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4:21:44

국제사법재판소

ICJ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8px" <tablebordercolor=#4b92db><tablebgcolor=#4b92d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4B92DB> 구성 <colcolor=#000,#fff> 유엔 총회 · 안전보장이사회 · 상임이사국 · 비상임이사국 · 사무총장
산하 군 유엔 평화유지군
산하기구 세계식량계획 · 유엔아동기금 · 유엔난민기구
전문기구 국제통화기금 · 세계은행 · 세계보건기구 · 유엔식량농업기구 · 만국우편연합 · 국제노동기구 · 국제해사기구 · 국제민간항공기구 · 유네스코 · 국제농업개발기금 · 국제전기통신연합 · 유엔산업개발기구 · 세계지식재산기구 · 세계기상기구 · 세계관광기구
협력기구 세계무역기구 · 국제원자력기구 · 화학무기금지기구 ·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 · 국제이주기구 · 국제형사재판소 · 국제해양법재판소 · 국제해저기구
전신 국제연맹 · 연합국
관련 틀 사무총장 · 상임이사국 · 공식 언어 · 협력 기구 · 전문기구
기타 유엔군사령부 · 유엔글로벌콤팩트 ·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 · 유엔군사령부 소속 필리핀군 사병 한국인 살해 사건 · JUSCANZ · 국제연합일 }}}}}}}}}
국제사법재판소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 Cour Internationale de Justice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 파일:UN기.svg 파일:국제사법재판소 엠블럼.svg
깃발 엠블럼 }}}
파일:국제사법재판소 젼경.jpg
국제사법재판소 평화궁 전경.
파일:external/en.mercopress.com/icj.jpg
내부 재판 모습
1. 개요2. 상세
2.1. 재판부2.2. 역대 재판소장2.3. 재판 관할
2.3.1. 당사자 능력2.3.2. 관할권 성립
2.4. 준거법2.5. 재판의 진행2.6. 판결2.7. 권고 기능
3. 한계4. 적절한 명칭(번역)인가?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공식 홈페이지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 Cour Internationale de Justice [1]

1. 개요

유엔헌장
제14장 국제사법재판소
제92조 국제사법재판소는 유엔의 주요한 사법기관이다. 재판소는 부속된 규정에 따라 임무를 수행한다. 이 규정은 상설국제사법재판소 규정에 기초하며, 이 헌장의 불가분의 일부를 이룬다.

제93조 ① 모든 유엔회원국은 국제사법재판소 규정의 당연 당사국이다.
② 유엔회원국이 아닌 국가는 안전보장이사회의 권고에 의하여 총회가 각 경우에 결정하는 조건으로 국제사법재판소 규정의 당사국이 될 수 있다.

제94조 ① 유엔의 각 회원국은 자국이 당사자가 되는 어떤 사건에 있어서도 국제사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를 것을 약속한다.
② 사건의 당사자가 재판소가 내린 판결에 따라 자국이 부담하는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타방의 당사자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소할 수 있다. 안전보장이사회는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판결을 집행하기 위하여 권고하거나 취하여야 할 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95조 이 헌장의 어떠한 규정도 유엔회원국이 그들간의 분쟁의 해결을 이미 존재하거나 장래에 체결될 협정에 의하여 다른 법원에 의뢰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제96조 ① 총회 또는 안전보장이사회는 어떠한 법적 문제에 관하여도 권고적 의견을 줄 것을 국제사법재판소에 요청할 수 있다.
② 총회에 의하여 그러한 권한이 부여될 수 있는 유엔의 다른 기관 및 전문기구도 언제든지 그 활동범위안에서 발생하는 법적 문제에 관하여 재판소의 권고적 의견을 또한 요청할 수 있다.
유엔과 함께 설립된 유엔의 사법 기관. 약칭은 ICJ이며, 1945년에 창설된 이후 본부는 네덜란드 헤이그의 평화궁에 위치한다.[2]

유엔 국제연맹을 대체한 것처럼 1922년에 설립된 '국제사법 상설재판소(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의 역할의 한계를 느끼고 재창립한 기관이라고 보면 된다. 한마디로 국가 간 분쟁을 국제법으로 해결하는 국제 기관이다.

2. 상세

2.1. 재판부

재판소는 유엔 총회 및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륙별 할당에 따라 선출된 15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되며, 원칙으로 국제법을 적용하여 재판을 진행한다.[3] 분쟁 당사국의 국적을 가진 재판관도 원칙적으로 참여해야 하며 그러한 판사가 없는 경우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분쟁 당사국이 지정하는 임시 재판관(judge ad hoc)을 임명할 수 있다.[4]

어찌 보면 참 특이한 제도로, 일반적인 국내법 제도에서는 오히려 "판사와 소송당사자 간에 모종의 관계가 있을 경우" 해당 사건에서 제척당한다.[5] 그런데 국제사법재판소에서는 정반대로 소송당사자의 대리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판사를 추가로 임명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는 것. 이 때문에 재판관의 국적 중립성을 강조하는 여타 조항들 및 입법 취지에 어긋난다는 비판도 있지만, 이렇게 '자기 편'을 둘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면 국가들이 재판에 응할 가능성은 없다시피 하므로 어쩔 수 없는 제도이기도 하다.[6]

원칙적으로 ICJ의 재판에는 15인 판사 전원이 참석해야 한다. 다만 특정한 경우에 한해 제한된 숫자의 판사만이 참여하는 소재판부(Chamber)에 의한 판결도 가능하다. 이 판결은 전원 재판부의 판결과 동일한 구속력을 가진다.

상설적으로는 홀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다수 의견이 나오도록 되어 있다. 다만 상기한 임시 재판관으로 인해서, 혹은 임기 중 판사가 사망한 경우에 짝수가 되는 경우,[7] 가부동수 상황이 나올 경우 재판장이 캐스팅보트를 행사하게 되어 있다.
직책 이름 임기 국가
소장 Joan E. DONOGHUE 2010년 9월 9일 ~ 현재[8][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부소장 Kirill GEVORGIAN 2015년 2월 6일 ~ 현재[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재판관 Peter TOMKA 2003년 2월 6일 ~ 현재[11]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재판관 Ronny ABRAHAM 2005년 2월 15일 ~ 현재[1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재판관 Mohamed BENNOUNA 2006년 2월 6일 ~ 현재[13]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재판관 Antônio Augusto CANÇADO TRINDADE 2009년 2월 6일 ~ 현재[14]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재판관 Abdulqawi Ahmed YUSUF 2009년 2월 6일 ~ 현재[15]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재판관 XUE Hanqin (薛捍勤) 2010년 6월 29일 ~ 현재[16]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재판관 Julia SEBUTINDE 2012년 2월 6일 ~ 현재[17]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재판관 Dalveer BHANDARI 2012년 4월 27일 ~ 현재[18]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재판관 Patrick Lipton ROBINSON 2015년 2월 6일 ~ 현재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재판관 Nawaf SALAM 2018년 2월 6일 ~ 현재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재판관 IWASAWA Yuji (岩澤雄司) 2018년 6월 22일 ~ 현재[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재판관 Georg NOLTE 2021년 2월 6일 ~ 현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재판관 Hilary CHARLESWORTH 2021년 11월 5일 ~ 현재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2. 역대 재판소장

{{{#!wiki style="margin: -8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5b92e5><tablebordercolor=#5b92e5> 역대 국제사법재판소장
Presidents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rowcolor=white> No. 성명 국적 임기 시작 임기 종료
1대 호세 구스타보 게레로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1946년 1949년
2대 쥘 바스데반트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49년 1952년
3대 아놀드 맥네어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52년 1955년
4대 그린 해크워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55년 1958년
5대 헬지 클루스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1958년 1961년
6대 보단 위니아르스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1961년 1964년
7대 퍼시 스펜더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64년 1967년
8대 호세 루이스 부스타만테 이 리베로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1967년 1970년
9대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1970년 1973년
10대 만프레드 라흐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1973년 1976년
11대 에두아르도 히메네즈 데 아레가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1976년 1979년
12대 험프리 월독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79년 1981년
13대 태슬림 올라왈 엘리아스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1982년 1985년
14대 나겐드라 싱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985년 1988년
15대 호세 마리아 루다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1988년 1991년
16대 로버트 제닝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91년 1994년
17대 모하메드 베드자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1994년 1997년
18대 스티븐 M. 슈베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97년 2000년
19대 길버트 기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00년 2003년
20대 시 주용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03년 2006년
21대 로잘린 히긴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006년 2009년
22대 오와다 히사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09년 2012년
23대 피터 톰카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2012년 2015년
24대 로니 아브라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15년 2018년
25대 압둘카위 A. 유수프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2018년 2021년
26대 조안 E. 도노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21년 2024년
27대 나와프 살람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2024년 현직
}}}}}}}}}}}} ||

2.3. 재판 관할

2.3.1. 당사자 능력

현행 ICJ 규정상 '국가' 만이 ICJ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유엔 회원국은 ICJ 규정의 당연 당사국이기도 하다.[20] 물론 비가맹국도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 재판소 규정의 당사국이 되기도 한다.

또한 국제법상의 '분쟁'이 존재해야 하며, 재판을 제기한 원고측에 피고측으로 인한 명백한 '손해'가 발생해야 한다. 즉 민중소송이나 기관소송 같은 객관소송은 인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2016년에 마셜 제도 영국등을 상대로 '핵군축을 성실하게 이행하지 않는다'라는 점을 문제삼아 제기한 소송은 마셜 제도에 당사자 능력이 인정되지 않아 본안 심리에 이르지 못하고 각하되었다.

'국가간'의 분쟁이니 당연히 특정 조약의 기구에서 특정 국가의 조약상의 위법 행위를 고소하는 형사소송적인 성격도 존재하지 않는다.

2.3.2. 관할권 성립

결론부터 말하자면, 강제적으로 재판을 열 수는 없으며, 일정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한쪽 당사자의 청구만으로는 재판을 할 필요조차 없다. 이는 ICJ에 국가간의 특정 분쟁을 제소하려면, 당사국들이 모두 동의해야 하기 때문이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간의 페드라 브랑카 분쟁이 대표적 사례. 일본 독도를 놓고 틈만 나면 ICJ 제소를 하자고 요구해도, 실제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가 실효 지배 당사국인 한국에서 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관할권이 성립하는 근거는 ICJ 규정 36조에 제시되어 있다. 크게 2가지 경우가 있는데 36조 1항에 따라 당사자들의 합의에 의한 동의가 있는 경우, 그리고 2항에 따라 당사국의 일방적 선언이 있는 경우이다.

1항의 '동의'는 대체로 특별 협정(special agreement)의 체결, 그리고 특정 조약 내 재판 조항의 삽입으로 이루어진다. 특별 협정은 분쟁 발생 후 사후적으로 ICJ에서 해결하자고 분쟁 당사국들이 체결하는 협정을 말한다. 특정 조약 내 재판 조항을 삽입하는 것은 여러 국제 조약들의 '선택 의정서'를 생각하면 된다. 특별 협정과 대비되는 사전적 방식으로 이에 근거하면 일방적인 제소도 가능하다.

36조 2항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 재판소규정의 당사국은 다음 사항에 관한 모든 법률적 분쟁에 대하여 재판소의 관할을, 동일한 의무를 수락하는 모든 다른 국가와의 관계에 있어서 당연히 또한 특별한 합의없이도, 강제적인 것으로 인정한다는 것을 언제든지 선언할 수 있다.
가. 조약의 해석
나. 국제법상의 문제
다. 확인되는 경우, 국제의무의 위반에 해당하는 사실의 존재
라. 국제의무의 위반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배상의 성질 또는 범위

즉 위에 열거된 내용의 분쟁에 대해 국가가 ICJ의 재판을 받겠다고 선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36조 2항은 기본적으로 상호주의 원칙에 따르기 때문에 두 분쟁 당사국의 선언이 일치하는 범위 내에서만 36조 2항에 근거한 관할권이 성립한다. 예컨대 일본은 '가', '나'에 대해 재판을 받겠다 선언했는데 우리는 '나'에 대해서만 재판을 받겠다고 선언했다면 ICJ는 한일 간의 분쟁이 있을 경우 '나'의 문제에 대해서는 재판을 할 수 있지만 '가'에 대해서는 할 수 없는 것이다.[21]

이 외에도 확대 관할권(forum prorogatum)이라고 해서 ICJ에서 응소 의무가 없는 국가가 피소당한 경우라도 관할권 불성립 항변을 포기하고 소송에 참여할 의사를 표하면 재판이 진행된다는 방식도 존재한다. 물론 확대 관할권이 발생할 수 있으려면 이러한 피소국의 태도가 모호하지 않게 드러나야 하며 이러한 관행이 1978년에 ICJ 규칙에 명시된 후로는 확대 관할권에 근거하여 진행된 재판은 모두 피소국의 명시적 수락을 근거로 했다.

2.4. 준거법

전술했듯 ICJ는 부탁되어 오는 분쟁을 국제법에 따라 재판하며 '국제법'이란 ICJ 규정 38조 1항에 열거된 다음과 같은 규칙들을 의미한다.
1. 재판소는 재판소에 회부된 분쟁을 국제법에 따라 재판하는 것을 임무로하며, 다음을 적용한다.
가. 분쟁국에 의하여 명백히 인정된 규칙을 확립하고 있는 일반적인 또는 특별한 국제협약
나. 법으로 수락된 일반관행의 증거로서의 국제관습
다. 문명국에 의하여 인정된 법의 일반원칙
라. 법칙결정의 보조수단으로서의 사법판결 및 제국의 가장 우수한 국제법학자의 학설. 다만, 제59조의 규정에 따를 것을 조건으로 한다.

2.5. 재판의 진행

크게 서면 제출과 구두변론으로 이뤄지고 서면절차가 종료된 후 구두절차가 개시된다.(ICJ art.43) 이 때 ICJ는 최종적인 판결을 내리기 전에 분쟁으로 인해 당사국의 권리가 급박한 위협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면 ICJ 자신이 일견(prima facie) 관할권을 갖는 것으로 보이는 분쟁이라는 전제 하에 필요성과 비례성을 요건으로 잠정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2.6. 판결

판결은 종국적이며 상소할 수 없다. 다만 선례 구속력은 인정되지 않으며 판결 효력은 분쟁 당사국에만 미친다. UN헌장 94조에 따라 회원국은 판결을 이행할 의무를 가지며, 그렇지 않는 경우 안전보장이사회가 조치를 취할 수도 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따르는 것이 좋다. 이렇게만 보면 안보리가 판결 이행을 담보해주는 기관인 듯 하지만 사법기관인 ICJ와 달리 안보리는 근본적으로 정치기관이며, 안보리가 실제로 조치를 취한 사례는 아직까지 전혀 없다. 즉, 판결의 이행을 강제할 수 있는 수단은 없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다.

판결의 비 강제적 성격을 보여주는 최근의 예로는 일본이 2010년에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된 과학 목적 포경 규제에 관한 건으로 2014년 4월에 포경 금지 판결을 받았던 사례가 있다.[22] ICJ, 고래잡이 중단 명령…日 "판결 따르겠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말로만 판결을 따르겠다고 해놓고는 아직까지도 ICJ의 판결을 전혀 지키지 않고 있는데 그 이유가 바로 판결의 '비강제적 성격' 때문이다. 일본은 그동안 독도 문제를 놓고 "국제사법재판소에서 판가름을 내자"라고 꾸준히 주장해 왔는데 그런 일본이 스스로 국제사법재판소(ICJ)의 판결을 어기면서까지 포경을 강행할 수 있는 이유가 바로 ICJ의 판결은 강제력이 없는 판결이기 때문이다. # 日 "국제사법재판소 일본 고래잡이에 신경 꺼라" 日, 국제사법재판소 판결도 무시 '고래잡이' 하다 또 적발

2.7. 권고 기능

국제 사법 재판소는 재판 외에도 총회·안전보장이사회, 기타 총회에서 승인된 기관에 대하여 법률 자문 제공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를 권고적 의견(advisory opinion)의 부여라고 한다. 권고적 의견은 법적 구속력을 갖지 않는다.

3. 한계

오늘날 가장 진보적인 분쟁 해결 수단이라 여겨지는 ICJ조차도 결국 위에 쓰여진 내용 들에서 알 수 있듯 자신의 관할권 행사를 국가들의 동의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진정한 강제 관할권을 창설하지는 못하고 있다. UN의 원칙으로서 분쟁의 평화적 해결 원칙과 더불어 국제법의 기본 규칙인 주권 평등 역시 존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ICJ 규정 36조 2항의 관할권 수락 선언을 하는 과정에서 미국의 경우는 "미국의 판단에 따라 국내 문제에 속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ICJ의 관할권을 인정하지 않겠다"라는 유보를 첨부한 바 있고 많은 국가들이 이러한 사례를 따랐다. 서구 국가들뿐만 아니라 사회주의, 제3세계 국가들도 물론 오늘날에는 조금 완화되었다고는 하지만 국제법 자체를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의 입김이 강하게 반영된 규칙으로서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또한 국제해양법재판소, WTO 분쟁 해결 절차, 여러 인권 조약의 이행 감독 체제 등 특정 국제법 분야에 한정되고 전문화된 분쟁 해결 장치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재판소 간의 관할권 경합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더욱이 국제법이 법이 아니라는 주장의 대표적 논거가 바로 국내법과 달리 헌법을 정점으로 하는 위계적인 '하나의 법 체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인데, 이러한 국제법의 파편화(fragmentation) 현상은 결국 ICJ 자체의 권위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이에 대해 국제법 위원회(ILC)는 2006년에 발표한 국제법의 파편화에 관한 보고서에서 국제법 역시 하나의 법 체계(a legal system)임을 강조하며 국제법의 규범들이 서로에 대한 관계 속에서 작용한다고 선언한 바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국제법학자들의 다수 의견은 "그래서 뭘 근거로?"에 가깝다.

그리고 판결의 내용을 강제할 수 있는 수단이 결여되어 있다는 국제법의 근본적인 어려움 역시 계속되고 있다. 법이 효력을 발휘하는 이유는 법에 따른 집행 기관이 있기 때문인데 국제사법재판소의 집행 기관은 UN 안보리다. 근데 그 안보리는 상임이사국이 하나라도 반대를 하면 통과가 안되기 때문에 상임이사국에 불리한 판결이 나온다고 한들 따라줄 이유가 전혀 없다.

그렇다고 '국제사법재판소의 판결에 불복하면 불이익을 가할 수 있다'거나 '판결에 불복하면 상임이사국 자격을 일시적으로 정지 할 수 있다' 같은 규정을 추가 하는 것 또한 상임이사국이 만장일치로 통과를 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도조차 할 수도 없으며 맨 처음 UN을 설립할 당시 설립한 나라들이 바보라서 이런 규정을 안 넣은 것이 아니다. 이미 국제연맹이라는 실패 사례 때문에 생겨난 것이 UN이며 강대국이나 최빈국이나 주어지는 권력과 권한은 똑같은 마당에 이래라저래라 간섭만 하는 시원찮은 존재였기 때문에 국제연맹에 붙어 있을 메리트가 하나 없어 공중분해 된 국제연맹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만든 제도가 상임이사국인데 이게 정지 당한다고 하면 국제연맹이 그랬듯이 UN에 붙어있을 필요가 없다고 집단 탈주하는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특히 과거 니카라과 사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건의 일방 당사자[23] 안보리 상임이사국에 해당한다면 사실상 판결의 내용을 이행할 방안은 없어지게 되는 한계가 있다. 마찬가지로 독도 문제를 ICJ에 회부해 설령 판결이 한국 측에 유리하게 나와도 일본이 군말 없이 따를 것이라는 보장이 없는 것이며, 역으로 일본에 유리하게 나온다 하더라도 실효 지배를 한국이 하고 있는 이상 독도를 넘겨줄 이유가 하나도 없다. 이 점은 위에서도 언급된 고래잡이 관련 판결에 관한 일본 정부의 불복 사례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1 2 그러므로 공연히 논쟁만 키우고 혹여나 일본에 우호적인 판결이 나올 수도 있는 국제사법재판소 회부는 한국에게 전혀 득이 되지 않는 것이다. 한국 입장에서 최선의 방법은 일본의 요구를 "근거 불분명의 일방적인 영유권 주장" 정도로 치부하며 무시하고, '독도를 대상으로 하는 영유권 분쟁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실제로도 그렇게 하고 있다.

최근에도 미국이 국제사법재판소(ICJ)가 미국 행정부를 향해 대 이란 제재를 철회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린 데 대해 즉각 반발하면서 63년이나 된 미국과 이란과의 친선 조약을 공식 파기함과 동시에 ICJ의 판결을 공개적으로 거부한 사례가 있다. 심지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이란은 ICJ에 제소해 미국이 국가 안보를 위해 취했던 합법적인 행동(대이란 제재)에 도전하고 있다"라며 "이는 미국의 주권에 대한 간섭일 뿐 아니라 이란은 ICJ를 정치적 선전 목적으로 오용하고 있다"라고 발언하며, 또한 "우리는 ICJ가 제재와 관련된 명령을 내릴 권한이 없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 점에 매우 실망했다"라고 판결을 직접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한술 더 떠 존 볼턴 보좌관은 "이란, 특히 팔레스타인이 ICJ에 미국을 고소하는 데 있어 '외교 관계에 관한 조약 수정안'이 사용될 수 있다"라며 "미국이 ICJ 제소에 노출될 수 있는 모든 국제 협약에 대해 재검토할 것"이라고 말하며, 사실상 빈 조약 탈퇴 의사를 언급하기까지 했다. 기사 1, 기사 2, 기사 3

또, 한일 무역 분쟁 계기로 강제 징용과 관련해서 국제사법재판소로 가자는 의견도 있지만, 그렇게 되면 한국과 일본의 정치적 부담이 매우 커질 뿐만 아니라, 어느 한쪽이 패하게 되면 정치적 구도가 바뀔 수 있을 정도의 파급력이 있다. 위의 보다시피 강제적 판결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렇다. # 일본도 이를 아는지 그 후의 조치를 취하지 않게 되었다. #

4. 적절한 명칭(번역)인가?

'국제사법재판소'가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의 번역 명칭으로 적당하지 않다는 견해와 그렇지 않다는 견해가 있다.
후자는, 국제사법재판소의 영어 명칭에 대한 오해에서 이 문제가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이 견해에 따르면 Justice에는 '정의(正義)'라는 뜻도 있지만 '사법(司法)[24]'이라는 뜻도 있다.[25] 이 사법(司法)을 사법(私法)[26]으로 오해하여, ICJ는 국제공법(公法)을 주로 다루며 국제거래법과 같은 국제사법(私法)은 WTO(국제무역기구) 같은 곳에서 다루는 일이 많으므로 적절하지 않은 번역이라는 주장을 하는 경우가 있다. 사법(司法)과 사법(私法)은 발음부터 다르다. 전자는 [사법], 후자는 [사뻡]으로 발음된다. 국제사법재판소는 國際司法裁判所로, 전자의 '사법(司法)'이며 발음만 해 봐도 알 수 있다. 따라서, 영어 명칭에 없는 '사법(私法)'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으므로 오역이라는 주장은 오류이다. 다만, 이 견해도 ' 재판소'라는 단어에 관하여는 비판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 대한민국에서는 재판소 대신 '법원(法院)'이라는 말을 사용하며, 재판소는 일본에서 사용하는 일본식 한자어이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한국의 대법원에 해당하는 기관을 최고재판소, 지방법원에 해당하는 기관을 지방재판소라고 한다.[27]
그러나 후자의 견해에 대해 반박하는 측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1) 국제사법재판소의 사법(司法)을 사법(私法)이라고 해석해서 명칭 번역 오류 주장이 나온 게 아니다. 그 주장대로라도 사법(司法)에 해당하는 명칭은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중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다. 왜냐하면 원래 Court of Justice 는 우리말로 번역하면 법정, 법원, 재판소에 해당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2) 국제사법재판소의 사법(司法)을 입법, 행정, 사법의 사법이라는 뜻이기 때문에 넣어도 된다면, 국제사법재판소가 국내 법원(사법부)에 대응되어 민사, 형사, 행정, 가사 등 모든 영역에서 법의 해석과 적용을 담당해야 하는데 국제사법재판소는 그러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할 수도 없다. 위에서도 보다시피 강제 관할권이 없을뿐더러, 국제형사재판소 등 영역별로 법원의 역할을 하는 재판소나 중재원 등이 국제법 영역에서는 많기 때문이다. 3) ICJ를 국제"사법"재판소로 번역하려면, 국내 법원 역시 사법재판소로 번역해야 맞는데 국내 법원을 이렇게 번역하지는 않는다. 대한민국 법원의 공식 영문 명칭은 Court of Korea이고, 대법원은 supreme court라고 칭한다(대법원 사이트 주소인 scourt는 supreme court의 약자이다). 4) 번역명의 기준은 UN 공용어( 영어, 프랑스어, 중국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아랍어)를 참고한다. 우리나라는 보통 영문본을 많이 보나, 중문본도 공용어로서 원본으로 취급한다(UN 헌장 같은 경우). 우리나라는 한자 문화권이므로 중문본을 기준으로 번역 명칭을 찾는 것이 적절한데, 중문본은 ICJ를 '国际法院(국제법원)'이라고 한다. 결국 국제"사법"재판소라고 부를 아무런 이유가 없는데도 일본이 번역한 명칭 그대로 들여와서 여태까지 국제사법재판소라고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는 것이 이쪽 주장이다.

5. 기타

6. 관련 문서


[1] 따라서 국제사법재판소 보다는 국제정의법원이 더 맞는 해석이다 [2] 20세기 초 '강철왕'으로 유명했던 미국의 철강업자 앤드루 카네기가 기탁한 돈으로 세워졌다. [3] 여기서 말하는 '국제법'은 ICJ 규정 38조 1항에 열거된 재판에 적용 가능한 규칙들을 의미한다. 오늘날 이 규칙들이 바로 국제법의 연원으로 인정되고 있다. [4] 예를 들어 A국이 B국을 제소한 상태인데 ICJ에 B국 국적 재판관이 없다면, B국은 judge ad hoc을 내세울 수 있다. Judge ad hoc은 반드시 B국 편을 들 의무가 없으며, B국은 자국이 아닌 타국 재판관을 judge ad hoc으로 내세울 수도 있다. 실제로 판례를 보면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우 프랑스 국적 인물을 judge ad hoc으로 내세우는 사례가 상당히 많으며 이들이 반드시 자신을 내세운 국가 편을 들지는 않았다. [5] 예를 들어 민사소송법 제41조 이하 등이 그렇다. 이를 법관 등의 제척ㆍ기피ㆍ회피이라고 한다. [6] 아울러 "너희들이 원하는 재판관을 직접 골랐으니 그 판결에도 군말 없이 승복해라"라는 의미도 갖는다. 이렇게 적어보니 별 것 없어 보이지만, 이는 기판력에 있어 중요한 근거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7] 판사가 사망하면 후임을 신속하게 정해야하지만, 이미 소송 중인 사건에는 참가할 수 없다. [8] 2015년 2월 6일 재선 [9] 소장 임기는 2021년 2월 8일부터 [10] 부소장 임기는 2021년 2월 8일부터 [11] 2012년 2월 6일, 2021년 2월 6일에 각각 재선 [12] 2009년 2월 6일, 2018년 2월 6일에 각각 재선 [13] 2015년 2월 6일 재선 [14] 2018년 2월 6일 재선 [15] 2018년 2월 6일 재선 [16] 2012년 2월 6일, 2021년 2월 6일에 각각 재선 [17] 2021년 2월 6일 재선 [18] 2018년 2월 6일 재선 [19] 2021년 2월 6일 재선 [20] 다만 ICJ가 이 국가들에게 관할권을 행사할 수 있는가 여부는 별개의 문제다. 자세한 것은 후술. [21] 참고로 우리나라는 아직 수락 선언을 아예 하지 않았다. [22] 일본이 연구 목적의 포경을 악용하지 않을 때까지 일본의 포경을 완전히 금지하는 판결이었다. [23] 동 사건의 피소국은 미국이었다. [24] 어떤 문제에 대하여 법을 적용하여 그 적법성과 위법성, 권리관계 따위를 확정하여 선언하는 일이다. 입법·행정·사법 할 때 사법 [25] 법무부의 영어 명칭이 Ministry of Justice이다. [26] 개인 사이의 재산, 신분 따위에 관한 법률관계를 규정한 법. 민법, 상법 따위가 있다. 공법(公法)에 반대되는 개념 [27] 같은 이유로 헌법재판소 명칭도 비판을 받기도 한다. UN을 국제연합이라고 번역하는 것 역시 부정확하다는 지적이 있다. 유엔 문서 참고. [28] 마사코 황후의 아버지이다. 그러니까 역임 당시만 놓고 보면 덴노의 사돈. [29] 엄밀히 말해 재판관의 국적과 제소국 · 피제소국 간 관계는 고려 대상이 아니며, 긴요한 관계에 있을 때 배제된다. 사실 다 떠나서, 자국 국적 재판관이 없는 경우 제소국이나 피제소국은 자국 혹은 타국 국적의 재판관을 내세울 수 있다. (judge ad hoc) [30] 예를 들어 2024년 기준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 재판관 중에는 한국인인 이자형 재판관(외교부 국제법률국장)이 포함되어 있다. [31] 말할 것도 없이 내정간섭이기 때문. 또다른 이유로 탄핵 심판 자체는 엄연히 합법적인 절차를 거친 것이므로 분쟁따윈 존재하지 않으며 더이상 심의 자체가 필요없다는 이유도 있다. [32] ICJ는 사법기관이긴 하나 국제정치적 현실을 반영할 수 밖에 없는 그 특성상 이때까지 5개 상임이사국 출신 재판관은 빠지지 않고 재판관에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