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06:12:35

보상화무늬

보상화문에서 넘어옴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 파일:1px 투명.svg 불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 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세계관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상징 법륜 ·
경전 불경 · 결집
종파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계율 5계 · 오신채
사원 (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미술 불상 · 불화( 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법구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의식 수계 · 예불 · 불공( 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 사십구재) · 참선 · 사경
문화 법회( 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 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불자 승려( 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기타 가부좌 · 사리 · 파계( 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수나라 · 당나라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ce5b6> 역사 수당시대( 수말당초)
정치 관롱집단 | 개원지치 | 무덕율령 | 황제( 틀:역대 수 황제 | 틀:역대 당 황제( 틀:역대 무주 황제))
사법·치안 부병제( 수나라군 | 당나라군) | 3성 6부제 | 추밀원(중국사) | 과거 제도 | 도독부 | 도호부( 틀:당 6도호부) | 번진 | 절도사
외교 틀:수나라의 대외관계 | 틀:당나라의 대외관계
행정구역 틀:수나라의 행정구역 | 틀:당나라의 행정구역
경제 오수전 | 개원통보
교통 대운하
인물 당나라/인물
문화 태극궁 | 자미궁 | 대명궁 | 당삼채 | 절운 | 측천문자
기타 수나라의 대외전쟁 | 수말당초 주요 세력 | 수나라의 연호
오대십국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


1. 개요2. 상세3. 관련 문서4. 같이 보기

寶相華文

1. 개요

불교 세계에 등장하는 가상의 꽃들을 새긴 무늬장식의 일종.

2. 상세

'보상화문(寶相華文)'이라고도 부르며, "보상화"라고 불리는 가상의 식물을 새긴 무늬를 일컫는다. 여러 방향의 꽃잎, 그리고 때때로 꽃잎 사이에 작게 빛, 덩굴이나 풀 등을 새기기도 한다. 주로 모란, 연꽃 등이 모티브가 되는 경우가 많다.

보상화무늬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기는 약 7세기 쯤으로, 7세기 이전에도 그리스 및 알렉산드로스 제국 때부터 보화문이라는 문양이 있었고 고대 동아시아권에서도 보상화무늬와 비슷한 문양들이 쓰였으나 7세기 사산 왕조 페르시아 등 서역으로부터 전해진 식물무늬들이 중국에 전해졌고, 수당시대에 더욱 발전했다. 처음에는 주로 여섯 잎까지였다가 이후 여덟 잎으로 더 늘어났다. 나중에 열 가지 이상의 잎으로 늘어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말기부터 비슷한 문양이 알려졌다. 백제시대 기와에서도 보상화무늬 비슷한 무늬가 새겨진 기와가 있으며,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보상화무늬와 비슷한 무늬가 그려진 벽화가 있었던 걸 볼 때 고구려에도 알려졌다. 한국에서 장식으로서 사용되었을 때에는 삼국시대 이후 통일신라시대, 그리고 발해 고려 시대에 발전되었다.

3. 관련 문서

4.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