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20:20:28

부들

<colcolor=#000> 부들
cattail 이명 :
Typha Orientalis C. Presl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부들과
부들속
부들
파일:external/www.assm.co.kr/200809075645377.jpg

1. 개요2. 특징3. 쓰임새4. 기타
4.1.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물가나 연못, 늪지에 주로 서식하는 외떡잎식물이다. 줄기는 곧고 꽃이삭은 타원형이며 길이는 1~1.5 m이다. 동북아시아 시베리아 동부, 동남아시아,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즉 서태평양에 접한 지역 전반에 분포한다.

2. 특징

수생식물이지만 뿌리만 진흙에 고정되고 잎과 줄기는 물 밖으로 나와 자란다. 주로 6~7월에 꽃이삭이 달리고 꽃이 핀다.[1] 그래서 꽃가루받이를 초여름에 하는데, 이때 몸체가 부들부들 떨려서 '부들'이란 이름이 붙었다 한다. 부들 잎과 꽃이삭의 감촉이 보들보들해서 '부들'이란 이름이 붙었다는 설도 있다.

언뜻 보면 소시지처럼 생긴 갈색 꽃이삭이 제일 큰 특징이다. 처음 날 때는 위에 수꽃이삭, 아래에 암꽃이삭으로 한 쌍씩 난다. 그러다가 수분되면 수꽃이삭은 꽃가루를 다 날리고 떨어져 검은색 흔적만 남기고, 암꽃이삭은 위 사진처럼 길이가 7~10 cm 남짓한 갈색 열매 모양으로 변한다. 암꽃이삭이 변한 열매 안은 하얀 솜털을 단 씨앗으로 가득하다. 가을이나 겨울쯤 되면 열매가 부서지면서 안에 있던 씨앗들이 바람을 타고 멀리 퍼진다. 따스한 가을날 해질녘에 함박눈처럼 하늘을 뒤덮으며 흩날리는 모습은 단연 압권이다.

3. 쓰임새

금빛을 띠는 (금속성으로 반짝반짝한다) 노랗고 고운 꽃가루를 한의학에서 포황(蒲黃)이라고 부르며 지혈, 통경(通經), 이뇨제의 재료로 쓴다. 탄닌과 지방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상처 입은 조직을 보호하는 데 효과가 뛰어난 천연 도포제이기 때문. 민간요법에서는 화상을 입은 환부에 부들의 솜털을 붙이면 통증이 없어지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잎으로는 방석을, 줄기로는 짚신이나 초가집을 만들기도 했다.[2] 겉대를 벗기면 나오는 속대는 먹어도 된다. 속대를 뽑아도 이듬해에 멀쩡하게 다시 자란다. 하지만 부들이 워낙 아무 데서나 잘 자라고 오염물질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길가에 부들이 보인다고 그냥 꺾어 먹으면 곤란하다. 오염된 수원에서 자랐을지 모르지 않는가. 안에 작은 벌레들이 우글우글 들어 있는 경우도 왕왕 있다. 근데 어차피 부들을 꺾어먹을시점에서 작은벌레따위야 단백질차원에서 먹을 인간이다.

복슬복슬한 솜털 말고 줄기는 먹을 수 있고 적게나마 칼로리도 있다. 하지만 줄기에 오염물질이 쌓였을 수 있으니 의심되면 새순이나, 뿌리만을 먹는 것이 안전을 위해 좋다. 한편 아메리카 원주민은 꽃가루를 밀가루와 섞어 빵을 만들어 먹는 데 쓰기도 했다.

낚시꾼들에게는 몹시 중요한 식물이다. 부들 줄기로 를 만들기 때문이다. 붕어낚시용 작은 찌부터 1미터 가까운 큰 막대찌까지 손재주만 좋으면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부들은 갈대와 함께 하천의 수질환경을 개선하는 데 쓰이는 주요 식물이기도 하다. 군락을 이루는 습지식물이라는 특징을 이용해 물을 여과하고 흐름도 조절해 준다고. 또한 부들 군락은 하천에 사는 수많은 새들에게 안식처가 되기도 하며, 이삭이나 줄기 안에 들어 있는 곤충의 알이나 애벌레들은 이곳에 사는 새들의 먹잇감이 된다.

연못이나 물가를 꾸미고자 일부러 심기도 하는데, 번식력이 강해 자연발생하기도 하고 우점종이 되기 쉬워서 관리를 잘 해야 한다. 아프리카 등 열대 아열대 지방에서는 부레옥잠 문제와 비슷하게 강이나 호수 습지 등에서 부들 군락이 지나치게 번성해서 다른 종을 압도해서 쌀농사 등 농업을 방해하는 생태계교란 생물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부들을 베어서 건조 후 탄화시켜 연료용 숯으로 만들거나 지붕이나 담벽 재료, 흙벽돌 재료로 쓰기도 하고 띠모양으로 짜서 생활용품이나 공예품을 만들기도 하는 등 부들 퇴치와 경제적 친환경 이용을 위해 노력 중이다.

경기도 의왕시 군포시, 수원시 경계에 있는 왕송호수 옆 인공 늪지대에 여러 종류의 연꽃, 갈대와 함께 심어져 있다. 사이에 경부선 철로를 두고 철도박물관 건너편이다. 왕송호수공원 내 자연학습원 연못에도 있고... 많다. 의왕역에서 걸어서 15분 정도. [3]

4. 기타

워낙 콘도그스러운 외관 때문인지 일단 한입 베어물고보는 사람들이 많은 모양. 비슷하게 복슬복슬한 솜털 부분을 소시지로 위장해 핫도그 빵 사이에 넣어놓는 장난을 치기도 한다. 한입 가득 베어무는 순간 입에서 뿜어져 나올 정도로 부푸는 솜털의 향연이 압권.

그런데 의외로 부들의 꽃이삭으로 맞으면 상당히 아프다. 맞은 부분은 피멍이 들고 심지어 얼굴을 가격하면 실명할 위험도 있다. 이 때문에 부들을 무기로 사용하는 게임 및 영화도 있으며, 예전엔 매 대용으로 쓰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4.1. 매체에서

예로부터 부들의 꽃가루는 상처를 아물게 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어서, 일본 이나바의 흰토끼 신화에서는 토끼의 상처를 낫게 한 방법으로도 나온다.[4] 초등과학학습만화 Why? 식물 편에서는 꼼지가 무릎이 까지자,[5] 박사가 부들을 꺾어와 그 꽃가루를 꼼지의 상처에 붙여준다. 꼼지 왈, 꽃가루를 상처에 붙이자 하나도 안 아팠다고. 참고로 애니메이션판의 식물 편에서도 박사가 같은 응급처치를 해 준다.

베어 그릴스 Man vs. Wild에서 부들 줄기를 먹었는데 식감이 젖은 마분지를 씹어먹는 것 같다고 했다.

생존 게임 더 롱 다크에서는 부들개지 줄기가 식량 아이템으로, 솜털은 불쏘시개 아이템으로 나온다. 줄기는 섭취 시 게임 기준 150Kcal의 열량을 얻을 수 있다. 겨울이 끝나지 않는 설정의 게임이라 대부분의 식물은 다 얼어 죽어서 이 게임에서 몇 없는 식용 식물로 나오며, 게임 배경이 캐나다의 깨끗한 자연이라 줄기를 먹고 병에 걸리는 묘사는 없다. 오히려 절대 상하지 않고 가벼운 식량이라 틈나면 여러개 챙겨놓는 효자 식량 취급. 뿌리는 땅이 얼어붙어 파지 못하고 새순은 겨울이기 때문에 나오지 않아서 그런걸 획득하는 묘사는 없다.

식물 vs 좀비에서 유도 공격을 하는 식물로 등장했다. 이름이 Cat Tail이라 고양이 얼굴로 나오며 꼬리로 공격한다.


[1] 수꽃은 노란색, 암꽃은 녹색이다. [2] 마오리족은 부들을 라우포(Raupo)라고 불렀는데, 초가집처럼, 전통 가옥을 라우포의 줄기를 엮어서 지었다고 한다. [3] 80여대를 수용하는 공영주차장도 습지 옆에 있다. 왕송호수는 가러기 따오기 원앙 쇠물닭 등 여러 철새 도래지 군락지이며 철새 학습관도 있다. [4] 이때 의약의 신 오오쿠니누시가 해당 방법을 알려주었다고 한다. [5] 촐랑거리며 뛰어다니다 돌부리에 걸려 넘어졌다. 구판, 신판 모두 해당.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