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34:15

아프가니스탄/외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프가니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외교 관련 틀 파일:아프가니스탄 국장.svg
[ 펼치기 · 접기 ]
----
남아시아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동아시아 · 동남아시아 · 서아시아 · 남아시아 · 중앙아시아 · 캅카스
동유럽 · 중부유럽 · 서유럽 · 남유럽 · 북유럽
북아메리카 · 중앙아메리카 · 카리브 · 남아메리카
동아프리카 · 서아프리카 · 중앙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 북아프리카
오스트랄라시아 · 멜라네시아 · 미크로네시아 · 폴리네시아
}}}}}}}}} ||

중앙아시아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동아시아 · 동남아시아 · 서아시아 · 남아시아 · 중앙아시아 · 캅카스
동유럽 · 중부유럽 · 서유럽 · 남유럽 · 북유럽
북아메리카 · 중앙아메리카 · 카리브 · 남아메리카
동아프리카 · 서아프리카 · 중앙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 북아프리카
오스트랄라시아 · 멜라네시아 · 미크로네시아 · 폴리네시아
}}}}}}}}}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장.svg 아프가니스탄 대외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서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다자관계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이란·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인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5%, #fff 5%, #fff 95%, transparent 95%), linear-gradient(to bottom, #000 33%, #d32011 33%, #d32011 67%, #007a36 67%, #007a36)"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0>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시대 호타키 왕조 · 아프샤르 왕조 · 두라니 왕조 · 바라크자이 왕조 ·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 북부동맹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 · 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 · 2021년 아프가니스탄 사태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탈레반 ·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아프가니스탄 마오주의 공산당
외교 외교 전반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 듀랜드 라인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가니스탄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
국방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군
문화 문화 전반 · 아프가니스탄/성문화 · 노루즈 · 필라프 · 요리 · 아프가니스탄 크리켓 국가대표팀 ·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다리어 · 파슈토어 · 아프가니스탄/언어
인물 자말룻딘 알 아프가니 · 하미드 카르자이 · 아슈라프 가니 · 암룰라 살레 · 아흐마드 샤 마수드 · 아흐마드 마수드
지리 힌두쿠시 산맥 · 와칸 회랑
민족 아프가니스탄인 · 아프가니스탄계 미국인 · 아프가니스탄계 인도인 · 아프가니스탄계 이란인 · 아프가니스탄계 독일인 ·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 파슈툰족
기타 제국의 무덤 ·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국기(1992-1996).svg 틀: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관련 문서 ·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틀: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관련 문서 }}}}}}}}}

1. 개요2. 유럽
2.1. 러시아와의 관계2.2. 영국과의 관계2.3. 독일과의 관계2.4. 튀르키예와의 관계2.5.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EU과의 관계
3. 아시아
3.1. 타지키스탄과의 관계3.2. 키르기스스탄과의 관계3.3. 우즈베키스탄과의 관계3.4. 투르크메니스탄과의 관계3.5. 파키스탄과의 관계3.6.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3.7. 카타르와의 관계3.8. 아랍에미리트와의 관계3.9. 이란과의 관계3.10. 인도와의 관계3.11. 중국과의 관계3.12. 대한민국과의 관계3.13. 북한과의 관계3.14. 일본과의 관계3.15. 몽골과의 관계3.16. 방글라데시와의 관계3.17. 인도네시아와의 관계3.18. 이스라엘, 팔레스타인과의 관계
4. 아메리카
4.1. 미국과의 관계4.2. 캐나다와의 관계
5. 오세아니아
5.1. 호주와의 관계
6. 지역별 관계7. 관련 기사8.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장.svg
2024년 현재까지 UN의 대부분 국가에서 인정받는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국기와 국장.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국가인 아프가니스탄의 외교에 대해 다루는 문서.

아프가니스탄은 고대부터 중앙아시아 지역과 남아시아 지역과 교류가 많았다. 역사적으로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편이다. 이란과는 매우 우호적이고, 인도와는 관계가 깊다 보니 역시 매우 우호적이다.

반면에 러시아와는 역사적인 이유로 인해 사이가 좋지 못한 편이지만, 2000년대 초에 탈레반 정권이 몰락한 뒤에 관계가 회복되었다. 2010년대부턴 러시아와 관계가 점점 깊어지고 있다. 미국과는 2000년대 초에 탈레반 정권이 붕괴된 뒤에 우호적으로 바뀌었지만, 미군과 관련된 사건이 일어나다 보니 반미 감정이 높아지고 있다.

파키스탄과도 사이가 좋지 못한 편이다.

2021년 8월에 탈레반 세력이 아프간 전역을 장악하고 카불시까지도 장악하자 각국이 외교공관 철수를 감행하고 있다. 현재 수도 카불시의 대사관을 폐쇄하고 철수하는 조치를 취했다. # 그리고 미국, 유럽 국가들이 대사관 폐쇄와 철수조치를 하면서 공관원의 직원, 협력했던 현지인들의 철수조치를 하고 있다. #

탈레반 세력이 아프간 전역과 카불을 장악하면서 다른나라들과의 외교관계에 변화조짐이 생겨나고 있다. 그래서 주 아프가니스탄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쓰는 아프가니스탄 국기는 옛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흑적녹 삼색기와 국장이 쓰인다.[1]

2023년 8월 13일, 영국 BBC는 탈레반의 재집권 이후에 탈레반 정권을 인정한 국가는 1개국도 없다고 보도했다. #[2]

공식적으로 나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과는 별개로 시일이 지나면서 중앙아시아와 중동 여러 국가들과 회담에 참여하는 등 탈레반 정권이 점차 안정화되면서 대화 상대로써 인정은 받고 있다. 2024년 8월 30일에는 우즈베키스탄 테르메즈에서 열린 중앙아 3개국 및 아제르바이잔의 회담에 압둘 가니 바라다르 아프간 경제부 부총리가 초청받아 참석하였다. #

2. 유럽

2.1. 러시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영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국-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영국은 19세기에 러시아와 함께 아프간에 영향력을 끼쳤다. 거기에다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치렀지만, 결국 지배하지 못하고 아프간을 보호국으로 두는 정도로만 그쳤다. 그리고 1919년에 아프간은 영국에게서 완전히 독립했다. 하지만 영국이 듀랜드 라인을 정하면서 파슈툰족의 정착지가 파키스탄과 아프간으로 나뉘어졌다. 아프간이 탈레반 정권이 종식된 뒤에 영국군이 잠시 아프간에 주둔한 적이 있었지만, 이후에 철수했다.

영국군은 다시 아프간에 나토군의 일원으로 다시 주둔했다. 그러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아프간에서 미군 주둔 규모를 대거 줄인다고 밝히자 영국측도 줄이는 대신 미국과 함께 아프간 안보에 대해 협력한다고 밝혔다. #

2.3. 독일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독일과는 왕정시절부터 외교관계를 맺었다. 그리고 아프간이 내전이 일어나자 독일로 이주하는 아프간인도 증가하고 있다.

2021년 8월 15일부로 탈레반이 아프간 전역과 카불을 점령하자 독일측은 ' 외교공관 철수'를 하였고, 대사관 폐쇄를 결정했다. #

2.4. 튀르키예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튀르키예-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튀르키예와는 종교적인 것외에도 아프간 북부의 우즈벡족, 투르크멘족, 키르기스족 등 투르크계 민족들이 거주하고 있어서 의외로 가까운 편이다. 우즈벡 군벌인 압둘 라시드 도스툼이 터키의 지원을 받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 터키군이 주둔하여 대민지원을 담당하는 상황이지만 이들 역시 2021년 카불 함락 이후 철수를 준비중이다. 탈레반 정권 당시에 터키는 북부동맹을 지원했다. 상당수의 아프가니스탄 난민 신청자들 중 항공권이자 합법적인 비자를 취득하기 힘든 경우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육로를 통해 이란을 거쳐 터키로 망명하는 편인데, 오늘날 터키에는 최소 수십만여 명에 달하는 아프간인 난민들이 거주하는 상황이다. 2021년 8월 15일 카불이 함락된 이후 터키 역시 아프가니스탄 난민이 급증할 것을 대비하고 있다. 튀르키예 드라마도 아프간에서 인기가 있는 편이지만 향후 탈레반 정권이 이를 검열 통제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 나온 뉴스에 이하면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터키어를 배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2.5.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EU과의 관계

유럽 연합은 2000년대 초부터 탈레반 정권이 무너진 뒤에 아프간 재건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아프간 내전 당시에 아프간인들이 유럽 연합으로 이주하고 있어서 아프간 난민들을 둘러싸고 EU회원국들간에 갈등이 생겨나고 있다. 그리고 2021년 중반에 바이든 행정부가 미군을 철수한다고 밝히면서 아프간인들의 피난이 이어지고 있다. #

유럽연합은 탈레반이 장악한 아프간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

유럽연합측이 한달안에 카불에 외교공관을 개설한다고 밝혔다. # 그리고 공동외교사절단 개설을 추진하고 있다. #

EU측은 아프간 난민 4만명을 받는다고 밝혔다. #

3. 아시아

3.1. 타지키스탄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타지키스탄-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란-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키르기스스탄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키르기스스탄-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프가니스탄도 키르기스스탄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다. 그 이외에도 아프가니스탄에도 소수지만 키르기스족들이 거주하고 있는데, 이들은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의 바다흐샨 주에 거주하고 있다.[3] 아프가니스탄의 키르기스족들은 키르기스어를 사용할 때 아랍 문자로 된 키르기스어를 사용한다.

3.3. 우즈베키스탄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즈베키스탄-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우즈벡족들도 아프간에 많이 거주하고 있고 주로 우즈베키스탄과 접한 지역에 우즈벡족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우즈벡어도 아프간에서 사용되지만, 우즈벡 본토와는 달리 아랍 문자로 표기되어 있다. 아프간 내 우즈벡족들은 아프간 인구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압둘 라시드 도스툼도 우즈벡족 출신이다.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이 아프간에 근거지를 두면서 우즈베키스탄 본토의 우즈벡인들 중에 아프간에 건너가서 가담하는 경우도 있다. 우즈베키스탄 측에서는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에 대해 강경대응 중이다. 게다가 아프가니스탄의 불안한 정세가 우즈베키스탄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우즈베키스탄이 러시아가 주도하는 러시아판 나토 CSTO에서 2012년에 탈퇴한 이유도 러시아군이 우즈베키스탄에 있을시 아프가니스탄 근처의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항의와 저항이 더 심해질까봐 그렇다고 한다. 중앙아시아 군사 강국인 우즈베키스탄도 이슬람 근본주의 확산에 큰 골치 아픔을 격는 모양.

2018년 3월 말에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타슈켄트에서 아프간과 탈레반의 평화협상을 주선하기 위해 미국, 러시아, 중국이 참여하는 컨퍼런스를 개최할 예정이다. #

3.4. 투르크메니스탄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투르크메니스탄-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역사적인 명칭인 호라산 지방은 이란 동북부, 튀르크메니스탄, 아프가니스탄을 포함하는 명칭이다. 따라서 아프가니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은 고대사와 중세사를 상당 부분 공유한다. 오늘날 투르크메니스탄이 극도로 폐쇄적인 국가가 되고 아프가니스탄 상황도 별로 좋지 못하기 때문에 과거와는 다르게 교류가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3.5. 파키스탄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우디아라비아-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우디아라비아는 종교적으로 아프간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소련-아프간 전쟁 당시에는 무자헤딘을 많이 지원했다. 그리고 탈레반정권 때에도 가까웠고, 특히 탈레반세력이 사우디의 지원을 받고 있고, 지금도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4] 심지어 사우디는 탈레반에도 영향력이 있다. # 사우디에도 일부 아프간인들이 노동자로 일하는 경우도 있지만, 정작 차별받고 있다.

3.7. 카타르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프가니스탄-카타르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카타르에 위치한 탈레반 사무소의 탈레반 간부들이 호화 생활을 누리는 것이 목격되면서, 탈레반 간부들의 이중생활 뿐만 아니라 카타르까지도 욕을 먹고 있다. # 여담으로 탈레반의 신학은 와하브파의 그것과는 꽤 다른 편이다.[5]

3.8. 아랍에미리트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랍에미리트도 사우디와 마찬가지로 종교적으로 매우 가깝다. 그리고 아프간과 연결된 항공편이 아랍에미리트에 있고 아프간인들이 노동자로 아랍에미리트로 건너가서 일을 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아프간인도 아랍에미리트에서 차별을 받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아랍에미리트도 아프간을 지원하고 있지만, 2017년 2월 16일에 아랍에미리트 대사가 아프간에서 일어난 폭탄테러로 사망한 사건이 발생되었다. #

3.9. 이란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란-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란-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종파는 수니파와 시아파로 달라도 역사적으로 교류가 많았지만 헬만드강의 수자원 문제로 양국은 물분쟁을 빚고 있다.

3.10. 인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도와 아프가니스탄은 역사적으로 아주 밀접한 관계이다. 인도아리아인은 아프가니스탄을 거쳐 인도로 유입되었으며, 브라만교, 힌두교 경전에서 인도아리아인 브라흐민의 발흥지 중 하나로 여겨지는 사라스와트 강은 오늘날 아프가니스탄 내 헬만드 강에 비정된다. 이 외에도 인도-스키타이 쿠샨 왕조 등 수많은 인도 문화권 왕조 국가들이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인도에 걸쳐 있었다. 무굴 제국 역사 아프간과 우즈베키스탄 일대에서 기원하였다.

인도는 파키스탄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아프가니스탄에 많은 지원을 해주고 있다. 이는 파키스탄 내 반 아프간 감정의 원인이기도 하다. 그리고 인도에도 파슈토어를 사용하는 파슈툰족들도 거주하고 있고[6], 인도에서 제작된 영화, 드라마, 음악 등이 아프간에도 인기를 끌고 있다

3.11. 중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국-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대한민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북한과의 관계

1973년 12월 26일에 수교했으며 현재도 수교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2021년 8월에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하면서 중국과 밀당을 맺고 있는데 북한과도 외교 변화가 있을진 불명.

3.14. 일본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프간은 일본과도 외교관계를 맺었다. 또한, 일본내에도 아프간인 커뮤니티가 존재해 있다. 그리고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일본국제협력기구의 지원으로 재건되기도 했다.

2019년 12월 4일에 낭가르하르에서 발생된 총격사건으로 나카무라 테츠를 포함한 6명이 사망하였다. #

2021년 8월 24일 교도통신은 탈레반 측은 일본과 좋은 관계를 가지고 싶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보도했다. #

2021년 8월 25일에 카불 공항에 일본 자위대의 군용기가 도착하여 일본 직원을 철수시킬 예정이었으나 공항에 도착한 사람이 없어서 수송이 이뤄지지 못했다. # 이 때문에 아프간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의 탈출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1년 만에 일본이 아프간 대사관을 다시 개설하였다. #

3.15. 몽골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몽골-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프가니스탄은 몽골 제국의 침략과 학살을 당한 적이 있어서 역사적으로는 몽골과 사이가 안 좋은 편이다.

3.16. 방글라데시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프가니스탄-방글라데시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7. 인도네시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네시아-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8. 이스라엘, 팔레스타인과의 관계

파키스탄과 마찬가지로 비아랍권 국가들중 이슬람 원리주의 성향이 강한 편이라 아프가니스탄 역시 팔레스타인을 지지하고 있으며, 탈레반 정부는 하마스의 주요 후원세력들중 하나이다.

4. 아메리카

4.1. 미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01년에 미국에서 9.11 테러가 발생되면서 당시 부시 정권은 아프간에 전쟁선포를 했고 탈레반 정권은 붕괴되었다. 그 이후 아프가니스탄은 미국에 의해 과도 정부가 세워졌으며 친미국가가 되었다. 그리고 아프간에 지금도 미군이 주둔 중이다. 하지만 아프간에서 미군의 사고가 계속 일어나면서 아프간인들은 반발했고 거기에다 탈레반 다에쉬의 공세와 테러가 계속 일어나면서 미국은 아프간에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을 계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

미군은 원래 탈레반 측과 평화협상을 체결하려고 했지만, 9월 7일에 카불 테러가 일어난 것으로 인해 평화협상을 중단시켰다. #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은 아프간 주둔 미군을 5,000명 미만이 되도록 감축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

2021년 이후 탈레반이 아프간을 장악하자 경제적 제재로 맞서고 있다.

4.2. 캐나다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캐나다-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캐나다와 아프간은 탈레반 정권이 무너진 이후에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캐나다 내에는 아프간계 캐나다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2021년 중반에 탈레반이 세력을 확대하자 캐나다 측은 아프간인 수천 명에게 특별이민을 한다고 밝혔다. #

5. 오세아니아

5.1. 호주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주-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지역별 관계

7. 관련 기사

8. 관련 문서



[1] 비슷한 이유로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다른 나라들에서도 탈레반 때문에 현재 아프간을 인정하지 않고 구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만 인정한다. [2] 사실 하나가 인정하긴 했다. [3] 바다흐샨 주는 소련-아프간 전쟁에는 전쟁의 영향이 미치지는 않았다. [4] 심지어는 사우디 출신의 악명 높은 테러리스트인 오사마 빈라덴이 아프간에 잠시 거주하기도 했다. [5] 와하브파는 통치자가 무슬림이면 아무리 악해도 대놓고 항거하거나 저항하면 안 된다고 가르친다. 또한 와하브파는 엄연히 한발리파를 기반으로 한 학파이며, 탈레반은 원래는 하나피파가 기원이다. [6] 13,000명 정도가 산다. 그리고 인도의 배우 아미르 칸도 파슈툰족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2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2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