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17:13:42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002395>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괌 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네팔 대만 대한민국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마카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북한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필리핀 호주 홍콩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중앙아시아축구연맹.png 중앙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تيم ملى فوتبال افغانستان‎ ‎
정식명칭 [1]تيم ملى فوتبال افغانستان
FIFA 코드 AFG
FIFA 랭킹 151위[2]
Elo 랭킹 170위[3]
협회 아프가니스탄 축구 연맹 (AFF)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연맹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 (CAFA)
감독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애슐리 웨스트우드 (Ashley Westwood)
주장 파르샤드 누르 (Farshad Noor)[4]
최다출전자 조히브 이슬람 아미리 (Zohib Islam Amiri) - 62경기
최다득점자 발랄 아레주 (Balal Arezou)
파이살 샤에스테 (Faysal Shayesteh) - 9골
홈 구장 아프가니스탄 국립 경기장 (Afghanistan Football Federation Stadium, 25,000석)[5]
첫 국제경기 출전 VS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0:0 무)
파일:1280px-Flag_of_Afghanistan_(1931–1973).png 아프가니스탄 카불 (1941년 8월 25일)
최다 점수차 승리 VS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8:1 승)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뉴델리 (2011년 12월 7일)
최다 점수차 패배 VS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0:11 패)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 (2003년 11월 19일)
별칭 أسود خراسان (호라산의 사자들)
올림픽 진출 1회(1948)[6]
SAFF 챔피언십 진출: 7회
최고 성적: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회[7]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빨강
하양
하의 빨강 하양
양말

[clearfix]

1. 개요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

홈구장은 가지 스타디움과 아프가니스탄 축구협회 경기장이다.

호라산의 사자들(The Lions of Khorasan)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까지도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이 단 한 번도 없는 아시아 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약체다.

게다가 오랜 전란 끝에 집권한 탈레반 축구를 금지하며 축구장을 처형장으로 쓰는 정신나간 행각을 벌이는 바람에 국제대회에도 나올 수 없었다.

그나마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을 통해 정말 오랜만에 국제 대회에 나왔으나, 이란(0-10), 레바논(0-11), 카타르(0-11)와 같은 조에 속해 1골도 넣지 못하고 0득점 32실점으로 깔끔하게 광탈하고 승점자판기 노릇만 제대로 했다. 더불어 이 대패 중 레바논과 카타르의 역대 최다 득점승 기록까지 세워줬다. 하지만 2008 올림픽 예선전에서는 비록 탈락했어도 2007년 2월 14일에 베트남에서 열린 원정 예선에서 0:2로 패하면서 선전했다. 당시 아프가니스탄 축구 올림픽팀은 훈련도 제대로 못했고 베트남으로 갈 비행기값도 마련하지 못하여 보다 못한 FIFA가 모든 돈을 부담하여 가까스로 경기하러 가는 등 여러가지로 어려운 처지였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때 아프가니스탄 올림픽팀을 이끌던 감독이 한국인 감독인 이성재 감독이었다.

2010년 8월 피파랭킹이 195위였다. 그런데 2011년에 인도에서 열린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본인들과 같은 축구 최약체급인 부탄을 8-1로 개박살내서 역사상 최다골 승리로 기록되었다. 이 대회에선 결승까지 진출하여 이 대회 최다 우승 국가 인도에게 패하여 준우승했다. 2011년 8월 피파랭킹은 181위. 2012년 8월에는 164위로 올랐다.

그리고 2013년 네팔에서 열린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 결승에 재진출하여 인도를 1-0으로 이기면서 2년전 패배 설욕과 같이 아프가니스탄 축구 협회 설립 이후 장장 80년만에 사상 처음으로 국제 대회 우승을 차지했고, 또한 이 덕분에 2013년 8월 피파랭킹도 139위까지 올랐으며, 2014년 2월 피파랭킹은 127위까지 올랐다.

2014년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이적하면서 더 이상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참가하지 않게 되었고, 2015년 인도 대회에만 디펜딩 챔피언으로서 마지막으로 참가하여 이 대회에서 인도에 이어 준우승하며 서남아시아권에서는 그래도 제법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새로 편입한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에는 이란, 우즈베키스탄이라는 강호 듀오가 있고, 다른 팀들인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도 남아시아 축구연맹 가입국들보다 훨씬 강호급이라 동네북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도 2016년 우즈베키스탄에서 열린 중앙아시아 U-19 챔피언십(CAFA U-19 Mens Championship)에서 비록 4팀 가운데 (이란과 타지키스탄이 불참) 꼴찌에 머물렀지만 3위 투르크메니스탄에게 1-2로 지는 선전을 보였다. 그리고 2017년 타지키스탄 두샨베에서 열린 중앙아시아 U-15 챔피언십(CAFA U-15 Boys Championship)에서 예상을 뒤엎고 결승에 올라 우즈베키스탄을 결승에서 이기며 우승하는 이변을 일으키면서 2018년 8월 피파랭킹이 145위가 됐다.

그리고 2019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 C조 최종전에서 같은 최약체팀인 캄보디아를 2-1로 꺾었고 베트남, 요르단 등 한수 위의 팀들과도 비기는 등 1승 3무 2패·조 3위로 선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올림픽에서는 1948 런던 올림픽 1라운드(16강전) 하기 전 예비 라운드에 출전하였으며, 룩셈부르크에게 6:0으로 패하여 바로 탈락했다.

대한민국과의 전적은 1전 1패로 열세. 1954 마닐라 아시안 게임 본선이 유일한 경기였는데, 당시 한국이 8:2로 이겼다.[8]

자국의 사정이 불안정하다보니 대표팀 선수로는 해외 리그의 2세 선수들을 대표팀으로 많이 선출한다. 대표적으로 독일계 선수 하산 아민과 네덜란드계 선수 나짐 하이다리가 있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험멜이다.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로 인해 국가대표팀의 존속 여부가 위기에 처했다. 최악의 경우 축구 자체가 금지되고 축구장이 다시 처형장으로 바뀌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

이후 아프가니스탄 축구계에는 비극적인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을 탈출하는 국민들이 수송기에 미어터질 정도로 탑승한 것도 모자라 밖에 매달려서 아프가니스탄을 탈출하는 사태가 벌어졌는데, 이 과정에서 U-20 대표선수 중 한 명인 자키 안와리(Zaki Anwari, 2002~2021) 선수가 수송기에서 떨어져서 추락사한 것이다. #

여자축구대표팀은 "여자가 축구를 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탈레반이 우리를 죽일 것이라는 메시지를 아프가니스탄 현지 선수에게서 받았다"라고 하며 FIFA는 각국에게 도와달라는 서한을 보내고 있다. # 주장 칼리다 포팔은 탈레반의 통치 속에 살아남기 위해선 SNS와 신분증을 없애고 축구 장비 또한 태워버리라고 호소했다. #, # 여자축구대표팀은 포르투갈로 탈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현재 아프가니스탄 축구 협회는 자국에는 없고, 외국 카타르 도하에 위치해 있는 상황이다. 아프가니스탄 축구 협회의 공식 트위터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고, 남자축구의 경우에는 자국리그 팀들의 경기 결과가 계속 나오고 있다.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의 스포츠부 인사의 연설문도 업로드한 적이 있다. 다만 국가대표팀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해외 리그 선수들만 차출되고 있는 것이나 불참하면 북한처럼 대놓고 출전금지 처분을 받는 수준의 정말 중요한 경기가 아니면 참여하지 않는 점으로 볼 때 축구협회가 도하에서 망명 상태로 활동중인 것으로 보인다. 이 협회는 탈레반 치하의 아프가니스탄이 아닌 이슬람 공화국 시절의 협회기 때문에 국기는 탈레반기가 아닌 이슬람 공화국의 것을 사용한다.

2. 역대전적

2.1. FIFA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아프가니스탄 왕국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FIFA 비회원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불참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불참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불참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불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불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불참
파일:독일 국기.svg
2006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10]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0/22[12]

2.2. AFC 아시안컵

대회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아프가니스탄 왕국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1956년 홍콩
기권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960년 대한민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64년 이스라엘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1968년 이란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1972년 태국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1976년 이란
본선 진출 실패[6개국]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80년 쿠웨이트
본선 진출 실패[10개국]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984년 싱가포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년 카타르
불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파일:일본 국기.svg
1992년 일본
불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년 UAE
불참
파일:레바논 국기.svg
2000년 레바논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파일:중국 국기.svg
2004년 중국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7년 아세안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1년 카타르
불참
파일:호주 국기.svg
2015년 호주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9년 UAE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18]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3년 카타르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년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 진출 없음 0/18

2.3.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1993
불참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1995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199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999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003
조별리그 7위 3 0 0 3 0 6 0
파일:홍콩 국기.svg
파키스탄 2005
조별리그 6위 3 1 0 2 3 11 3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몰디브&아프가니스탄 2008
조별리그 7위 3 0 2 1 5 7 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009
조별리그 7위 3 0 0 3 1 7 0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11
준우승 2위 5 3 1 1 13 7 10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2013
우승 1위 5 4 1 0 9 1 13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15
준우승 2위 5 4 0 1 17 3 12
합계 우승(1회) 7/11 27 12 4 11 48 42 40

2.4. 중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키르기스스탄 2023
조별리그 7위 2 0 0 2 1 9 0
합계 우승(0회) 1/1 2 0 0 2 1 9 0

3. 연령별 대표팀

3.1. U-23 대표팀

3.1.1. AFC U-23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2014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16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18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2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022
기권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24
예선 탈락
굵은 글씨는 올림픽 본선 진출권이 걸려있는 대회
합계 본선 진출 없음 0/6[20]

3.2. U-20 대표팀

3.2.1. AFC U-20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youth 챔피언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9 말레이시아
불참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0 말레이시아
파일:태국 국기.svg
1961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2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3 말레이시아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64 남베트남
파일:일본 국기.svg
1965 일본
파일:필리핀 국기.svg
1966 필리핀
파일:태국 국기.svg
1967 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9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0 필리핀
파일:일본 국기.svg
1971 일본
파일:태국 국기.svg
1972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3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1974 태국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5 쿠웨이트
조별리그 18위 1 4 0 1 3 3 12
파일:태국 국기.svg
1976 태국
불참
파일:이란 국기.svg
1977 이란
8강 8위 1 3 0 1 2 1 8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1978 방글라데시
조별리그 15위 0 3 0 0 3 0 11
파일:태국 국기.svg
1980 태국
불참
파일:태국 국기.svg
1982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5 UAE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6 사우디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0 인도네시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2 UAE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4 인도네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2000 이란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04 말레이시아
예선 탈락
파일:인도 국기.svg
2006 인도
불참
AFC U-19 챔피언십 대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8 사우디
실격
파일:중국 국기.svg
2010 중국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 UAE
불참
파일:미얀마 국기.svg
2014 미얀마
예선 탈락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6 바레인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 인도네시아
기권
AFC U-20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우즈베키스탄
예선 탈락
합계 8강 (1회) 3/39[21] 2 10 0 2 8 4 31

3.3. U-17 대표팀

3.3.1. AFC U-17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U-16 Championship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5 카타르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6 카타르
파일:태국 국기.svg
1988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0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92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4 카타르
파일:태국 국기.svg
1996 태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8 카타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0 베트남
AFC U-17 Championship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2 아랍에미리트
불참
파일:일본 국기.svg
2004 일본
예선 탈락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06 싱가포르
불참
AFC U-16 Championship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08 우즈베키스탄
기권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0 우즈베키스탄
예선 탈락
파일:이란 국기.svg
2012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2014 태국
파일:인도 국기.svg
2016 인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 말레이시아
조별리그 16위 0 3 0 0 3 1 13
AFC U-17 아시안컵
파일:태국 국기.svg
2023 태국
조별리그 10위 3 3 1 0 2 3 11
합계 조별리그 2/19[22] 3 6 1 0 5 4 24


[1] 파슈토어 [2] 2024년 4월 4일 기준 [3] 2024년 3월 27일 기준 [4] 파일:파르샤드 누르 국대.png 1994년 10월 2일 ([age(1994-10-02)]세) DPMM 소속 미드필더. [5] 가지 스타디움(Ghazi Stadium)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6] 1라운드(16강전) 하기 전 예비라운드에 출전하였으며, 룩셈부르크에게 6:0으로 패하여 바로 탈락했다. [7] 2013 [8] 당시 한국은 휴전한지 1년밖에 안 되었으나 1954 아시안게임 은메달(준우승),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지역예선에서 일본을 5:1로 이기며 16개국 본선에 진출 할 정도로 강팀이었다. [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10] 이때부터는 국가는 토후국으로 변경되었지만, 대표팀은 카타르로 망명한 이슬람 공화국 시절의 협회에서 주관하고 있다. [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12]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 [6개국] (6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 [10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 [16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 [16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 [24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 [18] 이때부터는 국가는 토후국으로 변경되었지만, 대표팀은 카타르로 망명한 이슬람 공화국 시절의 협회에서 주관하고 있다. [24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 [20] AfC U-23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 [21] AfC U-20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 [22] AFC U-17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