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6 11:35:02

바락 8 대공미사일

세계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77,#3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천궁 / 천궁-Ⅱ / L-SAM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나이키 / 호크 / 로워 / 패트리어트 / THAAD / GBI / 이지스 어쇼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S-25 / S-75 / 2K12 쿠프 / S-125 / 9K37 부크 / S-200 / S-300 / S-350 / S-400 / S-500 / A-135 / A-235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HQ-9 / HQ-12 / HQ-16 / HQ-22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블러드하운드
SAMP/T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MEADS / IRIS-T (SLM/SLX)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03식 中SAM / N-SAM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애로우 / 다비즈 슬링 / SPYDER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톈궁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탈라스 대공방어시스템 / 바바르-373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아카시 / 바락 8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시페르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번개 미사일( 번개-5(KN-06) ) / 별찌 미사일( 별찌-1-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움콘토-LR }}}}}}}}}

बराक 8
Barak 8
파일:external/2.bp.blogspot.com/Barak-8_surface-to-air_missile_air_defense_systems_vessel_against_aircraft_anti-ship_missiles_Israel_Israeli_defence_industry_001.jpg
<colbgcolor=#c1c1c1><colcolor=black> 전투중량 275kg
전장 4.5 m
전폭 0.225 m
탄두중량 60kg
유도 능동IR/데이터 링크
최고속도 마하 2 (680 m/s)
최대 사정거리 35 km(barak mrad) 75km(barak lrad) 150km(barak ER)
최대 요격고도 16 km

1. 개요2. 형식
2.1. 육군형2.2. 해군형2.3. LRSAM (바락-8ER)
3. 실전 주장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인도 이스라엘 IAI사와 공동개발하게 된 지대공 미사일이다. 정확하게는 이스라엘의 바락(Barak) 시리즈들에 인도가 투자를 했다고 보는 편이 맞다. 기존의 아카시 지대공 미사일의 한계를 인지한 것으로 보이며 인도가 실제로 해군형인 함대공 미사일을 두고 공급자인 프랑스와의 갈등과 아카시의 개발지연 및 한계를 극복하고자 투자개발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2009년에 바락 2가 나왔을 때부터 본격적으로 인도의 DRDO가 참여하여 개발하였고 2017년 5월에 함대공 체계가 본격적으로 인도 해군의 콜카타급 구축함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육군용으로는 인도군에서는 MRSAM이라는 명칭으로 붙여져서 40대의 발사대와 200기의 미사일을 운영한다는 방침으로 2023년 도입이 눈앞에 있다.

2. 형식

2.1. 육군형

파일:external/4.bp.blogspot.com/15MRSAM.jpg
파일:external/www.israeldefense.co.il/40406.jpg

바락 8 지대공 미사일 포대는 1개 포대당 지휘통제차량 1대, 레이더 탑재 차량 1대, 미사일 발사 차량 3대로 구성되어있다.

미사일 발사 차량엔 4연장 발사대 2개가 탑재되어 총 8발까지 운용한다.

2.2. 해군형

파일:external/images.hamodia.com/Barak.jpg

바락 8의 해군형은 EL/M-2248 MF-STAR AESA 레이더의 유도와 통제를 받으며, VLS 셀당 1기씩 운영이 가능하다.

바락-8 시리즈는 지속적인 성능개량을 진행하고 있는데 2010년 이후로 2014~2017년까지 지속적인 시험발사를 진행했다. 궁극적으로는 인도가 SM-3급 혹은 SM-6와 같은 해상형 탄도탄 요격미사일 체계와 지상에서는 THAAD 애로우 2/3 같은 모델을 개발배치를 위하여 투자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거부로 이스라엘제 애로우 2를 도입하지 못한 인도로서는 탄도탄 요격에 대한 적극적인 개발투자는 당연할 수 있다.

인도 말고도 원래 바락 시리즈를 개발하고 있던 이스라엘도 이스라엘 해군의 함대공 미사일로 운용 중에 있다. 기존에 바락-1을 운영하던 사르 5급 초계함에서 이미 바락-8로 대체한 상황이며 나머지들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파일:external/alert5.com/CmMPBYpWQAAC7w2.jpg-orig.jpg
출처, 출처2, 출처3

2.3. LRSAM (바락-8ER)

파일:external/i43.photobucket.com/bourget086.jpg 파일:external/1.bp.blogspot.com/barak-8_2_tecnologiabelicayarmas.blogspot.com.ar.png
Barak-8 & Barak-8ER
기존의 2단 부스터형태의 추진기능을 TVC로 더욱 강화하고 늘려서 사정거리가 무려 150km급에 이르는 물건으로 개발되었다. 원래 바락-8은 ESSM과 같은 중거리 혹은 중단거리급 대공미사일말고도, SM-2MR과같은 장거리 함대공 미사일 개발도 계획되어 있었고, 이를 실행에 옮긴 셈이다. 유도기능 역시 개량되었으며, 육군버젼에 적용될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3. 실전 주장

2021년 2월, 아제르바이잔에서 도입한 바라크가 아르메니아가 수도 바쿠를 향해 발사한 러시아제 9K720 이스칸다르 탄도미사일을 요격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 러시아측은 아르메니아가 이스칸다르 미사일을 발사는 커녕 무기고에서 불출한적도 없다고 반박했다. # 이스칸다르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실제 이스칸다르 미사일 잔해가 발견되어 러시아측이 주장한 이스칸데르 미사일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주장은 거짓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미사일 파편은 바쿠와 동떨어진 격전지 슈샤(Şuşa)에서 발견되었고 격추된 파편이 아니라 목표에 피탄 후 남은 잔해가 발견되어 아제르바이잔이 주장한 바락 8의 이스칸데르 격추 주장 역시 신빙성을 잃었다.

4. 둘러보기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현대 슬로바키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슬로바키아 공화국군 (1993~현재)
Ozbrojené sily Slovenskej Republiky
스파이크-LR2 |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공대지
회전익기
9M17P 플랑가-P ( Mi-24)R
고정익기
Kh-29R | Kh-25R
<colbgcolor=#034DA3><colcolor=#FFF> <colbgcolor=#034DA3><colcolor=#FFF> OTR-23 오카R | OTR-21 토치카R
PPZR 피오룬 | 9K38 이글라
단거리
9K35 스트렐라-10MR
중거리
{ 바락-MX} | 2K12M2 쿠프-M2R
장거리
S-300PMUR | S-200M 베가-MR | S-75R
단거리
{ AIM-9X 사이드와인더} | R-73R | R-60(M/T)R
'''
중장거리
'''
{ AIM-120C-7 AMRAAM} | R-27RR
Kh-25MPR
유도폭탄 { GBU-38 JDAM} |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 GBU-12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