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21 18:33:06

호주-발트 3국 관계

호주-발트 3국 관계 관련 틀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서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세아니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다자관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CANZUK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이브 아이즈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호주-발트 3국 관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Quad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다자관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발트 3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 3국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호주·발트 3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미국·발트 3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루블린 삼각동맹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다자관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발트 3국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호주·발트 3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미국·발트 3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 3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다자관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발트 3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발트 3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발트 3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 3국
}}}}}}}}} ||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호주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1. 개요2. 호주-리투아니아 관계3. 호주-라트비아 관계4. 호주-에스토니아 관계5. 문화 교류6. 관련 문서

1. 개요

호주 발트 3국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호주는 전간기 1921년 9월 22일 국제연맹에 가입하면서 발트 3국과 수교하였으며 소련 해체 이후 재독립한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와 재수교했다. 오늘날 호주와 발트 3국은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1948년, 캔버라 주재 소련 대사관이 호주에 거주하고 있는 발트 3국 출신 난민들을 소련 국민으로 취급할 것을 공표하였으나 호주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난민으로 인정하거나 호주 시민권을 주었다. 1949년 호주 측에서는 소련의 요구를 다음과 같은 말로 일축하였다.
The Australian Government has not recognised, and does not intend to recognise, the absorption into the Soviet Union of the formerly independent republics of Latvia, Lithuania and Estonia.
호주 정부는 과거 독립국이었던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가 소련으로 흡수되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며, 인정할 의사도 없습니다.

발트 3국은 2004년 유럽연합에 가입하였으며, 나토에도 가입하였다. 호주는 나토에 따로 가입하지는 않았지만 나토의 주요 협력국 중 하나이다. #

2. 호주-리투아니아 관계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호주
Australia
Australija
리투아니아
Lietuva
Lithuania
호주와 리투아니아의 수교는 1921년부로 이루어졌고 2차대전 전후로 소련에 의해 리투아니아가 합병당할 당시에 리투아니아인들이 호주로 이주한 적이 있었다. 호주로 이주한 리투아니아인들은 리투아니아계 호주인이 되었다. 양국은 소련 해체 이후 재수교하였다.

2016년 통계에 의하면 호주에는 리투아니아계 호주인 16,292명이 거주하고 있다. 리투아니아는 해외와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발달한 국가로 상당수의 리투아니아인 학생들이 호주에 교환학생으로 파견되어 있다.

2021년에 리투아니아측은 호주에 대사관을 개설했다고 밝혔다. #

3. 호주-라트비아 관계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호주
Australia
Austrālija
라트비아
Latvija
Latvia
호주는 1991년 8월 27일부로 라트비아의 독립을 인정하고 수교하였으며, 1993년부로 무역 및 경제 협력, 2005년부로 범죄인 인도 협정을 맺었다. 라트비아는 1999년 2월 10일 세계무역기구(WTO), 2016년 7월 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했고 이를 계기로 호주와 무역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2018년 호주의 라트비아 상품 교역액은 8,370만 달러로 2017년보다 167.6% 증가했다.

2016년 통계 기준 호주에는 20,514명의 라트비아계 호주인이 거주하고 있다.

4. 호주-에스토니아 관계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호주
Australia
Austraalia
에스토니아
Eesti
Estonia
호주는 1921년 9월 22일부로 에스토니아와 수교하였으며 1991년 11월 21일에 외교 관계를 재수립했다. 전간기 당시에는 주핀란드 호주 대사관이 에스토니아 관련 업무도 겸임하였다.

에스토니아는 2015년 2월 18일부터 캔버라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해당 대사관은 뉴질랜드, 인도네시아, ASEAN과의 관계도 책임지고 있다.

호주와 에스토니아 양국은 2005년 5월부로 워킹 홀리데이 비자 협정을 체결했다. #

에스토니아계 호주인들은 1914년 멜버른에 에스토니아인 협회를 창설하였으며, 1940~44년 당시 수천여 명 규모의 에스토니아인 난민들이 호주로 유입되었다. 에스토니아계 호주인 인구는 2016년 인구조사 기준 9,500여 명에 달한다.

5. 문화 교류

호주와 발트 3국은 수교한 이후, 문화적으로도 교류가 많아지고 있다. 소련 해체 이후 발트 3국에서 영어 교육이 강화되고 발트 3국 국민 상당수가 영어 구사가 가능해지며 협력이 빠른 속도로 증진되고 있다.[1] 리투아니아인, 라트비아인, 에스토니아인들 중에는 호주로 유학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6. 관련 문서



[1] 특히 청년층-여성층에서는 자국 언어보다 영어를 더 유창하게 구사하는 인구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