼핑몰 운영중이다. [49] 참고로 조작 사건 당시에는 공군 ACE에서 복무 중이었다. [50] 사실 모기업이었던 온미디어가 케이블SO들과 작당하고 스카이라이프 송출을 일방적으로 파기했기 때문이었다. 당시에는 케이블TV 외의 유료방송이 아직 자리잡기 전이었다보니 벌어졌던 일이었다. [51] PLAYERUNKNOWN'S BATTLEGROUNDS를 다루는 심야의 라이브 배틀이나 켠김에 왕까지를 청소년 이용불가 등급 게임을 다루는 회차에 한정해 19세 이상 시청가로 방영한다. [52] 이 문제는 OGN의 모기업인 CJ E&M에서 2013년 무렵부터 투니버스 등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채널과 프로그램의 장르를 구분하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대부분의 방송에 15세 이상가를 매기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해당 문서 참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