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X(만화)
1. 개요
일본의 만화 X의 애니메이션을 정리한 문서.2.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X(만화) 문서의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극장판
|
X 극장판 |
아직 단행본이 몇권 나오지도 않은 상황에서 카도카와 쇼텐의 후원 아래 명감독 린 타로와 당대 최고 인기의 밴드 X JAPAN이 극장판에 참여한다고 발표되어 화제를 일으켰다.
이후 1993년에 린 타로 감독이 X-JAPAN의 곡 'X' 를 바탕으로 만든 뮤직비디오 "X2-더블 X"가 당시로서는 엄청난 퀄리티로 열광적인 반응을 얻으면서 극장판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높였다. 사실 카도카와 쇼텐은 극장판 본편까지 제작할 의향은 없었으나 뮤직비디오의 완성도가 너무 높아서 팬들의 반응이 뜨거워지자 마지못해 제작에 들어갔다고 한다.
문제의 X2 뮤직비디오 |
하지만 정작 공개된 극장판 본편은 그야말로 "모두 다 죽었습니다"로 요약 가능한 극단적인 전개로 팬들에게 충격을 안겼다. 물론 린 타로 감독의 절정에 달한 파괴의 미학은 압권이었지만 그것 말곤 볼 게 없었던 것도 사실이었다. 영화 내용이 전부 초능력으로 싸우면서 일본 도심을 파괴하는 게 중심으로 그 외의 내용은 거의 다루지 않았다. 일본의 각종 명소가 다 개박살나는 영상만 계속 보여준다. 도시를 파괴하는 걸 좋아하는 린 타로의 파괴적 미학이 지나치게 폭주한 작품으로 꼽힌다.[1]
특히 원작의 매력은 다양한 캐릭터들이 벌이는 인간관계와 군상극이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극장판은 주요 등장인물 20여 명을 90분이라는 짧은 러닝타임 안에 전부 묘사하려다 보니 주인공급이 아니면 대사는 세 마디 이상은 꿈도 못 꿀 지경이 되었고 등장하자마자 상대방 진영의 적과 논개처럼 동시에 퇴갤을 시켜버리는 전투씬이 대다수였다. 《 도쿄 바빌론》 시절부터 인기 캐릭터였던 스바루와 세이시로는 대사도 거의 못하고 등장하자마자 하늘만 몇 번 번쩍번쩍하더니 그대로 죽어버렸다. 다른 인물들도 거의 대사가 몇 마디 없고 걸핏하면 동귀어진이나 팀킬. 거기다 상영 시간의 문제인지 원작 인물들의 관계나 사연 같은 것도 죄다 생략되었고 캐릭터 붕괴까지 일어나서 팬들에게 충격을 안겨 주었다. 거기다 엔딩은 꿈도 희망도 없는 몰살& 새드 엔딩. 다만 각본은 베테랑 각본가 와타나베 마미, 린 타로, 원작자 CLAMP의 스토리 담당 오오카와 나나세 3인이 참가했다. 이 충격적인 엔딩이 일단은 CLAMP의 스토리 총 책임자의 오오카와 나나세의 감수를 받긴 받은 것이다.
아무리 원작이 있다고는 하더라도 극장판 애니메이션인 이상, 원작을 전혀 모르는 일반인이 관람하더라도 최소한의 개연성이나 내용 전달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배려는 전혀 없이 그저 90분짜리 팬서비스급 영상을 만들어 놨다. 잘나가다 막판에 말아먹는 그런 작품도 아니고 초반부터 계속 이러기 때문에 이 영화는 애초에 스토리를 추구하지 않았다고 보는 게 맞으며 린 타로 감독은 스토리 영화가 아닌 일본이 파괴되는 영상으로 시청자에게 특이한 감정을 주는 아방가르드 영화를 만들고 싶었던 것 같다. 이 작품을 만들기 몇 년 전에 만든 작품들도 대부분 이런 식의 스토리 구조가 없는 아방가르드였다.
이런 스토리가 된 배경 중 하나는 반다이와 게임 제작 협의를 했기 때문이었다. 그로 인해 모든 인물이 필살기 한 방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식의 구성이 되었다. 결국 WWE의 로얄럼블처럼, 피니시 한번 쓰고 퇴장, 피니시 한번 쓰고 퇴장의 형태로 전투신이 다 채워졌다. 물론 극장판이 망했는데 게임이라고 성공할 리가 없었다. 결국 게임은 나중에 나온 TV 애니메이션판 기준으로 제작되었다. 더구나 제작 지원을 반다이가 했지만, 당시 망작 제조기로 불리던 반다이가 대신 실제작을 맡은 회사를 선정했는데 그게 하필이면 타이토. 결국 X 스킨을 뒤집어 씌운 사이킥 포스가 되어버렸다. 바로 PS용 게임 X-운명의 선택-. 이후 원더스완 용으로 카드 배틀 게임인 X CARD OF FATE가 나오기도 했다.
그나마 작화와 영상미만큼은 가치가 있는데 우선 캐릭터 디자인과 총작화감독을 유키 노부테루가 맡았다. 애니메이터로는 카나다 요시노리, 무라키 야스시, 우츠노미야 사토루, 타나카 히로토, 아라이 코이치, 하시모토 타카시, 니시다 아사코, 하시모토 신지, 마츠타케 토쿠유키, 오구로 아키라, 카와지리 요시아키, 카네모리 요시노리, 노다 타쿠오, 코이케 타케시, 하마사키 히로시, 사토 유조, 나카 모리후미, 하마다 쿠니히코, 토쿠라 노리모토, 후지타 시게루, 오치 신지 등 초호화 멤버가 참여했다. 초능력으로 싸울 때는 도시가 다 박살나는 게 하나하나 다 묘사되는 세세한 작화를 선보인다. 이 과정에서 배경을 통으로 애니메이팅 해버리는 초고난이도 작화 기술 '배경 동화' 기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한국에선 무슨 제작시간이 촉박해서 돈이 없었다느니, 작붕이 있다느니 하는 루머가 도는 데 사실과 거리가 멀다. 아마도 우츠노미야 사토루나 하시모토 신지 같이 개성이 뚜렷한 애니메이터가 담당한 부분을 보고 작화가 붕괴되었다고 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이 애니는 전세계 사람들이 작화 말곤 건질 게 없다. 라고 할 정도로 작화로는 인정을 받는 작품인데 한국에서만 이상하게 작화가 나쁜 애니로 소문이 잘못 퍼졌다.
한국 하청업체에서 제작을 했는데 200명 가까운 한국 하청 제작진이 참여했다. 당시, 이 작품 하청에 참여한 지인에게 이야기를 듣은 송락현이 밝힌 것에 의하면, 개봉 한달 전까지만 해도 한국 하청업체에서 그야말로 밤샘 작업을 하며 막바지 작업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는 일본 제작사로부터 위에 여러 사정으로 하청업체에게 일감도 늦게 와서 하청사에서도 이렇게 시간도 없이 맡으라고 하며 어쩌냐고 항의했을 정도였다고. 그래도, 하청업체들이 밤샘 작업도 한 보람은 있었던 셈.
다만 연출에 한 가지 문제가 있는데 바로 화면 점멸 연출을 지나치게 많이 쓴다는 것이다. 포켓몬 쇼크의 바로 그거다. 정말 아낌없이 수시로 나온다. 이 시기에는 이러한 연출을 쓰면 프레임을 적게 써도 움직임 풍부하게 보이는 착시 효과가 있단 사실이 발견되어 이런 연출이 많이 쓰였는데 그 중에서도 이 작품은 좀 더 과하게 썼다. 화면 밝기를 좀 낮추고 밝은 곳에서 보기 바란다.
정리하면 대체로 평이 안 좋은데 유키 노부테루의 캐릭터 디자인, 뛰어난 작화와 영상미, 초호화 성우진, 엔딩곡인 X JAPAN의 'Forever Love'는 지금도 인정받고 있다. 그래서 클램프 팬들은 세월이 한참 지났음에도 이걸 찾아 보기도 한다. 만약 나는 스토리는 중요하지 않다. 일본이 사정없이 박살나는 영상을 보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싶다 그런 사람이라면 꽤 봐줄 만하다. 작화를 위주로 평론하는 헬렌 매카시는 호평했다. 사실 헬렌 매카시가 CLAMP 팬이라서 점수가 더 들어간 것도 있겠지만.
카메다 요시미치, 카토 코스케, Henry Thurlow가 이 작품을 좋아한다고 한다.
곤 사토시가 블로그에서 밝히길 퍼펙트 블루 초기 제작현장은 X 극장판과 같은 사무실이었다고 한다.
3.1. 해외 공개
3.1.1.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2001년에 스타맥스에서 극장판이 VHS 비디오로 상, 하편으로 나뉘어 출시되었고 DVD로 정식발매되었다.[2] 하지만 캐릭터들의 이름이 요상하게 변경되었고[3] 일부 미스캐스팅이 있긴 하지만 카무이를 맡은 강수진이나 후마를 맡은 김일 같은 경우는 일본판을 본 사람들도 호평할 정도로 괜찮은 편이었고 성우 캐스팅을 성우 강수진이 맡았다는 일화가 있다. 덕분에 주연을 비롯하여 정미숙, 송도영, 민응식, 지미애, 문관일, 이종혁, 우정신에 당시 막 프리랜서가 되었던 김상현, 유동균 같이 지금보면 정말 말도 안되는 초호화 성우진을 자랑하기로 유명하다.이후 애니박스에서 재더빙되어 방영되기도 했는데 젊은 신인 성우 위주로 캐스팅이 갈려서 말도 많았고 연출도 별로라 발연기도 매우 심해서 논란을 야기시켰다. 제작 특징상 비디오판이나 애니박스판이나 중복 캐스팅이 존재하는데 대다수의 팬들은 비디오판을 훨씬 우위로 친다. 비디오판은 레어템으로써 가치가 있다.
4. TV 애니메이션
X (2001~2002) | |||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원작 | CLAMP | |
감독 | 카와지리 요시아키 | ||
캐릭터 디자인 | 카네모리 요시노리 | ||
총 작화감독 | |||
미술 감독 | 이케다 유지(池田祐二) | ||
색채 설계 | 하시모토 사토시(橋本 賢) | ||
촬영 감독 | 시라이 히사오(白井久男) | ||
음향 감독 | 혼다 야스노리(本田保則) | ||
음악 | 사토 나오키 | ||
프로듀서 |
마루야마 마사오 미즈노 죠이치(水野丈一) 코모리 신지(小森伸二) 스즈키 미치코(鈴木路子) |
||
애니메이션 제작 | 매드하우스 | ||
제작 |
카도카와 서점 반다이 비주얼 딜라이트 매드하우스 캐릭애니.com |
||
방영 기간 | 2001. 10. 03. ~ 2002. 03. 25. | ||
방송국 |
WOWOW / (수) 18:30 시니어TV |
||
스트리밍 | Laftel ▶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0화 + 전24화 | ||
시청 등급 | 19세 이상 시청가 |
2001년에는 매드하우스의 카와지리 요시아키 감독에 의해서 TV판으로 제작되었다.
원래는 애니박스에서 극장판이 방영될 때 TV판도 함께 방영할 예정이라고 했지만 결국 끝끝내 방영되지 않았다가, 2019년 시니어TV에서 판권을 들여와 정식으로 방영, 이후 라프텔에서도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했다. 국내에서 방영된 CLAMP 애니들 중 국내 시청 등급이 유일하게 19금이다.
2017년 11월 10일 블루레이로 발매되었다. 크로노 크루세이드처럼 오직 독일에서만 발매되었으며 일본, 북미 등 타국에는 소식이 없다. 스펙은 1080/59.94i NTSC, 일어 및 독일어 DTS-HD MA 5.1, BD50 4매로 지역코드는 B 전용이다. 에피소드 0 전조 또한 포함되었으나 이상하게 다른 에피소드와 비교하면 화질이 떨어지는 편이다. 실구매자에 따르면 영상은 일본판 마스터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화질은 업스케일 치고는 전반적으로 우수한 편이라고 한다. 다만 마스터링 오류인지 1화와 21화 중간에 이미지가 깨지는 구간이 있는 모양이다.
4.1. 주제가
오프닝과 엔딩 영상은 린 타로와 카와지리 요시아키가 만들어 상당히 질이 높다.이후 오프닝곡은 PS1 X -운명의 선택- 에서도 오프닝으로 쓰여지게 된다.
4.1.1. OP
OP eX dream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뮤지(美勇士) | ||
작사 | Julian Lewis | ||
작곡 | 니시무라 마사토시(西村麻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오프닝 애니메이션 | 린 타로, 카와지리 요시아키, 아베 히사시(阿部 恒), 아베 타카토시(安部貴俊)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いずれ 壞(こわ)れゆくこの 世界(せかい)には 이즈레 코와레유쿠 코노 세카이니와 언젠가 부서져 버릴 이런 세계에는 夢(ゆめ)や 希望(きぼう)とか どうでも いいだろう 유메야 키보오토카 도오데모이이 다로오 꿈이나 희망 같은 건 어떻게 되든 상관없어 心(こころ)の 中(なか)で 眠(ねむ)る 君(きみ)は 코코로노 나카데 네무루 키미와 마음 속에서 잠들어 버린 너는 目覺(めざ)める こと ないけど 메자메루 코토 나이케도 깨어날 일 따위 없겠지만 變(か)えられぬ 未來(みらい)を その 手(て)で 感(かん)じて 카에라레누 미라이 오소노테데 카은지테 바뀔 리가 없는 미래를 그 손으로 느껴줘 Burning for your life いつか 燃(も)え 盡(つ)きる 이츠카 모에 츠키루 언젠가 완전히 불타 없어질 この 命(いのち)を 捧(ささ)げても 코노 이노치오 사사게테모 이 목숨을 바쳐서라도 (For the perfect dream) Drowning in my dream たとえ 溺(おぼ)れても 타토에 오보레테모 설령 빠져들어 버린다고 해도 夢(ゆめ)は 夢(ゆめ)しかない 유메와 유메시카나이 꿈은 꿈일 수밖에 없어 君(きみ)は Star right 키미와 Star right 너는 Star right * 光(ひかり) 溢(あふ)れてく その 世界(せかい)には 히카리 아후레테쿠 소노 세카이니와 빛이 넘쳐흐르는 그런 세계에서는 君(きみ)の 魂(たましい)が 滿(み)ちてゆく 키미노 타마시이가 미치테유쿠 너의 영혼이 가득 차오르고 있어 無償(むしょう)の 愛(あい)を 願(ねが)う 天使(てんし)は 무쇼우노 아이오 네가우 테은시와 보상이 없는 사랑을 바라고 있을 천사는 目覺(めざ)める とすぐに 메자메루 토스구니 눈을 뜬다면 바로 終(お)わりゆく 未來(みらい)を その 手(て)で 受(う)け止(と)めて 오와리유쿠 미라이 오소노테데 우케 토메테 종말로 향해가는 미래를 그 손으로 받아 멈춰 줘 Burning for my life いつか 盡(つ)き果(は)てる 이츠카 츠키하테루 언젠가 전부 사라져버릴 この 命(いのち)は 戾(もど)らない 코노 이노치와 모도라나이 이 목숨은 되돌릴 수 없어 (For the ex dream) Drowning in your dream たとえ 溺(おぼ)れても 타토에 오보레테모 설령 빠져들어 버린다고 해도 夢(ゆめ)の 續(つづ)きは 何處(どこ)へ 유메노 츠즈키와 도코헤 꿈은 계속해 어디로 가는 걸까 僕(ぼく)は Moon light 보쿠와 Moon light 나는 Moon light * Burning for your life やがて 訪(おとず)れる 야가테 오토즈레루 이윽고 찾아와 버린 その 希望(きぼう)に かけてでも 소노 키보오니 카케테데모 그 희망에 걸어본다 해도 (For the perfect dream) Drowning in my dream たとえ 倒(たお)れても 타토에 타오레테모 설령 쓰러진다 해도 逃(に)げ出(だ)したりは しない 니게다 시타리와 시나이 도망칠 일은 없어 Burning for my life 決(けつ)して 迷(まよ)わない 케츠시테 마요와나이 결코 헤매지 않을 거야 この 氣持(きも)ちは 止(と)まらない 코노 키모치와 토마라나이 이런 감정은 멈출 수가 없어 (For the ex dream) Drowning in your dream 共(とも)に 突(つ)き 進(すす)む 토모니 츠키 스스무 함께 맹렬하게 나아간다면 あしたへの 道(みち)となる 아시타헤노 미치토나루 내일로 향하는 길이 될 거야 僕(ぼく)らは Start light 보쿠라와 Start light 우리들은 Start light |
4.1.2. ED
ED secret sorrow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코이즈미 코헤이(小泉恒平) | ||
작사 | |||
작곡 | |||
편곡 | chokkaku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엔딩 애니메이션 | 린 타로, 카와지리 요시아키, 아베 히사시(阿部 恒), 아베 타카토시(安部貴俊)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해도를 돕기 위한 의역이 추가된 번역입니다.) 悲しみの本當の理由 聞かないで 强くっ抱きしめた 카나시미노 혼토오노와케 키카나이데 츠요쿠 다키시메타 슬퍼하는 진짜 이유는 묻지 않은 채, 강하게 끌어안았지 月明かり 君を照らして 僕はただ 愛しさ募らせ 츠키아카리 키미오 테라시테 보쿠와타다 이토시 사츠노라세 달빛이 너를 비추어내면 나는 애처로움을 더해가며 切なくて 眠れない 세츠나쿠테 네무레나이 괴로워서 잠들 수가 없어 いつからか 氣づいていたよ 夢の中 泣いていることを 이츠카라카 키즈이테이타요 유메노나카 나이테이루코토오 언제부턴가 알아차리고 있었지, 꿈속에서 울고 있다는 것을 君はただ 寂しかったの? この想い 儚い夢もの? 키미와타다 사비시캇타노? 코노오모이 하카나이 유메나노? 너는 단지 외로웠던 걸까? 이 마음은 헛된 꿈인 걸까? それ以上 言わないで 소레이죠우 이와나이데 그 이상은 말하지 말아 줘 愛すれば 愛するほど辛く 아이스레바 아이스루호도 츠라쿠 사랑하면 사랑할수록 너무 아파서 僕の想いは 行き場をなくして 보쿠노 오모이와 이키바오 나쿠시테 내 마음은 갈 곳을 잃어만 가 誰もが愛を求めているのに すれ違うばかり 다레모가 아이오 모토메테 이루노니 스레치가우 바카리 모두가 사랑을 원하고 있지만 엇갈리기만 하는걸 君も同じくらい 辛かったんだね 키미모 오나지쿠라이 츠라캇탄다네 너도 똑같을 정도로 괴로웠던 거겠지 * 泣かないで 誰かのことを愛してる 君を責めないよ 나카나이데 다레카노 코토오 아이시테루 키미오 세메나이요 울지 말아 줘,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는 너를 비난하진 않을 테니까 好きになる 氣持は 誰も止められない 僕もそうだから 스키니나루 키모치와 다레모 토메라레나이 보쿠모 소우다카라 좋아하게 되는 감정은 누구도 멈출 수 없어, 나도 그러니까 拔け出せず 苦しくて 누케다세즈 쿠루시쿠테 빠져나오지 못해서 괴로울 뿐이지 愛すれば愛するほど辛く 아이스레바 아이스루호도 츠라쿠 사랑하면 사랑할수록 너무 아파서 明日から二人 どうすればいいの? 아시타카라 후타리 도우스레바 이이노? 내일부터 두 사람은 어쩌면 좋은 걸까? 繰り返すのは 變わり映えない日 步くしかないけど... 쿠리카에스노와 카와리바에나이히비 아루쿠시카 나이케도... 되풀이되는 것은 전보다 나은 것 같지 않은 날들. 어쩔 수 없긴 하지만... 君のそばにいたい わかって欲しい 키미노 소바니 이타이 와캇테호시이 네 곁에 있고 싶어. 알아줬으면 해 * 愛すれば愛するほど辛い 아이스레바 아이스루호도 츠라이 사랑하면 사랑할수록 너무 아파서 だから 優しく 强くなれるはず 다카라 야사시쿠 츠요쿠 나레루하즈 그러므로 부드러이 강해질 수 있을 거야 悲しみだって 思い出に變わるよ 僕は信じてみたい 카나시미닷테 오모이데니카와루요 보쿠와 신지테미타이 슬픔일지라도 추억으로 변할 수 있다고, 난 믿어보고 싶어 君を想う氣持ち 讓れないから 키미오 오모우키모치 유즈레나이카라 너를 그리는 마음은 양보할 수 없으니까 |
4.1.3. 0화 ED
0화 ED STRENGTH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코이즈미 코헤이(小泉恒平) | |
작사 | ||
작곡 | ||
편곡 |
사토 나오키 코이즈미 코헤이(小泉恒平)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4.2. 회차 목록
- 전화 총 작화감독: 카네모리 요시노리
<rowcolor=#373a3c,#dddddd>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제0화 |
予兆 - AN OMEN 전조 |
카와지리 요시아키 | 카와지리 요시아키 |
엔도 타쿠지 (遠藤卓司) |
카네모리 요시노리 |
日: 2001.10.03. 韓: |
제1화 |
再会 - A REUNION 재회 |
하야시 히데오 (林 秀夫) |
아베 히사시 (阿部 恒) |
日: 2001.10.10. 韓: |
||
제2화 |
夢見 - A NIGHTMARE 악몽 |
아리토미 코지 (有冨興二) |
후지타 시게루 |
日: 2001.10.17. 韓: |
||
제3화 |
約束 - A PLEDGE 약속 |
마츠오 코우 |
사쿠라이 쿠니히코 (桜井邦彦) |
日: 2001.10.14. 韓: |
||
제4화 |
影贄 - A SACRIFICE 희생 |
사카이 아키오 (さかいあきお) |
시시도 준 | 이호섬 |
日: 2001.10.21. 韓: |
|
제5화 |
宿命 - A DESTINY 숙명 |
코지마 마사유키 | 사토 히데카즈 | 하마다 쿠니히코 |
日: 2001.10.28. 韓: |
|
제6화 |
高野 - KOUYA 고야 |
하야시 히데오 | 후지타 시게루 |
日: 2001.11.04. 韓: |
||
제7화 |
電脳 - CIVER 전뇌 |
사토 유조 |
마츠무라 야스히로 (松村康弘) |
와타나베 카즈오 (渡辺和夫) |
日: 2001.11.11. 韓: |
|
제8화 |
添星 - GEMINI 첨성 |
코데라 카츠유키 (小寺勝之) |
엔도 타쿠지 | 타나카 마사요시 |
日: 2001.11.18. 韓: |
|
제9화 |
陰陽 - ONMYOU 음양 |
스기하라 켄지 (杉原研二) |
하마사키 히로시 | 타사키 사토시 |
日: 2001.11.25. 韓: |
|
제10화 |
犬鬼 - INUKI 이누키 |
카와지리 요시아키 |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
아리토미 코지 |
日: 2001.12.02. 韓: |
|
제11화 |
境界 - BORDER 경계 |
사토 유조 | 타카다 준 |
하마다 쿠니히코 사이키 야스히로 (才木康寛) |
日: 2001.12.09. 韓: |
|
제12화 |
選択 - ALTERNATIVE 선택 |
카와지리 요시아키 | 오오타 마사히코 | 후지타 시게루 |
日: 2001.12.16. 韓: |
|
제13화 |
帰還 - RETURN 귀환 |
후치가미 마코토 (渕上 真) |
소토자키 하루오 |
하시모토 히데키 (橋本英樹) |
日: 2001.12.23. 韓: |
|
제14화 |
集結 - GATHERING 집결 |
야마자키 타카시 (山崎 隆) |
키미야 시게루 (木宮 茂) |
와타나베 카즈오 |
日: 2001.12.30. 韓: |
|
제15화 |
守護 - GURDIAN 수호 |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
이케다 시게타카 (池田重隆) |
타나카 마사요시 |
日: 2002.01.13. 韓: |
|
제16화 |
虚無 - SLAUGHTER 허무 |
후데야스 카즈유키 | 하마사키 히로시 | 오오타 마사히코 | 타사키 사토시 |
日: 2002.01.20. 韓: |
제17화 |
苦悶 - WISH 고민 |
카와지리 요시아키 |
사쿠라이 토시유키 (桜井利之) |
오오누키 켄이치 |
日: 2002.01.27. 韓: |
|
제18화 |
新生 - NEWBORN 신생 |
사토 유조 | 소토자키 하루오 | 하시모토 히데키 |
日: 2002.02.03. 韓: |
|
제19화 |
煉獄 - INFERNO 연옥 |
사카이 아키오 |
오카자키 유키오 (岡崎幸男) |
와타나베 카즈오 |
日: 2002.02.18. 韓: |
|
제20화 |
恋歌 - RIPPLE 연가 |
토키타 히로코 (ときたひろこ) |
하야시 히데오 | 호소다 마사히로 |
사이토 히로노부 (斎藤浩信) |
日: 2002.02.25. 韓: |
제21화 |
流浪 - CURRENT 유랑 |
에나츠 유키 (江夏由結) |
소에타 카즈히로 (添田和弘) |
하나이 신야 (花井信也) 이케다 시게타카 |
타나카 마사요시 |
日: 2002.03.04. 韓: |
제22화 |
背信 - BETRAYAL 배신 |
후데야스 카즈유키 | 야마모토 사요 |
와타나베 마사히코 (渡辺正彦) |
이노우에 미유키 (井上みゆき) |
日: 2002.03.11. 韓: |
제23화 |
天地 - EARTH 천지 |
토키타 히로코 |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
오오타 마사히코 | 타사키 사토시 |
日: 2002.03.18. 韓: |
제24화 |
伝説 - LEGEND 전설 |
하마사키 히로시 | 사쿠라이 쿠니히코 |
日: 2002.03.25. 韓: |
4.3. 평가
방영 초기에는 제법 훌륭한 작화를 보였으나 점점 작화 질이 떨어지며 성우진 교체[4]로 상당히 평이 엇갈렸다. 하지만 이후 원작 만화를 바탕으로 착실히 스토리를 진행하여 아직 원작이 완결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그럭저럭 깔끔하게 마무리를 지었다. 극장판이 저 지경이 되었고 원작은 연중을 벗어날 기미를 전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유일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제대로 마무리 지은 버전이다.다만 TV판 제작진들은 CLAMP에게서 원작의 결말을 들은 후
[1]
참고로 린 타로는 이전에 X와 비슷한 소재의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맡은 바가 있다.
[2]
다만 dvd에는 한국어더빙이 들어있지않고 일어와 영어더빙만 들어있다.
[3]
주연인 카무이나 후마 등은 그대로인데 그 외의 캐릭터들은 거의 대부분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후 방영된 애니박스판에서는 이름 변경 없이 그대로 나왔다.
[4]
극장판 성우진들이 라디오 드라마 등을 통해 사실상 해당 캐릭터의 성우로 이미지가 굳어진 상태였고 당시 TV판 캐릭터 담당 성우들이 신인이었던 점도 컸다. 물론
2012년 기준으로 보면 TV판 캐릭터 담당 성우들은 대다수 거물급 성우로 성장했기 때문에 상당히 아이러니한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