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2006년~2010년 고교 입학생) 생물Ⅰ에 대한 내용은 생물Ⅰ(7차) 문서 참고하십시오.
2009 개정 교육과정(2011~2017년 고교 입학생) 생명 과학Ⅰ에 대한 내용은 생명 과학Ⅰ(2009) 문서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나무위키 교과·수능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문서입니다.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18~'24 高1) | ||||||
공통 과목
(1학년) |
선택 과목 | |||||
일반 선택 | 진로 선택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과학탐구실험}}}
|
||||||
※ 고급 물리학,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및 실험 과목은
과학 계열 전문 교과에서 다룬다(해당 둘러보기 틀 참고). ■ 이전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 이후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
||||||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191919> 2020학년도 |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 ||||
2021학년도 | 사회탐구 |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동아시아사 · 세계사 · 정치와 법 · 경제 · 사회·문화 중 최대 택 2 | ||||
과학탐구 | 물리학Ⅰ · 화학Ⅰ ·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 물리학Ⅱ · 화학Ⅱ · 생명과학Ⅱ · 지구과학Ⅱ 중 최대 택 2 | |||||
2022학년도 ~ 2027학년도 |
사회탐구 · 과학탐구 |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동아시아사 · 세계사 · 경제 · 정치와 법 · 사회·문화 · 물리학Ⅰ · 화학Ⅰ ·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 물리학Ⅱ · 화학Ⅱ · 생명과학Ⅱ · 지구과학Ⅱ 중 최대 택 2 | ||||
2028학년도 |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22 개정 교육과정(다음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
1. 개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서 개정이 이루어졌으나, 실상은 생명 과학Ⅰ(2009)에서 몇개만 빠지고 단원과 내용이 재배치된 수준이기 때문에 생명과학Ⅱ(2015)와 함께 거의 변화가 없는 과목 중 하나이다. 2017년 현재까지도 8개의 과학탐구 영역 중 선택자 수가 가장 선택자 수가 많은 과목[1]이기도 하다.2. 교과 내용
2.1. Ⅰ. 생명 과학과 인간의 생활
이전 교육 과정의 1단원에서 생명체의 구성 물질, 세포 소기관의 기능, 생명체의 구성 체제와 관련된 내용만 삭제되었다고 보면 된다. 즉, 생명 현상의 특성과 생명 과학의 탐구 방법만 살아 남았다는 것인데 이는 결국 생물Ⅰ의 1단원과 내용이나 구성의 측면에서 거의 동일하다고 보면된다. 시험지에 거의 1번으로 출제되면서 수험생에게 꿈과 희망을 안겨주는 단원. 본인이 정말로 열심히 공부를 했는데도 1단원에서 틀렸다면......2.2. Ⅱ. 생물의 구조와 에너지
이전 교육 과정의 3단원이 개정 교육과정의 2단원과 3단원으로 각각 분리되었다. 사실 지난 교육과정에서 3단원이 단원 하나 치고는 그 양이 너무 많기는 했다. 단원이 분리되었으므로 이전 교육과정에서 출제 빈도가 낮았던 주제들의 출제 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단원에서는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과 세포 호흡과 같은 물질대사에 관련된 내용을 개괄적으로 학습하며, 기관계의 통합적 작용을 중심으로 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 각 기관계의 역할과 골격근의 구조와 근수축 운동 과정[2]에 대해 배운다.2.3. Ⅲ. 항상성과 몸의 조절
자극의 전달[3], 신경계, 항상성 유지, 방어 작용에 대한 내용을 배우는 단원이다. 자극의 전달에서는 전도와 전달을 잘 구분할 줄 알아야하고, 신경계에서는 중추 신경계의 각 구조별 기능과 자율 신경계의 경우 신경절 이전 뉴런의 신경 세포체의 위치, 신경절 이전 뉴런과 이후 뉴런에서 분비되는 신경 전달 물질의 종류, 항상성 유지에서는 호르몬의 이름, 분비 장소, 표적 기관, 기능과 혈당량 조절, 체온 조절, 혈장 삼투압 조절 과정에서의 호르몬과 신경이 작용하는 과정, 방어 작용에서는 각각의 병원체별 특징을 모두 외워야한다. 유난히 외워야 할게 많은 단원이지만 그렇다고 외운다고 해결되는 것도 아닌 한 마디로 짜증나게 만드는 단원2.4. Ⅳ. 생명의 연속성
본격적으로 괴로워지기 시작하는 단원. 이전 교육 과정에서는 2단원에 있었는데 개정되면서 4단원2.5. Ⅴ. 환경과 생태계
생물과 환경의 상호 관계에 대한 내용은 개정되면서 빠졌다. 개체군과 군집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개체군과 군집 내에서 일어나는 상호 작용, 식물 군집의 천이가 진행되는 과정, 방형구를 통해 식물 군집을 조사하는 방법, 탄소나 질소와 같은 물질의 순환 과정과 에너지의 흐름, 생물 다양성의 의미에 대해 배우는 단원으로 이 단원도 외우는 것이 5할 이상 차지하는 단원이다. 물론 Ⅲ단원에 비해서는 낫겠지만 생태계 내용 자체가 다소 생소한데다가, 한 번 꼬아버리면 난이도가 수직 상승해버리는 곳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4]3. 여담
• 근육 원섬유 마디의 길이 계산, 유전, 흥분의 전도, 개체군의 밀도, 군집의 조사, 종 다양성의 비교 등등 수학적으로 출제되는 부분들은 그대로 이어졌다.• 기존 생명 과학Ⅰ(2009)과 비교해보면 단원별로 몇 군데씩 빠지기만 했을 뿐 새롭게 추가되거나 편제가 크게 바뀌는 부분이 없다.
[1]
생명과학Ⅰ이 선택자 수가 가장 많은 과목은 2014학년도 수능부터 계속해서 바뀐 적이 없었고, 그 다음으로 많은 과목은 2015학년도 수능까지는 화학Ⅰ이었으나, 점차 지구과학Ⅰ이 그 뒤를 따라잡더니 결국 추월했고 생명과학1도 넘었다!(2018학년도 수능기준) . Ⅱ과목 안 할께 뻔한 상황에서 물리 화학 제끼고 나면 당연히 생명과학하고 지구과학 밖에 선택할 게 없다.
[2]
말이 운동 과정이지 결국은 길이 계산하는 거다.
[3]
하다하다 평가원은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에서 전도를 가지고 속도 계산하는 문제를 냈다. 수학인지 생명과학인지 정체성을 의심하게 만드는 부분
[4]
실제로 2015학년도 수능 생명 과학Ⅰ에서 정답률 최저를 기록한 문제는 15번 문제(개체군의 밀도를 구하는 문항)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