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15 06:15:49

광복군사령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30066><colcolor=#fff>문서 한성정부 · 대한국민의회 · 연통제 · 교통국 · 삼균주의 · 독립신문 · 수립 기념일 · 한인애국단 · 한국독립당 · 법통 논란 · 대일선전성명서
군사기구 광복군사령부 · 육군주만참의부 · 한국광복군
사건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 김립 피살 사건 · 위임통치 청원 사건 · 국민대표회의 · 사쿠라다몬 의거 · 훙커우 공원 의거 · 단파방송 밀청사건
인물 김구 · 안창호 · 지청천 · 김원봉 · 박은식 · 김규식 · 이승만 · 송병조 · 윤기섭 · 이시영 · 유동열 · 신익희 · 이상룡 · 양기탁 · 이동녕 · 이동휘 · 홍진 · 조소앙 · 여운형 · 오영선 · 최동오 · 이봉창 · 윤봉길 · 문일민
청사 상하이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항저우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전장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창사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충칭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경교장
역대 수반 · 지역별 임시의정원 구성 }}}}}}}}}

1. 개요2. 역사3. 둘러보기


光復軍司令部

1. 개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1920년 남만주에 설치한 임시정부 산하 군사기구이다.

2. 역사

1919년 3.1 운동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남만주 지역의 독립운동단체들이 통합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 산하에 조직된 군사기구이다. 하지만 광복군 사령부를 설치할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청사는 상하이에 있었고, 광복군사령부가 만주에 있었기 때문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직접적인 지휘를 할 수 없었다. 광복군사령부는 남만주에 있는 독립군과 편제가 달랐다. 결국 임시정부 산하 광복군사령부는 일제의 감시와 탄압으로 해체되었으며, 이후 남만주에서는 실질적으로 광복군총영(光復軍總營)이 창설되어 독자적으로 조직을 개편하며 활동하고 있었다.

광복군총영은 국내에 무장조직을 조직하려고 시도했지만 일제의 감시와 탄압으로 국내에 군영을 설치하는 것은 실패로 끝났다. 광복군사령부가 개편된 광복군총영은 말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 소속 정규군이지, 실제로는 임시정부와 소통이 원활하지 못했고 사실상 독자세력이었다. 이후 광복군총영은 대한통군부가 결성될 때 흡수 통합되었다. 이후 통군부는 대한통의부로 개편되었지만, 내부의 이념 문제와 조직 상의 이견으로 인해 통의부 의군부로 분열된다. 일부 독립운동가들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갔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23년 광복군 사령부를 계승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육군주만참의부를 조직했다.

하지만 참의부도 만주에서 전개된 민족 유일당 운동의 결과로 조직된 국민부 혁신의회에 각각 흡수 통합되어 1929년에 해체되었다. 결국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40년 한국광복군을 창립하기 이전까지 사실상 지휘할 수 있는 병력이 없었다가, 한국 광복군을 조직하면서 제대로 된 군사조직을 거느리게 되었다.

3.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사기구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광복군사령부 광복군총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