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14:27:34

MBC 표준FM

MBC 제1FM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종합
방송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 파일:KBS 1Radio 로고.svg | 파일:KBS 3Radio 로고.svg |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 파일:MBC 로고.svg ( 파일:MBC표준FM_신로고.svg 파일:MBC라디오_White.svg ) | 파일:EBS 로고.svg ( 파일:EBS FM 로고.svg )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 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svg 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 ) | 파일:KNN 로고.svg ( 파일:KNN 러브FM.png )
파일:경인방송 로고.svg (독립) | 파일:OBS 라디오 로고.png (독립)
종교방송
<colbgcolor=#fff,#1c1d1f>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 파일:기독교방송 로고 화이트.svg ( 표준FM)
파일:가톨릭평화방송 로고.svg ( 파일:cpbc FM 로고.svg )
파일:BBS불교방송 로고.svg
음악
국영방송
파일:국악방송FM 로고.svg 파일:FM국악방송 화이트.svg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 파일:KBS 제2라디오 로고.svg | 파일:KBS ClassicFM 로고.svg | 파일:KBS CoolFM 로고.svg ) | 파일:MBC 로고.svg ( 파일:MBCFM4U_신로고.svg 파일:MBCFM4U_White.svg )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 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svg 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 ) | 파일:KNN 로고.svg ( 파일:KNN 파워FM.png ) | 파일:TBC 로고.svg ( 드림FM) | 파일:kbc 로고.svg ( MyFM)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파워FM) | 파일:ubc 로고.svg ( 그린FM) | 파일:JTV 로고.svg ( 매직FM) | 파일:CJB 로고.svg ( 조이FM) | 파일:G1방송 로고.svg 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 ( Fresh FM) | 파일:JIBS 로고.svg ( 뉴파워 FM)
종교방송
<colbgcolor=#fff,#1c1d1f>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 파일:기독교방송 로고 화이트.svg ( 음악FM) | 파일:극동방송 로고.svg
파일:원음방송 BI.svg
파일:YTN 라디오.png
파일:TBS FM 로고.svg | 파일:TBN 교통방송 로고.png
군사 파일:국방홍보원 MI.svg ( 파일:KFN 로고.png )
국내 방송사 운영
파일:KBS 월드 라디오 로고.svg | 파일:TBS eFM 로고.svg | 파일:Arirang Radio 로고.png | 파일:부산영어방송 로고.svg | 파일:GGN 글로벌광주방송 로고.png
주한미군 운영
파일:AFN The Eagle.jpg | 파일:AFN Thunder AM.png
파일:관악FM.png | 파일:마포FM.png | 파일:성남FM.png | 서대문공동체라디오 | 단원FM | SoneFM | 파일:금강FM.gif | 파일:SCN 성서공동체FM.png | 파일:영주FM.png | 파일:광주FM.png | 옥천FM | 파일:세종FM CI.png | 성주FM | GBS고려방송 | 파일:남해FM.png | 한밭FM | 태백FM | 영월FM | 상주FM | 파일:연제FM 로고.png | 전주FM | 대구동구FM
DMB
스트리밍
파일:U-KBS MUSIC 로고.svg | 파일:올댓뮤직.jpg | 파일:SBS V-Radio.png
인터넷
EBS 반디 외국어 전문 · CBS JOY4U · CTS라디오 · 파일:BTN라디오울림로고.jpg
관련 틀과 문서
틀:대한민국의 대북방송 | 공동체 라디오 | 라디오 주파수/대한민국
방송 프로그램 문서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 파일:MBC 로고.svg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파일:SBS 로고.svg 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파일:MBC표준FM_신로고.svg MBC RADIO
MBC 라디오[1]
MBC 표준FM[2]
}}}
오늘도 당신편
<colbgcolor=#7580f6><colcolor=#fff> 국가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개국
<colbgcolor=#7580f6> 1961년 12월 2일([age(1961-12-02)]주년)[3]
(문화방송, 現 MBC AM방송)
1987년 12월 15일([age(1987-12-15)]주년)
(MBC 표준FM방송)
운용 종료 2023년 5월 8일
(MBC AM방송)
채널 구분 지상파 라디오
운영 유형 공영방송
장르 종합편성채널
방송 분야 뉴스, 시사교양, 음악, 예능, 스포츠, 교통, 재난방송
호출
부호
HLKV (수도권)[4]
HLKV-SFM (수도권)[5]
주파
--900㎑
수도권
--
95.9㎒
수도권
부산
104.1㎒
경기 동북부
무궁화 6호 12560V
동북아향
방송
시간
통상
오전 5시 ~ 다음날 오전 5시(24시간, 1988.7.1~)[6]
정파
오전 5시 ~ 다음날 오전 2시(21시간)
방송
품질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7580f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1채널 모노 사운드)]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7580f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AM 파일럿 톤 스테레오)]
인터넷
<colbgcolor=#7580f6>
화질
HLS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7580f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720/30p)](1Mbps, H264)[V-Radio]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7580f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4 HE-AAC)](64kbps, 44.1kHz)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7580f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2 Audio Layer-2)]
방송망 문화방송 네트워크 (키 스테이션)
실시간 청취 파일:MBC 미니.png
언어 한국어
가청취권역 수도권 지역[8]
운영주체 문화방송 라디오국
방송책임
편성
김현수 (라디오국장)
광고
윤미현 (콘텐츠사업본부장)[9]
소유 주식회사 문화방송

1. 개요2. 설명
2.1. 시보
3. 청취 방법
3.1. AM 라디오
3.1.1. 주파수
3.2. FM 라디오
3.2.1. 주파수
3.3. 인터넷 스트리밍
4. 편성표/ 방영 프로그램5. 종영 프로그램6. 로고송7. 제공 시보8. 관련 문서9.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세상을 만나다

MBC 표준FM 2019년 ~ 2022년 슬로건[10]
오늘도 당신편

MBC 라디오국 통합 슬로건
MBC 라디오/표준FM은 주식회사 문화방송의 종합편성 FM방송[11]이자 부속 라디오국[12]이 운영하는 대한민국 수도권 지역을 가청취권으로 하는 지상파 라디오 채널로, 공영방송[13]이다. AM은 1961년 12월 2일, 표준FM은 1987년 12월 15일에 개국했으며, 본사 사옥과 연주소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에 위치한다.

대한민국 내 다른 지역의 16개의 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방송사와 함께 전국방송망을 구축하고 있다. 본사(서울) 기준 호출부호는 HLKV-SFM, 주파수는 초단파( VHF/FM) 95.9㎒에서 출력 10 kW로 송출 중이다. 중파(MW/AM)의 경우 호출부호 HLKV, 주파수 900㎑에서 출력 50 kW로 FM과 병행해 송출하였으나, 2022년 11월 8일 운용휴지에 들어간 후 2023년 5월 8일에 폐국하였다.[14]

문자 참여번호는 서울 본사 제작 프로그램 기준 #8001번이다.

이 문서는 표준FM이란 명칭을 MBC 라디오의 애칭으로 보고, 본 방송과 표준FM의 설명이 같이 기재되어 있다.

2. 설명

원래 표준FM이란 AM 방송을 그대로 FM으로 중계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런데 상술된 것처럼 비공식적으로 MBC 라디오의 애칭으로 쓰는 경우가 있기는 했지만, 한국 전파법 상 MBC 라디오 방송국MBC 표준FM 방송국은 어디까지나 같은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로 다른 방송국이었다. 실제로 운용 당시 프로그램과 광고 편성을 할 때 전자를 기준으로 했으며, 후자는 단순히 전자의 방송 신호를 중계만 할 뿐이었다. [15] 다만 AM방송의 폐지가 가시화되면서 먼저 AM 주파수를 폐지한 지역국(충주, 안동, 대구, 진주)들을 중심으로 MBC(+지역명) 제1FM 방송국으로 통합, 기존의 정책이 변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중이다.

AM 방송은 MBC 개국일인 1961년 12월 2일 오전 6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개국하자마자 방송한 프로그램의 이름은 '여러분의 KV'.[16] MBC 역사를 보면 알겠지만 본래 1959년 부산(현 부산MBC)에서의 방송이 시초다. 표준FM은 AM 방송이 이미 있어서인지 FM4U보다 출발이 늦었다. 1987년 12월 15일에 서울 본사에서 맨 먼저 개국했으며, 1999년에 들어서야 포항MBC를 끝으로 전국 방송망이 구축되었다. 표준FM 개국 전에는 AM 방송으로만 들을 수 밖에 없었다. 원래는 수도권 AM 송신소가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시흥 송신소, 개국 당시 경기도 시흥군 서면 소하리)에 있었으나 1994년에 현 위치인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로 옮겨졌다.

1988년 7월 1일부터 MBC-FM(2001년 9월 19일부터 MBC FM4U)과 함께 월요일부터 토요일 한정으로 24시간 종일방송을 실시하다가 1989년 가을개편부터 방송시간이 22시간으로 축소되었다가 1996년 봄개편부터 종일방송을 재실시하였다.[17]

서울 본사와 부산에서 FM 주파수 95.9㎒로 송출하며, 지역별로 주파수가 제각각이므로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것. 단, mini는 어디서 듣던 간에 무조건 본사 방송을 송출한다. 이유인 즉슨 mini 서버가 서울특별시 상암동 본사에 있기 때문이다.

특히, 라디오 프로그램이 이어지기 때문에, 한 번만 틀면 하루종일 들을 수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보통 라디오 편성표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방송 순서만 제대로 이해하면, 라디오를 청취하는 데 문제가 전혀 없다.

단, 5, 10월[18]을 제외한 매월 첫째 주 월요일은 오전 2시 ~ 오전 4시 55분까지 계획 정파가 있다. 이때 결방되는 프로그램은 낭만가요 2부, 꿈의 팝송이다.

물론, 각 지방사에서는 일부 시간대에 한해서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송출하기도 한다.

매일 오전 4시 55분에 방송개시멘트가 나가면서 애국가 1절이 송출된 후에 오전 5시부터 라디오 방송이 재개된다. 본사를 제외한 일부 지역에서는 문화방송 사가를 틀어주기도 하는데, 지역 방송국별로 이 또한 버전에 차이가 있다. 이 노래를 알고 있는 사람들은 새마을노래 학교 교가 수준으로 정겨운 노래일지도 모른다. 가사도 외우게 되는 경지에 오르게 된다.

새벽 시간대를 제외한 매시 정각엔 뉴스를 꼭 방송하는데[19], 분량은 5~20분 분량이다. 특히 위의 프로그램들이 뉴스 시간에 꼭 빠진다. 아마 이 시간이 프로그램 진행하시는 분들의 휴식시간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마찬가지로 새벽 시간대를 제외한 매시 57분에는 서울 시내 및 주요 도로, 고속도로 등의 교통 정보도 제공해준다. 하지만 이 정보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지역만 해당하고, ITS(지능형 교통 시스템)가 설치된 광역시급 지역[20]은 자체 교통정보를, 나머지 지역은 해당 지역 홍보에 가까운 공익광고, 혹은 교통안전 캠페인 등을 내보낸다. 광역시급 지역도 출퇴근 시각 이외의 시간에는 공익광고 · 캠페인이 나가기도 한다.

하지만 주말 매시 30분대에 방송되는 전국 고속도로 상황은 전국구방송. 그런데 요즘은 '실시간 고속도로 정보'라고 하지 않고 '안전운전 캠페인'이라는 이름으로 틀어주고 있다.

대표적인 장수 프로그램은 1969년에 시작된 ' 별이 빛나는 밤에'[21], 1973년 시작되었다는 ' 싱글벙글쇼', 그리고 1975년에 시작한 ' 여성시대', 그리고 공익광고 캠페인 프로그램인 잠깐만. 1995년에 시작했기 때문에 MBC 표준FM의 다른 프로그램과 비교할 때는 장수 프로그램이 아니지만, 그래도 장수에 해당되는 ' 지금은 라디오 시대'가 있다. MBC 표준FM의 인기 비결이 아닌지.

그리고 MBC 라디오의 역작 하면 아무래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일 것이다. MBC 라디오 음향 PD들이 오랜 기간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구전민요 등 잊혀져가는 우리 소리를 발굴해 방송하기도 했다. 이는 교양과 오락이 적절히 버무린 표준FM의 특징 때문에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FM4U에서도 방송되고 있다.

아무튼 인기가 많고, 교양과 오락이 적절히 혼합된 것이 장점이라면 장점이겠지만 일각에서는 "MBC 표준FM이 중파 방송과 FM 방송 간 분리 정책을 망쳐먹은 원흉이다"는 비판을 하기도 한다. 실제로는 미국에서는 토크쇼나 뉴스 위주의 채널은 중파로 송출하고, 음악 위주의 채널은 FM으로 송출케하는 분리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일본도 마찬가지로 중파와 FM 채널이 별개로 송출되고 있다.[22] 한국도 이를 따라하려고 하다가 KBS 제1라디오[23]와 MBC 표준FM을 필두로 기존의 중파 방송이 FM화되어 'FM 방송의 중파 방송화'라는 문제를 낳았다고 지적한다. [24]

어쨌든 MBC 표준FM은 2011년 하반기까지는 대한민국 최고 라디오 채널 자리를 고수하고 있었으나, KBS 제1라디오, KBS 제2라디오, MBC FM4U, CBS 음악FM, BBS FM의 계속되는 도발로 인해 MBC 표준FM의 아침 출근길 시사 프로그램인 시선집중이 5년 만에 청취율 최저를 기록했다. #[25] 광고도 반토막이 났다. #

그래서인지 2015년 9월에서 2015년 10월 경 이후부터는 정시 뉴스와 프로그램 사이에 있는 1분 20초 길이의 스팟광고 대역을 40초로 줄여버렸다. 그 시간은 정시 뉴스를 매시 3분까지 틀고 캠페인으로 때운다. 그리고 짤린 그 40초는 30분 중간 타임 (1-2부 사이, 3-4부 사이)으로 들어갔다. 즉, 중간 스팟광고가 2분 짜리가 되었다.[26]

2015년 11월 중순에 개편안이 나왔는데 주로 젊은 층을 책임지던 별밤-심타 라인이 개악당했다. 별밤이야 호불호가 컸던 허경환의 진행 때문에 그렇다 치더라도 심타의 폐지는 매우 아쉽다는 의견이 많다.

2017년 8월 28일부터 전국언론노동조합 소속 문화방송 라디오 PD들이 제작을 거부함에 따라 표준FM의 평일 7시 ~ 20시를 제외한 프로그램의 방송이 중단되고 BGM 음악방송으로 대체되었다. 9월 4일부터는 7~9시 프로그램인 시선집중도 방송이 중단되었으며, 음악방송 프로그램은 9월 4일까지는 Channel M의 프로그램 명칭을 그대로 베꼈지만, 9월 5일부터는 아예 MBC 라디오 음악여행으로 프로그램 명칭을 변경하였으며,[27]주말에는 뉴스를 제외하고 모두 음악여행만 방송되었다.

2017년 11월 20일 5시 '건강한 아침 이진입니다'를 시작으로 표준FM 모든 프로그램의 방송이 정상화되었다.

2018년 9월 18일에는 동두천 중계소(104.1㎒)를 개국하여 경기도 동두천시, 양주시에서도 깨끗한 청취가 가능해졌다. #

2020년 3월 30일 개편에 따라 정오를 제외한 모든 라디오 뉴스가 정시 스트레이트 뉴스 체제로 변경되었다.

정상화 이후 2021년 1분기 조사에서는 14%로 채널 점유율 3위에 중파방송(표준FM방송) 채널 중에서는 1위를 기록했다. CBS 음악FM을 제쳤음은 물론이고 TBS FM과는 불과 0.7% 차이로 비록 청취율은 뒤쳐질지언정 그간 쌓인 자사 표준FM의 브랜드 파워는 쉽게 무너지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바로 다음 분기 조사에서 KBS Cool FM이 약진한 영향으로 4위로 주저앉으면서 다소 빛이 바랬다.

2022년 3월 28일부터 프로그램 별로 1부와 2부, 3부와 4부 사이에 있는 스테이션 브레이크 시간을 DJ 재량으로 정했던 이전과는 달리, SBS 라디오처럼 스테이션 브레이크를 확실히 구분짓기 시작했는데, 각 프로그램별로 매 정시 28분/35분/38분 30초가 되자마자 1부, 3부가 끝나고 중간광고가 방송된다.[28] 중간광고가 끝난 후에는 지금 시간은 O시 30분입니다라는 멘트가 송출된다.[29][30] 이에 따라 이전에는 각 프로그램 3~4부, 1시간 프로그램은 1~2부 광고 이후에 다음 프로그램 DJ가 내보냈던 프로그램 안내 멘트도 SBS 라디오 전 채널처럼 4부 광고(1시간 프로그램은 2부 광고)가 나간 후에 송출하도록 변경되었다. 다만 SBS 러브FM은 20분 짜리 종합뉴스 이후의 프로그램에는 3부제를 적용하는 반면 MBC 표준FM은 종합뉴스가 나가더라도 여전히 2부(1시간 프로그램)/4부(2시간 프로그램)제를 적용하고 있다.

한편 2022년 가을 개편부터 표준FM(혹은 종합FM)의 특징 중 하나였던 평일 주말 이원화 편성을 축소하고[31] 매일 줄띠편성을 확대하는 한편, 정치 및 경제를 망라하는 시사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채널의 방향성을 뉴스, 시사에 특화시키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다. 이후 실시된 2023년 1분기 조사에서는 오세훈 2기 시정 하에서 뉴스공장이 폐지된 영향으로 시선집중이 기존 뉴스공장 청취층을 흡수하면서, 15.7%로 채널 점유율 2위에 구 중파방송(표준FM방송) 채널들 중에서는 1위를 기록했으며, 2023년 2분기 조사에서는 신장식 변호사를 영입한 뉴스 하이킥이 기존 신장개업 청취층 대부분을 다시 불러 모으면서 전체 청취율 1위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는 등 개편 성과가 고무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 여기에 시선집중과 주말 뉴스 하이킥, 정치인싸도 청취율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고 이에 힘입어 청취 점유율이 7년만에 20%대로 진입한 것은 물론 유튜브 채널 MBC라디오시사의 구독자 수도 1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채널 방향성의 변화는 2023년 2분기까지만 놓고 봐선 꽤 성공적이라 할 수 있다. 청취자들의 대부분이 민주-진보 성향 정치 고관여층이라는 점이 공정성 측면에선 다소 흠이라 할 순 있겠으나 어쨌든 이 페이스를 계속 유지한다면 SBS 파워FM에 장기간 내줘야 했던 청취 점유율 1위의 탈환이 꿈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2023년 3분기 청취율 조사에서 23.5%대를 기록해 21.1%에 그친 SBS 파워FM을 누르고 마침내 1위 탈환에 성공했다! #[32] 이런 성과에 고무되어 2023년 4분기 중인 11월 20일에는 청취자들의 플랫폼 잠금 효과를 노리면서 뉴스 시사에 강한 채널이라는 정체성을 확고히 함과 동시에 음악의 전문성에도 힘을 싣는 개편을 단행했다. #[33]

2024년 상반기 중인 6월 3일에 51년 장수 프로그램인 싱글벙글쇼가 폐지되고 트로트 프로그램인 손태진의 트로트 라디오를 신설하며 오전 11시 5분 안녕하세요 이문세입니다가 신설되고 신혜림의 골든디스크가 자정 시간대로 이동되는 등 중장년층 대상 음악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개편을 단행했다.[34] 2024년 7월 1일 하반기 시작부터 25년 장수 프로그램 건강한 아침을 폐지하고 하루의 시작 정다희입니다가 신설되었다.

2024년 3분기에는 저녁 시사 프로그램인 뉴스 하이킥과 아침 시사 프로그램인 시선집중이 각각 전체 정취율에서 1위와 2위를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고, 4분기 조사에서도 마찬가지로 나란히 1위와 2위를 기록했다. 특히 뉴스 하이킥은 2023년 2분기 조사부터 7분기 연속 전체 청취율 1위를 기록하게 됐다. 채널 청취 점유율도 MBC 표준FM이 23.6%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SBS 파워FM은 21.7%로 2위, CBS 음악FM 17.6%로 3위 순이었다. #

2.1. 시보

대한민국 라디오 방송 중 시보음에 멜로디를 사용중인 대표적인 곳이다. 특유의 전자피아노 연주로 이루어진 시보음으로 1995년 8월 1일부터 지금까지 표준FM과 DMB 올댓뮤직 채널에서 무려 27년째 사용 중이다. MBC 라디오 개국 이래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쓰이고 있는 셈. 이 시보음 이전에는 1982년 9월부터 1995년 7월까지 전자음 멜로디가 사용되었는데, 한국어 위키백과의 MBC 문서를 보면 1982년 9월 4일에 "작곡자 4명(박춘석, 길옥윤, 엄기돈, 정서봉)이 라디오 FM 시보 작곡을 완료"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사실 현재 사용하는 전자피아노 연주 자체가 1980년대 1채널 전자음 시보음을 현대적으로 개편한 것이기 때문에[35] 1982년부터 헤아린다면 거의 40여 년 째 같은 멜로디를 쓰는 셈. # MBC 뉴스데스크에 사용된 시보음 참조.[36]
참고로 2001년까지는 MBC FM도 동일한 시보음을 사용했으나, 동년 10월 개국 30주년을 기념해 채널명이 MBC FM4U로 변경되면서 나윤선이 부른 자체 시보음으로 변경되었다.

그 외에도 아침엔 시보 광고 대신 새소리가 흘러나온 적도 있었지만 현재는 2006년 무렵 마산MBC TV에서 사용했던 '행복한 세상의 좋은 친구 MBC 문화방송'이라는 로고송이 일부 지방사에서도 나간다.[38] 이는 서울MBC를 제외한 지방MBC가 제작협의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1982년 무렵까지는 KBS처럼 뚜- 뚜- 삐- 이지만 장조가 다르다. (1980년대 초반 녹음된 자료, PC는 Real Alternative 설치 필요/모바일은 MX플레이어로 가능), (1972년 2월 23일 오후 8시 대구MBC 라디오 녹음 자료) 또한 2000년 이전에는 초반에는 뉴스데스크의 시보에서도 같은 소리가 났으나 2000년대 들어서자 광고 소리와 시보음이 겹쳐서 난잡해져서인지 이제는 라디오에서만 들을 수 있게 되었다.[팁] 참고로, KBS 2TV에서도 이 시보를 오전 7시 한정으로 잠깐 내보냈는데 광고주가 매일유업이어서 그랬다.

여담으로 이 전자피아노 시보음은 1990년대 중반에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대백프라자에서 정시마다 송출하기도 했다. 단, 방송사의 안내멘트와 광고는 나오지 않고 시보음만 송출했다. 당시에 MBC와 협약을 맺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청취 방법

3.1. AM 라디오

3.1.1. 주파수

지방사 송신소 주파수
(kHz)
출력
(kW)
호출부호 송신소 주소 가청권역 비고
광주 비아 819 20 HLCN 광주 광산구 임방울대로 673-18 (응암공원)[44] 광주·장성·함평·나주·영광
담양·고창·정읍·순창
강원영동
(강릉)
경포
1287 10 HLAF 강원 강릉시 난설헌로 95-59[45] 강릉·양양·속초·고성
북한(강원도 동부·함경남도 남동부)
[46]
전주 이서 855 10 HLCX 전북 완주군 이서면 낙산로 59[47] 전주·익산·군산·완주
김제·정읍·부안·임실
[48]


====# 송출 종료 #====
지방사 송신소 주파수
(kHz)
출력
(kW)
호출부호 송신소 주소 송출 당시
가청권역[49]
송출 종료일
대구 다산 810 20 HLCT 경북 고령군 다산면 곽촌리 522 대구·청도·영천·군위·고령
성주·칠곡·구미·김천·경산
2021년 11월 19일[A]
충북
(충주)
충주 1332 10 HLAO 충북 충주시 중원대로 3179 (호암동) 충주·괴산·진천·음성
제천·단양·이천·여주
안동 서후 1017 10 HLAW 경북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450-1 안동·영주·봉화·의성
예천·문경·상주
2022년 7월 12일[B]
경남
(진주)
명석 1215 10 HLAK 경남 진주시 명석면 진주대로1807번길 21-224 (우수리) 진주·사천·의령
남해·하동·산청
춘천 신동 774 10 HLAN 강원 춘천시 되내길 71(신동) 춘천·홍천·화천·철원
가평·북한(강원도)
2023년 3월 8일[C]
강원영동
(삼척)
우지[53] 1350 10 HLAQ 강원 삼척시 우지동 184-1 삼척·동해·강릉
원주 흥양리 1242 10 HLSB 강원 원주시 소초면 흥양리 1479 원주·횡성·여주
부산 초읍 1161 20 HLKU 부산 부산진구 초읍동 산29 (화지산) 부산·김해·일본[54]
여수 돌산[55] 1080 10 HLAT 전남 여수시 돌산읍 돌산로 3578-28 (우두리) 여수·순천·광양·고흥
구례·남해·하동
목포 삼호 1386 10 HLAM 전남 영암군 삼호읍 정개길 135[56] 목포·강진·진도·영암·무안·나주
함평·신안[57]·해남·장흥
제주 해안 774 10 HLAJ 제주 제주시 해안동 66-1 제주도
본사
(서울)
토당[58] 900
[59]
D50 HLKV 경기 고양시 덕양구 신평길 47-18[60] 수도권·충청 일부
세종·대전·북한(개성, 황해도)
2023년 5월 8일[D]
포항 연일 1107 10 HLAV 경북 포항시 남구 연일읍 중명리 산38 포항·경주·영덕·울진·울릉
울산 울산 846 10 HLAU 울산 울주군 범서읍 입암리 22-6 울산·부산(기장)·경주
경남
(창원)
북면 990 10 HLAP 경남 창원시 의창구 북면 외산리 1526-4[62] 창원·거제·함안·고성
창녕·의령·통영
대전 복수 765 10 HLCQ 대전 서구 복수동 산10 (오량산) 대전·천안·계룡·공주
금산·논산·세종·청주
충북
(청주)
죽림동 1287 10 HLAX 충북 청주시 서원구 2순환로1432번길 52-14 (죽림동) 청주·진천·증평·음성·괴산·세종

====# 구 호출부호 #====
원주MBC를 제외하면 모두 개국 이전에만 사용한 부호였다.
지방사 호출부호 사용기간 비고
본사 HLKC 1959 [63]
HLSB 1961
원주 HLSX 1970~1975 [64]
강원영동
(강릉)
HLSO 1968 [65]
울산 HLSS 1967.11~1968.3 [66]

3.2. FM 라디오

현재 가장 보편적인 청취 수단 중 하나. 중계국의 수가 KBS 제1라디오, EBS FM에 이어서 3번째로 많으며, 덕분에 서해 5도 등 극소수의 난청지역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수신 가능하다.

3.2.1. 주파수

지방사 송신소 주파수
(㎒)
출력
(W)
호출부호 송신소 주소 가청권역
본사
(서울)
관악산[67] 95.9 10k HLKV-SFM 경기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476번길 30-3
(KBS)[68]
수도권[69]
충청 북부[70], 강원 영서[71] 일부
북한(개성·황해남북도)[72]
동두천[73] 104.1 100 경기 동두천시 정장로 135-32[74] 동두천·양주·포천[75]·연천
춘천 대룡산 92.3 3k HLAN-SFM 강원 춘천시 동내면 대룡산길 944[76] 춘천·홍천·화천·철원[77]·양구[78]·
포천[79]·가평·양평[80]
대암산 88.9 500 강원 양구군 동면 팔랑리 산1 인제·양구·홍천[81]
북한(회양·금강)
철원 90 강원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산12-1 철원[82]·연천[83]·포천[84]
원주 백운산 92.7 1k HLSB-SFM 강원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산166 원주·횡성·여주·이천·양평·
음성[85]·충주[86]·제천[87]
국지산 90 강원 영월군 영월읍 팔괴리 산237 영월[88]
태기산 102.5 1k 강원 횡성군 둔내면 경강로 6013 횡성·원주·평창·홍천[89]·
양평·여주·이천[90]
노성산 50 강원 평창군 평창읍 하리 산3-5 평창·강릉[91]
강원
영동
괘방산 96.3 3k HLAF-SFM 강원 강릉시 강동면 괘방산길 241[92] 강릉·속초·양양·동해·
고성[93]·평창[94]·정선[95]
양양 100.7 90 강원 양양군 손양면 고노동길 208[96] 양양[97]
오봉산[E] 99.7 90 강원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 산56-1 고성·속초·북한(금강·통천)
초록봉 93.1 3k HLAQ-SFM 강원 동해시 비천길 310 동해·삼척[99]·강릉[100]
호산[E] 90 강원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산49-1 삼척(원덕)·울진[102]
함백산[103] 101.5 1k 강원 태백시 서학로 257-41[104] 태백·삼척[105]·정선·영월[106]·
영주·봉화·울진
대전 식장산[107] 92.5 3k HLCQ-SFM 대전 동구 세천공원로 32-838[108] 대전·세종·공주·금산·논산·
계룡·천안[109]·아산[110]·부여·
청양·청주[111]·보은·옥천·영동[112]·
진안·익산·완주·무주·김천
원효봉 91.3 500 충남 서산시 해미면 원효봉길 450[113] 서산·태안·예산·당진·아산·
홍성·보령·청양·부여·
평택·오산·안성·화성
옥마산 93.7 50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산로 540[114] 보령·홍성[115]·청양[116]·
부여[117]·태안[118]·서천[119]
충북 우암산 107.1 1k HLAX-SFM 충북 청주시 상당구 교동로71번길 167-86[120] 청주·진천·증평·세종·
괴산[121]·보은[122]·대전[123]·
천안[124]·평택·안성[125]
금적산 96.3 500 충북 옥천군 안내면 오덕리 산1-1 옥천·보은·영동·대전[126]·
금산[127]·무주[128]·상주[129]
가섭산 96.1 1k HLAO-SFM 충북 음성군 음성읍 가섭길 579[130] 충주·괴산·음성·제천·평택[131]·
안성·이천·여주·원주[132]
용두산 94.7 500 충북 제천시 신월동 산39-30 제천·충주[133]·단양[134]·
원주[135]·영월[136]
금수산 94.1 충북 단양군 적성면 상리 산86-2 단양·제천[137]·영월[138]·
영주[139]·문경[140]·예천[141]
대구 팔공산 96.5 5k HLCT-SFM 경북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141-5 대구·구미·경산·청도·고령·성주·
칠곡·김천·영천·경주·상주·문경·
예천·의성·안동·청송·창녕·밀양[142]·
합천·보은[143]·옥천[144]·영동[145]
와룡산 100.3 100 대구 달성군 다사읍 다사로 823[146] 대구[147]·칠곡·성주
달봉산 98.7 경북 김천시 신음동 산101-8 김천·영동[148]
포항 도음산 100.7 3k HLAV-SFM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도음로 764-150[149] 포항·경주·영덕·울진[150]·
울산(북구·울주[151])
현종산 102.7 1k 경북 울진군 매화면 덕신리 산64-4 울진·영덕[152]·삼척
삼각산 98.5 250 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산29-1 울릉도·독도
안동 학가산 100.1 1k HLAW-SFM 경북 안동시 북후면 학가산길 484[153] 안동·영주·문경[154]·예천·
상주[155]·의성·청송·영양·봉화
부산 황령산 95.9 3k HLKU-SFM 부산 부산진구 황령산로 391-40[156] 부산[157]·양산[158]·김해·
거제[159]·창원[160]·울산(울주)·
밀양[161]·일본(대마도)
양산타워 97.7 20 경남 양산시 동면 강변로 264[162] 양산[163]
부산[164]·울주(삼남)·김해[165] 일부
봉화산 106.5 부산 강서구 녹산동 산2-27 부산(강서·북구[166]·사상·사하)·
김해[167]·양산[168]
기장군청 30 부산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560[169] 기장(기장읍·일광·장안·
철마)·울주(서생) 일부
정관 20 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417-28 기장(정관신도시)
울산 무룡산 97.5 1k HLAU-SFM 울산 북구 연암동 산1-5 울산·기장[170]·경주[171]·양산[172]
경남 불모산 98.9 3k HLAP-SFM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창원·김해·거제·통영·함안·
밀양·고성·의령·창녕[173]·
부산[174]·양산[175]·청도[176]
내서 96.7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리 산163 창원(내서)
금오산[177] 91.1 3k HLAK-SFM 경남 하동군 금남면 금오산길 796 진주·사천·남해·하동·고성·
통영·거제·광양·구례·여수∙순천[178]
감악산 93.5 1k 경남 거창군 신원면 연수사길 611[179] 거창·함양·합천·산청·의령·창녕·
고령·성주·김천·남원·장수
광주 무등산 93.9 5k HLCN-SFM 광주 북구 무등산천왕봉길 460[180] 광주·나주·화순·담양·장성·
곡성·보성[181]·장흥[182]·영암·
목포·무안·함평·영광·
정읍·김제·고창·부안·순창
물퇴봉 101.9 10 전남 영광군 영광읍 학정리 산105 영광·고창[183]·장성[184]∙함평[185]
여수 순천남산 100.3 1k HLAT-SFM 전남 순천시 월곡2길 64-206[186] 순천·여수[187]·고흥·광양·
보성[188]·구례·곡성·하동·남해[189]
구봉산 107.1 100 전남 여수시 대치1길 106-98 여수[190]·순천[191]·광양·고흥
망운산 101.3 경남 남해군 서면 남서대로2240번길 412-18[192] 광양·여수[193]·순천[194]·남해[195]·하동[196]
목포 대둔산[197] 89.1 2k HLAM-SFM 전남 해남군 현산면 황산리 산1-16 목포·영암·신안[198]·무안·해남·
강진·진도·완도·장흥
전주[199] 모악산[200] 94.3 4k HLCX-SFM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693-22[201] 전주·익산·군산·완주·김제·
정읍·부안·고창·보령·서천·
논산·부여·계룡·공주[202]
노고단 101.7 3k 전남 구례군 산동면 노고단로 1068-368[203] 남원·임실·순창·장수·진안·
전주·완주·익산·정읍·구례·
곡성·순천·담양·거창·함양·남해·하동
제주 삼매봉[204] 97.1 1k HLAJ-SFM 제주 서귀포시 남성로115번길 53[205] 서귀포시
견월악[206] 97.9 제주 제주시 명림로 584[207] 제주시·완도·
장흥[208]·강진[209]·해남[210]
금악 106.5 100 제주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산1-1 제주(한림·한경)

====# 송출 종료 #====
지방사 송신소 주파수
(㎒)
출력
(W)
호출부호 송신소 주소 가청권역
대전 천안[211] 92.5 10 HLCQ-SFM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정두정로 1[212] 천안 동지역

====# 구 호출부호 #====
표준FM 개국 초기에는 표준FM 호출부호를 AM과 다르게 부여했으나, 1990년대 중후반에 표준방송 중심의 호출부호 계열화를 통한 무선국 식별 및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AM 계열로의 호출부호 변경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당시에는 표준FM이 널리 보급되지 않았던 때여서인지 FM4U와 동일하게 -FM을 사용했다. 자세한 내용은 전기연감 1993년(503p), 1999년(483~485p) 자료의 방송국 목록 참조.

본사, 부산의 경우 서로 주파수가 동일한데다 KBS포항 1라디오 표준FM하고도 주파수가 동일하여 이들이 개국 초기에는 주파수 중심으로 호출부호를 공용했다는 추측이 한때 있었으나 부산MBC 표준FM은 HLSX-FM, KBS포항 1라디오 표준FM은 HLSZ-FM으로 호출부호가 수록된 자료가 발굴되면서 사실과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애당초 호출부호는 한 개의 무선국에만 부여할 수 있는 고유부호로, 복수의 무선국이 같은 호출부호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자체방송 없이 연주소 한 곳의 전파만을 중계받는 중계국(방송보조국)으로 들어가는 것 말고는 없다.
지방사 호출부호 비고
본사 HLCP-FM
부산 HLSX-FM [213]
대구 HLQQ-FM [214]
광주 HLSM-FM
여수 HLSP-FM
안동 HLSO-FM
강원영동
(삼척)
HLAR-FM [215]
충북
(충주)
HLQI-FM [216]
제주 HLDD-FM [217]

3.3.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이름 서비스 개시일 운영 주체 링크 비고
파일:MBC 미니.png mini 1996년 2월 12일 (인터넷 라디오)
2006년 (MBC mini)
주식회사 문화방송 파일:MBC 미니.png [Mi]
파일:wavve 로고.svg 2012년 5월 13일 ( POOQ) 콘텐츠웨이브(주) 파일:wavve 아이콘.svg [W]
파일:네이버 나우 로고 화이트.svg 2022년 10월 21일 네이버 주식회사 파일:네이버 나우 아이콘.svg [NOW]

4. 편성표/ 방영 프로그램

5. 종영 프로그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라디오/프로그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로고송


[과거에 사용했던 로고송]
지역사에서 현재 사용하더라도 본사에서 사용하지 않는 로고송이 포함되었다.
  • 즐거운 노래 싣고서 밝은 웃음 자리꽃처럼 새 희망을 안겨주네 꿈을 주는 방송 MBC 언제나 다정한 문화방송 MBC[226]
  • 새생활의 길잡이 여러분의 MBC 새로움 가득 즐거운 가족 알찬 방송 MBC 밝고 빠른 MBC 여러분의 문화방송 출처[227]
  • 오늘도 새 소식은 문화방송 MBC 오늘도 새 노래는 문화방송 MBC 언제나 마음의 벗 다정하고 친절하게 밝고 빠르고 알찬 방송 여러분의 문화방송 출처[228]
  • 언제나 밝고 언제나 새로운 MBC 아름다운 내일을 연다 아아~ 여러분 여러분의~ 문화방송[229]
  • 언제나 그대 곁에 MBC 문화방송 출처[230]
  • 또 다른 내일을 꿈꿔요 또 밝은 세상을 꿈꿔요 따뜻한 사랑이 있는 곳 MBC 문화방송[231]
  • Everyday we Listen to the MBC 라디오 Say MBC와 함께 즐겨봐요 Everyday we Listen to the MBC 라디오 Say 우리에겐 MBC가 있어요 난 난 어릴 적에 듣던 방송 MBC와 함께라면 행복했지 친구들도 신이나서 깡총깡총 덩달아 바둑이도 깡총깡총 그렇게 앉아있지 말고 나랑 같이 가요 MBC 라디오가 있는 곳에 언제든지 기쁨과 희망이 있을 테니까[232][233]
  • 더 어렵던 날도 많았죠 우리 함께 한다면 따스함을 느껴요 사랑이 있어요 소중한 꿈을 이뤄봐요 우리 함께 여기 있으니 감동과 사랑있는 MBC 라디오 문화방송 #[234][235]
  • 오늘보다 더 큰 희망 내일은 더 벅찬 사랑 항상 그대와 함께 숨쉬는 MBC 문화방송[236][237]
  • (차차차)늘 고마워요 우린 친구에요 함께 노력하는 MBC와 함께 #[238]
  • forever my love MBC 문화방송[239]
  • 행복한 오늘과 내일에 소중한 우리의 MBC 희망과 기쁨을 얘기해요 MBC라디오 출처[240]
  • 난 네 마음을 열어줘 다가가 난 속삭이도록 언제나 내 생각으로 행복해야 해~ 워~ MBC 라디오[241][242][243]
  • 친구처럼 다정한 연인처럼 MBC 문화방송[244]
  • 만나면 행복한 세상 MBC 문화방송[245]
  • 함께 해요 좋은 세상 당신의 좋은 친구 문화방송[246]
  • 함께 나눠요 또 함께 웃어봐요 좋은 친구처럼 365일 따뜻한 세상 MBC 문화방송[247]
  • 우리 함께해요 언제나 사랑할 수 있는 이 시간 행복한 오늘을 느껴요 아름다운 그대 미소를 MBC 정다운 이 시간 사랑해 소중한 내 친구 우리 함께해요 언제나 MBC 문화방송~[248] 출처
  • 늘 그대의 생활속에 행복을 드려요 MBC 문화방송[249] 출처
  • ( 로이킴)기쁠 때면~ 내게 행복을 주는~ 슬플 때면~ 나의 눈물 닦아준 ( 정준영)RADIO~ RADIO~ 우~ 당신 곁에 M~BC 당신 곁에 MBC 라디오 풀버전 짧은 버전[250]
  • ( 양희은)유난히 힘겨운 날 혼자라고 느껴지면 마음 안아줄 친구가 필요해 ( 윤하)언제나 어디서나 항상 내 곁에 있어 따뜻하게 날 위로해주는 ( 양희은, 윤하)MBC 라디오[251]
  • MBC 라디오~[252]
  • MBC~ 라~디오[253]
  • MBC~ MBC~ (95.9)[254][255]
  • 설레는 내일 MBC와 탐험해요~ MBC (NA:새로움을 탐험하다! MBC) [256]
  • 95.9 MBC 라디오~[257][258]
  • 동그란 몸 네모난 얼굴 머리엔 막대사탕 하나, 참~ 오랫동안 함께였던 우리는 만나면 좋은 친구[259]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9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9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7. 제공 시보

8. 관련 문서

9. 같이 보기


[1] 시보 고지 및 로고송에서 사용하는 애칭이다. [2] MBC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애칭으로, 채널의 애칭으로 간주해 유일하게 '표준FM방송' 문구와의 중복 기재가 허용되었다. 다만 중계 대상인 표준방송이 사라졌기 때문에 언제까지 이 애칭을 유지할지는 알 수 없다. 일단 2024년 자체 광고에서 '표준FM' 애칭을 쓴 걸 보면 완전히 FM 방송으로 전환되더라도 애칭을 계속 안고 갈 가능성도 높다. [3] 문화방송 창립기념일은 실제 창립일이 아니라 MBC 라디오가 개국한 이 날짜를 기리고 있다. [4] 2020년 2월 1일 대구, 동년 5월 1일 충주를 시작으로 2021년 12월 12일 진주, 안동이 6개월간 운용 휴지 후 송출이 종료됐으며, 2022년 9월 8일부터 부산을 위시한 7개국, 2022년 11월 8일부터 서울 본사를 위시한 6개국이 마찬가지로 6개월간 운용 휴지 후 AM 방송 종료, 그에 따라 이들 지역의 중파 호출부호는 말소되었다.(정확히는 국가로 회수.) 단, 전주, 광주, 강릉과 같이 AM 방송이 폐지되지 않는 지역은 제외되며 이들 지역의 중파 호출부호도 존속하게 되었다. [5] 상술한 표준방송 HLKV는 지난 2022년 11월 8일, 대한민국 MBC에서 운용 휴지를 선언한 후 6개월 후에는 2023년 5월 8일 송출이 정식 종료됐다. 지금 우리가 듣고 있는 라디오는 현 문단의 FM이다. 그리고 둘 다 서울 본사MBC의 호출부호이지만, 표준FM 개국 초기에는 본사 HLCP-FM 등 현재와 호출부호가 달랐던 지역이 많았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 [6] 서울 본사 기준으로, 1989년 종일방송을 잠정 중단했다가 1996년 재개했다. [V-Radio] [8] 다른 지역은 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방송사들이 담당한다. [9] 이상은 서울 본사 한정으로, 지역MBC의 편성책임은 각 지역사의 편성국장이 맡는다. 한편 광고방송 책임자는 일부 지역사를 제외하고 밝히지 않고 있으며 전국권으로는 콘텐츠사업본부장이 담당하고 지역별로는 각 지역사 편성국장이 광고방송 집행 책임까지 겸임할 수도 있겠지만 확실하진 않다. [10] 현재에도 원주MBC 등 일부 계열사에서 사용 중이다. [11] 2022년 11월 8일까지는 주식회사 문화방송의 표준방송으로서의 지위도 겸하고 있었으나 AM 송출을 중단하면서 그 지위를 내려놓았다. AM 방송(좁은 의미로는 중파방송)을 표준방송으로 호칭하는 이유는 방송 매체 중 가장 먼저 개발되었고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12] 본래는 '본부'였으나 2023년 '국'으로 격하됐다. [13] 일반적으로 중앙정부가 출자하여 방송사를 만든다면 KBS와 같은 공기업이라 하겠으나, MBC는 설립 형태가 '주식회사'이다. 그런데 MBC는 그 최대출자자가 방송문화진흥회이기 때문에 국회 국정감사의 대상이 된다. 즉 민영방송의 형태를 띈 공영방송이라는 것. MBC 창사 이후 지금까지 겪었던 풍파가 누적되어 이런 묘한 형태를 만든 것이다. 일단 MBC는 누리집 소개에서 자신들을 "상법에 의한 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나 공적책무를 구현하도록 특별법으로 규율받는 ‘주식회사형 공기업’", 즉 공영방송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문화방송 문서의 역사 문단 참조. [14] 2022년 11월 8일 이전까지 MBC 표준FM은 AM/FM을 병행송출하면서 MBC의 표준방송 지위도 내포하고 있었으나 2022년 11월 8일에 AM 방송 송출이 중단되면서 MBC 표준방송 지위를 즉시 내려놓게 되었다. AM 방송의 공식 폐국 및 호출부호, 주파수 반납일은 2023년 5월 8일. [15] AM 방송국이 남은 강릉, 광주, 전주는 지금도 이렇게 운용되고 있다. [16] 이 KV는 현재에도 존속하고 있는 MBC의 호출부호 HLKV에서 따온 것이다. [17] 지역 계열사는 2000년 가을개편부터 종일방송을 전면 실시. [18] 5, 10월은 KBS와 공동으로 공영방송 합동정파를 실시하기 때문에 넷째 주 수요일 오전 2시 ~ 오전 4시 55분에 정파한다. [19] 다만 평일 아침 8시는 제외. [20] 부산, 대구, 울산, 대전, 창원, 포항만 해당. [21] 2023년 11월 20일에 MBC 라디오 가을 개편으로 인해 표준FM에서 FM4U로 이동했다. [22] 과거형으로 변경된 이유는 한국의 표준FM 격인 FM보완방송(와이드FM) 제도를 전면 시행, 속속이 개국하면서 분리 정책이 사실상 깨졌기 때문. [23] 그쪽은 그나마 국가기간 방송이라 수신접근성 차원이라는 변명의 여지는 있으며 이는 일본 NHK도 도서 난청지역을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는 정책이다. [24] 다만, 유럽에서는 중파 방송과 FM 방송간의 분리 정책이 없이 혼신 때문에 중파 방송의 FM화가 흔한 편이며 일부 방송은 아예 중파 방송을 중단하고 FM 단독으로 송출하는 경우도 있어서 이쪽을 따라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3국에 둘러싸여 있는데다 좁은 국토에 평야 지대를 중심으로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된 현대 한국의 환경상 FM화는 피할 수 없기도 했고. [25] 시선집중의 청취율 폭락은 손석희가 JTBC로 영입되면서 진행자 교체 탓이 크긴 하다. 설상가상으로 2016년부터 TBS FM에서 김어준을 영입해 뉴스공장을 런칭하면서 그나마 있던 청취자들도 그쪽으로 쏠려버렸다.. [26] 단, 정시 뉴스와 프로그램 사이에 스팟광고가 1분 20초일 경우에는 중간 스팟광고는 1분 40초로 줄어든다. 또한, 저녁이나 밤 취약 시간대에는 중간 스팟광고가 그대로 1분 20초 동안 나간다. 그래도 광고가 들어오지 않는다. [27] 원래는 (프로그램 명) 음악여행이였으나 MBC 라디오 음악여행으로 바뀌었다. 사실은 Channel M 재송신을 정상 편성처럼 보이게 한 것. [28] 이는 Wavve에서 제공하는 편성표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날 이전에는 한 시간 단위로 묶어서 편성이 되어 있던 것이 이 날부터 매 정시 30/35/40분을 기준으로 1/2부와 3/4부를 나눠놓기 시작했다. [29] 서울 본사 멘트는 김수지 아나운서가, 지역 계열사는 지역국의 아나운서가 담당한다. [30] 이는 프로그램 제작진이 아닌 AI가 28분/35분/38분 30초가 되자마자 1, 3부 시간 끝난 것으로 간주하고 강제로 끊어먹기 때문에 DJ들의 시간 조절이 제일 중요해졌다. 만약 30분 시보광고 수주를 다시 할 경우에는 이보다 20초 더 줄어들 수 있다. [31] 주말하이킥 폐지 후 뉴스 하이킥으로 통합, 주말엔 나비인가봐 폐지 후 원더풀라디오 편성 확대 등. [32] 다만 광고주, 협찬사들이 많이 보는 2049 청취율로 특정할 경우 2023년 3라운드 기준 SBS 파워FM이 31.7%를 기록해 양강 구도 재편까지만 성공했을 뿐 전 세대를 아울렀던 예전 MBC 표준FM의 명성에 있어 아쉬운 결과를 남겼다는 시각도 있다. [33] 기사를 보면 알겠지만 시선집중을 다시 매일 방송으로 확대함과 동시에 손경제+를 저녁 8시에 배치하고 밤 9시에 정영한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스포츠 프로그램 플레이볼을 신설하면서 저녁 6시 ~ 밤 10시대에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몰아넣고 11시, 22시, 24시대에는 FM4U의 프로그램을 그대로 가져왔다. 이 과정에서 표준FM의 상징과도 같았던 별밤은 54년 만에 FM4U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디스크쇼는 1980~1990년대 가요를 들려줘서 별밤보다 훨씬 올드해졌으며 아이돌 관련 프로그램인 IDOL RADIO를 FM4U로 완전히 옮기고 IDOL STATION을 폐지하고 심야, 새벽 시간에 B side 낭만가요 꿈의 팝송을 비치하면서 중장년층 채널로 완전히 전환되었다. [34] 이로써 표준FM의 밤, 심야 시간대는 디스크쇼-골든디스크-낭만가요-가요 1999로 이어져 추억의 음악을 들려주는 라인업이 형성되었으며 중장년층 대상 채널로서의 색채는 더욱 확고해졌다. 사족으로 1시부터의 프로그램 라인업만 보면 역시 가요를 틀어주는 CBS 표준FM과 장르가 겹치는 게 특징이다. [35] 자세히 들어보면 음이 비슷하게 들린다. [36] 1채널 전자음->48채널 전자피아노 리뉴얼되는 시기의 영상이다. [37] 당시 불교방송 개국 준비팀을 이끌고 있었던 이태행 기획실장의 작품으로, 이때는 KBS, MBC도 모두 1채널 시보음을 사용했었던 시기였던 만큼 기획적으로도 획기적이었으며, 기술적으로도 제작이 쉽지 않았다. 이후 국악방송과 원음방송의 시보음에도 영향을 줬다. [38] 지방사마다 이 로고송 대신 다른 자체 로고송이 나올 수도 있다. 예컨대 부산문화방송은 자체적으로 만든 PR이, 대구문화방송은 예전 2000년대 중반에 본사에서 사용한 '만나면 행복한 세상' 로고송이 나가고 울산문화방송은 '밝은 소식 유익한 정보 울산문화방송' 로고송이 나간다. 그리고 대전문화방송은 2000년대 초반에 사용한 '친구처럼 다정한 연인처럼 MBC 문화방송' 로고송이 나간다. [팁] 지역 MBC 계열사 스트리밍이나 DMB( 올댓뮤직), 그리고 FM수신기에만 들을 수 있다. Mini로 들으면 짤려서 나온다. 단, 오전 2시부터 오전 5시까지 Mini가 아닌 라디오 방송을 그대로 송출하기 때문에 듣을 수 있다. 2018년 봄 개편 부터는 mini에서도 오후 11시부터 자체 광고가 아닌 라디오 방송 그대로 내보낸다.(FM4U 기준) [40] 같은 날에 SBS도 AM 송신기 전원를 내렸다. MBC AM 900kHz의 전파 송출이 중단된 현재 한낮에 서해안 지역에서 고성능 AM 라디오로 수신시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에서 송출하는 칭다오교통방송이 들리며 밤에는 여러 방송들이 끼어들며 잡음 또한 너무 무성해진다.(다만 SBS AM 792kHz의 송출 중단 이후 준로컬 수준으로 선명하게 나오는 선양의 소리의 수신율까지는 아니다.) [41] 특히 전주의 경우 본래 1140KHz로 송출했다가 1978년 ITU에서 주파수 간격(10KHz → 9KHz) 바꾸는 김에 대남방송 차단을 위해 고의적으로 855KHz로 변경한 점을 보면 더더욱. 다만 대남방송 송신지는 실제로는 기사와 다르게 평양시가 아닌 황해북도 상원군에 위치했다. # # [42] 황해북도 상원군 송출(출력 1,000kW) [43] 평양시 송출(출력 500kW) [44] 월계동 286 [45] 운정동 585 [46] 1999년 11월 30일 준공되었으며, 송신 안테나는 2기가 세워져 있다. # [47] 은교리 667-13 [48] 2004년 6월 17일 오후 9시에 낙뢰 피해를 받아 출력을 줄이는 감력방송을 실시한 바 있으며, 당시 청취자들은 대남방송과 혼신되는 피해를 입었다. # [49] 출력이 강한 경우 야간엔 다른 방송과 주파수가 겹치지 않는 한은 사실상 전국이 가청권역이라고 보면 된다. 부산의 1161kHz도 성능 좋은 라디오로는 야간엔 서울까지 청취 가능했다(일부 지역은 모 방송 및 그것에 맞서는 다른 전파와 주파수가 겹치므로 서울 및 경기 북부 등 지역에서 청취 불능). [A] 대구는 2020년 2월 1일부터 일시 휴지에 들어갔으며, 이후 2021년 11월 19일에 폐국되었다. 충주는 2020년 5월 1일부터 2021년 10월 31일까지 약 1년 5개월 간 송출 휴지한 적이 있었으며 이후 2021년 9월 하순부터 송출이 재개되었다. 본래 2021년 11월 1일부터 송출 재개 예정이었으나 약 1개월 이상 일찍 재개되었다. 그러나 2021년 11월 19일에 송신소 폐쇄가 승인되면서 오래 가지 못했다. [B] 송출 자체는 7개월 전인 2021년 12월 12일부터 중단되었다. [C] 송출 자체는 6개월 전인 2022년 9월 8일부터 중단되었다. [53] 2016년 12월 22일 준공되었다. 원래는 인근에 존재했던 추암송신소에서 송출을 담당했으나 해당 송신소가 소재했던 추암동 일대가 재개발되면서 본 우지송신소로 송출 기능이 이전되며 폐국하였다. 추암송신소의 건물 및 부지는 해당 재개발로 인해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54] 나가사키·후쿠오카·사가·구마모토 일부 [55] 본래 4각 지선식 철탑 1기로 구성한 모노폴 안테나를 사용했으나 2014년 6~7월경 현재와 같은 4각 자립식 철탑 1기로 구성한 모노폴 안테나로 교체되었다. [56] 산호리 1365 [57] 흑산면 등 낙도 지역 포함. [58] 1992년 10월 27일 기공하여 1994년 4월 8일 준공식을 가졌다. 안테나는 1993년 7~9월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높이 115m의 4각 지선식 철탑 1기로 구성한 모노폴 주 안테나와 높이 83m의 4각 지선식 철탑 1기로 구성한 모노폴 예비 안테나 1기씩으로 구성한 127° 지향성 안테나였다. 이 때문에 송출 방향과 반대였던 북한 방면으로는 전파가 약해서 대북방송 역할마저 수행하지 못했던 것 또한 폐지 인용의 원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송신탑은 침수 방지를 위해 지면보다 살짝 높여서 설치한 덕분에 침수 피해는 없었다. 송신탑과 송신소 건물은 2024년 5월 현재 철거되지 않았다. [59] 1961년 가허가 받았을 당시에는 1380 kc(㎑)였으나, 이후 개국이 무산된 서울문화방송의 905 kc(㎑)를 가져왔다. 1978년 11월 23일 ITU가 구대륙은 9㎑ 간격을 사용할 것을 의결하면서 이에 맞춰 900 ㎑로 바뀌었다. [60] 토당동 705 [D] 송출 자체는 6개월 전인 2022년 11월 8일부터 중단되었다. [62] 2017년 하반기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당시 송신소 위치였던 마산합포구 가포동의 개발 공사로 인한 송신소 이전 공사로 인해 송출이 임시로 중단된 적이 있었다. [63] 정확히는 두 콜사인 모두 부산MBC(문화방송)의 설립자였던 김삼용이 서울 진출을 위해 현재 HLKV '서울민간방송' 전신의 MBC 표준FM과는 별개로 받았던 호출부호였으나 재정난때문에 진출 시도는 좌절되었고 결국 허가가 취소되었다. 당시 받았던 주파수는 905 kc(㎑). 이후 부산MBC(문화방송)를 인수한 김지태는 신규 허가 대신 가허가 법인 인수를 통한 우회 개국(앞서 언급한 'HLKV 서울민간방송' 법인을 인수해 '한국문화방송' 개국)으로 선회하고 HLKC는 RSB 라디오서울에, HLSB는 1975년까지 HLSX를 쓰고 있던 원주MBC에 넘어갔다. ( MBC 생성의 역사적 과정에 관한 일고찰, 68-71p) [64] 원주MBC 연혁 참조. [65] 당시 YBC 영동방송. 재허가요약문 내 연혁 참조. MBC강원영동 연혁의 영동방송 임시사옥 사진에 HLAF가 나온 것을 볼 때 AM 개국 직전에 현재의 HLAF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66] 당시 울산민간방송. 재허가요약문 내 연혁 참조 [67] 무지향 송출. #(407p) 안성·이천·여주에서는 카오디오나 고성능 라디오로만 수신이 가능하다. 다른 라디오로는 MBC충북 1FM(96.1㎒) 때문에 수신이 지장을 줄 수 있다. [68] 비산동 산5. [69] 서해 5도 제외. 서해 5도는 AM 900㎑ 송출이 중단된 이후에는 백령도 FM 중계소 개설 전까지는 인터넷과 위성방송으로만 청취할 수 있다. [70] 천안·아산·당진·서산·태안·예산·진천·음성·충주·세종(전의면 이북) [71] 원주·횡성·홍천·춘천·철원 [72] 북한도 가청권에 포함되어 있지만 실제로 북한 주민은 해외를 비롯하여 남한의 라디오를 들어서 적발 시 끌려가기 때문에 라디오를 청취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면되며, 아예 해당 주파수에 전파방해 신호를 넣었다. 이는 일부 다른 방송들도 마찬가지이자 자매 채널 FM4U와 대비되는 점. [73] # [74] 생연동 산43-4 [75] 동지역, 소흘읍 등 남부 [76] 고은리 산1-2 [77] 김화읍, 서면, 근남면 [78] 양구읍, 방산면 [79] 이동면, 일동면, 화현면 [80] 청운면 [81] 서석면 등 동부 [82] 동송읍, 철원읍, 갈말읍 [83] 신서면 [84] 관인면, 영북면 [85] 감곡면 [86] 동 지역 이북 [87] 동 지역, 봉양읍, 백운면, 송학면 [88] 영월읍, 남면, 북면, 한반도면, 김삿갓면 [89] 서석면 등 동부 [90] 동지역 이북 [91] 산간지역 [92] 모전리 산25-1 [93] 토성면, 죽왕면 [94] 진부면, 대관령면 [95] 임계면 [96] 상왕도리 산158-4 [97] 양양읍, 손양면, 강현면, 서면 [E] # [99] 동 지역, 근덕면, 미로면, 노곡면 [100] 강동면, 옥계면 [E] [102] 북면, 죽변면 [103] 1988년 2월 10일 개국. #(546페이지) [104] 황지동 660 [105] 산간지역 [106] 김삿갓면, 산솔면, 상동읍 [107] 개국 초기에는 계룡산에서 1kW로 송출했으나 1997년에 송신소를 식장산으로 이전하여 송출 높이가 낮아진 대신 출력을 3kW로 증강했다. #(36페이지) [108] 세천동 603-1 [109] 광덕면, 풍세면 [110] 배방읍, 송악면 [111] 흥덕구, 서원구 [112] 심천면, 양산면, 학산면, 양강면, 용산면, 용화면 [113] 산수리 산25-17 [114] 개화리 산23-4 [115] 광천읍, 결성면, 은하면, 서부면 [116] 화성면, 남양면 [117] 외산면, 내산면, 홍산면, 옥산면 [118] 안면읍, 고남면 [119] 서면, 비인면, 판교면, 문산면, 시초면, 마산면 [120] 수동 산2-4 [121] 청안면, 사리면, 소수면 [122] 회남면, 회인면 [123] 대덕구, 유성구(구즉동) [124] 목천읍, 입장면, 북면, 병천면, 동면, 성남면, 수신면, 풍세면, 광덕면 [125] 시내 이서지역. 동부 지역은 EBS FM 함백산 전파의 영향으로 수신이 곤란하다. [126] 동구, 대덕구 일부 [127] 군북면, 추부면, 제원면, 삼동면, 남일면 [128] 무주읍, 적성면, 설천면, 안성면 [129] 화북면, 화서면, 화남면, 화동면, 모서면, 외서면, 내서면 [130] 용산리 산11-4 [131] 동부 지역. 서부 지역은 TJB 파워FM 옥마산 전파의 영향으로 수신이 곤란하다. [132] 귀래면, 부론면 [133] 시내동지구, 엄정면, 금가면, 산척면, 동량면, 살미면, 수안보면 [134] 매포읍, 어상촌면, 적성면, 단성면 [135] 신림면 [136] 주천면, 한반도면, 남면 [137] 백운면 제외 [138] 영월읍, 남면, 김삿갓면 [139] 풍기읍, 봉현면 [140] 동로면 [141] 효자면, 은풍면 [142] MBC 표준FM은 수신이 안되는데 MBC FM4U만 수신되는 지역이 있다. [143] 마로면, 속리산면 [144] 청산면, 청성면 [145] 황간면, 추풍령면, 매곡면 [146] 방천리 산93-4 [147] 달서·달성·서구·북구·중구·남구·동구·수성 일부. 다만 동구와 수성구에서는 팔공산 전파가 잘 잡힌다. [148] 추풍령면, 매곡면 [149] 대련리 1104-1 [150] 평해읍, 후포면, 온정면 [151] 두서면, 두동면 [152]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 [153] 신전리 산69 [154] 호계면, 점촌시내 동부, 산양면, 영순면 등 일부 지역에서만 잡히며 문경읍 등 일부 읍면지역은 수신이 곤란하다. [155] 시내 이서 지역에서는 수신이 곤란하다. [156] 전포1동 산50-10 [157] 서부산, 기장에서는 다른 주파수로 듣는 게 조금 더 좋다. [158] 동면 중·동부, 물금읍 서남부, 원동면 일부를 제외하고 수신이 곤란하다. [159] 서부 지역 제외 [160] 진해구, 의창구 대산면 [161] 삼랑진읍, 상남면, 하남읍 [162] 석산리 656-2 [163] 시내, 동면 중·서부, 물금읍, 상북면, 하북면 [164] 북구, 강서구 일부 [165] 대동면, 상동면 [166] 만덕동에서는 황령산 전파가 잘 잡힌다. [167] 시내, 대동면 일부 [168] 동면 서부 일부, 물금읍 동남부 [169] 신천리 1 [170] 장안읍, 정관읍 [171] 시내지역 이남 [172] 웅상, 사송신도시, 하북면 [173] 남지읍 등 남부 [174] 강서구, 북구, 사상구, 사하구, 금정구 금성동 [175] 시내, 동면 중·서부, 물금읍, 상북면, 원동면, 하북면 남부 [176] 청도읍 남부 [177] 개국 초기에는 삼천포 중계소에서 출력 100 → 500W로 송출했으나 1999년에 송신소를 금오산으로 이전하면서 출력을 3kW로 증강했다. #(53페이지) #(76페이지) 또한 전남 광양 일부에서도 청취 가능하다. [178] 서부지역 제외. [179] 구사리 산12-7 [180] 금곡동 산1-3 [181] 보성읍 등 서부 [182] 장흥읍 등 북부 [183] 공음면, 대산면, 성송면 [184] 삼계면, 삼서면 [185] 월야면 [186] 인제동 산42-2 [187] 율촌면 [188] 벌교읍 등 동부 [189] 설천면, 고현면, 서면 등 서부지역 [190] 시내 동지역, 돌산읍, 소라면, 화양면, 화정면 [191] 동지역 이남, 해룡면, 별량면 [192] 연죽리 1404 [193] 율촌면 등 북부 [194] 시가지 동부 일대 한정 [195] 설천면, 고현면, 서면 등 서부지역 [196] 하동읍, 고전면, 금남면, 금성면 [197] 개국 전에는 3kW 출력으로 개국을 추진했으나 실제로는 2kW로 내려서 개국했다. #(1019p) [198] 흑산면 등 낙도지역에서는 수신이 곤란하다. [199] 무주군에서는 청취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고자 2000년대 초반에 무주 적상산에도 중계소 개국을 추진한 적이 있으나 현재까지도 개국하지 못하고 있다. #(465페이지) [200] 2019년 1월 출력을 기존 2㎾에서 4㎾로 증강했다. [201] 금산리 산1-2 [202] 동지역, 이인면, 탄천면, 계룡면 [203] 좌사리 산110-2 [204] 제주MBC 표준FM은 다른 제주권 FM 방송들과는 다르게 삼매봉 중계소의 개국이 더 빨랐는지 견월악 송신소가 아닌 삼매봉 중계소가 본국이다. 방통위 방송사업자 허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서귀포 표준FM만 수록되어 있는 것을 볼 때 표준FM은 삼매봉 중계소가 본국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05] 서홍동 822-1 [206] 2000년 3월 3일 허가. 출처(53페이지) [207] 봉개동 산78-1 [208] 천관산 이남 지역 [209] 신전면, 대구면, 마량면 등 남부 [210] 송지면, 북평면 [211] 대전MBC가 관련 문의 답변에서 현재 천안에 라디오 중계소가 없다고 밝혀 폐국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댓글 참조) 대남방송 전파방해 목적을 겸했기에 주파수를 식장산과 동일하게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높은 산에다가 방해전파를 송신할 경우 세종 등에서 대전MBC 라디오(식장산)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212] 성정2동 1486, 롯데마트 성정점 [213] 현재 부산영어방송에서 사용 중이다. [214] 현재 부산극동방송에서 사용 중이다. [215] 당시 삼척MBC [216] 당시 충주MBC [217] 1995년 11월에 창원극동방송이 해당 부호로 허가받기 전까지 사용됐다. # #(제주MBC 홈페이지 인용) [218] 정확히 말하자면 별도의 권역별 스트리밍 주소를 이용해야 한다. 이마저도 삼척, 청주, 진주는 청취할 수 없다.(각각 강릉, 충주, 창원으로 일원 송출.) [Mi] 유일하게 해외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HLS 방식에 AAC 64kbps로 스트리밍을 제공하고 있으며, mini만의 자체 광고가 나간다. [W] 3분 이후 청취 시에는 이용권을 구매해야 하며, 해외에서는 청취할 수 없다. 특이한 점으로는 타 서비스와 달리 라디오 전파를 100% 그대로 재송출한다. [NOW] MBC가 네이버와 업무협약을 맺고 2022년 10월 21일부터 mini를 재송출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였는데, 보통 플랫폼 사업자들이 자사가 관리하는 서비스로 이용을 유도하게 한다는 걸 생각하면 이례적인 경우였다. 이후 협약이 만료되면서 2023년 8월 18일 부로 스트리밍 중단.(옆의 링크를 눌러 확인해보기 바란다.) [222] 무광고 시보에 사용 중이다. [223] 현재 57분 교통정보가 끝나고 광고방송하기 전에 나오는 로고송이다. 57분 교통정보가 방송되지 않는 시간대(오후10시 57분 ~ 다음 날 오전6시 57분)에서도 58분경에 나오지만, 오전 1시에서 오전 5시까지는 나오지 않는다. 한편, MBC경남 창원본부에서는 이 로고송을 라디오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이 로고송을 쓰지 않고 아래의 로고송을 쓰고 있다. [224] 뉴스 종료 후 클로징 사인멘트를 대체하는 로고송이며, 프로그램 종료 후 중간광고가 송출될 때도 나온다. [225] 2023년부터 송출중인 meet me, MBC 브랜드송. 코드 쿤스트가 JUNNY와 같이 곡을 쓰고, 자사의 김수지 아나운서가 가사를 썼으며 노래는 당시 경쟁 방송사의 DJ였던 웬디가 불렀다. [226] 1960년대 무렵에 쓰인 로고송으로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227] 1980년대 무렵에 쓰인 로고송으로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228] 1980년대에 쓰인 로고송으로 일부 지역은 1990년대 초반까지 썼으며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229]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사용했고, 지방에서는 1998년까지 사용했던 로고송. [230] 2004년 당시 대구MBC TV ID에 사용되기도 했다. [231] 현재 안동MBC에서 사용중이다. 예전에는 포항, 전주에서도 사용. [232] 원곡은 신화의 데뷔곡인 ' 으쌰!으쌰!'다. 해결사로 나왔는데 IMF가 터졌고, 으쌰으쌰를 부르니 물난리가 났다 카더라. [233] 현재 전주MBC에서 사용 중이다. [234] 에코가 불렀다. [235] 현재 안동MBC와 MBC충북 청주에서 사용중이다.(예전에는 전주, 충주, 여수, 진주, 제주 등에서도 쓴 적 있다.) [236] 유리상자가 불렀다. [237] 199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안동과 전주, 원주, 청주에서 사용중. 예전에는 진주, 충주에서도 쓴 적 있다. [238] 현재 전주MBC, 안동MBC, MBC충북 청주에서 사용중. [239] 199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전주MBC에서 사용하고 있다. [240] 1990년대 후반에 사용되었다. [241] 200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안동MBC, MBC충북 청주, 원주MBC, 전주MBC에서 사용중이다. 예전에는 충주에서도 사용. [242] 대부분 30초 버전이 나가며, 가사 앞에 피아노 소리가 있는 풀버전도 있다. 안동은 주로 주파수 고지 바로 전 30초 버전이 나가며, 이외 시간대에 풀버전이 가끔씩 나간다. [243] 김범수가 불렀다. [244] 현재 대전, 광주, 안동, 제주에서 사용중이다. [245] 현재 대구, 광주, 안동, 여수, 대전에서 사용중이며, 대구는 제공 시보로, 안동은 주파수 고지 바로 전에 사용한다. [246] 현재 FM4U의 음이 같은 기쁨 가득 행복 가득 MBC FM4U 문화방송과 더불어서 안동MBC에서 사용중이다. 예전에는 전주, 제주에서도 사용되었다. [247] 199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248] 1990년대 중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대전MBC 오전 6시 시보 전 로고송으로 사용 중이고 2000년대 초반 전주에서 쓰인 적이 있었다. [249] 199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MBC충북 청주에서 아직도 사용되고 있었다. [250] 이 로고송은 본래 로이킴과 정준영이 불렀으며, MBC 라디오 음악여행때도 쓰이기도 했다. 지금은 모종의 사건으로 이 로고송 부르던 사람 중 한명이 연예계에서 사실상 영구퇴출되는 바람에 앞으로 영원히 쓸 수 없는 비운의 로고송이다.(...) 어차피 이 사건 전에 윤종신이 만든 로고송으로 교체되긴 했지만... 그후 2023년 6월부터 정준영의 단독 파트가 생략된 버전이 전주MBC에서 쓰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251] 2014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252] 남자 버전과 여자 버전이 있고 둘 다 2022년까지 쓰였다. [253] 서울 본사는 2017년부터 사용 빈도가 줄어들다 2022년 최종 폐기되었고 현재는 MBC충북 청주를 비롯한 일부 지역사에서 사용중. [254] 95.9 부분은 지역마다 멘트가 다르다. 지역마다 FM 주파수가 다르기 때문. 20~30분쯤에 하는 중간 광고가 끝난 후에 쓰이다가 30분 시각고지 도입 후에는 일부 지방에서만 쓰이고 있는 중. [255] 2014년경부터 서울 본사에서는 일부 시간대에나 쓰이다가 교체된 이후로는 일부 지역 계열사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256] MBC 1, 2FM 모두 현재는 쓰지 않는다. 화사가 부른 버전과 헨리가 부른 버전이 있었으며, 변경 이후 초기에는 조원선이 부른 버전과 윤종신이 부른 버전을 쓰기도 했다. [257] 95.9 [258] 포항MBC에서는 라디오 공통으로 이 로고송을 사용하고 있다. [259] 창사 60주년을 기념하면서 제작된, 일명 '엠빅그리기송'으로 옥상달빛이 불렀다. [260] 이외에도 SBS 라디오 전 채널(러브FM(103.5㎒), 파워FM(107.7㎒))과 CBS 음악FM에서 시보 광고를 제공하고 있다. [261] 일부 지역 계열사 한정으로 2000년대 중반에 TV에서 로고송으로 사용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