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77b4db><colcolor=#fff> 돌아와요 부산항에 Come Back to Busan Harbor |
||
가수 | 조용필 | |
수록 음반 | ||
발매일 |
[[틀:깃발|
1972년
2월 25일 [[틀:깃발| ]][[틀:깃발| ]][[대한민국| ]] 1976년 4월 25일 (돌아와요 부산항에 / 너무 짧아요) [[틀:깃발| ]][[틀:깃발| ]][[대한민국| ]] 1980년 3월 20일 (조용필 1집) |
]][[틀:깃발| ]][[대한민국| ]] |
재생 시간 |
2분 43초 2분 38초 (돌아와요 부산항에 / 너무 짧아요) 3분 25초 (조용필 1집) |
|
장르 | 트로트 | |
작사 | 황선우 | |
작곡 | ||
원곡 | 김해일 〈돌아와요 충무항에〉 | |
노래방 | 금영 | 290 |
TJ | 557 |
[clearfix]
1. 개요
1972년 오리지널 버전 | 1976년 재녹음 버전 |
1980년 조용필 1집 재녹음 버전 | 1991년 재녹음 버전 |
1998년 30주년 기념 앨범에 수록된 버전 | 2015년 45주년 기념 콘서트 음원 |
조용필의 데뷔곡이자 최대 히트곡 중 하나. 부산광역시를 상징하는 노래 중 하나이며, 롯데 자이언츠를 대표하는 응원가이기도 하다.
2. 역사
다소 복잡한 사연을 거쳤다. 나중에 큰 히트곡이 되었지만, 히트하기 전에는 발표되고도 한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고 그 과정에서 몇번 편곡을 거치며 곡의 분위기도 달라졌다. 또 그 과정에서 가사 표절 판정을 받기도 했다. 정확히는 이 곡의 작사 겸 작곡가 황선우가 가사의 일부를 표절했다는 판정이다.[1]1969년 작곡가 황선우가 처음 이 곡을 처음 만들었을 때의 제목은 "돌아와요 부산항에"였다. 황선우는 이 곡을 충무시[2] 출신의 가수 지망생이었던 김해일(본명 김성술)과 음반 작업을 하게 되었는데, 김해일이 "충무시와 관련된 노래를 부르면 충무시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라고 얘기를 하여 제목을 "돌아와요 충무항에"라고 바꾸고 이 곡에다가 김해일 본인이 가사를 작사한 후 김해일 본인이 직접 노래를 불러 <유니버설레코드사>가 1970년 12월 16일에 발표했다. #[3]
돌아와요 충무항에 |
다만 "돌아와요 충무항에"는 당시에 거의 전혀 알려지지 못했는데, 지금의 곡과는 달리 달리 다소 밋밋하고 늘어지는 반주였다. 가수였던 김해일은 음반 발표 후 별다른 활동을 안 하다가 얼마 후 군에 입대를 했다. 이후 1971년 12월 휴가를 나왔다가 대연각 화재사건 때 사망하고 말았다. 그의 사망 후 슬픔에 잠긴 유가족들은 음반을 전부 회수해 불사르면서 묻혔다가, 훗날 김성술의 친구가 간직하고 있던 음반이 세상에 다시 드러난다. # # KBS 방송자료실에도 보관되었던 모양이다. #
작곡가 황선우는 이 곡이 사장되는 것을 안타까워하여 1972년에 이 곡을 다시 김트리오의 멤버였던 조용필에게 줬다. 황선우는 제목을 원래 자신이 원했던 "돌아와요 부산항에"라고 바꾸고 가사도 일부 수정하여 1972년에 발표했다. 하지만 이 때도 곡은 크게 히트하지는 못했다. 이 1972년 버전은 일명 "돌아와요 해운대에"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2절에 해운대가 등장하기 때문이다.(1972년 "돌아와요 해운대에"라는 제목으로 당시 조용필과 이남이 등이 팀을 이룬 김트리오에게 넘겼다는 설이 있다. #)
4년 후인 1976년 조용필이 다시 이 곡을 빠른 템포로 편곡하고 가사의 일부를 수정하여 본인의 독집 앨범에서 발표해 공전의 히트를 쳤다. 이 곡은 황선우가 작곡 겸 작사가로 기재되어 있지만, 가사의 일부분은 과거 김해일이 작사한 "돌아와요 충무항에"와 같았다. 2004년에 스펀지에서 "돌아와요 부산항에"와 관련된 이야기가 방송이 나간 후, 작사자 김해일(본명 김성술)의 어머니가 2004년 가사 표절 소송을 제기했다. # 재판 결과 3천만 원을 배상하라는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이 났고, 이후 황선우가 김성술의 유족들에게 합의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표절 논란은 일단락되었다.[4] # 서울서부지법 2006. 3. 17., 선고, 2004가합4676, 판결
이후에도 조용필은 이 곡을 다시 조금 더 빠르고 경쾌한 분위기로 편곡하여 1980년에 조용필이 정규 1집을 발표하면서 수록되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게 바로 1980년 버전이다.
이 노래가 히트한 배경에는 발표 당시에 재일교포들의 고국방문이 활성화되면서 그 정서가 이 노래와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후로 이 노래는 " 부산 갈매기", " 이별의 부산정거장"과 더불어 부산광역시를 상징하는 노래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조용필의 최대 히트곡 중의 하나가 되었다.
3. 가사
돌아와요 부산항에 |
꽃피는
동백섬에 봄이 왔건만 형제떠난 부산항에 갈매기만 슬피우네 오륙도 돌아가는 연락선마다 목메어 불러봐도 대답없는 내 형제여 돌아와요 부산항에 그리운 내 형제여 가고파 목이메어 부르던 이 거리는 그리워서 헤매이던 긴긴날의 꿈이었지 언제나 말이 없는 저 물결들도 부딪쳐 슬퍼하며 가는길을 막았었지 돌아왔다 부산항에 그리운 내 형제여 |
==# 커버 #==
가왕 조용필의 상징같은 곡 중 하나다 보니, 많은 가수들이 다양한 버전으로 이 곡을 커버했다.
-
김석일 (1972)
-
하사와 병장 (1976)
-
머슴아들 (1976)
-
나훈아 (1977)
-
키 브라더스 (1977)
-
이성애 (1977)
-
김혜정 (1978)
-
함중아와 초록별들 (1978)
-
문주란 (1978)
-
물레방아 (1978)
-
송대관 (1978)
-
김희갑 (1979)
-
엄진 (1979)
-
방미 (1980)
-
들고양이들 (1980)
-
심수봉 (1980)
-
라음파 (1980)
-
함중아와 양키스 (1980)
-
고희진 (1981)
-
은방울 자매 (1981)
-
김희갑 (1981)
-
김연자 (1981)
-
설운도 (1982)
-
김종훈과 비너스 (1982)
-
윤복희 (1984)
-
현인 (1984)
-
김준 (1984)
-
김태정 (1984)
-
혜은이 (1985)
-
주현미 (1985)
-
조영남 (1988)
-
마상원과 그린필드 (1989)
-
이춘근 (1990)
-
조미미 (1993)
-
김혜연 (1996)
-
김흥국 (2000)
-
조와 정 (2013)
-
임채무 (2016)
4. 해외에서의 인기
釜山港へ帰れ (부산항에 돌아와요) |
つばき咲く春なのに あなたは帰らない (츠바키사쿠 하루 나노니 아나타와 카에라나이) 동백꽃 피는 봄인데 당신은 돌아오지 않네요 たたずむ[ruby(釜山港, ruby=プサンハン)]に 涙の雨が降る (타다즈무 푸산항니 나미다노 아메가 후루) 여기 내가 있는 부산항엔 눈물같은 비가 내려요 あついその胸に 顔うずめて (아쯔이 소노 무네니 카오 우즈메테) 당신의 뜨거운 가슴에 얼굴을 묻고 もいちど幸せ [ruby(噛, ruby=か)]みしめたいのよ (모이치도 시아와세 카미시메따이노요) 다시 한 번 당신과의 행복을 떠올려요 トラワヨ プサンハンへ [ruby(逢, ruby=あ)]いたい あなた (토라와요 푸산항에 아이타이 아나타) 돌아와요 부산항에 보고 싶은 당신 行きたくてたまらない あなたのいる町へ (유키타쿠테 타마라나이 아나타노 이루 마치에) 가고 싶어 견딜 수가 없어요. 당신이 있는 그 마을에 さまよう[ruby(釜山港, ruby=プサンハン)]は 霧笛が胸を刺す (사마요우 푸산항와 무테키가 무네오 사스) 당신을 찾아 헤메는 부산항엔 뱃고동이 가슴을 찔러요 きっと伝えてよ カモメさん (키잇토 츠타에테요 카모메상) 잊지 말고 꼭 전해줘요 갈매기씨 いまも信じて 耐えてるあたしを (이마모 심지테 타에테루 아타시오) 지금도 믿으며 견디고 있단 것을 トラワヨ プサンハンへ 逢いたい あなた (토라와요 푸산항에 아이타이 아나타) 돌아와요 부산항에 보고 싶은 당신 |
한국어 가사와 일본어 가사는 조금씩 뜻이 다르다. 하지만,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한국어 가사로 부른다. 그리고, 조용필은 1983년에 일본의 방송( 후지TV 밤의 히트 스튜디오)에 출연하여 2절 가사를 일본의 엔카 가수들과 같이 일본어 가사로 부르기도 했고, 1987년 일본 투어에서도 일본어 가사로 부르기도 했다. #
그리고, 일본의 엔카 가수 덴도 요시미와 같이[5] '후타리노 빅쇼' 방송에 출연해서 돌아와요 부산항에를 부른 적이 있었으며 덴도 요시미는 1절, 조용필은 2절을 불렀다. 당시의 영상으로, 25분 45초부터 볼 수 있다.
한국에서 뿐만아니라 일본에서도 널리 알려져서 수많은 일본 가수들이 리메이크를 했다. 그리고,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일본 기네스북에서 "가장 많이 리메이크가 된 외국 가수의 노래" 로 등재되어 있으며 (약 30회 이상) 일본 내에서도 현재까지 일본에 진출한 한국 배우/한국 가수를 통틀어서 가장 높은 지명도를 가지고 있는 노래 중의 하나이고, 2020년대가 된 현재에도 일본에서 가장 많이 리메이크가 된 한국 노래이기도 하다. 또한, 지금도 일본 가라오케의 한국 가요 인기 순위에서도 항상 최상위권에 등록되어 있을 정도로 매우 유명하다.
일본에서 이 곡이 알려진 것은 가수 이성애가 1977년 일본에서 발표한 커버가 처음으로, 이후 정식 싱글로 처음 발매한 가수는 코믹 엔카 그룹 도노사마킹즈(殿さまキングス)로, 1979년 "눈물의 부두(泪の波止場)"라는 곡으로 발매했다. 이 당시 가사는 한국어 가사와 거의 같았다고 한다. 이후 1983년 아츠미 지로(渥美二郎)가 "釜山港へ帰れ(부산항으로 돌아와요)"의 제목으로 정식 발매하면서 70만장을 팔았고, 현재 이 곡은 아츠미 지로의 대표곡 중 하나로 남아있다. 참고로 아츠미 지로 버전부터 노래 가사가 아래 내용으로 개사되었다.
그 외에도 일본 엔카의 여왕으로 불리던 미소라 히바리도 이 곡을 리메이크했었고, 아시아의 가희로 불리던 대만의 가수 등려군도 일본어판으로 리메이크를 했었다. 또한, 일본에서 활약하던 한국의 김연자, 계은숙, 이성애도 리메이크를 했고, 미녀 엔카 가수로 유명한 야시로 아키, 모리 마사코, 시마즈 아야, 아츠미 지로, 흑인 엔카 가수 제로도 이 곡을 리메이크했다. 당장에 일본 제목인 "釜山港へ帰れ"로 유튜브에 검색하면 무려 20여 명 이상의 일본 가수들이 리메이크를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어 버전은 외국에 나가 있는 형제를 그리워하는 원곡 내용과는 달리, 여자가 항구에서 돌아오지 않는 남자를 기다린다는 내용으로 수정되었다. 이는 미군 연인을 애타게 기다리다가 숨지는 《 나비부인》의 한일 버전으로 해석하여 식민지를 잃은 애잔한 감정을 내포시켰다는 해석이 있으며, 주간조선에서는 칼럼을 통해 일본의 상속제도에서 기인한 한일 간의 문화차이라는 가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는 일본에선 개항 이전부터 장남의 권위가 컸기에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형제는 남이 되는 시초" 라는 속담도 있을 정도다. #
독특하게도 가사 중간의 "부산항"과 후렴의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일본어로 번역하지 않고 한국어 원어 그대로 부른다. 이 부분 가사 표기도 가타카나로 "トラワヨ プサンハンへ"일 정도다. 일본에서는 그야말로 1980년대 성인 가요계를 대표하던 명곡이었다. 우리나라로 따지면 사치코, 블루 라이트 요코하마를 생각하면 된다.
일본에서 커버 곡을 부른 대표적인 가수들은 아래와 같다.
김연자가 부른 돌아와요 부산항에 |
미소라 히바리의 돌아와요 부산항에 |
모리 마사코가 부른 돌아와요 부산항에 |
등려군(테레사 텅)이 부른 돌아와요 부산항에 |
요시 이쿠조가 부른 돌아와요 부산항에 |
등려군의 영향으로 대만에서도 많이 알려졌다. 단 대만은 가사를 완전히 다시 썼다. 그리고, 등려군은 물론이고 쟝훼이(江蕙), 쟌야원(詹雅雯)등 대만의 내로라하는 가수들은 한 번씩 다 불렀다. 중국어 제목명은 풍우정(风雨情)
쟝훼이가 부른 돌아와요 부산항에 |
5. 기타
폴 모리아의 "Please Return to Pusan[6] Port"다. |
- 이지리스닝 음악의 대가 폴 모리아도 연주곡으로 편곡하여 "Please Return to Pusan Port"라는 제목으로 음반에 실었다. 그리고, 이 음악은 MBC 표준FM의 낮시간대 인기 프로그램인 강석, 김혜영의 싱글벙글쇼의 시그널로 쓰였다.
- 부산광역시 연고의 KBO 리그 구단 롯데 자이언츠는 부산 갈매기와 더불어 지금도 이 노래를 응원가로 부르고 있다. 그래서 1984년 한국시리즈 당시 롯데 응원단 마칭밴드에서 돌아와요 부산항에를 직접 연주하는 것을 볼 수 있다.[7]
- 과거 마산 야구장에서 롯데 자이언츠 제2 홈경기가 열렸을 때는 가사의 "부산" 부분을 모두 "마산"으로 바꾸고 노래 제목도 "돌아와요 마산항에"로 바꿔 불렀으나, 2011년 NC 다이노스가 창단되고 롯데가 마산 야구장을 홈으로 쓰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사장되었다. 다만 2014년부터 롯데 자이언츠가 울산 문수야구장에서 제 2홈경기가 열리면서 이 경기장에서는 가사의 "부산" 부분이 "울산"으로 바뀌고 제목도 "돌아와요 울산항에"로 바뀌었다.[8] 그래서 울산 홈경기에서는 "동백섬"과 "오륙도" 부분을 " 방어진"[9]으로 바꿔 부르고 있다. 2018년부터 야구장에서 부산 갈매기를 부를 수 없게 되자 이 노래가 명실상부한 롯데의 대표 응원가가 되었다.
- 애니콜의 SCH-S260의 기본 벨소리 중에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있다.
- 종합편성채널 MBN에서 방송되었던 화제의 음악예능 프로그램인 2024 한일가왕전에 출연했던 일본팀 TOP7의 멤버들이 2024년 8월 17일과 8월 31일에 개최했던 콘서트의 타이틀명이기도 하다. 그리고 콘서트의 피날레를 장식한 엔딩곡으로 쓰이기도 했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41e42> |
롯데 자이언츠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구단 기본 정보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모기업 | 롯데 | 롯데그룹 산하 스포츠단 | |
구단 |
롯데 자이언츠 | 롯데 자이언트(실업시절) |
|||
롯데 자이언츠 2군 | ||||
프런트 | 선수단 | ||||
경기장 |
1군 메인
사직 야구장 (
재건축) 과거 |
|||
1군 보조
울산 문수 야구장 과거 마산 야구장 |
||||
2군 상동 야구장 | ||||
현재 시즌 | 2025 시즌( 스토브리그) | |||
구단 역사 정보 | ||||
통합 역사 | 역사 | |||
우승 |
1984년 | 1992년 | |||
암흑기 | 암흑기 ( 8888577, 5788, 7A78877) | |||
선수단 | 역대 선수 | 프랜차이즈 스타 | 역대 등번호 | 역대 필승조 | |||
영구 결번 | 11 최동원 | 10 이대호 | |||
기타 | 역대 기록 | 역대 신인드래프트 | |||
구단 세부 정보 | 특징 | 팀 컬러 | 유니폼( 얼터너티브) | ||
라이벌리 | 상대 전적 | |||
vs
|
낙동강 시리즈 vs | 클래식 씨리즈 vs | 헤리티지 시리즈 vs | 항구 시리즈 vs | 엘꼴라시코 vs | 경부선 시리즈 |
||||
지역 연고 학교 |
개성고 |
경남고 |
부경고 |
부산고 |
부산공고 |
부산정보고 | |
|||
팬덤 관련 정보 | 유튜브 | Giants TV(자티비) | ||
응원 | 응원단장 | 응원단 | 마스코트 | |||
선수 응원가 | 팀 응원가 | 마! | 부산 갈매기 | 돌아와요 부산항에 | ||||
팬덤 |
유명 자이언츠 팬 |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 |
갈매기 마당 |
샤다라빠 |
오롯이 |
꼴리건 | |
|||
기담 | 팀 관련 | 엘롯기 | 엘롯한 | 두엘롯 | 한롯기 | 헬로키티 | 기롯삼한 | 조류동맹 | ||
선수 관련 | 로나쌩 클럽 | 비갈 | 금테안경 | 턱거돼 | 마무리 브레이커 | |||
응원 관련 | 기세 | 8치올 | 봄데 | |||
라인업 관련 | 이왕기름넣을거 최대성능으로 가득염 | 족까고마 | 롯데시네마 | 남두오성 | 홍대갈 | 2010년 롯데 전설의 라인업 | 구최김 | 유돈노 | 윤나고황 | |||
매직 | 로이스터 매직 | 아로요 매직 | |||
기타 | 여담 | 이야깃거리 | ||
사건 사고 |
논란 및 사건사고 ( 경기 관련 | 팬 관련 | 선수 관련 | 구단 관련) |
|||
작품 | 죽어도 자이언츠 | 나는 갈매기 | 1984 최동원 | 꼴데툰 | |||
주관 대회 | 롯데기 야구대회 | |||
틀 문서 | ||||
역대 구단주 | 역대 대표이사 | 역대 단장 | 역대 감독 | 역대 2군 감독 | 역대 주장 | 영구 결번 | 역대 외국인 선수 | 역대 응원단장 | 역대 시즌 | 역대 1차 지명 선수 | 역대 지명 선수 | 역대 은퇴식 | 개막전 선발 투수 | 프런트 | 코칭 스태프 | 선수단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유니폼 | 응원단 | 마스코트 | 선수 통산 기록 일지 | 선수 플레이 스타일 | ||||
[1]
작곡은 황선우 본인이 했다.
[2]
현
통영시
[3]
제작은 12월 16일이고, 발매는 1971년 1월 4일일 가능성이 높다.
#
[4]
지금의 노래 제목은 황선우가 처음 지었을 때 붙인 노래 제목이라고 한다.
[5]
덴도 요시미는 공교롭게도 한국과 연관이 매우 깊은 가수다. 1996년
전라남도의
진도군을 배경으로 하는
'진도 이야기(珍島物語)'의 싱글을 130만장을 판매하면서 대형 가수의 반열에 올라섰고, 2007년에는
나훈아의 '울긴 왜 울어'를 리메이크해서 자신의 가수생활 35주년 기념곡으로 발매하기도 했다.
[6]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Busan이지만, 노래 제목 자체는 Pusan이므로 이에 따라 표기.
[7]
영상 속 연주가 울려퍼지는 대목에서 롯데의 극적인 우승을 결정지었던
유두열의 역전 3점 홈런이 터진다. 아울러 우승을 확정 짓고 그라운드를 한바퀴 돌며 팬들에게 인사를 할 때도 마칭밴드가 돌아와요 부산항에를 연주한다.
[8]
이 부분은 2008년에
개그콘서트의 전 코너
달인에서
김병만이 써먹었던 내용이다.
[9]
울산을 상징하는 어항(漁港) 중 한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