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03:44:54

모리모토 히초리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6298><tablebgcolor=#006298>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유색배경).svg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24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6298><colcolor=#ffffff> 1군 1 신조 츠요시감독 · 77 하야시 타카야수석 · 81 타테야마 요시노리투수
82 카토 타케하루투수 · 73 타케다 히사시투수 · 89 야기 히로시타격 · 72 야마다 카츠히코배터리
85 야치 료타내야수비·주루 · 80 모리모토 히초리외야수비·주루 · 79 다이타 타케노리데이터 분석관·주루
2군 90 이나바 아츠노리2군 감독 · 78 시미즈 마사지종합 · 84 이토 타케시투수 · 91 카네코 치히로투수
83 우라노 히로시투수 · 87 사토 토모야키타격 · 75 오다 토모유키타격 · 75 야마나카 키요시포수 인스트럭터
74 이와다테 마나부내야 수비·주루 · 76 콘타 토시마사외야 수비·주루
코칭스태프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육성선수
틀: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로 돌아가기
다른 NPB 리그 팀 명단 보기
}}}}}}}}}}}} ||
모리모토 히초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6닛폰햄우승.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 반지
2006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역대 외야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야마다 덴
한큐군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교진군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벳토 카오루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와타나베 히로유키
한신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와타나베 히로유키
오사카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모리 토오루
주니치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사카자키 카즈히코
요미우리
모리 토오루
주니치
오와다 아키라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모리 토오루
주니치
나카 토시오
주니치
나미키 테루오
오사카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모리나가 카츠하루
히로시마
나미키 테루오
한신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모리나가 카츠하루
히로시마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후지이 에이지
한신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시게마츠 쇼조
타이요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에토 신이치
주니치
나카 아키오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에토 신이치
주니치
나카 아키오
주니치
야마모토 카즈요시
히로시마
나카 아키오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에토 신이치
주니치
데이브 로버츠
산케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히로시마
데이브 로버츠
아톰즈
야마모토 카즈요시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니카 아키오
주니치
에지리 아키라
타이요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에지리 아키라
타이요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스에츠구 토시마츠
요미우리
진 마틴
주니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이노우에 히로아키
주니치
로저 레포즈
야쿠르트
하리모토 이사오
요미우리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하리모토 이사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찰리 매뉴얼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마이크 라인백
한신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스기우라 토오루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짐 라이틀
히로시마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나가사키 케이지
타이요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마츠모토 타다시
타이요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스기우라 토오루
야쿠르트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짐 파초렉
타이요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히코노 토시카츠
주니치
야마자키 켄이치
타이요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짐 파초렉
타이요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로버트 제임스 레이놀즈
타이요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래리 시츠
타이요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알론조 파웰
주니치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알론조 파웰
주니치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글렌 브렉스
요코하마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알론조 파웰
주니치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알론조 파웰
주니치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세키카와 코이치
주니치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이나바 아츠노리
야쿠르트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시미즈 타카유키
요미우리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터피 로즈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맷 머튼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맷 머튼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맷 머튼
한신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맷 머튼
한신
유헤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츠츠고 요시토모
DeNA
후쿠도메 코스케
한신
히라타 료스케
주니치
츠츠고 요시토모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츠츠고 요시토모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네프탈리 소토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네프탈리 소토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사노 케이타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시오미 야스타카
야쿠르트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치카모토 코지
한신
치카모토 코지
한신
사노 케이타
DeNA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치카모토 코지
한신
니시카와 료마
히로시마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호소카와 세이야
주니치
치카모토 코지
한신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호리이 카즈오
난카이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세키구치 세이지
니시테츠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토쿠라 카츠키
한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토쿠라 카츠키
한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오오시타 히로시
세이부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세키구치 세이지
세이부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타미야 켄지로
다이마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타미야 켄지로
다이마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요시다 카츠토요
토에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호리고메 모토아키
난카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도이 마사히로
킨테츠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도이 마사히로
킨테츠
조지 알트맨
오리온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나가부치 요죠
킨테츠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조지 알트맨
오리온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조지 알트맨
오리온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닛타쿠홈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닛타쿠홈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돈 뷰폴드
타이헤이요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히로타 스미오
롯데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백인천
타이헤이요
히로타 스미오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레론 리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미노다 코지
한큐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레론 리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테리 윗필드
세이부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미노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테리 윗필드
세이부
미노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마노 테루미츠
한큐
카나모리 에이지
세이부
요코타 마사유키
롯데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요코타 마사유키
롯데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토니 브루워
닛폰햄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후지이 야스오
오릭스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이시미네 카즈히코
오릭스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타카하시 사토시
오릭스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후지이 야스오
오릭스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케빈 라이머
다이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다린 잭슨
세이부
이치로
오릭스
타구치 소
오릭스
무라마츠 아리히토
다이에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터피 로즈
킨테츠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오오무라 나오유키
킨테츠
이치로
오릭스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셔먼 오반도
닛폰햄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이소베 코이치
킨테츠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SHINJO
닛폰햄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맷 프랑코
롯데
미야지 카츠히코
소프트뱅크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모리모토 히초리
닛폰햄
오오무라 나오유키
소프트뱅크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릭 쇼트
라쿠텐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텟페이
라쿠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타무라 히토시
소프트뱅크
T-오카다
오릭스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나카타 쇼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나카타 쇼
닛폰햄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키요타 이쿠히로
롯데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오기노 타카시
롯데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콘도 켄스케
닛폰햄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마츠모토 고
닛폰햄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만나미 츄세이
닛폰햄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06~2008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든글러브
모리모토 히초리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이나바 아츠노리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신조 츠요시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모리모토 히초리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오오무라 사부로
( 치바 롯데 마린즈)
이나바 아츠노리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모리모토 히초리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사카구치 토모타카
( 오릭스 버팔로즈)
이나바 아츠노리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53번
하야시다 켄고
(1997~1998)
모리모토 히초리
(1999)
라몬 타티스
(2000)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46번
이토 타케시
(1999)
모리모토 히초리
(2000~2006)
우에무라 유스케
(2007~2013)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1번
신조 츠요시
(2004~2006)
모리모토 히초리
(2007~2010)
양다이강
(2013~2016)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등번호 5번
노구치 토시히로
(2009~2010)
<colbgcolor=#009dec> 모리모토 히초리
(2011~2013)
쿠라모토 토시히코
(2015~2022)
{{{#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0번}}}
오사키 유타로
(2007~2012)
모리모토 히초리
(2014~2015)
키무라 쇼고
(2016~2017)
}}} ||
파일:2c062bed1430815b78571e8a01518284.jpg
<colbgcolor=#006298><colcolor=#ffffff>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No.80
모리모토 히초리
森本稀哲 | Hichori Morimoto
한국명 이희철(李稀哲)
출생 1981년 1월 31일 ([age(1981-01-31)]세)
도쿄도 아라카와구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본적 제주특별자치도
학력 테이쿄 고등학교 (졸업)
신체 185cm | 81kg
포지션 외야수, 1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98년 드래프트 4위 (전체 40번, 닛폰햄)
소속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1999~2010)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 (2011~2013)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2014~2015)
지도자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1군 외야수비·주루코치 (2023~)
응원가 닛폰햄 시절[1][2]
요코하마 시절[3]
세이부 시절 [4]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 3. 프로 입단 전4. 프로 입단 후5. 은퇴 이후6. 여담
6.1. 스킨헤드를 하는 이유6.2. 재일 한국인 3세 정체성과 이름의 유래6.3. 신조 츠요시의 후계자
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image/295/2011/09/02/d.jpg
나는 '유쾌한' 희철 씨입니다 - 2011년 현역 시절 진행한 박동희 기자와의 인터뷰 기사에서 한국 팬들을 위해 행한 '급조' 퍼포먼스...

일본프로야구 선수. 은퇴 이후에는 입담을 살려 야구 해설자로 활동하다가, 현재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1군 외야수비 및 주루코치를 역임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도 운영하고 있다.[5]

재일 한국인 3세이며, 이희철(李稀哲)이라는 한국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애초에 '히초리'라는 이름부터가 '희철'을 일본식으로 읽은 것.

2. 플레이 스타일

수비형 외야수로 타격 자체는 그렇게 돋보이는 편이 아니나, 드넓은 삿포로 돔의 외야를 책임졌던 우수한 수비력과 허슬 플레이, 그리고 아래 나올 여러 똘끼, 팬서비스 정신 덕에 컬트적인 인기를 자랑하는 선수였다. 특히 외야수비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연속 골든글러브를 수상할 정도로 높이 평가받았다.

풀타임 초창기엔 좌익수로서 2006년 우승 당시 좌익수 모리모토 - 중견수 신조 츠요시 - 우익수 이나바 아츠노리의 철벽 외야진을 구성했으며, 신조 츠요시가 은퇴한 뒤인 2007년부터 신조의 등번호 1번과 함께 닛폰햄의 주전 중견수를 물려받아 그 해 3할 타율에 31도루를 마크하며 커리어하이를 기록했다.

한편으로 2007년엔 111삼진에 볼삼비가 1:2에 달할 정도로 극단적인 배드볼 히터의 면모를 보여주기도 했으며 중거리 타자임에도 불구하고 꽤나 삼진이 많았다. 2009년 시즌 이후로는 2번 타순에 자주 배치되면서 희생 번트가 크게 늘었다.

3. 프로 입단 전

재일 한국인인 아버지와 제주도 출신 한국인 어머니[6]사이에서 태어났다. 중학교 시절에는 축구를 병행하며 J리그 도쿄 베르디의 입단 테스트를 볼 정도로 운동에 자질이 있었다. 테이쿄 중학교·고등학교 시절[7]에는 1998년에 야구부 주장을 맡았고, 유격수로서 제80회 하계 코시엔 대회에 출전하여 3차전인 시마네 현립 하마다 고등학교와의 경기에서 8회에 와다 츠요시로부터 동점 홈런을 때려냈으나 이후 팀이 패배하며 우승엔 실패했다. 고교 시절에는 통산 34홈런을 기록하며 강타자로도 주목받았다.

이후 1998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닛폰햄 파이터즈의 4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고, 프로 입단 직후 외야수로 전향했다.

4. 프로 입단 후

4.1. 닛폰햄 파이터즈 시절

4.1.1. 1999년 ~ 2005년

프로 2년째인 2000년에 1군 무대 첫 출전과 첫 홈런을 달성했으며 주로 대수비 대주자 요원으로 기용되었다. 2003년에는 닛폰햄 감독으로 취임한 트레이 힐만 감독으로부터 일본의 버니 윌리엄스가 될 선수라는 칭찬을 듣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아 1번- 중견수로서 처음으로 개막전 선발 명단에 올랐다. 4월에만 4개의 홈런을 기록했지만 그 이후에는 성적이 침체되면서 한신 타이거스에서 이적해 온 츠보이 토모치카[8]에게 주전을 빼앗겨 대수비·대주자로 뛰었다.

2005년에는 재차 타격 성적이 향상되면서 처음으로 100경기 이상에 출전하였고 타율 .264, 7홈런을 기록했다.

4.1.2. 2006년

개막전 전후로 주전 좌익수였던 츠보이 토모치카가 부상으로 이탈하게 되면서 4월 하순 무렵부터 1번- 좌익수 자리를 꿰차게 되었다. 주전으로서의 첫 풀타임 시즌을 맞이하며 처음으로 규정타석을 채웠고, 그 외에도 리그 최다 득점을 기록하는 등 테이블 세터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같은 팀의 동료 외야수인 신조 츠요시, 이나바 아츠노리와 함께 골든글러브를 수상했고[9] 올스타전에서도 처음으로 출장한 데 이어 2006년 일본시리즈 5차전에선 마지막 아웃카운트인 좌익수 쪽 뜬공을 잡아내며 팀의 44년 만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자신의 손으로 결정지었다. 당시 아웃을 잡아낸 직후 중견수 신조 츠요시와 부둥켜 우는 장면은 현재까지도 2006년의 닛폰햄을 상징하는 명장면으로 회자되며, 후에 이미 눈시울이 붉어진 상태에서 타구가 자신에게 날아올 때 행여나 놓칠까봐 걱정했다는 말을 남겼다.

4.1.3. 2007년

은퇴를 선언한 신조 츠요시 중견수 포지션과 등번호 1번을 물려받았다. 시즌 종반까지 세이부 라이온즈 카타오카 야스유키와 도루왕 타이틀을 놓고 경쟁했으나 아쉽게 도루왕 수상엔 실패하고 말았다. 팀내 부동의 1번 타자로서 전 경기 풀 이닝 출전을 완수했다. 처음으로 3할 대의 타율을 기록했고, 당시 퍼시픽리그 역대 6위 타이 기록이던 24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했다. 이는 오시타 히로시와 대등한 구단 사상 최다 타이 기록이기도 했다. 우타자이지만 내야안타 갯수도 이나바 아츠노리의 뒤를 이은 리그 2위를 기록했다. 최다 득표를 얻어 골든글러브상(2년 연속)과 베스트나인을 동시에 수상했고, 강한 어깨를 보여주면서 보살 개수는 양대 리그 1위인 15개를 기록했다.

4.1.4. 2008년

5월 25일의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 상대 투수 니시무라 겐타로로부터 사구를 받아 왼손 새끼손가락에 골절상을 입었고(전치 5주), 2006년부터 계속되고 있던 연속 경기 풀 이닝 출전 기록도 중단되었다. 후반기에는 부상의 영향으로 인해 부진에 시달리는 등 개인 최저 성적을 기록했다. 그래도 골든글러브상은 수상했다.

4.1.5. 2009년

이토이 요시오에 주전 중견수 자리를 빼앗겨 좌익수로 자주 출전하게 되었지만, 타격 부진으로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되는 일이 많아지면서 출전 기회가 크게 감소되었다. 올스타전을 앞두고 타격이 살아나면서 출전 기회도 증가하고 있었지만 8월 6일의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전에서 경기 도중 사구를 받아 전년도에 부상당했던 왼쪽 새끼 손가락에 다시 골절상을 입었다. 107경기에 출전했지만 규정 타석은 채우지 못했고 타율도 2할 4푼 7리로 시즌을 마쳤다. 다나카 켄스케가 1번 타자로 뛰면서 2번 타자로 자주 기용되었고, 리그 최다인 43개의 희생타를 기록해 높은 성공률을 자랑했지만 일본시리즈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는 몇 차례나 번트 실패를 반복하는 등 2개의 병살타를 기록할 정도로 부진했다.

5월에 국내 이적이 가능한 FA권을 취득했지만 FA권을 행사하지 않고 닛폰햄에 잔류를 선언했다. 기자회견에서는 “어떤 조건을 나와도 잔류할 생각이었다. 다른 팀에서 플레이할 이유가 전혀 없다”라고 말했다.

4.1.6. 2010년

7월 14일의 세이부 라이온즈전에서는 1회 희생 번트를 시도했을 때 노가미 료마로부터 사구를 받아 퇴장당했다. 또다시 오른손 새끼손가락에 골절상을 입으면서 다음날 1군 등록이 말소되었다. 3년 연속으로 새끼손가락에 사구를 맞아 골절상을 입었지만(...) 리그 최다인 55개의 희생타를 기록했고 타율도 2할 7푼 2리를 기록하는 등 타격 면에서 서서히 회복되는 듯한 모습이 보였다.

결국 줄어드는 팀내 입지 때문인지 시즌 종료 후 FA를 선언했고, 12월 1일에 요코하마 베이스타즈로의 이적이 발표되면서 12월 11일에 정식으로 계약을 했다.

4.2.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시절

파일:827058fd7e9d32d90c40be13320d03da.jpg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140410181105807.jpg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시절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시절

요코하마로 이적하지만 부상 등에 시달리며 2011년에는 48경기에만 나와 .187/.236/.246의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2012년에는 강타자 알렉스 라미레즈와 신인 아라나미 쇼에 밀려 경기 후반 대수비로 교체투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던 중 9월 말 골절상을 입으며 그대로 시즌을 마쳤다. 시즌 성적은 108경기 0.244/0.320/0.323, 3홈런 18타점.

2013년에는 1군에서 거의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시즌 종료 뒤 전력외 통보를 받았다. 일단 본인은 현역 속행을 원했고, 11월 19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 계약을 하며 일단 현역생활은 이어가게 됐다.

2014년에는 세이부에서 대타, 대수비, 대주자요원으로 쏠쏠한 활약을 하며 99 경기에 출장하였다. 언제나처럼 쇼맨십을 발휘하며 덕아웃의 분위기를 북돋아준 것은 덤.

2015년에는 전년도와 같은 활약은 하지 못하고 결국 은퇴를 선언하였다.

5. 은퇴 이후

은퇴 후에는 특유의 예능감을 살려 야구 해설자로 방송에 출연하고 있다.

2023 시즌부터 친정 닛폰햄의 1군 코치직을 역임하게 되었다.

6. 여담

6.1. 스킨헤드를 하는 이유

초등학교 시절 범발성 원형 탈모증에 걸렸었다. 이때문에 이지메를 당했다고. 현재는 거의 극복하였지만 당시의 고생을 잊지 않기 위해서 또한 같은 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기 위해서도 매일 머리를 밀며 스킨헤드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한국에 홍미륵이 있다면 일본엔 철미륵이 있다!

6.2. 재일 한국인 3세 정체성과 이름의 유래

"히초리(ひちょり)"라는 이름은 "희철(稀哲)"의 한국어 발음에서 따온 것으로 아버지가 명명했다. 당연히 보통의 일본 이름에서 볼 수 없는 발음인 탓에 프로 입단 당시, 일부 선수명감(일종의 가이드북)에서는 글자를 잘못 봐서 "히초리(ひちょり)"가 아닌 "히로요리(ひろより)"라 적히거나, "稀哲(희철)"이 "秘哲(비철)"로 오기되었던 경우가 있다.[10] 초등학교는 민단 계열 한국학교 동경한국학교로 진학했고, 본인도 "재일동포로서 민족 의식이 강했었습니다" 라고 밝히기도 했다. 부모는 도쿄 아라카와구 니시닛포리(西日暮里)에서 에리카(絵理花)라는 야키니쿠집을 운영했으나, 건물의 노후화와 부모의 체력적인 문제로 인해 2013년 10월을 마지막으로 폐점했다. 2007년 11월에 일본으로 귀화했으며, 2012년 3월 혼인 신고서 제출, 2014년 7월에 득녀하였다.

부모가 모두 제주도 출신이라 제주도에 친척들이 많이 산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닛폰햄에서 FA로 풀렸을 때 한국프로야구 진출도 진지하게 생각했었다고 한다. 한국프로야구는 해외교포선수 제도가 있기 때문에 외국인 선수 자리를 차지하지 않고 뛸 수 있고, 상위 리그인 일본리그 주전을 뛴 그 정도면 한국에서도 충분히 통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프로야구에서 활동했던 외국인 선수들에게 조언을 구했는데, 다들 일본과 환경이 많이 다르고 훈련량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등의 이유를 대며 상당히 어려울 거라고 만류하여 본인도 단념하고 재일교포로서 일본에서 열심히 활동하는 쪽을 택했다고.아깝다

6.3. 신조 츠요시의 후계자

2006년 7월 21일, 메이지진구 야구장에서 열린 올스타전 1차전에서 피콜로의 코스프레를 하고 나와 화제가 되었다.[11]
파일:external/cdn-ak.f.st-hatena.com/20150921175141.jpg
절대 합성이 아니다.

파일:/image/295/2011/09/02/%25B8%25F0%25B8%25AE%25B8%25F0%25C5%25E4-%25C8%25F7%25C3%25CA%25B8%25AE.%25BD%25BA%25C6%25F7%25C3%25F7%25C3%25E1%25C3%25DF5.jpg
모리모토의 분장을 보고 옆에서 웃음을 멈추지 못하는 같은 대머리(...) 기요하라 가즈히로(왼쪽)와 마쓰자카 다이스케(오른쪽)

파일:external/cdn-ak.f.st-hatena.com/20070721225512.jpg
콘헤드처럼 분장을 한 적도 있다.

신조 츠요시가 은퇴한 뒤 등번호 1번을 물려받음과 동시에 신조의 개그센스도 함께 물려받는다고 선언했다. 2008년엔 신조와 함께 삿포로 돔 천장에서 줄을 타고 내려온 적이 있으며 닛폰햄 시절 연봉 협상 때는 돈 문제 따윈 제쳐놓고 어떤 이벤트를 해야하는가 의논하는 게 대부분이었다고 한다. 이렇듯 팬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 덕에 팬서비스 정신으로 유명했던 신조의 후계자로서 인정받았다.

파일:external/www.sanspo.com/bse1012111611000-p2.jpg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입단식의 모습. 차이나타운에서 라면맨을 코스프레한 채 공식 입단식을 치렀다. 중국무술 영화 시사회가 아니다


요코하마 시절, 데뷔팀 닛폰햄과의 홈경기에서 경기가 우천순연되는 와중에 후배 코야노 에이이치 프로레슬링 놀이를 하는 장면. 이렇게 소소하게 재미있는 장면들을 자주 연출했다.

이만수 SK 와이번스 감독이 수석코치 시절인 2007년에 했던 팬티만 입고 구장 한바퀴 돌기 쇼에 대해서 매우 잘 알고 있었다. 당시 기자가 어떻게 이에 대해 알았냐고 묻자 진정한 행위예술가는 세계의 퍼포먼스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어야 합니다라고 말해 여러 사람들을 배꼽잡게 했다.

7. 관련 문서



[1] (전주) 焼肉絵理花 日暮里駅前 歩いて5分の一等地 ( 야키니쿠 에리카 닛포리역 앞에서 걸어서 5분 거리의 일등지) / 후술하겠지만 히초리의 부모님이 운영하시던 야키니쿠집의 주소를 홍보하는 PR(...)로, 당시 닛폰햄의 엽기적인 작사센스를 상징하는 사례 중 하나다. 전주 가사가 확실히 들리는 응원 영상 [2] 心の叫びを バットにぶつけろ 立ち上がれ いざ見せろ 燃える 男の魂を (마음의 외침을 배트에 부딪쳐라 일어나라 자 보여줘라 타오르는 남자의 혼을) [3] 心奮わす 君の情熱 掴めその手に 輝く星を (마음을 흔드는 너의 열정을 잡아라 그 손으로 빛나는 별을), 동키콩 컨트리의 오프닝이 사용되었다. [4] 待ってた晴れ舞台 コールが響く 茜空に映える シルエット oh oh 稀哲 oh oh 稀哲 さぁ星のように 眩しく光れ (기다려온 맑은 무대 콜이 울린다 노을에 빛나는 실루엣 oh oh 히초리 oh oh 히초리 자 별처럼 눈부시게 빛나라) [5] 유튜브 채널을 한국식으로 발음하면 '히초리즘' 이 된다. 히초리+알고리즘으로 보이며, 자신의 영상이 알고리즘으로 인하여 떴으면 좋겠다는 의미인 것으로 추정된다. [6] 일본인이라는 루머도 돌았지만 한국인이 맞다라는게 정설이었고, 2015년 9월 28일 인터뷰에서 어머니의 국적이 대한민국이라고 밝히며 사실로 확정 되었다. [7] 테이쿄 고등학교가 1995년 여름 코시엔을 우승한 다음 해인 1996년 코시엔 대회를 취재한 Q채널 아시아 리포트 다큐(' 기적의 백홈'이 도입부와 끝부분에 자료화면으로 나온다)에 고교 시절의 모리모토가 잠깐 등장한다. 수많은 빡빡이들 사이에서도 유달리 빛나는 그의 머리 다만 테이쿄 고교의 감독 이름이 본명인 '마에다 미츠오'(前田三夫)가 아닌 나카무라로 나오는 등 자잘한 오류가 있긴 하다. [8] 스즈키 이치로와 유사한 '시계추 타법'을 구사하는 교타자였다. 말년에는 미국 독립리그에서도 뛰었다. [9] 한 팀의 주전 외야진 전원이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것은 일본에서도 이례적인 일이었다. 참고로 일본의 골든글러브는 수비만을 평가한다. [10] 여담으로 秘(비) 역시 일본어로 히(ひ)라고 읽을 수 있다. [11] 참고로 이 해 올스타전에 신조도 선발되었는데, 이날 신조는 LED 전광판이 달린 벨트를 차고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