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4 01:17:21

등패병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d400> 역사 역사 | 왕사 | 병자호란 | 네르친스크 조약 | 삼번의 난 | 강건성세 | 백련교도의 난 | 아편전쟁 | 태평천국 운동 | 양무운동 | 청일전쟁 | 변법자강운동 | 의화단 운동 | 신해혁명
상징 공금구 | 송룡기
정치 황제 | | 틀:역대 청 황제 | 청황실 소조정
군사·사법 팔기군 | 녹영 | 흠정 헌법 대강 | 이번원 | 종인부 | 천진무비학당
외교 청나라/대외 관계( 틀:청나라의 대외관계) | 난징조약 | 톈진조약 | 베이징 조약 | 신축조약
행정구역 만주 | 푸순시 | 랴오양 | 선양시 | 베이징시
인물 틀:역대 청 황후 | 틀:역대 청나라 후궁 | 틀:역대 청 황태자 | 아이신기오로 도르곤 | 아담 샬 |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 임칙서 | 보르지기트 셍게린첸 | 서태후 | 공친왕
문화 문화 | 홍루몽 | 선양고궁 | 삼궤구고두례 | 만주족 | 만주 문자 | 만주어 | 티베트 불교 | 대승불교
경제 공행 | 은본위제 | 청나라 채권
기타 명청시대 | 명말청초 | 입관 | 청말 4대 기안 | 틀:청나라의 대외전쟁
수나라&당나라 · 오대십국 · 송나라 · 대만 | 중국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삼국시대 위군 촉군 오군
당나라 당나라군
송나라(북송) 송나라군 요나라군 서하군
송나라(남송) 송나라군 금나라군 서하군
원나라 원나라군
명나라 명나라군
청나라 팔기군 / 녹영 / 북양해군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군벌 홍군
( 팔로군, 신사군)
관동군 대만군(일본) 만주군 중국 위군
중국 중국 인민해방군 중화민국 국군 }}}}}}}}}


파일:호랑이전사>:3.jpg
이게 그나마 알려진 사진이다.

1. 개요2. 역사3. 무장4. 기타

[clearfix]

1. 개요

청나라군의 특수부대 이자 높은 지위를 가진 군대

2. 역사


이들은 팔기군과 녹영과 함께 청나라군의 유서 깊은 군부대 였다.

장성공의 부하들 중 호랑이 탈을 쓴 병사들을 보고 감명받은 당시 청나라군은 항복한 임흥주를 채용해 복건성 출신들로 이루어진 등패병들을 창설한다.

이들은 나선정벌 당시 등나무 방패가 물에 잘 뜬 다는 점을 이용해 몰래 몰 속 에서 잠입한 후 루스 차르국 함대의 배에 들어가 30명을 죽이고 15명을 포로를 잡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나 팔기군과 녹영이 그랬듯이 이들도 정치적인 이유로 서구문물이 들어오는 마당에도 역사적 상징이라는 이유로 계속 유지 되었다.

게다가 자신들이 정예병이라는 인식 때문에 만주족인 팔기군은 물론 같은 한족인 녹영 마저도 이들을 고깝게 보고 있었다.

물론 이들 또한 세습에다 기강이 해이해진 문제도 역시 발생했다. 이직이 자유로운 녹영과는 달리 이들은 팔기군 처럼 이직이 자유롭지 못 했다.

결국 이들은 아편전쟁, 청불전쟁, 청일전쟁, 의화단 전쟁, 조청국경분쟁 등 에서 모조리 패배했다.

신해혁명 기점으로 해체 되었다고 한다.

3. 무장

4. 기타


남미에는 이와 유사한 독수리 전사, 재규어 전사가 존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