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11:34:41

AIM-120 AMRAAM

암람에서 넘어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의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AIM-4 AIM-7 AIM-120 AIM-26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IM-120A_AMRAAM_AAM.jpg
AIM-120 AMRAAM

1. 개요2. 제원3. 역사4. 상세
4.1. F3R 프로그램
5. 세부 구성
5.1. 레이돔5.2. 능동 탐색기( 레이더)5.3. 유도조종장치5.4. 관성참조장치5.5. 표적탐지장치5.6. 탄두 및 신관5.7. 로켓 추진기관5.8. 구동장치와 조종날개5.9. 데이터 수신 안테나
6. 세부 형식
6.1. AIM-120A6.2. AIM-120B6.3. AIM-120C6.4. AIM-120D
7. 파생형8. 후계 미사일9. 둘러보기

1. 개요

Fox Three!
AIM-120 발사 코드.

[1]
미국의 능동 유도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통칭 암람.

2. 제원

AIM-120 AMRAAM
엔진 고성능 유도 로켓 모터
발사중량 152kg
길이 3.66m
직경 17.8cm
날개폭 52.6cm(AIM-120A/B)
속력 마하 4
최대사거리 50~80km(AIM-120A/B)
105km(AIM-120C-5)
120km(AIM-120C-7/C-8)
160km 이상 (AIM-120D)
탄두 고폭탄 폭풍-파편형 탄두
탄두 중량 23kg(AIM-120A/B, WDU-33/B 폭풍-파편형)
18kg(AIM-120C-5, WDU-41/B 폭풍-파편형)
유도 INS 능동형 레이더/GPS(D형)
발사기체 항공기
1발당 가격 30만~40만 달러(120C형)
109만 달러 (120D형 FY 2019)

3. 역사

AMRAAM의 개념적 시초라고 할만한 것은 AIM-7 스패로우의 능동 레이더 유도 버전인 '스패로우 II'이다. 무려 1950년대에 컨셉이 나온 미사일인데, 한 번에 하나의 표적만 공격할 수 있고, 명중 시점까지 레이더를 계속 조사해 주어야 하는 AIM-7의 문제점 때문에 나온 대안이었다. 그러나 당시의 기술 수준으로 스패로우 II는 실현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1956년에 프로젝트가 취소되었고, 스패로우는 수십년 후 퇴역할 때까지 수많은 세부 개량형이 나왔으나 반능동 레이더 유도라는 틀을 유지하게 된다.

AMRAAM 개발의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것은 미국 넬리스 공군기지에서 1974년부터 1978년까지 시행된 대규모의 공중전투/공중 요격 미사일 평가(ACEVAL/AIMVAL)였다. 여기선 AIM-7, AIM-9을 탑재한 F-14, F-15가 블루 포스로, 신형 AIM-9L 전방위 열추적 미사일을 탑재한 '어그레서' F-5E가 레드 포스 역할을 맡았는데, 전방위 열추적 미사일이라는 신기술을 고려한 수많은 모의전 끝에 AIM-7 스패로우의 문제점이 다시 한번 드러나게 되었다. 과거 스패로우 II 계획 당시의 문제점에 더해 '미사일이 명중하는 순간까지 레이더를 조사해줘야 하기에 레드 포스가 피탄 전에 전방위 열추적 미사일을 발사하여 동귀어진을 노릴 수 있다'는 문제까지 나온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과 NATO는 차세대 중거리 미사일은 스패로우와 비슷한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AIM-54 피닉스[2]와 같은 종말유도 단계의 자체적인 추적 수단과 다중 표적에 대한 공격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고 판단하였고, 마침 단거리 미사일도 슬슬 세대교체가 필요한 시점이었기에 미국은 AMRAAM이라는 이름으로 차세대 중거리 미사일을, NATO[3] ASRAAM이라는 이름으로 차세대 단거리 미사일을 각각 개발하여 통일된 규격의 미사일을 사용하기로 했다.

허나 ASRAAM 개발 사업은 조별과제의 안 좋은 점만 다 보여주고 파토나고 말았고, 각 국가는 공동개발에서 갈라져 나와서 각기 다른 단거리 미사일을 만들게 된다. 때문에 ASRAAM은 나토 표준 단거리 미사일이라는 최초 컨셉이 무색하게 나토 국가 중에선 영국만이 채용하게 되었다. 반면 미국 단독 개발이었던 AMRAAM은 1984년 개발 시작 이후 순조롭게 개발이 완료되었고, 그 성능을 입증하여 세계 각국에 미국제 전투기들과 세트로 팔리고, 미국제가 아닌 전투기들에까지 인티되면서 베스트셀러 중거리 미사일에 등극한다.

암람은 개발 중 총 89발이 시험발사 되었으며, 이 중 80%가 명중하는 높은 완성도를 보였다.

1991년 9월 AIM-7 스패로우의 후계 무장으로 120발이 처음으로 실전배치됐다. 다만 실제 운용 개시 시점은 공식적 실전 배치보다 좀 더 빨라서, 걸프 전쟁에 참전한 일부 F-15 비행대대가 전쟁 막바지인 1991년 2월 AIM-120A를 탑재하고 임무 비행을 실시한 적이 있다. 다만 이 때는 이미 이라크 공군이 전의를 잃고 출격을 포기한 이후라 격추 전과를 올리지는 못했다.

3.1. 실전 기록

3.1.1. 미군

암람의 첫 격추 기록은 걸프전이 끝나고 해를 넘긴 1992년 12월 27일 달성된다. 남부 감시 작전에서 비행금지 규정을 위반한 이라크 MiG-25에 대해 미 주방위군 소속 F-16이 처음으로 암람을 실전에서 발사하여 암람의 첫 격추 전과이자 미 공군 F-16 최초의 공대공 전과를 올렸다.

두 달 뒤인 1993년 1월 17일에는 두 번째 격추 기록이 세워졌다. 이라크군 MiG-23 플로거가 또 다시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하여 요격을 위해 미 공군 F-16C가 따라붙었고, 최고 속도로 도주하던 플로거가 추격해오는 F-16을 도저히 뿌리치지 못하겠다고 판단하고 맞서 싸우기 위해 다시 선회하는 순간 바이퍼가 암람을 발사해 격추했다.

1994년 2월 28일 바냐 루카 사건에서는 세 번째 격추 전과를 올렸다. 보스니아 내전에서 국제연합이 설정한 비행금지구역을 J-21 경공격기 6기와 J-22 경공격기 2기로 이뤄진 스릅스카 공화국 공군기 편대가 침범하자 전투공중초계 임무를 수행중이던 미 공군 F-16C 블록 40 편대가 교전하여 암람으로 1기, AIM-9M 사이드와인더로 3기를 격추했다.

2017년 6월 18일, 미해군 항공대 F/A-18E 전투기를 조종하던 마이클 트레멜 중령이 쿠르드족 시리아 민주군(SDF)을 공격하는 시리아군 Su-22를 격추시켰다. 격추에는 AIM-120C-7가 동원되었다.

3.1.2. 터키군

2014년 3월 28일, 터키 공군 소속 F-16C 전투기가 시리아군 MiG-23BN을 AIM-120C-7으로 격추시켰다.

2015년에는 터키 공군이 러시아 Su-24 전폭기를 AIM-120으로 격추시켰다. 자세한 내용은 2015 러시아 공군기 Su-24 격추사건 항목 참고.

2020년 3월 1일, 터키 공군 F-16C 전투기가 AIM-120C-7들을 발사해 시리아군 Su-24 전폭기 2대를 격추시켰다.

2020년 3월 3일, 터키 공군 F-16C 전투기가 AIM-120C-7를 발사해 시리아군 L-39 훈련기 겸 공격기를 격추시켰다. 거리는 45km로 암람 운용 역사상 최장거리 격추 기록이었다.

3.1.3. 파키스탄군

2019년 인도-파키스탄 분쟁에 동원된 파키스탄 공군 소속 F-16BM 전투기가 AIM-120을 발사해 인도 공군 소속 MiG-21 전투기를 격추시켰다.

3.1.4. 사우디아라비아군

사우디아라비아 공군 소속 F-15SA 전투기들이 AIM-120들을 발사해 후티 반군 소속 드론과 순항미사일을 요격하는데 사용했다.

4. 상세

능동 레이더 유도방식이다. 암람(AMRAAM)이라는 이름은 "차세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Advanced Medium-Range Air-to-Air Missile)"의 머릿글자에서 따왔다. 개발 및 제조사는 원래 하워드 휴즈가 세운 휴즈 항공(Hughes Aircraft Company)이었으나 1997년 레이시온의 휴즈 항공 인수 이후 레이시온에서 생산 중이다.

암람 개발 이후 유럽, 일본, 러시아에서도 MICA, R-77, AAM-4, MBDA 미티어 등 능동 레이더 유도 미사일이 등장했다. 초기형 암람은 이전 세대 중거리 미사일인 AIM-7 스패로우와 비슷한 수준의 사정거리를 가졌으나, 개량을 거치며 사거리가 계속 늘어나 현재 가장 최신형인 D형은 180km에 달한다. 물론 180km는 문자 그대로의 최대사거리로, 미사일이 날아갈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하며 공중전에서 목표에 최대 기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인 NEZ(no-escape-zone : 회피불능구역)를 고려한 유효사거리는 최신형 AMRAAM이라고 해도 50km 내외이다. 이 NEZ조차도 발사모기와 표적의 고도 및 속도에 따라 커다란 편차가 존재한다.

이런 유효사거리는 추진기관으로 로켓모터를 사용하는 암람을 포함한 대다수의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이다.[4] 이런 중거리 미사일의 로켓모터가 작동하는 시간은 기껏해야 8~12초 남짓이고, 그 이후로는 미리 확보한 고도와 속도를 까먹으면서 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긴 시간 활공하고 나면 속도(=기동성)가 크게 떨어지므로 전투기같은 고기동 목표에 대한 명중률이 현저하게 낮아지기에 유효사거리 바깥에 있는 고기동 전술기를 격추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실제로도 이 때문에 AMRAAM의 실전 격추기록은 전부 0-50km 범위에서 이루어졌다.[5] 이에 따라 미군은 암람 D형 이후로 더 이상의 개량은 무의미하다고 판단하고, 미래환경에 대응하는 신형 중거리 공대공미사일인 AIM-260을 개발하고 있다.

능동 레이더 유도방식은 F-14에 장착된 AIM-54 피닉스에 최초로 쓰였다. AIM-54의 성능은 우수했지만 너무 크고 무거웠으며 비쌌고, F-14 이외 항공기에서는 운용이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었다.

AIM-120 AMRAAM은 시커로 송신과 수신이 모두 가능한 레이더를 사용하기 때문에 발사 후 망각( Fire & Forget)이 가능하다. 그러나 AMRAAM의 시커 레이더는 크기가 작다보니 항공기의 대형 레이더보다는 탐색 거리가 한참 모자라기 때문에 원거리의 적을 공격할 때에는 바로 자체 시커를 사용할 수 없고, 중간유도 과정에서는 미사일을 쏜 모기(母機)와의 데이터링크를 통해 지속적으로 적기의 좌표와 속도, 이동 방향 등의 정보를 업데이트 받는다. 그리고 적기와 충분히 가까워지고 나면 자체 레이더로 적기를 락온하여 종말유도에 돌입하는 방식이다. 즉, 모기 입장에서는 AMRAAM을 쏘고 얼마간 유도해준 후 뒤로 돌아 도주할 수 있다는 것이며, 따라서 명중하는 순간까지 적기에 대한 레이더 락을 유지해야 하는 AIM-7에 비하면 발사한 전투기의 생존성 면에서 크게 우위에 있다. 이렇게 발사 이후로도 모기에게 정보를 수신받는 방식은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AIM-54 피닉스의 유도방식과도 거의 같다.

또한 대부분의 현대의 중/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그러하듯, AIM-120은 먼 거리의 적기를 향해 발사했을 때는 공기저항이 적은 고고도로 급상승을 하고(로프팅) 이후로는 점차 하강하면서 날아간다. 이러면 로켓 모터가 꺼진 뒤에도 미리 확보한 고도가 있으니 중력을 이용해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다.

AIM-7과의 차이점은 시커가 수신만 되느냐, 송수신이 다 되느냐도 있지만 IOG(Inertia Of Guidance) 기능의 탑재 여부도 있다. AIM-7은 모기가 레이더 조준을 중단하는 순간[6] 길을 잃은 어린 양이 되며, 적기에 대한 레이더 신호가 회복되지 않는다면 얼마 뒤 자폭한다. 허나 AIM-120은 모기의 중간유도가 끊겨도 마지막으로 전송받은 적기의 벡터를 기억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적기의 예상 위치를 향해 계속 날아가면서 자체 시커를 통해 적기를 탐색할 수 있다. 물론 데이터링크가 끊긴 이후 적기가 회피기동 등을 하여 마지막 예상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면 AIM-120은 적기를 찾을 수 없지만, 불리한 상황에선 낮은 명중률을 감수하더라도 적기에 미사일을 던지고 즉시 뒤돌아 도주한다는 선택지가 추가되는 것이니 모기의 생존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 역시 AIM-54와 동일한 부분.

한편 아예 아무런 적기도 락온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사하는 'Visual' 모드도 사용 가능한데, 이렇게 발사하면 AIM-120은 그 즉시 자신의 레이더를 켜고 지그재그로 비행하며 목표를 탐색하고, 시야에 적기가 포착되면 그대로 그 적기를 향해 날아간다.[7] 미군 나토군은 이런 상태로 AIM-120이나 기타 능동형 레이더 유도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MAD DOG'이라고 외쳐서 동료들에게 경고한다. 미친개 한 마리 풀어놨으니 알아서 몸 사리라는 뜻... 정확히는 Boresight Mode라고 하고, 산맥 뒤 등에 숨어있다가 팝업한 적을 락온 없이 요격하거나 기타 사정에 의해 락온을 하지 않을/할 수 없을 때 사용한다.

모기와의 데이터링크는 전투기 레이더들이 주로 쓰는 X밴드 대역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한다. 데이터링크 역시 모기의 레이더가 수행해주므로 이 안테나는 모기 방향인 동체 뒤쪽, 로켓 분사구 근처에 있다.

한 전투기가 동시에 여러발의 암람을 여러 표적에게 쏘거나, 혹은 편대기들이 각각 암람을 쏠 경우 서로 전파가 뒤섞여버리면 곤란하므로 출격 전에 암람에 ID를 부여해야 한다. ID는 대단한 것은 아니고 숫자로 0~9까지의 숫자중 하나를 입력해주는 것이며, 전투기 레이더는 이 숫자에 따라 자동으로 암람에게 정해진 주파수로 데이터를 전송해준다.

AIM-120나 AIM-54와 같은 능동 레이더 유도 공대공 미사일의 발사 신호 나토 코드는 Fox three다.

오랜 기간 대량생산된 미사일인 덕분에 발당 가격은 C형 계열이 약 30-40만 달러, 2019년 기준 D형이 100만 달러를 조금 넘기는 수준이다. 정밀유도탄약 치고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MBDA 미티어가 2019년 기준 200만 달러에서 최대 250만 달러까지 나간다는 걸 고려하면 암람의 최대 강점 중 하나다.

현재 미 공군은 F-22 F-35에서 AIM-120 대신 사용할 AIM-260 JATM(Joint Advanced Tactical Missile)을 개발하고 있다.[8]

한국은 1995년 첫 AIM-120(A형) 88발을 KF-16 장착용으로 구매한 이후, 1997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단종된 A형을 대신하여 B형을 738발 도입했다. 이어 2006년부터 F-15K, F-16/KF-16, F-35에 운용할 AIM-120C형을 꾸준히 들여왔고 현재는 AIM-120C-8형을 도입해 운용하고 있다. 한국은 전 세계에서 미국 다음가는 수량의 AIM-120을 보유하고 있으며, AMRAAM 도입국 중 유일하게 1,000대가 넘는 수량을 도입한 국가이다. # # 대한민국 공군 F-16PBU, KF-16, KF-16U, F-15K, F-35에 장착 및 운용 중이다. 별도로, 한국 정부는 AESA레이다가 장착될 수출용 FA-50 모델(블록20)에 대한 암람 인티를 추진하고 있다.

2024년, 미국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으로 국제 정세가 더욱 불안해지고 수출용은 물론 자국용 생산량도 늘리는데 어려움 겪자 일본과 AIM-120 암람을 공동생산하고 이를 역수입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

4.1. F3R 프로그램

Form, Fit, Function Refresh (F3R): F3R is a comprehensive AMRAAM Diminishing Manufacturing Sources and Material Shortages project to mitigate obsolescence issues in the AMRAAM guidance section and enable missile production beyond Lot 32. Raytheon is resolving technical difficulties with hardware integration and testing; qualification and flight testing are planned for late 2019. F3R production is planned to cut in the latter part of Lot 33 in FY 2021.
F3R 프로그램의 개요 #
AMRAAM은 세계 수십개 국가에서 현역으로 굴리고 있는 미사일이지만 벌써 생산이 시작된지 30년이 넘었으며, 지속적인 개량이 있었다고는 하나 유도 파트에 들어가는 집적회로 등 일부 부품의 수급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형태, 적합성, 기능 갱신(F3R) 프로그램은 이러한 유도 파트의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까지 AMRAAM의 원활한 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사업으로, 수급이 어려워진 부품들을 현대화된 새 부품으로 교체함과 동시에 미사일 펌웨어의 업데이트까지 가능하게 하는 개량이다. 위 원문에 나온 바와 같이 2021년의 로트33부터 적용이 완료되었으며, 현재 생산되는 최신형 모델인 C-8형과 D-3형이 F3R 업그레이드가 적용된 형식이다.

5. 세부 구성

파일:external/www.globalsecurity.org/amraam-5.jpg

5.1. 레이돔

대개의 마하 3, 4급 초음속 미사일이 그렇듯, 고온에서 버티면서도 레이더 전파에 대해 투명한 소재인 세라믹 계열을 사용한다. 좀 심하게 말해서 도자기.

전차의 복합장갑재나 초경합금도 세라믹 범주에 들어가기야 하지만 이러한 레이돔은 강도보다는 전파투과 성능과 고온 성능에 중점을 두고 설계 된다. 암람의 레이돔 소재인 Rayceram 8은 강도가 낮고 취성이 강한 편이라 특정 지점에 집중적으로 힘이 가해지면 깨질 수 있다.

5.2. 능동 탐색기( 레이더)

파일:external/www.ausairpower.net/000-AIM-120A-1S.jpg

X-밴드 주파수로 능동 탐색을 하며, ECM 상황을 대비하여 수동(패시브)모드로 방해 전파의 발신원으로 날아가는 HOJ(Home on Jam) 모드도 내장돼 있다. 능동 탐색기 안테나는 전형적인 슬롯 어레이 방식, 즉 전파가 들락거리는 구멍이 나 있는 평판형 안테나이다. 안테나는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짐벌 구조이며, 전기 모터로 안테나를 움직인다.[9] 안테나 바로 뒤에는 전파 송수신 모듈이 있다.

펄스 도플러 방식의 레이더이나 크기의 한계 탓에 탐지거리는 최대 20km 전후로 짧은 편이다.

이 부분에 미사일의 전원을 담당하는 열전지, 즉 배터리도 들어있다. 미사일의 특성 상 오랜 기간 보존이 가능해야 하지만 딱 한번 작동할 때는 확실하게 작동해야 하며, 일반적인 전지보다 강한 출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흔히 아는 배터리와는 많이 다르다. 전기 신호가 들어오면 그때부터 화학 반응으로 강한 열을 내고, 그 열을 통해 전기를 만드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건전지나 충전지보다 훨씬 긴 보존 기간을 가진다.

5.3. 유도조종장치

미사일의 두뇌에 해당하는 부분. 각종 신호를 처리하고 안테나와 꼬리날개 쪽 모터에 작동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5.4. 관성참조장치

흔히 말하는 자이로스코프. 더 정확히는 자이로스코프 + 가속도 측정기다. 유도조종장치는 여기서 측정된 정보들을 토대로 현재의 미사일의 자세와 속도, 위치 등을 계산한다.

5.5. 표적탐지장치

전파식 근접신관을 사용한다. 암람의 동체 중앙 날개의 약간 앞 부분에는 근접신관용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안테나는 전파를 측면(정확히는 대각선 앞쪽)으로 방사한다.

근접신관은 발사되고 약 2초가 지나면 작동하기 시작하며, 레이더 반사파를 통해 미사일 측면 일정 거리 이내에 어떤 물체(=적기)가 있다고 감지하면 그 즉시 신관에 기폭 신호를 보낸다.

5.6. 탄두 및 신관

탄두의 전체 무게는 19.8kg정도이며 작약으로는 7Kg정도의 PBXN-110 폭약이 들어있다. AIM-120C-5부터 탄두가 WDU-41/B로 바뀌었는데, 탄두 중량은 약간 줄어들었으나 더 강한 폭약을 사용하기에 살상력은 더 강하다.

폭약을 제외한 무게는 대부분 탄두 동체가 차지하는데, 탄두부 동체는 두께 10.6mm 정도의 원통형 강철(AISI 4130)로 제작된다. 탄두부 내부에는 격자무늬 홈이 파여있어 탄두 기폭 시 탄두부 동체가 적당한 크기의 파편으로 쪼개지며 뿌려지는 형태. 탄두부 안에는 Mk.80 부스터(전폭약)이 있으며, 이 바로 뒤에 안전장치를 겸하는 FZU-49 뇌관이 결합되어있다. 즉, 기폭은 뇌관-전폭약-주 작약의 3단 구조로 진행된다.

FZU-49는 안전 상태에서는 기폭 신호가 들어와도 폭발하지 않으며, 전폭약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행여 잘못되어 폭발하더라도 소량의 점화약만 터지고 전폭약과 탄두는 폭발하지 않는다. 장전 모드가 되면 전기 모터에 의해 점화약이 부스터(전폭약)을 폭발시키는 위치로 이동하여 안전장치가 해제되고, 기폭 전기신호가 들어오면 점화약이 폭발하고 그 폭발로 부스터가 폭발하며, 부스터는 다시 주 장약을 폭발시킨다. 물론 말로는 여러 단계여도 실제로는 눈깜짝할 사이에 벌어지는 일.

5.7. 로켓 추진기관

로켓 몸체부 역시 철제 케이스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51.2kg 가량의 MG-844 HTPB 고체로켓 추진제가 들어있다. 고체로켓 추진제의 형상은 중앙에 구멍이 뚫려있는 전형적인 형태이며, 구멍이 별 내지 톱니바퀴 모양으로 뚫려 있기에 초반 가속(Boost)-지속(Sustain) 형태로 추력 패턴이 나온다.[10] AIM-7 F형 이후 버전과 유사한 2단 추력 형태이다. 다만 그래봤자 로켓 작동시간은 생각보다 짧아서 10초도 되지 않는다.

추진관 안쪽에는 R181 EPDM(일종의 화학고무)가 단열재로 도포되어있어 추진기관 작동시 발생하는 고온으로부터 추진기관 금속몸체 자체를 보호한다. 로켓 맨 앞쪽에는 로켓 점화 명령이 떨어지면 불을 땡기는 점화기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쪽도 마찬가지로 평소에는 안전장치가 걸려 있어 오점화를 방지한다.

AIM-120C-5 부터는 전방의 유도조종부 공간이 줄어듬에 따라 로켓모터 자체의 길이가 약간 더 늘어나서 미사일의 사거리도 늘어났다. AIM-120D 모델에서는 사거리가 더 늘어났으나 로켓추진기관을 늘린 것이 아니라 비행경로를 최적화하여 사거리를 늘렸다.

한편 유럽쪽의 요구로 램 로켓을 탑재한 FMRAAM이라는 형식도 고려되었으나, 미티어와의 경합에서 패배하며 개발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5.8. 구동장치와 조종날개

동체 중앙부에 있는 2쌍의 날개는 고정식 카나드로, 비행 시 미사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이며 움직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미사일의 조종은 후미에 있는 4개의 날개가 수행하며, 노즐과 로켓연소관 사이 공간에 조종용 날개와 구동 모터가 있다. 4개의 모터가 탑재되어 있기에 각 날개를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조종날개는 탈착식이며, 보통 정비사들이 미사일을 전투기에 장착한 뒤 마지막에 끼워 넣는다. 탈착이 쉬우면서도 단단히 고정되도록 되어있어서 정비소요도 별로 없다.

구동 모터가 뒤쪽에 있다보니 유도조종장치와 전선으로 연결해야 하는데 미사일 중단부터는 고체연료 로켓 때문에 여유공간이 없어 전선이 동체 바깥으로 나오게 된다. 미사일의 파일런 장착부 반대편에 있는 긴 돌출부가 바로 이 전선 덮개이다.

5.9. 데이터 수신 안테나

데이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중간유도 과정에서 적기의 위치와 속도 등의 정보를 계속 업데이트 받게 된다.

X밴드 안테나이며, 모기 방향을 향해야 하니 케이블 덮개 맨 뒤편에 동체 뒤로 약간 더 삐져나온 형태로 자리하고 있다.

6. 세부 형식

6.1. AIM-120A

1991년부터 F-15를 시작으로 배치되기 시작한 AMRAAM의 초기 모델. 현재는 더 이상 생산되지 않는다.

6.2. AIM-120B

1994년부터 납품되기 시작한 형식으로, 전자계통과 시커 등에 자잘한 개량이 있었다. 외형상으로는 A형과 차이가 없다.

6.3. AIM-120C

1996년부터 납품이 시작된 형식. 개발 과정부터 계획된 Pre-Planned Product Improvement(P3I) 프로그램에 따라 C-7 개량형까지 빠르게 등장했고, # 현재는 C-8 버전이 생산되고 있다.

6.4. AIM-120D

2015년에 개발이 완료된 형식으로, 비행패턴이 최적화되어 최대 사거리가 160km정도로 크게 증가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훨씬 큰 체급의 미사일인 AIM-54 피닉스와 비슷한 수준이다. 세부 개량형은 D-3까지 등장했으며, 현재 생산되는 D형은 모두 D-3 형식이다.

120C-8형과 유사한 부분이 있으나, 둘은 다른 미사일이다. 레이시온 보도자료에서도 C-8과 D-3를 분리해서 말하고 있으며, 미 국방부 공문에서는 C-8형 대비 D형의 개선점이 명확하게 언급된다. GPS를 이용한 정확한 항법 기능, 개량된 HOBS 성능, 양방향 데이터 링크 기능, 항공기에서 미사일로 전달하는 위치정보 정확성 증대가 개선점이라고 하는데, 사거리가 언급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C-8형 역시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통한 사거리 개선 등의 업그레이드는 적용받은 모양이다.

미국을 포함한 다수의 AMRAAM 도입국들에서 구형 AMRAAM의 교체 목적으로 C-8/D-3형을 너도나도 주문하고 있다. 미 정부는 2016년에 11억 달러 규모의 120D 도입 사업을 승인했으며, 이후 2022년에 9억 7,200만 달러의 추가 도입 계약을, 2023년에는 동맹국에 판매할 물량 생산을 위한 11억 5,000만 달러 규모의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현재 D형은 미국 외에도 영국, 캐나다, 호주, 독일, 덴마크, 노르웨이 등 19개국이 사용하고 있다.

7. 파생형

7.1. FMRAAM

Future Medium Range Air to Air Missile

영국의 차기 BVR 미사일 도입 사업에 입찰하려는 목적으로 레이시온에서 내놓은 개량형. 액체연료 램제트 엔진을 탑재하여 사거리를 연장한다는 컨셉이었다.

영국 국방부가 유로파이터 타이푼용 차기 BVR 미사일로 MBDA 미티어를 채택하면서 생산에 이르지는 못했다.

7.2. NCADE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NCADE%2520%2528Network%2520Centric%2520Airborne%2520Defense%2520Element%2529%2520configuration.jpg
NCADE의 개념도
Network Centric Airborne Defense Element

2008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AMRAMM 기반의 탄도미사일 요격용 미사일이다.

상승 단계의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레이더 대신 AIM-9X의 것을 개량한[12] 적외선 열영상 탐색기를 장착했고 확실한 표적 파괴를 위한 Hit-to-Kill(직격식) 방식을 채택했다. 그리고 본래 AMRAAM의 탄두가 들어가던 자리에는 2단 액체연료 로켓을 장착하여 160km 이상의 사거리를 보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AMRAAM과 규격도 똑같고 발사에 필요한 전자계통에도 변경이 없었기 때문에 기존에 AMRAAM을 운용하던 항공기들에서 그대로 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2012년에 미국 국립연구의회에게 비판적인 평가를 받은 뒤, 도중에 예산이 잘리고 10년 이상 별다른 소식이 나오지 않는 등의 정황으로 보아 개발이 취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7.3. NASAMS

National Advanced Surface-to-Air Missile System
파일:external/www.worldwide-military.com/NASAMS%20(NL)_004.jpg

AMRAAM을 사용한 지대공 미사일 포대. 1, 2 버전은 120A/B 형 기반이며, 최신작인 NASAMS3은 아래의 AMRAAM-ER을 사용하여 사거리와 요격고도가 크게 증대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ASAM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1. NOMADS

NASAMS를 자주화하고 레이더를 추가해 TEL로 운용하게끔 한 버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OMAD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4. AMRAAM-ER

ESSM에 암람의 능동 레이더 유도장치를 장착한 개량형이다.

시커 외에도 이런저런 개량이 있었다고 하며, ESSM 자체가 AMRAAM보다 훨씬 큰 체급의 미사일이니만큼 기존 지상발사형 AMRAAM 대비 사거리와 요격고도가 크게 증대되었다고 한다. 위의 NASAMS 3 버전에 들어가는게 바로 이 미사일이다.

8. 후계 미사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IM-26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 공군은 2022년까지 차기 공대공 미사일을 개발 완료하고 도입을 시작하여 2026년경 암람 구매를 종료할 예정이다.

9.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미군 (1991~현재)
United States Armed Forces
<colbgcolor=#27408B> <colbgcolor=#27408B> FGM-148 재블린 | FGM-172 SRAW
탑재형
기갑차량
FGM-148 재블린 | BGM-71(D/E/F) TOW-2
공대지
공용
{ AGM-179 JAGM} | AGM-176 그리핀 | AGM-114 헬파이어 | AGM-65 매버릭
유도포탄
지대지
M982 엑스칼리버 | M712 코퍼헤드
함대지
{LRMP} (127mm) | LRLAP (155mm, 줌왈트급)
유도로켓
지대지
GMLRS (227mm, M270 MLRS)
공대지
APKWS (70mm)
공대지 (ALCM)
AGM-158 JASSM | AGM-86 ALCM | AGM-84(H/K) SLAM-ER | AGM-84E SLAMR
지대지 (GLCM)
함대지 (LACM)
BGM-109 토마호크
잠대지 (SLCM)
UGM-109 토마호크
{PrSM} | MGM-140 ATACMS
{ LGM-35A 센티넬} | LGM-30G 미니트맨 III | LGM-118A 피스키퍼R
UGM-133 트라이던트 II | UGM-96 트라이던트 IR
함대함
RGM-84 하푼 | NSM
공대함
AGM-158C LRASM | NSM
대잠 미사일 RUM-139 VL-ASROC
어뢰
경어뢰
Mk.54 | Mk.46 Mod (2/5) | Mk.50 경어뢰 | CAPTORR
중어뢰
Mk.48 중어뢰
보병
FIM-92 스팅어
차량
FIM-92 스팅어 ( SGT 스타우트 등)
단거리
AGM-114 헬파이어 ( SGT 스타우트)
중거리
MIM-23B I-호크 | MIM-23C I-호크 HEOSR
장거리
MIM-104A 패트리어트 | MIM-104C PAC-2 | MIM-104(D/E) PAC-2 GEM(-T) | MIM-104F PAC-3 (CRI/MSE)
대탄도탄 THAAD | GBI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RIM-116 RAM
개함방공 RIM-162 ESSM | RIM-66A SM-1MRR | RIM-7(M/H/P)R
함대방공 RIM-66 SM-2MR | SM-6
단거리
AIM-9 사이드와인더 | AIM-92 스팅어
중장거리 { AIM-260 JATM} | AIM-174 | AIM-120 AMRAAM | AIM-7 스패로우R
{ AGM-88E AARGM} | AGM-88 HARM
유도폭탄 GBU-38 JDAM | GBU-54 LJDAM | GBU-48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24 페이브웨이 III | GBU-(12/16)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독일 국기.svg 현대 독일 연방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독일 연방군 (1991~현재)
Bundeswehr
<colbgcolor=#808080> <colbgcolor=#808080> MELLS (스파이크-LR) | 밀란-(2/2T/ER)
탑재형
기갑차량
MELLS | BGM-71D TOW-2R | HOT-(2/3)R
공대지
회전익기
HOT 3 | PARS-3LR
고정익기
AGM-65(B/D) 매버릭R
유도포탄
지대지
DM702 (155mm, PzH2000) | 불카노 155 (155mm, PzH2000) | {아세가이} (155mm, PzH2000)
함대지
불카노 127 (127mm, F125급)
유도로켓
지대지
GMLRS (227mm, MARS II)
공대지 (ALCM)
{ AGM-158(B/B-2) JASSM-ER} | 타우러스 KEPD 350
지대지 (GLCM)
{JFS-M}
MGM-52 랜스R
함대함
{ NSM} | RBS 15 Mk.3 | RGM-84D 하푼 블록 1C |  RGM-84A 하푼 블록 1AR | MM38 엑조세R
공대함
시스쿠아R | AS.34 코모란 2R
대잠 미사일 RUR-5A Mod 4 ASROCR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 Mk.54 Mod 0 | Mk.46 Mod (2/5) | DM4A1R
중어뢰
DM2(A3/A4) 제헥트 | DM2A1 제알R | DM1 제슐랑에R
보병
FIM-92(C/E) "플리거 파우스트 2 스팅어"
차량
FIM-92E ( LeFlaSys 오젤롯)
단거리
FRP/FRR 롤란드 3R
중거리
{ IRIS-T SLM} | MIM-23B I-호크 | MIM-23C I-호크 HEOSR
장거리
MIM-104A 패트리어트 | MIM-104C PAC-2 | MIM-104(D/E) PAC-2 GEM(-T) | MIM-104F PAC-3 (CRI/MSE)
대탄도탄 { 애로우-3}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RIM-116B RAM 블록 I
개함방공 RIM-162B ESSM | RIM-66A SM-1MR 블록 IVR | RIM-7(M/H/P) 시스패로우R
함대방공 RIM-66M-2 SM-2MR 블록 IIIA
단거리
IRIS-T | AIM-9L 사이드와인더 | AIM-92E 스팅어
중장거리 미티어 | AIM-120(B/C-5/C-7) AMRAAM
잠대공 미사일
{ IDAS}
{ AGM-88E AARGM} | AGM-88B HARM 블록 IIIB
유도폭탄 GBU-38 JDAM | GBU-54 LJDAM | GBU-48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24 페이브웨이 III | GBU-(12/16)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폴란드 국기.svg 현대 폴란드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폴란드 공화국군 (1990~현재)
Siły Zbrojne Rzeczypospolitej Polskiej
<colbgcolor=#FFF> <colbgcolor=#FFF> FGM-148F 재블린 | PPK 스파이크-LR
탑재형
기갑차량
{ 브림스톤} | 스파이크-LR | 9M11P 말륫카
공대지
회전익기
{ AGM-114 헬파이어} | 9M114W 슈투름-WR
고정익기
AGM-65G2 매버릭 | Kh-29(L/T)R | Kh-25(ML/MR)R
유도로켓
지대지
GMLRS (227mm, HIMARS)
배회폭탄
지대지
WB 워메이트
공대지 (ALCM)
AGM-158(B/{B-2}) JASSM-ER
{ CTM-290} | MGM-164 ATACMS 2000
OTR-21 토치카R
함대함
RGM-84G 하푼 블록 1G | RBS 15 Mk.3 | P-21 · P-22 테르밋R
지대함
NSM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 A244-SR
중어뢰
TEST-71ME | SAET-60M | Tp 617R | 53-65KER
보병
PPZR 피오룬 | PPZR 그롬
차량
피오룬 (SPZR 포프라트) | 그롬 ( ZSU-23-4MP 비아와)
단거리
나레프 | 9K33BM3-P1 종드워 | 9K33M2 "롬프" | 9K35 스트샤와-10MR | 9K31 스트샤와-1R
중거리
S-125 네바-SC | 2K12M1 쿠프-M1 | 2K11M1 크루그-M1R
장거리
MIM-104F 패트리어트 PAC-3 MSE | S-200C 베가
개함방공 { CAMM-M} | RIM-66E-6 SM-1MR 블록 VIB | 4K91 볼나-MR
단거리
AIM-9X 사이드와인더 | R-73ER | R-60MR
중장거리 AIM-120(C-5/C-7/{C-8}) AMRAAM | R-27(R1/T1)R | R-23RR
{ AGM-88E AARGM-ER} | Kh-28R | Kh-25MPUR
유도폭탄 AGM-154 JSOW | GBU-31 JDAM | GBU-24 페이브웨이 III | GBU-12 페이브웨이 II | MAM-(C/L)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스위스 국기.svg 현대 스위스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스위스군 (1945~현재)
Schweizer Armee
<colbgcolor=#DA291C> <colbgcolor=#DA291C> { 스파이크 LR2} | NLAW | PAL BB 77 드래곤R
탑재형
기갑차량
{ 스파이크 LR2} | PAL BB 85 TOW | PAL BB 65 BANTAMR
공대지
고정익기
Flz Lwf LB 66 "NORAS"R | Flz Lwf LB 82 매버릭R
유도포탄
지대지
12cm Mw int G 96 STRIX (120mm, Mö 16) | 15,5cm Kan int G 01 SMArt (155mm, Pz Hb M109)
L Flab Lwf BL 94 스팅어
단거리
Mob Flab Lwf 레이피어R
장거리
{ BODLUV GR 패트리어트} | Flab Lwf BL 64 블러드하운드R | RSA | RSC/D | RSE 크린스
단거리
Flz Lwf LL AIM-9X "SIWA" | Flz Lwf LL (63/80 · 63/90 · 63/91) | Flz Lwf LL (63 · 63/75)R
중장거리 Flz Lwf LL (64 · 64/79) "팔코"R | Flz Lwf LL 97 · AMRAAM 120C-7
※ 윗첨자R: 퇴역 무장
취소선: 개발 취소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체코 국기.svg 현대 체코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체코 공화국군 (1993~현재)
Armáda České Republiky
<colbgcolor=#7CB9E8> <colbgcolor=#7CB9E8> 스파이크-LR | FGM-148 재블린 (특수부대용)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 | 9M113 콘쿠르스R
공대지
회전익기
AGM-114K 헬파이어 II | 9M17P 플랑가R
고정익기
AGM-65G 매버릭 | Kh-25(ML/MR)R | Kh-23MR
유도로켓
공대지
APKWS ( 70mm, AH-1Z)
OTR-23 오카R
RBS 70 NG
단거리
PLRK S-10MR
중거리
{ SPYDER-MR} | PLRK 2K12 M2 쿠프R
장거리
S-200VE 베가-ER | S-75(M) 드비나R
단거리
{ AIM-9X 블록 II} ·  AIM-9L 사이드와인더 | R-73R | R-60(T/M)R
중장거리 AIM-120({C-8}/C-7/C-5) AMRAAM | R-27R1R | R-24(R/T)R
Kh-25MPR
유도폭탄 { GBU-53/B 스톰브레이커} | { GBU-31 JDAM} | GBU-(12/16)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무장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현대 슬로바키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슬로바키아 공화국군 (1993~현재)
Ozbrojené sily Slovenskej Republiky
스파이크-LR2 |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공대지
회전익기
9M17P 플랑가-P ( Mi-24)R
고정익기
Kh-29R | Kh-25R
<colbgcolor=#034DA3><colcolor=#FFF> <colbgcolor=#034DA3><colcolor=#FFF> OTR-23 오카R | OTR-21 토치카R
PPZR 피오룬 | 9K38 이글라
단거리
9K35 스트렐라-10MR
중거리
{ 바락-MX} | 2K12M2 쿠프-M2R
장거리
S-300PMUR | S-200M 베가-MR | S-75R
단거리
{ AIM-9X 사이드와인더} | R-73R | R-60(M/T)R
'''
중장거리
'''
{ AIM-120C-7 AMRAAM} | R-27RR
Kh-25MPR
유도폭탄 { GBU-38 JDAM} |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 GBU-12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헝가리 국기.svg 현대 헝가리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헝가리 방위군 (1989~현재)
Magyar Honvédség
9K115-2 메티스-M |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탑재형
기갑차량
{ 스파이크-LR2}
공대지
회전익기
{ 스파이크-ER2} ( H145M)
고정익기
AGM-65G2 매버릭 | Kh-25R
<colbgcolor=#FFF><colcolor=#000> 배회폭탄 <colbgcolor=#FFF><colcolor=#000>
지대지
{ 히어로-120} ( KF41 링스)
9K52 루나-MR
미스트랄 (2/3)
단거리
9K35 스트렐라-10R
중거리
{ NASAMS-3} | 2K12 쿠프 | S-125M 네바-MR | 2K11 크루그R
장거리
S-200VE 베가-ER
단거리
IRIS-T | AIM-9L 사이드와인더 | R-73ER | R-60MR
'''
중장거리
'''
{ 미티어} | AIM-120(C-5/C-7) AMRAAM | R-27R1R | R-23RR
Kh-28R
유도폭탄 GBU-(12/16)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현대 포르투갈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006600><colcolor=#FFFF00> <colbgcolor=#006600><colcolor=#FFFF00> 밀란-(2/2T)
탑재형
기갑차량
BGM-71 TOW | SS.11R
공대지
고정익기
AGM-65(BR/F/G) 매버릭
함대함
RGM-84D 하푼 블록 1C | MM38 엑조세R
잠대함
UGM-84(L/D) 하푼 블록 2/1C
어뢰
경어뢰
Mk.46 Mod 5 | Mk.44 Mod 1R
중어뢰
A184 블랙샤크 | E14R | L5 Mod 4R | L3R | 마크 IVR
FIM-92E 스팅어 | 블로우파이프R
단거리
MIM-72(F/G) 채퍼럴 | 크로탈 R.440R
'''
개함방공
'''
RIM-162C ESSM 블록 II | RIM-7M 시스패로우
단거리
AIM-9L 사이드와인더 | AIM-9(B/E/P)R
'''
중장거리
'''
AIM-120C-5 AMRAAM
유도폭탄 GBU-31 JDAM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12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그리스 국기.svg 현대 그리스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0D5EAF><colcolor=#FFF> <colbgcolor=#0D5EAF><colcolor=#FFF> BGM-71E TOW 2A | 밀란 (F1/F2) | 9K111 파곳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 NLOS | 9K135F 코넷-E | BGM-71C I-TOW
소형함선
스파이크 NLOS | SS.12R
공대지
회전익기
스파이크 NLOS | AGM-114(F/K/L/M) 헬파이어 | AS.12R
고정익기
AGM-65(A/B/G2) 매버릭 | AGM-12B 불펍R
'''[[지능탄|
유도포탄
]]'''
지대지
SMArt 155 (155mm, PzH2000)
공대지 (ALCM)
SCALP-EG
함대지
SCALP-나발
MGM-140A ATACMS 블록 I
함대함
MM40 블록 II/III 엑조세 | RGM-84(G/D) 하푼 블록 1G/1C | MM38 엑조세R | RGM-84A 하푼 블록 1AR | 펭귄 Mk.2 Mod 3R
잠대함
UGM-84D 하푼 블록 1C
공대함
AM39 블록 II 엑조세 | AGM-119 펭귄 Mk.2R
지대함
MM40BC 블록 II 엑조세
대잠미사일 RUR-5A Mod 4 ASROCR
어뢰
경어뢰
{ MU90 임팩트} | Mk.46 Mod (2/5) | Mk.44 Mod 1R
중어뢰
SUT Mod (0/4) | SST-4 Mod 0 제알R | Mk.37 Mod 3R
보병
FIM-92(A/C/E) 스팅어 | FIM-43 레드아이R
차량
FIM-92E (험비 ASRAD)
단거리
9K331 토르-M1 | 9K33M2 오사-AK | 크로탈 NG
중거리
RIM-7M (스카이가드) | MIM-23(B/C/E) I-호크R
장거리
MIM-104E PAC-2 GEM | MIM-104F PAC-3 CRI | S-300PMU1 (48N6E)R |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R
'''
CIWS
'''
RIM-116(B/C) RAM 블록 1/2
'''
개함방공
'''
RIM-162C ESSM | RIM-66E SM-1MR 블록 VI | RIM-7(PR/M) 시스패로우 | 아스피데R
'''
함대방공
'''
{ 아스터 30 블록 1 NT}
단거리
IRIS-T | AIM-9(L/M) 사이드와인더 | R.550 매직 II | AIM-9(F/P-4/J)R | AIM-4C 팰콘R
'''
중장거리
'''
미티어 | AIM-120(AR/B/C-5/C-7) AMRAAM | MICA-(IR/EM) | 쉬페르 530D | AIM-7(E/M) 스패로우R
{ AGM-88E AARGM} | AGM-88B HARM
유도폭탄 AGM-154C JSOW | SPICE (1000/2000) | GBU-31 JDAM | GBU-(48/49/50)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24/27) 페이브웨이 III | GBU-(10/12/16) 페이브웨이 II | GBU-8 HOBOSR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현대 루마니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루마니아군 (1991~현재)
Forțele Armate Române
<colbgcolor=#002B7F><colcolor=#FFF> <colbgcolor=#002B7F><colcolor=#FFF> 스파이크-LR | FGM-148F 재블린 (특수부대용) | 9K111 파곳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LR2) | 9K113 콘쿠르스 | 9K11 말륫카R
공대지
회전익기
스파이크-ER
고정익기
AGM-65K 매버릭 | Kh-23R
유도로켓 '''
지대지
'''
M30A1 · M31A1 GMLRS (227mm, HIMARS)
MGM-164 ATACMS 2000
함대함
{ NSM} | P-22 · P-21 · P-15(M) 테르밋
지대함
{ NSM} | P-22 · P-21 (4K51 루베즈)
어뢰
경어뢰
스팅레이 Mod 0
중어뢰
TEST-71 | 53-65K
신궁 | CA-94(M)
단거리
TABC-79 CA-95 | 9K33M3 오사-AKMR
중거리
MIM-23P I-호크 XXI | 2K12 쿠프R | S-125M 페초라R
장거리
MIM-104E PAC-2 GEM-T | MIM-104F PAC-3 MSE
'''
CIWS
'''
CA-94 ( 즈보룰급)
단거리
AIM-9(X/M) 사이드와인더 | 파이썬-3R | R.550 매직 IIR | R-73ER | R-60MR | R-13MR
'''
중장거리
'''
AIM-120C-5 AMRAAM | R-27RR | R-23RR
유도폭탄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IAI 그리핀 | 엘빗 오퍼(Opher) | MAM-L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현대 불가리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불가리아군 (1952~현재)
Българска Армия
<colbgcolor=#009B75> <colbgcolor=#009B75> 9K115 메티스 |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 9K11 말륫카R
탑재형
기갑차량
{ FGM-148 재블린 ( M1296)} | 3M6 쉬멜R
포발사
9K117 바스티온
공대지
고정익기
Kh-29R | Kh-23R
OTR-21 토치카 | OTR-23 오카R | R-17 엘브루스R
함대함
{ RBS 15 Mk.3} | MM38 블록 1 엑조세 | P-15(MC/M/U) 테르밋
지대함
P-15M (4K51 루즈베)
어뢰
경어뢰
{ Mk.46 Mod 5}
중어뢰
L5 Mod 4 | SET-40U | 53-65KR | 53-56VAR
9K38 이글라 | 9K310 이글라-1 | 9K34 스트렐라-3R | 9K32 스트렐라-2R
단거리
9K35 스트렐라-10M | 9K33M2 오사-AK | 9K31 스트렐라-1MR
중거리
{ IRIS-T SLM} | S-125 네바 | 2K12M1 쿠프-M1 | 2K11 크루그R
장거리
S-300PMU | S-200VE 베가-E | S-75 드비나R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4K33M 오사-MA | 9K32 스트렐라-2
개함방공 { VL-MICA EM} | RIM-7P 시스패로우
단거리
R-73 | R-60R | R-3SR
중장거리 { AIM-120C-7 AMRAAM} | R-27R | R-23RR
유도폭탄 { GBU-38 JDAM} | { GBU-54 LJDAM} |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 GBU-39 SDB}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현대 노르웨이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colbgcolor=#BA0C2F><colcolor=#00205B> <colbgcolor=#BA0C2F><colcolor=#00205B> FGM-148 재블린 | ERYXR
탑재형
기갑차량
BGM-71D TOW-2 | SS.11R | ENTAC
공대지
고정익기
AGM-12B 불펍R
'''[[지능탄|
유도포탄
]]'''
지대지
BONUS 155 (155mm, K-9 VIDAR)
공대지 (ALCM)
JSM
함대함
{ 3SM 티르빙} | NSM | 펭귄 Mk.1R
공대함
AGM-119 펭귄 Mk.3R
어뢰
경어뢰
스팅레이 Mod 0 | Mk.46 Mod 2R
중어뢰
DM2A3 제헥트 | Mk.37R | Tp 612R | T1 Mod 1R
PPZR 피오룬 | FIM-92A 스팅어R | RBS 70R
단거리
NOMADS
중거리
NASAMS 3 | MIM-23C I-호크 · NOAHR
장거리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R
'''
CIWS
'''
미스트랄 1
'''
개함방공
'''
RIM-162C ESSM | RIM-7M 시스패로우R
단거리
AIM-9X 사이드와인더 | IRIS-T | AIM-9(L/J)R
'''
중장거리
'''
AIM-120(B/C-7) AMRAAM
유도폭탄 GBU-(31/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덴마크 국기.svg 현대 덴마크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덴마크 방위군 (1945~현재)
Forsvaret
<colbgcolor=#A40000><colcolor=#FFF> <colbgcolor=#A40000><colcolor=#FFF> 스파이크-LR2 | 코브라R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 BGM-71D TOW 2 | BGM-71A TOWR | SS.11R
공대지
회전익기
BGM-71D TOW 2R
고정익기
AGM-65(D/G) 매버릭 | AGM-12B 불펍R
함대함
RGM-84L 하푼 블록 2 | RGM-84(A/D) 하푼 블록 1A/1CR
지대함
RGM-84D 하푼 블록 1CR (MOBA 체계)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중어뢰
Tp 617R | Tp 421R | G7eR
FIM-92C 스팅어R | FIM-43 레드아이R
중거리
MIM-23(A/B/L) 호크R
장거리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R
'''
개함방공
'''
RIM-162C ESSM | RIM-7(P/M) 시스패로우R
'''
함대방공
'''
RIM-66M-2 SM-2 MR 블록 IIIA
단거리
AIM-9X 사이드와인더 | AIM-9(J/N/L)R
'''
중장거리
'''
AIM-120(B/{C-8}) AMRAAM
유도폭탄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핀란드 국기.svg 현대 핀란드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colbgcolor=#FFF><colcolor=#002F6C> <colbgcolor=#FFF><colcolor=#002F6C> 102 RsLPstOhj NLAW | PstOhj 2000(M) | PstOhj 83(MR/MA/MB) | PstOhj 82MR | PstOhj 82R
탑재형
기갑차량
빅커스 비질런트R
공대지
고정익기
AS.11R
'''[[지능탄|
유도포탄
]]'''
지대지
BONUS 155 (155mm, K-9 FIN)
공대지 (ALCM)
AGM-158A JASSM
함대함
{가브리엘 V} | RBS 15 Mk.(2/3) | P-15UR
지대함
RO 06 | MTO 85(M) | MTO 66R | RO 63R
'''[[어뢰|
어뢰
]]'''
경어뢰
{Tp 47 SLWT} | Tp 45
보병
ItO 15 | ItO 05M | ItO 86(M)R | ItO 78R
차량
ItO 05 (유니목 ASRAD)
단거리
XA-181 ItO 90M
중거리
ItO 12 NASAMS 2 | ItO 96R | ItO 79R
장거리
{ 다비즈 슬링}
'''
개함방공
'''
{ RIM-162C ESSM 블록 2} | 움콘토-IR Mk.2
단거리
AIM-9(M/X) 사이드와인더 | AIM-9(B/P-2)R | AIM-4(F/G) 팰콘R | R-60R | R-13MR | R-3SR
'''
중장거리
'''
AIM-120(B/C-7) AMRAAM
유도폭탄 AGM-154C JSOW | GBU-(32/38) JDAM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현대 말레이시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00066><colcolor=#FFCC00> <colbgcolor=#000066><colcolor=#FFCC00> NLAW | ERYX | 9K115-2 메티스-M | 모스키토R
탑재형
기갑차량
카라오크 | ZT3 잉웨 | 박타르 시칸
공대지
고정익기
AGM-65(F/G) 매버릭 | Kh-29(TE/L)
공대지 (ALCM)
Kh-59ME
{{{#!wiki style="margin: -0px -7px"
함대함
{ NSM} | MM40 블록 2 엑조세 | 오토마트 Mk.2 | MM38 엑조세R
잠대함
SM39 엑조세
공대함
AGM-84A 하푼 블록 1A | Kh-31A | 시스쿠아
어뢰
경어뢰
A244-S
중어뢰
A184 블랙샤크
보병
FN-6 | 안자 Mk.(I/II) | 재블린 S15
차량
스타스트릭 ( 래피드 레인저 체계) | 9K38 이글라 (GK-M1 등)
단거리
레이피어 Mk.2 FSC
'''
CIWS
'''
사드랄
'''
개함방공
'''
{ VL-MICA EM} | GWS.26 시울프 | 아스피데 | GWS.20 시캣
'''
단거리
'''
AIM-9(X/S) 사이드와인더 | R-73E | R-60M | AIM-9(B/P-4)R
'''
중장거리
'''
AIM-120C-5 AMRAAM | R-77 | R-27(R1/ER1) | AIM-7M 스패로우
Kh-31P
유도폭탄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KAB-500L | KAB-1500L)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현대 싱가포르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싱가포르군 (1965~현재)
Singapore Armed Forces | Angkatan Bersenjata Singapura
<colbgcolor=#EE2536><colcolor=#FFF> <colbgcolor=#EE2536><colcolor=#FFF> 스파이크-(SR/MR/LR) | 밀란R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공대지
회전익기
AGM-114K 헬파이어 II | BGM-71F TOW-2BR
고정익기
AGM-65(B/D/G) 매버릭
'''
유도로켓
'''
지대지
GMLRS (227mm, HIMARS)
함대함
{ 블루 스피어} | RGM-84(D/G) 하푼 블록 1C/1G | RGM-84(A/C) 하푼 블록 1A/1BR | 가브리엘 IR
잠대함
UGM-84L 하푼 블록 2
공대함
AGM-84D 하푼 블록 1C
어뢰
경어뢰
A244-S Mod (1/3) | Tp 431R
중어뢰
A184 블랙샤크 | Tp 617 | Tp 451R
보병
RBS 70 Mk.1 | 9K38 이글라 | 미스트랄 1
차량
9K38 이글라 ( M113A2 OWS)
단거리
레이피어 Mk.1 FSBR
'''
중거리
'''
SPYDER-SR | MIM-23(C/G) I-호크
장거리
SAMP/T | 블러드하운드 Mk.IIR
'''
CIWS
'''
SIMBAD-RC
'''
개함방공
'''
아스터 15 | VL-MICA EM | 바락 1
'''
함대방공
'''
아스터 30
'''
단거리
'''
AIM-9(X/S) 사이드와인더 | 파이썬-5 | 파이썬-4 | AIM-9(B/P-4/N)R
'''
중장거리
'''
AIM-120(C-5/C-7) AMRAAM | AIM-7M 스패로우
유도폭탄 AGM-154(A/C) JSOW | GBU-39 SDB | GBU-(31/38) JDAM | GBU-54 LJDAM | GBU-(49/50)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10/12)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우크라이나 국군 (1991~현재)
Збройні Cили України
<colbgcolor=#0056B9> <colbgcolor=#0056B9> 참고: 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탑재형
배리어 | { AGM-114 헬파이어}D | BGM-71F TOW 2D | 브림스톤D | 9K114 슈투름
포발사
콤바트( 125mm, T-80 등) | 9K117 바스티온( 100mm, MT-12) | 9K112 코브라( 125mm, T-64 등)
공대지
회전익기
9M114 코콘
고정익기
{ AGM-65G 매버릭}D | Kh-29T | Kh-25ML
유도포탄
곡사포
M982 엑스칼리버D | SMArt 155D | BONUS 155D| 불카노 155D | M712 코퍼헤드D
유도로켓
지대지
R624(M)( 300mm, 빌카-M) | GMLRSD( 227mm, HIMARS/ MLRS) | GLSDBD( 290mm, HIMARS) | APKWSD( 70mm, 테크니컬) | TRLG-230D | FZ275
배회폭탄
지대지
보버 | ALTIUS-600 | RAM II | Tu-141 | Tu-143 | 스카이나이츠 2 | 피닉스 고스트D |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 WB 워메이트D | 사제 FPV 자폭드론 | Vidsich | { 트렘비타} | {AQ-400} | AN-196 류티 | A-22 폭스배트 | R-15 | 팔야니챠 | OSKARD
공대지 (ALCM)
스톰 쉐도우/SCALP-EGD( Su-24)
MGM-140 ATACMSD
OTR-21 토치카-U | 흐림-2
함대함
{ RGM-84L 하푼 Block 2}
지대함
R-360 넵튠 | RGM-84L-4 하푼D | RBS 17D
어뢰
경어뢰
{ MU90 임팩트}
무인 자폭정 TLK-150 | 시 베이비 | 마구라-5 | 마리치카 | 마마이 | {스토커 5.0}
참고: 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단거리
마틀렛 LWMD | 크로탈-NGD | 9K33BM3-P1 종드워D | 9K330 토르 | 9M311( 퉁구스카) | 9K35M 스트렐라-10M3 | 9K33M3 오사-AKM | R-73( 오사 TEL) | ASRAAMD(트럭형 TEL)
중거리
NASAMSD | RIM-7 시스패로우D( 부크 TEL) | MIM-23 호크D | IRIS-T SLMD | 아스피데 2000 · 스파다D | S-125 네바-SCD | 9K37M1 부크 M1 | 2K12M3 쿠프 M3 | S-125 페초라-(2D/2M/BM)
장거리
MIM-104D PAC-2 · MIM-104F PAC-3D | SAMP/TD | S-300PMUD | S-300(PS/PT) | S-200
개함방공 { VL-MICA M} | R-73마구라 V5
단거리
AIM-9(M/X) 사이드와인더D | R-73E | R-60MK
중장거리 AIM-120B 암람D | AIM-7M 스패로우D | R-27(ET/ER/R1)
유도폭탄 JDAM-ERD | MAM-CD | MAM-LD | KAB-1500L | KAB-500Kr | AASM-250D | SDBD MiG-29 | { GBU-12 Paveway IV}D | { AGM-154 JSOW}D
AGM-88(B/E) HARMD
기만체 미사일
ADM-160B MALDD MiG-29
※ 윗첨자D: 공여받은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렛첨자(□□□): 대표 발사 플랫폼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missile_icon__.png 유도무기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


[1] 암람의 발사장면과, 암람에 피탄된 적기, 무인 표적기들의 모습. BGM은 DJ Darude의 모래폭풍. [2] 영화 탑건으로 유명해진 해군용 가변익 전투기 F-14가 사용하던 반능동/능동 중거리 유도 공대공 미사일이다. [3] 정확히는 영국과 독일. 프랑스는 공동개발을 거부하고 '중거리와 단거리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미사일을 적외선과 레이더 버전으로 이원화하자'는 컨셉으로 MICA를 개발한다. [4] 이를 극복하려면 AIM-54 피닉스 R-37처럼 사이즈를 엄청나게 키워서 로켓 자체가 오래 타게 만들던가, MBDA 미티어처럼 다른 방식의 추진체계를 사용해야 한다. [5] 물론 수송기, 공중급유기, 조기경보기 등의 둔한 저기동 표적에는 이런 최대 사거리가 여전히 유효하다. [6] 혹은 채프 등의 기만체나 빔 기동 같은 회피 기동의 영향으로 표적을 상실한 경우 [7] 열추적 방식의 AIM-9도 이러한 기능이 있다. 단, 이렇게 발사할 경우 AIM-9이든 AIM-120이든 미사일의 목표가 적이 아닌 아군이 될 수도 있다. [8] 확실하게 밝혀진 정보는 없지만 암람과 비슷한 체적이 될 것이고, 램제트를 쓰지 않는다는 것은 확정되었다. [9] AIM-7는 당시 모터기술 부족으로 유압을 사용했다. [10] 톱니 모양 구멍이 뚫린 중앙 부분은 표면적이 넓으므로 짧고 강하게 타며(부스트), 중앙부가 다 타고 나오는 가장자리 부분은 표면이 단순한 원형이니 약하게 오래 탄다.(서스테인) [11] 정확히는 단종된 구형 전자부품들을 수급이 가능한 부품으로 교체한 것. [12] 개조한 이유는 추적은 탄도미사일의 분사구를 보고 하지만 실제로 때려야 하는 것은 미사일의 본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