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23:48:58

자말룻딘 알 아프가니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0>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시대 호타키 왕조 · 아프샤르 왕조 · 두라니 왕조 · 바라크자이 왕조 ·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 북부동맹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 · 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 · 2021년 아프가니스탄 사태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탈레반 ·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아프가니스탄 마오주의 공산당
외교 외교 전반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 듀랜드 라인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가니스탄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
국방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군
문화 문화 전반 · 아프가니스탄/성문화 · 노루즈 · 얄다 · 제자일 · 요리 · 아프가니스탄 크리켓 국가대표팀 ·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다리어 · 파슈토어 · 아프가니스탄/언어
인물 자말룻딘 알 아프가니 · 하미드 카르자이 · 아슈라프 가니 · 암룰라 살레 · 아흐마드 샤 마수드 · 아흐마드 마수드
지리 힌두쿠시 산맥 · 와칸 회랑
민족 아프가니스탄인 · 아프가니스탄계 미국인 · 아프가니스탄계 인도인 · 아프가니스탄계 이란인 · 아프가니스탄계 독일인 ·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 파슈툰족
기타 제국의 무덤 ·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국기(1992-1996).svg 틀: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관련 문서 ·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틀: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관련 문서 }}}}}}}}}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 이란-아프가니스탄 관계 관련 문서 [[아프가니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페르시아
사건사고 담간 전투 · 칸다하르 공성전 · 2023년 이란-아프가니스탄 분쟁
외교 이란-아프가니스탄 관계 · 이란-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관계 ·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관계
인물 자말룻딘 알 아프가니
언어 페르시아어( 다리어)
민족 페르시아인( 타지크) · 아프가니스탄계 이란인] · 하자라인
기타 헬만드 강 · 호라산 }}}}}}}}}
파일:Jamal Ad din.jpg
이름 영어 Sayyid Jamāl al-Dīn al-Afghānī
파슈토어 سید جمال‌‌‌الدین افغاني
출생 미상
사망 1897년

1. 개요2. 상세3. 영향4. 여담

[clearfix]

1. 개요

사이드 자말룻딘 알 아프가니는 이란 혹은 아프가니스탄 출신 무슬림 개혁가이다. 자신을 아프가니스탄 출신 순니 무슬림이라고 주장했으나 당시 순니파가 다수이던 상황에서 이란 시아파라는 점이 알려지면 자신의 개혁 운동의 차질이 많을 거라는 이유로 아프가니스탄 출신이라 주장했다는 설도 있고, 순니파와 시아파와의 화해를 추구한 것 때문에 이란 출신이라 의심받았으며 사실 아프가니스탄 출신이 맞다는 설이 대립하고 있다.

이집트의 이슬람 신학자 무함마드 압두와 함께 이슬람 모더니즘[1] 범이슬람주의[2]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2. 상세

부유층 출신으로 태어난 자말룻딘 알 아프가니는 유럽 여러지역을 여행하고 견문하면서 19세기 당시 이슬람 사회의 후진성을 목격한 이후 이슬람 개혁운동에 뛰어들었다. 폴리글롯[3]에다가 달변이었던 그는 가는 지역마다 유창한 웅변 실력으로 민중들을 감탄시켰는데, 당시 무슬림 지도자들은 자말룻딘의 대중 선동 능력을 경계하여 필요할 때만 이용하는 대상으로 여겼다.

자말룻딘 알 아프가니는 이슬람권 전역에서 수니파와 시아파와의 화해를 추구했으며, 인도에서는 힌두교도와 무슬림들이 화합하여 영국에 맞서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또한 수피 교단의 이슬람 신학이 지나치게 숙명론적으로 변했으며, 현세에서 무슬림들이 서구의 침입으로 도탄에 빠진 상태에서도 별 다른 대책 없이 내세에서의 구원만 치중한다는 비판을 하였다. 당시 수피 낙슈반디야 교단이 샤리아 율법 날조 및 강제와 이성적인 판단 금지, 교단주 절대화를 주장 등 부패 문제가 심각하던 상황에서 그의 수피즘 비판은 대중과 지식인 모두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4]

이집트 알 아즈하르 대학의 셰이크 무함마드 압두와 친분이 있었다. 자말룻딘의 제자이자 동료를 자처했던 압두는 자말룻딘의 개혁 사상을 좀 더 과감하게 해석하여 무타질라 학파의 부흥까지 추구하면서 이슬람 모더니즘 학파의 기원이 되었다.

3. 영향

4. 여담

자말룻딘의 출신지가 이란인지 아프가니스탄인지는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자말룻딘 본인도 자신의 출신지를 모호하게 숨기는 편이었는데, 비슷한 경우로 중세 아랍인들과 생활하면서 자신이 아랍인이 아닌 것을 부끄러워해 출신을 얼버무렸던 알 파라비가 있다.


[1] 서구 학문을 수용해 이슬람권을 더 강하게 하자는 일종의 자강운동 [2] 순니/쉬아 등 종파 차이 막론하고 서구 제국주의에 맞서자 [3] 모국어로 추정되는 페르시아어 파슈토어는 물론이고 프랑스어, 아랍어, 우르두어/ 힌디어 모두 유창했다. [4] 무굴 제국 황제 악바르 대제(재위 1556-1605)가 모든 종교에 대한 포괄적인 관용을 천명했을 당시 낙슈반디야 교단의 아흐마드 시르힌디(1564-1624)는 여기에 반대하면서 힌두교도 및 소수 종파에 대한 관용이 철폐되어야 하며, 음악(사마samā‘), 춤(라크스raqs), 노래(나그마흐naghmah)가 금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