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아시아계 민족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민족 | |||||
베르베르인 | 셈족 | 고대 이집트인† | 차드족 | 쿠시족 | 오모족 | |
언어 |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셈족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
||
<colbgcolor=#f4f4f4,#5c5c5c> 동셈족† | 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 딜문(추정)*† | |
북서셈족(서북셈족) | 히브리인( 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 | 아모리인†( 우가리트†) | 칼데아인† | 힉소스(추정)† | |
남서셈족 ( 아랍인) |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 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 몰타인) | 레반트 아랍인( 팔레스타인인( 이스라엘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예멘인( 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이라크인 | 호라산 아랍인 | 중앙아시아 아랍인 | 아랍 흑인( 예멘 흑인( 아크담족) | 이라크 흑인 | 수단 아랍인( 바까라족)) | 무어인( 하라틴인) | |
남셈족 | 사바인(추정)**† | 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 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 마간(추정)**† | |
* 동셈계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 남셈계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독립국 비아랍권 |
이스라엘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
독립국 아랍권 |
사우디아라비아 | 예멘 | 요르단 | 팔레스타인 | 레바논 | 이라크 | 시리아 | 바레인 | 쿠웨이트 | 오만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이집트 | 수단 | 모로코 | 알제리 | 튀니지 | 리비아 | 몰타 | 모리타니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미승인국) | |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 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다수 거주국가 | |
해당 지리적 인종 | 서아시아인 | 아프리카인 | 북아프리카인 | 유럽인 | |
언어 및 문화
|
||
언어 | 셈어파 | |
사상 | 범셈족주의 | 아랍 내셔널리즘( 범아랍주의) | 시오니즘 | |
신화 | 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 (아람 신화 | 페니키아 신화 (카르타고 신화)) | }}}}}}}}} |
셈어를 쓰는 국가들을 그린 컨트리볼[1] |
1. 개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하위에 속하는 어파이다.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은 중동과 북부 및 동부 아프리카에 걸쳐서 2억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다. 셈어파라는 이름은 성경에 나오는 노아의 아들 셈에서 유래하였다.아랍어와 히브리어가 모두 이 셈어파에 속해있다. 중동 정세를 생각하면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지만 종교적 연원을 따지면 자연스럽다.[2] 사어가 되었던 히브리어를 현대 언어로 부활시킬 때 부족한 어휘는 아랍어를 비롯한 셈어파 계얼 언어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이 두 언어 말고도 예수의 모어였던 아람어,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되었던 아카드어 등 고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언어들이 이 어파에 많다. 그런 탓에 많은 고대 문헌 기록이 남아 있어 인도유럽어족 및 우랄어족의 핀우그리아어파와 함께 소속 언어들 간의 계통 관계가 잘 드러나 있다.
2. 특징
- 세 자음으로 된 어근을 사용한다. 이 어근에 다른 자음이나 모음을 덧붙여서 형태론적 기능이나 의미론적 기능을 덧붙이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아랍어와 히브리어에서 '글을 쓰다'라는 뜻의 K-T-B가 있다. 'KaTaBa'는 '그가 썼다(과거형)'고 'KaTaBtu'는 '내가 썼다(과거형)'라는 식으로 뜻이 달라지지만 어근에 K-T-B가 있으니까 글을 쓴다는 것에서 파생된 의미라는 것은 알 수 있는 것이다. 세 자음으로 된 어근을 사용하는 어족, 어파는 지구상에서 셈어파밖에는 없다.
- 문자로 표기할 때 모음을 적지 않고 자음만 적는다. 이를 아브자드라 한다. 이들 문자의 기원인 페니키아 문자에는 모음을 표기하는 글자가 없었다. 로마자 A에 대응되는 페니키아 문자의 '알리프'는 성문 파열음 /ʔ/ 에 해당하는 자음이었다. 그러나 그리스인들이 페니키아 문자를 도입하면서 기존에 장모음 표기를 겸하던 A, I, U에 자신들이 쓸 일 없는 E, O 등을 더해 모음 표기에 쓰게 된다. 훗날 아랍 문자, 히브리 문자에도 모음 부호가 도입되었으나, 현대에 와서도 아랍어 원어민이 사는 지역에 가보면 대부분의 글이 모음 부호 없이 자음과 장모음으로만 쓰여 있다. 이유는 1에서 나와있듯이 세 자음으로 된 어근으로 대충 의미를 알 수 있고 어근 중간에 모음이 들어가 문법적 변화를 나타내는데 모음이 3개 정도로 적어서 모음을 안 적어도 전후 문맥으로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암하라어와 티그리냐어에서 쓰이는 그으즈 문자와 몰타어의 로마자는 제외.(그으즈 문자는 아부기다, 로마자는 알파벳)
- 대부분의 언어들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이는 것과는 반대로 셈어파 언어의 문자들은 대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 원래는 페니키아 문자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문자였지만, 그리스인들이 알파벳을 도입하면서 좌우교대서법으로 필기를 하였고, 결국 로마인들이 그리스 알파벳을 받아들일 때 이를 헷갈린다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걸로 통일해버림으로써 결국 서구에서는 현재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방식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역시 암하라어와 티그리냐어에서 쓰이는 그으즈 문자와 몰타어의 로마자는 제외.(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 유럽 언어들과 비슷하게 듣는 사람한테 단수형으로 칭하면 반말이고 복수형으로 칭하면 존댓말이 된다. 조잡한 설명과 함께 예를 들자면... 아랍어로 단수형으로 '당신에게'에 해당하는 '알레이카'를 써서 '앗살람 알레이카' 라고 말하면 '안녕'이라는 뜻이 되고, 복수형으로 '당신들에게'에 해당하는 '알레이쿰'을 써서 '앗살람 알레이쿰'이라고 말하면 "안녕하셨습니까?",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렇게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만약에 청자나 대상이 한 명인데도 복수형을 써서 말했다면 이는 분명히 존댓말. 같은 맥락으로, 성서에 나오는 엘로힘, 베헤못 등의 낱말도 복수형을 통해 크고 아름다운 뜻을 나타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한국어로 설명할 때는 장엄복수형이라고 한다.
- 고대 셈어파 문어(文語)에서는 인물의 말과 행동을 묘사할 때 항상 '언행일치'하게 묘사하는 법이 있었다. 예를 들어 내가 누구를 발로 차면서 "발차기"라고 하는 모습을 연상해보면 이해가 빠르겠다. 고대 히브리어로 쓰인 구약성경의 창세기 장을 읽을 때 이 문법을 유의하면서 읽으면 뭔가 재밌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원시 셈어의 음운론은 인두음이 발달한 게 특징인데 현대 히브리어나 암하라어에서는 없고 아랍어에는 남아있어서 아랍어 학습자들을 지독하게 괴롭힌다. 특이하게도 북동캅카스어족에 속하는 체첸어에 인두음이 있어 일부 언어학자들은 캅카스 제어들과 셈어파를 비롯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연관성에 주목하기도 한다. 이게 아주 허황된 소리는 아닌 것이, 당장 성경에 나오는 노아의 방주가 있었던 아라라트 산은 튀르키예 북동부에 있기에 캅카스 지방과 가깝다. 실제로 아랍인 등의 중동계 민족들은 캅카스 인종을 영어식으로 읽은 코카서스 인종에 속하고, 원 셈어파의 화자로 추측되는 계열인 하플로그룹 J의 가장 오래된 고인골이 캅카스 지방에서 발견되었다. 이외에도 예멘, 이라크 등 아랍권에 살던 미즈라히 유대인 고령층들도 여전히 인두음을 살려서 발음하는데, 특히 예멘식 발음은 아랍어와 매우 유사하다. 그리고 자음 Śin의 경우 원시 셈어에서는 S, L을 동시에 말하는 듯한 난해한 발음[ɬ]을 가지고 있었으나 시간이 흐르며 아랍어에서는 ش [ʃ], 히브리어에선 שׂ [s]로 편입된다.
성조는 없다.
3. 세부 분류
가나안어, 아랍어, 히브리어, 아람어, 아카드어, 암하라어, 티그리냐어, 몰타어 등이 대표적인 셈어로 꼽힌다. 셈어파의 친척으로는 이집트어군의 콥트어, 베르베르어파에 속하는 베르베르어, 쿠시어파의 오로모어와 소말리어가 있다. 그리고 소코트라 섬에서 쓰이는 소코트라어도 셈어파에 속한다. 과거에는 이들 언어를 뭉뚱그려 마찬가지로 노아의 아들 이름에서 유래된 '함어파'라는 분류군으로 분류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다른 어파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분화된 탓에 아프리카아시아어족라는 표현이 근자에 더 선호되는 추세. 사실 함 역시 셈의 형제로서 노아의 아들 중 한 명으로써 아버지의 저주를 사서 함의 자손들은 다른 형제의 자손들의 대대손손 노예로 살게 된다는 이야기가 성경에 있는 것을 보면 아프리카인 입장에서도 자신들의 언어에 함어파라는 딱지가 붙는 것이 여하튼 유쾌하지는 않을 듯 하다.셈어파는 인도유럽어족 및 우랄어족의 핀우그르어파와 함께 소속 언어들 간의 비교언어학적 계통 관계가 확립된 어파이다.
- 서셈어군
4. 인명 관련
자세한 내용은 작명 문서의
서아시아식 이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둘러보기
아프리카아시아어족 Afroasiatic Language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0.5px;" |
<colbgcolor=#8e912a> 셈어파 | <colbgcolor=#8e912a><colcolor=#FFF> 동셈어군† | 아카드어† · 아시리아어† · 에블라어† |
북서셈어군 | 아람어( 서신아람어 · 투로요어 · 아시리아 신아람어 · 칼데아 신아람어 · 만다야어 · 시리아어† · 사마리아 아람어† ) · 가나안어( 히브리어 · 사마리아 히브리어† · 페니키아어† · 퓨니크어†) · 아모리어† | ||
남서셈어군 |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집트 아랍어 · 하사니야어 · 차드 아랍어 · 수단 아랍어 · 주바 아랍어 · 중앙아시아 아랍어 · 마그레브 아랍어 ) · 몰타어 | ||
남부셈어군 | 사바어† · 하드라마우트어 · 라지흐어 · 소코트라어 · 메흐라어 · 하라시스어 · 그으즈어† · 암하라어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 ||
이집트어파† | 콥트어† · 고전 이집트어† | ||
베르베르어파 | 누미디아어† · 관체어† · 카빌어 · 리프어 · 실하어 · 샤위아어 · 투아레그어 · 제나가어 · 시와어 · 가다메스어 · 타마지트어 | ||
차드어파 | 하우사어 · 론어 · 볼어 · 바데어 · 부라어 · 투막어 | ||
쿠시어파 | 소말리어 · 오로모어 · 아파르어 · 베자어 | ||
오모어파 | 월라이타어 | ||
|
}}}}}}}}} |
[1]
가운데 있는 장벽을 기준으로, 왼쪽에 그려진 컨트리볼 대다수는
아랍권 국가들을 나타낸 것이고, 오른쪽에 그려진 컨트리볼들은 이들과 적대관계인
이스라엘과
몰타 이다.
[2]
물론 종교말고도 혈통적 부분에서도 매우 가깝다.
[3]
아랍계 유대인들이 쓰는 언어다. 히브리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4]
이슬람 이전 시대에는 아라비아 반도 북부와 남부에서 쓰이는 언어가 서로 달랐다. 아랍어는 본래 아라비아 반도 북부에서 통용되던 언어였고, 이슬람 이후 아라비아 반도 전역으로 아랍어가 확산되어 오늘날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