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14:46:37

여파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338 0%, #044F67 20%, #044F67 80%, #002338);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의무제 은왕 영제 말제
추존
태공 · 경공 · 공공 · 선공 · 경소왕 · 문제
}}}}}}}}}
여량 추존 군주
여파루 | 呂婆樓
묘호 없음
시호 경소왕(景昭王)
여(呂)
파루(婆樓)
광평(廣平)
부친 선공(宣公)
생몰 ? ~ ?
출신지 약양군(略陽郡) 임위현(臨渭縣)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약양군 저족 출신의 전진의 명신. 후량의 초대 황제인 태조 의무제 여광의 아버지로 선공의 아들.

2. 생애

본래 여파루의 선조 여문화(呂文和)는 패군(沛避)에 거주하던 저족이었으나, 한문제 초기에 일어난 제북왕 유흥거(劉興居)의 반란을 피해 약양군에 완전히 자리잡음으로써 그의 집안은 대대로 약양 저족의 추장을 지냈다. 이후 작은 부락의 추장이던 포홍이 저족 무리 내에서 재능을 인정받아 맹주로 추대받자, 여파루 또한 다른 저족 추장들과 마찬가지로 포홍을 섬겼고, 부홍이 독살된 뒤에는 그 아들인 부건을 따라 관중 평정에 기여하였다.

황시 원년(351년) 정월, 장안성을 함락시킨 부건이 천왕(天王), 대선우에 즉위하면서 전진 정권이 세워졌고, 여파루는 산기상시에 임명되었다.

수광 원년(355년) 8월, 경명제 부건의 뒤를 이어 즉위한 황제 부생이 여파루를 시중, 좌대장군으로 삼았다가 상서로 옮겼다.

수광 3년(357년) 6월, 박학하고 재능이 많은 동해왕 부견은 일찍이 영웅호걸을 좋아하여 설찬(薛贊), 권익, 여파루, 강왕(强汪) 등과 교류하면서 친분을 맺었다. 어느 날, 설찬과 권익이 비밀리에 부견을 찾아가 폭군 부생을 몰아내고 직접 황제에 오를 것을 권유하니, 부견은 여파루에게 그 의견을 물었다. 이에 여파루 답했다.
"저는 전하의 칼에 달린 고리에 불과하여 큰일을 더불어 도모하기에 부족한 인물입니다. 저희 집에 왕맹이라는 자가 있는데, 그 자의 모략이 불세출하므로 청컨대 전하께서는 의당 그와 상의하십시오."
여파루의 주선에 따라 왕맹을 만난 부견은 그의 비범함을 눈치채고 자신의 참모로 삼았다. 이후 여파루는 부견이 정변을 일으킬 때 그와 함께 휘하 병력 300명을 거느리면서 북을 치고 함성을 지르며 황궁 내부로 진입하였고, 궁중 숙위병들이 병장기를 버리고 항복하여 마침내 폭군 부생을 몰아내는 데 성공하였다.

황위를 찬탈하고 대진천왕에 오른 부견은 여파루를 사예교위(司隸校尉)로 삼았다. 여파루는 부견의 패업을 보좌하다가 세상을 떠났고, 최종 직위는 태위였다.

383년 11월에 일어난 비수대전 이후 서역에서 원정군을 이끌던 여파루의 아들 여광이 양주(涼州)에서 386년 후량을 세우자 여파루는 경소왕(景昭王)으로 추존되었다.

3. 둘러보기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99,#666666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29권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