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C8102E> 상징 |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 국장 · 끊임없이 축복받으세 · 황제 찬가 |
역사 | 역사 전반 · 신성 로마 제국 · 오스트리아 공국 · 오스트리아 대공국 · 합스부르크 제국 · 오스트리아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 ·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연합군 점령하 오스트리아 | |
사회 | 오스트리아/인구 | |
정치 | 정치 전반 · 오스트리아/행정구역 · 오스트리아 대통령 · 오스트리아 총리 · 오스트리아 의회( 오스트리아 연방의회 ·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 |
지리 | 알프스산맥 · 보덴 호 · 도나우강 | |
외교 | 외교 전반 · 독일어권 · 유럽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
|
교통 | 오스트리아의 공항(틀) · 철도 환경(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 ICE · Railjet · Nightjet) · 아우토반 | |
국방 | 오스트리아 연방군 · 황제군 · 오스트리아 제국군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 페르디난트 만리허 | |
치안·사법 | 사법 전반 · 오스트리아 연방경찰청 · 오스트리아 헌법재판소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요들 · 요리 · 슈트루델 · 슈니첼 · 자허토르테 ·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
민족 | 오스트리아인( 러시아계) · 오스트리아계 미국인 ·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 · 오스트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
기타 | 오스트리아빠 · 대오스트리아 합중국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436F4D> 상징 |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 국호 · 국장 · 성 이슈트반 왕관 |
역사 | 역사 전반 · 마자르족 · 헝가리 대공국 · 헝가리 왕국 · 트란실바니아 공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헝가리 왕국(1920~1946)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헝가리 공화국( 제1공화국 · 소비에트 공화국 · 제2공화국 · 헝가리 인민 공화국 · 제3공화국) | |
정치 |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입법부 | |
외교 | 외교 전반 · 유럽 연합 · 비셰그라드 그룹 | |
경제 | 경제 전반 · 헝가리 포린트 | |
지리 | 헝가리/행정구역 · 푸스타 · 다뉴브강 · 티서 강 · 카르파티아 산맥 · 벌러톤 호 | |
교통 | 철도 환경 · 부다페스트 지하철 | |
국방 | 헝가리군 · 육군 · 공군 · NATO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영화 · 헝가리 신화 · 요리 · 구야시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 헝가리어 · 헝가리 그랑프리 | |
민족 | 헝가리인 · 세케이인 · 헝가리계 미국인 · 헝가리계 우크라이나인 · 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 · 헝가리계 브라질인 · 헝가리계 러시아인 · 헝가리계 루마니아인 · 헝가리계 캐나다인 · 헝가리계 호주인 · 헝가리계 영국인 |
|
모자에 과꽃을 단 헝가리인 병사들 |
[clearfix]
1. 개요
영어 : Aster Revolution독일어 : Asternrevolution
헝가리어 : Őszirózsás forradalom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발발한 혁명. 1918년 10월 28일에서 1918년 10월 3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헝가리 제1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이 혁명의 결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사실상 해체되었으며 1918년 11월 3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빌라주스티 휴전협정을 체결한다.[1]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초부터 탈영하기 시작하여 전쟁 후반 거대한 세력이 된 녹색 군단의 반란이 이 혁명을 계기로 더 격화되었다.
2. 상세
원본: 영어 위키백과 Aster Revolution[2]제1차 세계 대전의 거의 막바지인 1918년 후반 제1차 세계 대전의 전황은 확실하게 동맹국에 불리하게 바뀌었고 독일의 춘계 공세가 이탈리아 전선에 대한 오스트리아의 공세와 함께 실패하였다. 9월 중순 협상국은 마케도니아 전선을 돌파했고 진격을 막을 수 없었던 불가리아가 9월 29일 항복하면서 오스트리아의 군대는 더 이상 버틸 수 없게 되었다.
자신의 제국을 구하기 위한 마지막 조치로 10월 16일 카를 1세는 국민 선언문을 발표하여 제국의 오스트리아 부분을 연방화하고 국가 의회의 구성을 합법화했지만[3] 이는 붕괴를 가속화할 뿐이었다. 헝가리에서는 10월 17일 집권한 베케를레 샨도르 제3정부가 1867년 타협안을 폐지하고 오스트리아와의 동군연합만 유지하였다. 같은 날 전 총리 티서 이슈트반[4]은 의회 앞에서 전쟁에 "패배했다"고 선언했다. 상황에 대처할 수 없었던 베케를레는 10월 23일 사임했다. 다음날인 10월 24일 협상국은 이탈리아 전선에서 마지막 공세를 개시했다. 이미 붕괴되고 있던 군대의 헝가리 부대가 집으로 몰려와 이미 위태로운 거리 상황을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부다페스트 거리에서는 국민 의회를 지지하는 시위가 일어나 카로이 미하이를 총리로 지명할 것을 요구했다. 1918년 10월 28일 군중들은 부다 성으로 행진하려고 했으나 세체니 다리를 건너던 중 경찰에 의해 저지되어 총격을 당했다. 이 "세체니 다리 전투"에서 3명이 사망하고 5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으며 군중을 더욱 격화시켰다. 그리고 루카치치 게자는 부다페스트의 질서를 유지하는 임무를 받았는데 그는 국민 의회에 확고히 반대했지만 그의 군대는 빠르게 그의 휘하에서 탈영했고 그로 인해 혁명을 막을 수 없게 되었다.
과꽃 혁명의 유래는 10월 30일 황제가 기득권 정치인인 허디크 야노시를 총리로 지명했을 때였다. 기젤라 광장에 모인 군인들은 국민 의회에 맹세하였고 그들은 모자에 달린 장미를 떼어내고 과꽃으로 대체했는데 이는 곧 혁명의 상징이 되었다. 국민 의회는 도시의 전략 거점을 장악하고 정치범을 석방했다. 1918년 10월 31일 오전 3시에 허디크 야노시는 황제에게 전화를 걸어 자신의 사임을 알렸다. 그는 헝가리 역사상 가장 짧은 17시간 동안 총리로 지냈다. 황제는 카로이 미하이를 총리로 지명했으며 국민 의회 정당들과 함께 정부를 구성할 것을 요청했다.
3. 이후
카로이 정부는 처음에는 독립을 선언하지 않았지만 오스트리아에서 합스부르크의 권력이 붕괴되면서 그 구분은 의미가 없어졌다. 11월 13일 오스트리아 왕좌에 대한 유사한 선언이 발표된 후 카를 1세는 헝가리가 국가 형태를 결정할 권리를 인정하고 헝가리의 국가 문제에서 물러난다는 선언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1918년 11월 16일에 헝가리 인민 공화국으로서 완전한 독립을 선언할 수 있는 법적 길이 열렸다. 이미 총리였던 카로이는 임시 국가 원수도 겸임했다. 그날 의회는 모두 해산되었고 혁명 동안 전국에 생겨난 지방 의회를 대표하는 확장된 헝가리 국민 의회가 소집되었다. 이 국민 의회는 카로이의 통치 기간 내내 임시 입법부 역할을 했으며 결국 자유 선거는 결코 실시되지 않았다.헝가리군은 카로이가 헝가리의 총리로 발표되었을 때 여전히 140만명 이상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카로이는 평화주의에 대한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의 요구에 따라 헝가리 군대의 무장 해제를 명령했다. 이것은 카로이 정부의 전쟁 장관인 벨라 린더의 지시에 따라 이루어졌다. 군대의 완전한 무장 해제로 인해 헝가리는 특히 취약한 시기에 국가 방위 없이 남게 되었다. 헝가리의 자체 무장 해제로 인해 루마니아의 비교적 소규모 군대, 프랑스- 세르비아 군대 및 새로 건국된 체코슬로바키아의 군대가 헝가리를 점령할 수 있게 되었다. 카로이의 평화주의 내각 통치 기간 동안 헝가리는 약 백만개의 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빠르게 상실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영토의 75%는 무장 저항을 받지 않았으며 외국의 점령을 받았다.
1919년 3월 21일 공화국은 공산주의 쿠데타로 전복되었고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소비에트 헝가리는 내부 불만과 루마니아의 침공으로 곧 붕괴되었고 인민 공화국이 잠시 부활한 후 군주제가 복원되어 이제는 독립 국가가 되었다.
[1]
이미 제국 내에
체코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국,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바나트가 독립한 데다 마지막
헝가리 제1공화국의 독립으로 버틸 힘조차 사라졌다.
[2]
오역이 있을 수 있음
[3]
헝가리에게
오스트리아-헝가리-크로아티아 제국을 제안했으나 크로아티아와 동등한 관계가 되기 싫었던 헝가리는 이를 반대했다.
[4]
혁명 이후 불만을 품은 군인들에게 암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