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17:13:58

화제(남제)

소보융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873C0 0%, #3797E8 20%, #3797E8 80%, #1873C0);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고제 무제 전폐제 중폐제
제5대 제6대 제7대
명제 후폐제 화제
}}}}}}}}}

<colbgcolor=#3797E8><colcolor=#ece5b6>
남제 제7대 황제
화제 | 和帝
출생 488년
남제 단양군 건강현
(現 장쑤성 난징시)
즉위 501년 4월 14일
남제 강릉
(現 허베이성 징저우시)
사망 502년 5월 2일 (향년 14세)
소량 고숙
(現 안후이성 마안산시)
능묘 공안릉(恭安陵)
재위기간 남제의 황제
501년 4월 14일 ~ 502년 4월 30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797E8><colcolor=#ece5b6> 본관 난릉 소씨
보융(寶融)
부모 부황 고종
모후 명경황후
형제자매 11남 1녀 중 8남
배우자 옥순화
지소(智昭)
작호 수군왕(随郡王) → 파릉왕(巴陵王)
시호 화황제(和皇帝)
연호 중흥(中興, 501년 ~ 502년)
}}}}}}}}} ||
1. 개요2. 상세3. 둘러보기(계보)

[clearfix]

1. 개요

중국 남북조시대 남제의 제7대 황제. 묘호는 없고, 시호는 화황제(和皇帝)[1]. 휘는 소보융(蕭寶融). 자는 지소. 재위 기간 동안 중흥(中興)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2. 상세

영명 6년(488), 명제 소란의 8남으로 태어난 소보융은 소보권의 동복 동생이었다. 남강왕, 서중랑장, 형주자사가 되어 7주의 군사를 감독했다.

영원 2년(500) 11월, 소보권은 서중랑장사 소영주에게 소연을 토벌하게 하고, 보국 장군 유산양으로 하여금 구원병을 이끌고 협조하게 했는데, 소연은 소영주에게 편지를 보내 이해관계를 정중하고 명확하게 설명하고, 연합하여 건강을 공격하자고 건의했다. 이에 망설이던 소영주는 소연을 따르기로 하고 유산양을 살해하여 그 수급을 소연에게 바치고 투항했다. 소연은 소보융을 옹립하고, 건강(난징)을 포위했는데 내부호응으로 폭군 소보권을 죽이고 정변에 성공했다.

소연은 군사들에게 국고를 봉하고, 지도와 호적을 감시하게 했으며, 소보권의 측근 41명을 죽이고, 궁녀 2천여 명을 풀어 장병들에게 시집보냈다. 또한 스스로 중서감, 대사마, 녹상서사, 표기대장군, 양주자사, 건안공이 되어 대권을 장악했으며, 소보융에게 황제에 즉위하라고 권했다. 그러나 소보융은 거절하였다.

영원 3년(501) 정월, 결국은 거절할 수 없어서, 상국에 오르고, 3월에 강릉에서 즉위했다. 그러나 그의 재위는 오래가지 않았다.

중흥(中興) 2년(二年, 502년) 정월(正月) 24일, 도읍 강릉(江陵)에서 조서를 내려 겸시중(兼侍中) 석천문(席闡文)을 파견해 건강(建康)에 주둔하던 대사마(大司馬) 소연(蕭衍)의 군대를 위로(慰勞)하도록 하였다.

후에 소연이 상국, 양공에 책봉되었고, 2월에 양왕이 되었으며, 3월에는 소연의 강압과 협박 때문에 선양했다. 이로써 제나라는 24년 만에 멸망했다.

소보융은 파릉왕으로 강등되어 고숙에 감금되었으나, 제나라의 정삭(달력)을 쓰는 것을 허락받았다.

사실 소보융은 살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었다. 원래 소연은 요순 시대의 이야기와 조비 헌제 유협, 조환과 무제 사마염의 이야기를 들어 자신도 그 아름다운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고 싶어했으며, 자신도 제나라의 방계 황족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피를 흘리지 않을 수 있었는데, 좌우에서 소보융을 처리하지 않으면 후환이 있을 거라면서 처리하라고 부추겼고, 결국 4월에 소연은 심복 정백금에게 금설주(금가루를 넣은 술)를 내려 소보융을 죽이게 했다. 하지만 소보융은 "나를 죽이려면 을 쓸 필요가 없다. 죽으면 가져가지도 못하는 금을 뭐하러 쓰는가? 그저 독한 이면 충분할 걸세."라면서 독한 술을 연거푸 마시고 깊이 취해 있을 때 정백금이 그를 살해했다.

이때 그는 15세였는데 황제의 예로 공안릉에 안장되었다. 사실 소보융은 재위중 수도인 건강에 와본 적이 단 한번도 없다. 조서를 내려 소연에게 선양할 당시에 그는 고숙(姑孰)에 있었으며 그 전에는 소보권이 있었기 때문에 계속 강릉(江陵)에 있었다.

이렇게 오랜 막장 학살극 끝에 고제 소도성 계보의 제나라 황족은 오직 말을 못하는 사술공 소보의[2]파양왕 소보인, 예장왕 소종[3] 세 명만이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4] 소보의는 양나라 천감 8년(509)에 죽었는데 천수를 누리지 못한 편이었고, 나머지 두 명은 북위로 망명했다.

이중 소보인(蕭寶寅)은 소란의 6번째 아들로 소연이 소보권을 죽인 뒤 황제에게서 구석(九錫)을 하사받고 양공(梁公)에 오르자 소연은 먼저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소란의 친족들을 제거했다. 소란의 조카 상동왕(湘東王) 소보질(蕭寶晊)은 소보권이 죽은 뒤 세상의 인심이 자신에게 올 것이라 기대했는데[5] 소연이 구석을 받고 황제를 알현하자 불안해하다가 결국 모반을 했다는 이유로 강릉공(江陵公) 소보람(蕭寶覽)·여남공(汝南公) 소보굉(蕭寶宏)과 함께 주살당했다. 또한 소보융의 동생 소릉왕(邵陵王) 소보유(蕭寶攸)·진희왕(晉熙王) 소보숭(蕭寶嵩)·계양왕(桂陽王) 소보정(蕭寶貞)도 살해당했다. 그러나 당시 친 왕족에 대한 경계가 그리 엄하지 않았기에 집안의 환관 안문지(顔文智)가 측근 마공(麻拱)과 함께 담장을 뚫어 소보인을 빼냈다.

날이 맑고 소보인이 사라진 것을 안 군사들은 소보인을 추격했으나 소보인은 낚시꾼으로 변장해 군사들의 의심을 피했다. 소보인은 후에 화문영(華文榮)의 집에 의탁하였는데, 화문영은 그의 종족 화천룡(華天龍)·화혜련(華惠連)과 함께 말을 임대해서 소보인을 도망치게 했다. 북위로 도착했을 때 소보인의 모습이 말이 아니어서 그곳의 사람들은 소보인이 팔려간 노예로 알았다고 한다. 수주(戍主) 두원륜(杜元倫)이 말을 달려 양주(揚州) 자사인 임성왕(任城王) 원징에게 소보인이 왔다는 것을 알리고 소보인을 후하게 대했다. 소보인이 형 소보권의 장례를 치르기를 청하자 장례를 치르게 하였는데 그의 의로운 마음에 많은 사람들이 조문을 왔다.

그는 북위 효문제 원공의 딸 남양장공주 원씨와 결혼해서 아들 셋과 딸 하나를 낳았다. 그러나 모반을 일으켜 황제를 자칭하며 제나라를 다시 세웠으나, 토벌당하자 흉노로 도주했고, 결국 잡혀 처단되었다. 장남 소열도 아버지처럼 부마였으나, 아버지의 반란에 휘말려 처형되었고, 차남 소권은 아우 소개와 활쏘기 놀이를 하다가 화살에 맞아 죽었다. 막내 소개는 장손치의 딸 장손씨와 결혼했으나, 부인 장손씨가 시어머니 남양장공주 원씨와 사이가 좋지 않자 소개와 손잡고 가노를 시켜 원씨를 죽였다. 그러나 이게 탄로나서 소개는 거열형에 처해졌고, 장손씨는 참수되었다. 훗날 양나라도 멸망할 때 괴뢰정권 후량이 세워졌으니 역사는 역시 돌고 돈다고 하겠다. 여하간 이로써 고제 소도성의 후손들 역시 모두 불운한 운명을 피하지 못하게 되었다.

3. 둘러보기(계보)

남제서(南齊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be4f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1·2권 「고제기(高帝紀)」 3권 「무제기(武帝紀)」 4권 「전폐제기(前廢帝紀)」
소도성 소색 소소업
5권 「중폐제기(中廢帝紀)」 6권 명제기(明帝紀)」
소소문 소란
7권 「후폐제기(後廢帝紀)」 8권 「화제기(和帝紀)」
소보권 소보융
※ 9권 ~ 19권은 志에 해당. 남제서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6><tablewidth=100%><tablebgcolor=#3797e8> 20권 「황후전(皇后傳)」 ||
진도정 · 유지용 · 배혜소 · 왕보명 · 하정영 · 왕소명 · 유혜단 · 저영거 · 왕순화
21권 「문혜태자전(文惠太子傳)」 22권 「예장문헌전(豫章文獻王傳)」 23권 「저연등전(褚淵傳)」
소장무 소억 저연 · 왕검
24권 「유세륭등전(柳世隆等傳)」 25권 「원숭조등전(垣崇祖等傳)」 26권 「왕경칙등전(王敬則等傳)」
유세륭 · 장괴 원숭조 · 장경아 왕경칙 · 진현달
27권 「유회진등전(劉懷珍等傳)」 28권 「최조사등전(崔祖思等傳)」 29권 「여안국등전(呂安國等傳)」
유회진 · 이안민 · 왕현재 최조사 · 유선명 · 소간 · 원영조 여안국 · 주산도 · 주반룡 · 왕광지
30권 「설연등전(薛淵等傳)」 31권 「강밀등전(江謐等傳)」 32권 「왕곤등전(王琨等傳)」
설연 · 대승정 · 환강 · 초도 · 조호 강밀 · 순백옥 왕곤 · 장대 · 저현 · 하집 · 왕연지 · 원도
33권 「왕승건등전(王僧虔等傳)」 34권 「우완지등전(虞玩之等傳)」
왕승건 · 장서 우완지 · 유휴 · 심충 · 유고지 · 왕심
35권 「고조십이왕전(高祖十二王傳)」
소영 · 소황 · 소엽 · 소고 · 소장 · 소삭 · 소감 · 소봉 · 소예 · 소갱 · 소구 · 소현
36권 「사초종등전(謝超宗等傳)」 37권 「도휘등전(到撝等傳)」
사초종 · 유상 도휘 · 유전 · 우종· 호해지
38권 「소경선등전(蕭景先等傳)」 39권 「유환등전(劉瓛等傳)」
소경선 · 소적부 유환 · 육징
40권 「무십칠왕전(武十七王傳)」
소자량 · 소자경(卿) · 소자향 · 소자경(敬) · 소자무 · 소자륭 · 소자진 · 소자명 · 소자한 · 소자륜 · 소자정 · 소자악 · 소자문
소자준 · 소자림 · 소자건 · 소자하
41권 「장융등전(張融等傳)」 42권 「왕안등전(王晏等傳)」 43권 「강효등전(江斅等傳)」
장융 · 주옹 왕안 · 소심 · 소탄지 · 강석 강효 · 하창우 · 사약· 왕사원
44권 「서효사등전(徐孝嗣等傳)」 45권 「종실전(宗室傳)」 46권 「왕수지등전(王秀之等傳)」
서효사 · 심문계 소도도 · 소도생 · 소면 왕수지 · 왕자 · 육혜효 · 소혜기
47권 「왕융등전(王融等傳)」 48권 「원단등전(袁彖等傳)」 49권 「왕환등전(王奐等傳)」
왕융 · 사조 원단 · 공치규 · 유회 왕환 · 장충
50권 「문이왕명칠왕전(文二王·明七王傳)」
소소수 · 소소찬 · 소보의 · 소보현 · 소보원 · 소보인 · 소보유 · 소보숭 · 소보정
51권 「배숙업등전(裴叔業等傳)」
배숙업 · 최혜경 · 장흔태
52권 「문학전(文學傳)」
구영국 · 단초 · 변빈 · 구거원 · 왕지심 · 육궐 · 최위조 · 왕준지 · 조충지 · 가연
53권 「양정전(良政傳)」
부염 · 우원 · 유회위 · 배소명 · 심헌 · 이규지 · 공수지
54권 「고일전(高逸傳)」
저백옥 · 명승소 · 고환 · 장영서 · 하구 · 유규 · 유역 · 종측 · 두경산 · 심유사 · 오포 · 서숙
55권 「효의전(孝義傳)」
최회진 · 공손승원 · 오흔지 · 한계백· 손담 · 화보 · 한영민 · 봉연백 · 오체지 · 왕문수 · 주겸지 · 소예명 · 악이· 강필 · 두서 · 육강
56권 「행신전(倖臣傳)」
기승진 · 유계종 · 여법량 · 여문현· 여문도
57권 「위로전(魏虜傳)」 58권 「만・동남이전(蠻・東南夷傳)」 59권 「유목전(遊牧傳)」
위로 고려· 가라 · 왜국 · 임읍 · 부남국 · 교주 예예로 · 하남지 · 양씨저 · 탕창
60권 「자서전(自序傳)」
소자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797e8><tablebgcolor=#3797e8>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ece5b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권 「송본기상(宋本紀上)」 2권 「송본기중(宋本紀中)」 3권 「송본기하(宋本紀下)」
유유(裕) · 유의부 유의륭 · 유준(駿) · 유자업 유욱(彧) · 유욱(昱) · 유준(準)
4권 「제본기상(齊本紀上)」 5권 「제본기하(齊本紀下)」
소도성 · 소색 소소업 · 소소문 · 소란 · 소보권 · 소보융
6·7권 「양본기상·중(梁本紀上·中)」 8권 「양본기하(梁本紀下)」
소연 소강 · 소역 · 소방지
9권 「진본기상(陳本紀上)」 10권 「진본기하(陳本紀下)」
진패선 · 진천 · 진백종 진욱 · 진숙보
}}}}}}}}}
[ 열전(列傳) ]
||<-6><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 11·12권 「후비전(后妃傳)」 ||
조안종 · 소문수 · 장애친 · 장궐 · 사마무영 · 호도안 · 원제규 · 노혜남 · 왕헌원 · 은숙의 · 하영완 · 심용희 · 왕정풍 · 진묘등 · 강간규 · 진법용 · 사범경 · 진도정 · 유지용 · 배혜소 · 왕보명 · 하정영 · 왕소명 · 유혜단 · 저영거 · 왕순화 · 장상유 · 치휘 · 왕영빈 · 정영광 · 완영영 · 서소패 · 장요아 · 심묘용 · 왕황후 · 유경언 · 심무화 · 장여화
13·14권 「송종실급제왕전(宋宗室及諸王傳)」
유도린 · 유도규 · 유의경 · 유준고 · 유의진 · 유의강 · 유의공 · 유의선 · 유의계 · 유소 · 유준(濬) · 유삭 · 유굉 · 유탄 · 유위 · 유창 · 유혼 · 유휴인 · 유휴우 · 유휴무 · 유휴업 · 유휴천 · 유이부 · 유휴범 · 유휴약 · 유자상 · 유자훈 · 유자방 · 유자욱 · 유자란 · 유자인 · 유자진 · 유자원 · 유자우 · 유자맹 · 유자운 · 유자사(劉子師) · 유자소 · 유자사(劉子嗣) · 유찬 · 유우 · 유홰 · 유숭 · 유희
15권 「유목지등전(劉穆之等傳)」 16권 「왕진악등전(王鎮惡等傳)」
유목지 · 서선지 · 부량 · 단도제 왕진악 · 주령석 · 모수지 · 부홍지 · 주수지 · 왕현모
17권 「유경선등전(劉敬宣等傳)」
유경선 · 유회숙 · 유수 · 손처 · 괴은 · 상정 · 유종 · 우구진 · 맹회옥 · 호번 · 유강조
18권 「조륜지등전(趙倫之等傳)」 19권 「사회등전(謝晦等傳))」
조륜지 · 소사화 · 장도 사회 · 사유 · 사방명 · 사령운
20권 「사홍미전(謝弘微傳)」 21권 「왕홍전(王弘傳)」 22권 「왕담수전(王曇首傳)」
사홍미 왕홍 왕담수 , 왕훈,
23권 「왕탄등전(王誕等傳)」 24권 「왕유지등전(王裕之等傳)」 25권 「왕의등전(王懿等傳)」
왕탄 · 왕화 · 왕혜 · 왕욱 왕유지 · 왕진지 · 왕소지 · 왕열지 · 왕준지 왕의 · 도언지 · 원호지 · 장흥세
26권 「원담전(袁湛傳)」 27권 「공정등전(孔靖等傳)」 28권 「저유지전(褚裕之傳)」
원담 공정 · 공림지 · 은경인 저유지
29권 「채곽전(蔡廓傳)」 30권 「하상지전(何尙之傳)」 31권 「장유전(張裕傳)」
채곽 하상지 장유 , 장승,
32권 「장소전(張邵傳)」 33권 「범태등전(范泰等傳)」 34권 「안연지등전(顔延之等傳)」
장소 범태 · 순백자 · 서광 · 정선지 · 배송지 · 하승천 안연지 · 심회문 · 주랑
35권 「유담등전(劉湛等傳)」 36권 「양흔등전(羊欣等傳)」 37권 「심경지등전(沈慶之等傳)」
유담 · 유열 · 고침 · 고기지 양흔 · 양현보 · 심연지 · 강이 · 강병지 심경지 · 종각
38권 「유원경전(柳元景傳)」 39권 「은효조등전(殷孝祖等傳)」 40권 「노상등전(魯爽等傳)」
유원경 은효조 · 유면 노상 · 설안도 · 등완 · 종월 · 오희 · 황회
41권 「제종실전(齊宗室傳)」
소도도 · 소도생 · 소요광 · 소요흔 · 소면 · 소경선 · 소적부 · · 소탄 · 소탄지
42·43권 「제고제제자전(齊高帝諸子傳)」
소억 · 소영 · 소황 · 소엽 · 소고 · 소장 · 소삭 · 소감 · 소봉 · 소예 · 소갱 · 소구 · 소현
44권 「제무제제자·제문혜제자·명제제자전(齊高帝諸子·文惠諸子·明帝諸子傳)」
소장무 · 소자량 · 소자경(卿) · 소자향 · 소자경(敬) · 소자무 · 소자륭 · 소자진 · 소자명 · 소자한 · 소자륜 · 소자정 · 소자악 · 소자문
소자준 · 소자림 · 소자건 · 소자하 · 소소수 · 소소찬 · 소보의 · 소보현 · 소보원 · 소보인 · 소보유 · 소보숭 · 소보정
45권 「왕경칙등전(王敬則等傳」 46권 「이안인등전(李安人等傳)」
왕경칙 · 진현달 · 장경아 · 최혜경 이안인 · 대승정 · 환강 · 초도 · 조무 · 여안국 · 주산도 · 주반룡 · 왕광지
47권 「순백옥등전(荀伯玉等傳)」 48권 「육징등전(陸澄等傳)」
순백옥 · 최조사 · 설연 · 우종 · 호해지 · 우완지 · 유휴 · 강석 육징 · 육혜효 · 육궐
49권 「유고지등전(庾杲之等傳)」 50권 「유환등전(劉瓛等傳)」
유고지 · 왕심 · 공규 · 유회진 유환 · 명승소 · 유이 · 유규
51·52권 「양종실전(梁宗室傳)」
소경 , 소매 소발 소앙 소욱, · 소의 · 소부 · 소창 · 소융 · 소굉 , 소정인 소정의 소정덕 소정립, 소수 · 소위 · 소회 · 소담
53권 「양무제자전(梁武帝諸子傳)」
소통 · 소종 · 소적 · 소속 · 소윤 · 소기
54권 「양간문제자·원제제자전(梁簡文帝諸子·元帝諸子傳)」
소대기 · 소대심 · 소대관 · 소대림 · 소대련 · 소대춘 · 소대성 · 소대봉 · 소대아 · 소대장 · 소대균 · 소대위 · 소대훈 · 소대구 · 소대흔 · 소대지 · 소대원 · 소방등 · 소방제 · 소방구 · 소방략
55권 「왕무등전(王茂等傳)」
왕무 · 조경종 · 조의종 · 석천문 · 하후상 · 길사첨 · 채도공 · 양공칙 · 등원기 · 장혜소 · 장징 · 풍도근 · 강현 · 창의지
56권 「장홍책등전(張弘策等傳)」 57권 「심약등전(沈約等傳)」 58권 「위예등전(韋叡等傳)」
장홍책 · 유역 · 정소숙 · 여승진 · 악애 심약 · 범운 위예 · 배수
59권 「강엄등전(江淹等傳)」 60권 「범수등전(范岫等傳)」 61권 「진백지등전(陳伯之等傳)」
강엄 · 임방 · 왕승유 범수 · 부소 · 공휴원 · 강혁 · 서면 · 허무 · 은균 진백지 · 진경지 · 난흠
62권 「하창등전(賀瑒等傳)」 63권 「왕신념등전(王神念等傳)」 64권 「강자일등전( 江子一等傳)」
하창 · 사마경 · 주이 · 고협 · 서리 · 포천 왕신념 · 양간 · 양아인 강자일 · 호승우 · 서문성 · 음자춘 · 두즉 · 왕림 · 장표
65권 「진종실제왕전(陳宗室諸王傳)」
진의 · 진상 · 진혜기 · 진창 · 진담랑 · 진백무 · 진백산 · 진백고 · 진백공 · 진백인 · 진백의 · 진백례 · 진백지 · 진백모
진숙릉 · 진숙영 · 진숙견 · 진숙명 · 진숙경 · 진숙헌 · 진숙제 · 진숙문 · 진숙달 · 진숙탄 · 진숙표 · 진숙웅 · 진숙중 · 진숙엄 · 진숙신 · 진숙우 · 진숙평 · 진숙오 · 진숙흥 · 진숙선 · 진숙목 · 진숙검 · 진숙징 · 진숙소 · 진숙광 · 진숙순 · 진숙모 · 진숙현 · 진숙륭 · 진숙영
진심 · 진장 · 진윤 · 진억 · 진언 · 진경 · 진건 · 진념 · 진지 · 진전 · 진번
66권 「두승명등전(杜僧明等傳)」
두승명 · 주문육 · 후진 · 후안도 · 구양위 · 황법구 · 순우량 · 장소달 · 오명철
67권 「호영등전(胡穎等傳)」
호영 · 서도 · 두릉 · 주철무(1) · 정령세 · 심각 · 육자륭 · 전도집 · 낙문아 · 손창 · 서세보 · 주부 · 순랑 · 주경 · 노실달 · 소마하 · 임충 · 번의
68권 「조지례등전(趙知禮等傳)」
조지례 · 채경력 · 종원요 · 한자고 · 화교 · 유사지 · 사기 · 모희 · 심군리 · 육산재
69권 「심형등전(沈炯等傳)」
심형 · 우려 · 부재 · 고야왕 · 요찰
70권 「순리전(循吏傳)」
길한 · 두기 · 신념 · 두혜도 · 완장지 · 견법숭 · 부염 · 우원 · 왕홍궤 · 심우 · 범술증 · 손겸 · 하원 · 곽조심
71권 「유림전(儒林傳)」
복만용 · 하동지 · 엄식지 · 사마경 · 변화 · 최령은 · 공첨 · 노광 · 심준(峻) · 공자구 · 황간 · 심수 · 척곤 · 정작 · 전완 · 장기 · 고월 · 척곤 · 왕원규
72권 「문학전(文學傳)」
구영국 · 단초 · 변빈 · 구거원 · 왕지심 · 최위조 · 조충지 · 가희경 · 원준 · 유소(昭) · 종영 · 주흥사 · 오균 · 유협 · 하사징 · 임효공 · 안협 · 기소유 · 두지위 · 안황 · 잠지경 · 하지원 · 서백양 · 장정견 · 완탁
73·74권 「효의전(孝義傳)」
공영 · 유유(瑜) · 가은 · 곽세통 · 엄세기 · 오규 · 반종 · 장진지 · 구걸 · 사각수 · 왕팽 · 장공 · 서경 · 손법종 · 범숙손 · 복천여 · 허소선 · 여제인 · 손극 · 하자평 · 최회순 · 왕허지 · 오경지 · 소예명 · 소교처양 · 공손승원 · 오흔지 · 한계백 · 구관선 · 손담 · 화보 · 해숙겸 · 한영민 · 유풍 · 봉연백 · 오달지 · 왕문수 · 악이지 · 손법종 · 유도민 · 등담공 · 도계직 · 심숭소 · 순장 · 길분 · 견염 · 조발호 · 한회명 · 저수 · 장경인 · 도자장 · 성경준 · 이경서 · 사린 · 은불해 · 사마고 · 장소
75·76권 「은일전(隐逸傳)」
도잠 · 종소문 · 심도건 · 공순지 · 주속지 · 대옹 · 적법사 · 뇌차종 · 곽희림 · 유응지 · 공기 · 주백년 · 관강지 · 어부 · 저백옥 · 고환 · 두경산 · 장영서 · 오포 · 서백진 · 심인사 · 완효서 · 등욱 · 도홍경 · 제갈거 · 유혜비 · 범원엽 · 유선 · 장효수 · 유승선
77권 「은행전(恩倖傳)」
대법흥 · 서원 · 완전부 · 기승진 · 유계종 · 여법량 · 여문현 · 여법진 · 주석진 · 육험 · 사마신 · 시문경 · 심객경 · 공범
78·79권 「이맥전(夷貊傳)」
임읍 · 부남 · 중천축국 · 사자국 · 고구려 · 백제국 · 신라 · · 부상국· 하남왕국 · 탕창 등지 · 무흥국 · 형옹주·예주만 · 고창 · 쿠처 · 우전국 · 파사국 · 연연
80권 「적신전(賊臣傳)」
후경 , 왕위, · 웅담랑 · 주적 · 유이 · 진보응
(1) 본명이 주철호(周鐵虎)로 당태조로 추존된 이호(李虎)를 피휘하여 무(武)로 개칭되었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 ||


[1] 평화적으로 선양을 해줬다는 의미. [2] 파릉왕이었으며 명제 소란의 장남이다. 농아였기 때문에 황제가 되지 못했고, 목숨도 건질 수가 있었다. [3] 동혼후 소보권의 차남으로 소연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자세한 것은 소보권 항목 참조. [4] 소연은 원래 소도성의 사촌 소순지의 아들로 소도성의 오촌 조카뻘이다. 소순지는 태조 문황제로 추숭되었다. [5] 소보질은 안륙소왕(安陸昭王) 소면(蕭緬)의 장남으로 소도생(蕭道生)의 장남 소봉(蕭鳳)의 아들들은 모두 요절했고 남은 소란의 아들들은 너무 어리니 연장자인 자신이 세상 사람들의 인심을 받을 것이라 예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