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3:35:47

Escape from Tarkov/무기/주무장/돌격형 카빈

게임 정보
등장인물 상인 · 세력 · 보스
무기
구역 · 스트리트 오브 타르코프 · 그라운드 제로
아이템 소모품 · 장비
개발자 니키타 부야노프


1. 개요

게임 내 카테고리는 Assault carbines. 소총탄을 사용하지만 돌격소총과 달리 연사가 안되거나 사정거리가 짧은 염가형 총기이다.

동급 탄약을 쓰는 돌격소총/DMR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일부 화기들은 프라포, 예거, 스키어 1레벨부터 구매할 수 있다. 모딩에 투자할 자금이 적고 반동제어에 어려움을 겪는 뉴비들에게 자주 추천된다. 총기에 상관 없이 장전된 탄종에 따라서만 피해량이 결정되는 게임 특성 상 고관통탄을 물리면 여느 DMR과 다름없이 단발로 적의 방어구를 숭숭 뚫는 극한의 가성비 무장이 된다. 물론 가격이 가격인 만큼 제대로 모딩된 돌격소총/DMR에 비하면 성능이 한참 아쉬우니 가성비로 쓰는 무장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돌격형 카빈 무기군은 돌격소총 스킬을 공유한다. 때문에 SKS를 무한정 재장전하면서 돌격소총 스킬 레벨을 올릴 수 있다.

스캐브가 가장 자주 들고 스폰하는 무기군이지만, 내구도가 65 미만인 상태라서 명중률도 좋지 않고 탄걸림 및 기능고장이 빈번하다. 그래서 레이드에서 잠깐 주워쓰는게 아닌 이상 딱히 가져갈 이유가 없는 무기군이다.

1.1. ADAR 2-15

몰롯 ADAR 2-15
파일:EFT_ADAR_2-15.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5.56x45mm
30발
탄속 866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2.879 kg 반동 세로: 149
가로: 407
연사 속도 800 사정거리 5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스키어 1레벨에 해금. 몰롯에서 생산하는 러시아제 민수용 AR-15 카빈. 단발사격 전용에 406mm 총열을 장착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AR-15 관련 개조모드들은 여기에도 부착할 수 있다. 성능은 단발사격만 가능한 M4A1의 하위호환이지만 압도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상당히 좋은 명중률과 반동을 자랑해서 싼 맛에 쓰는 사람들도 있고, 드물게 반자동 특유의 손맛을 즐겨서 AR-15 계열 고급 부품들로 비싸게 모딩해서 쓰는 사람도 있다.

다루기도 쉽고 AR-15 계열 소총들과 숙련도도 공유되기 때문에 뉴비들한테도 추천할만한 총 중 하나인데 완제품은 45000루블 정도로 약간 비싸지만 저렴하게 마련하는 법이 있다. 스캐브가 내구도 걸레짝인 ADAR를 자주 들고 나오고 스키어 1레벨에 완전 분해된 ADAR를 약 7000루블에 팔기 때문에 스캐브를 죽이고 노획한 ADAR에서 파츠를 다 떼와서 재조립해서 쓰면 합리적인 가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워갈 생각이 없더라도 가끔 스캐브가 M855A1같은 좋은 탄을 삽탄한 채로 쓰기 때문에 여유가 있다면 어떤 탄이 들어있는지 체크해보자. 운이 좋다면 M855A1탄 120발을 얻을 수도 있다.

뉴비들이 매우 자주 저지르는 실수 중 하나로 도트사이트를 모딩하겠다고 기본 가늠자만 떼고 도트사이트를 붙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하면 가늠쇠에 가려서 아무것도 안 보이는 사실상 사용 불가능한 모딩이 된다.[1] 어찌보면 모딩한 총은 꼭 테스트해보고 들어가라는 교훈을 주는 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대로 도트사이트를 모딩하려면 가스블록을 겸하는 가늠쇠를 떼버린 뒤 메카닉이 파는 가스블록을 사서 달거나, 라이저 레일마운트를 달아야 한다. 스캐브들도 종종 이런 엉터리 모딩을 한 ADAR를 들고 나온다.

가끔 M4A1을 사용하는 Peacekeeping 미션에서 노획을 막아보겠다고 M4에 이총의 핸드가드와 406mm 총열 및 목재 개머리판을 달고 ADAR처럼 둔갑시키는 일명 '엠다르' 모딩을 채용하는 유저들이 더러 존재한다. 어차피 UN군 복장때문에 M4A1인건 들킨다 쳐도 노획 가성비를 떨어트려 빼앗기는걸 최대한 억제하는 정도가 목적이다.[2]

}}} ||

1.2. TX-15

론 스타 아머리 TX-15 DML
파일:TX-15_EFT.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5.56x45mm
30발
탄속 874m/s 크기 6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3.184 kg 반동 세로:140
가로:380
연사 속도 800 사정거리 5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스키어 3레벨에 해금. 5.56mm NATO 탄환을 사용하는 미국제 AR-15계열 민수용 반자동 소총이다.

성능상으로는 반자동 전용이기 때문에 ADAR과 다르지 않은 신세지만 기본형에 맥풀제 PRS GEN3 개머리판과 Raptor 차징 핸들, Thunder Beast 소염기+소음기 등 상당히 값나가는 부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총기 자체의 반동도 매우 얌전한 편이다. TX-15 상부 총몸의 스펙도 순정 M4A1보다 뛰어난 것은 덤.

18인치, 20인치 총열을 달고 나오기 때문에(스키어 기준 18인치)저반동 M4모딩을 할 때 부품용으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다.

모두 최종티어 부품급 성능은 아니지만 아닌 부품들의 성능도 상위권은 되고, 상인 매입가들이 꽤 나가는 부품들이라 총을 그대로 상인에게 팔아도 꽤 많이 받으며, 쓸만한 부품들을 적출해 직접 사용하고 나머지만 팔아도 꽤나 돈이 많이 들어온다. 보급상자나 무기상자 등에서 드랍되어도 소음기와 PRS GEN3 개머리판 등이 붙은 상태로 나오기 때문에 인게임 성능과는 별개로 부품용으로서는 가히 효자총기라 불릴 만하다.
레이더가 들고 오면 감사할 정도.

단 스키어가 파는 사양은 20만 루블 가량으로 더럽게 비싸기 때문에 살만한 메리트가 딱히 있지는 않다.
}}} ||

1.3. SKS

시모노프 SKS
파일:SKS_EFT.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39mm
10발
탄속 700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500
무게 3.677 kg 반동 세로: 182
가로: 400
연사 속도 40 사정거리 400m
안전성 96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프라포 1레벨에 해금. 7.62x39mm 반자동 소총.
SKS의 민수용 모델이다. 연사가 되는 자동소총이나 더 강한 탄을 쓰는 전투소총에 비해 화력이 애매하고 탄을 한 발씩 장전하기 때문에 장전속도도 상당히 느리다. 게다가 10발이라는 적은 장탄수, 레이드 중 탄창 교체 불가라는 단점이 발목을 잡지만 피스키퍼가 1렙부터 20발 탈착식 탄창을 판매하고 있어 이걸 장착하면 숨이 좀 트인다. 하지만 탄창으로 장전한다 하더라도 약실의 잔탄 유무와 상관없이 고정식 탄창을 장전할 때처럼 노리쇠를 후퇴고정하므로 장전 속도가 느린 편이다. 탈착식 탄창을 달아도 여분 탄창이 없다면 기존처럼 한 발씩 탄을 삽탄하므로 탄창을 하나만 사서 달아 놓고 장탄수만 늘리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그래도 게임 시작 시점부터 강력한 7.62 소비에트탄과 함께 구입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성비 자체는 높았다. 반자동 총기라 화력 자체도 나쁘지 않은 편. 20레벨 이전 마땅한 장비를 구하기 힘든 초보들이나 중반 이후에도 가성비 높은 장비를 원하는 유저들에게 추천되는 총기이다. 예거 1레벨에 완벽한 상위호환인 OP-SKS를 판매하게 되어 입지가 다소 애매해지긴 했으나, 예거는 퀘스트 이후에 접근이 가능하므로 플리가 안 열린 시즌 초 시점에 2만 루블선에서 7.62탄을 발사할 수 있는 저렴한 총기라는 강점이 있었으나 프라퍼가 1레벨에서 탄을 팔지 않게 패치된 이후 사용량이 확 떨어졌다.

기존에는 반동도 VPO-136에 비해 높고, 상부 레일이 없어 조준기를 달기도 마땅찮아 효율이 낮았으나, 레일 부착형 먼지덮개가 추가되어 OP-SKS와 차이가 없어졌고, 전용 장비들의 모딩 효율이 굉장히 높아져 풀모딩시 낮은 반동과 높은 인체공학을 모두 챙길 수 있다. 전용 장비들이 상인에게서 해금되는 레벨도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고[3], 플리마켓에서 가격도 건스미스 장비가 아니라면 저렴하기 때문에, 탭코 인트라퓨즈, FAB 디펜스 등의 부착물을 달아주고 저격 스코프까지 달아 제대로 된 저격소총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비슷한 동구권 저격총인 SVD는 화력이 압도적으로 좋지만 후반에 열리는데다, 비싸고 에르고도 낮다는 점을 고려하면, 비교적 초반에 저렴하고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는 SKS는 나름 훌륭한 저격소총이라 볼 수 있다.

참고로 SKS 탄창에도 .366 TKM이 삽탄된다. 366탄을 사용하는 SKS인 VPO-208은 현재 인게임에 없어 삽탄할 일은 없지만, 가끔씩 SKS탄창이 .366탄이 삽탄된 채로 스폰되어 널브러져 있기도 한다. 여튼 혹여나 잘못 삽탄했다 교전중 낭패를 보지 말자.

}}} ||
시모노프 SKS 헌팅 라이플(OP-SKS)
파일:OP-SKS_EFT.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39mm
10발
탄속 700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500
무게 3.677 kg 반동 세로: 182
가로: 400
연사 속도 40 사정거리 400m
안전성 97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예거 1레벨에 해금. Molot 사에서 SKS를 민간인들에게 판매할 목적으로 재생산한 버전.
군용인 일반 SKS와 달리 광학장비나 레일을 장비할 수 있는 Dovetail 사이드 마운트가 붙어있어 확장성이 개선되었다. 사실상 SKS의 상위호환. 덕분에 시즌 초중반에 활약하는 주무장 중 하나로, 그리고 피스키퍼가 1레벨부터 프로맥 20발탄창[4]을 판매하는 덕분에 별도의 개조 없이 탄창과 저렴한 조준경 하나만 달고 초반~중반까지 중-장거리 죽창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SKS는 메카닉 2렙에 열리는 UTG 레일 커버를 달아야 본격적인 저격소총 세팅이 가능해지지만 OP-SKS는 저렴한 PSO-1 망원조준경이나 OKP-7 도트 사이트를 별다른 개조 없이 도브테일 마운트에 바로 얹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아주 뉴비 친화적인 무장이다. 또한 원본 SKS와 마찬가지로 각종 서구권 옵션을 달아서 본격적인 저격소총으로 운용하느 것 또한 유효하다.

다른 동구권 총기들의 도브테일 사이드 마운트는 총 자체에 용접이 되어 있지만 OP-SKS의 것은 탈착식이다. 스캐브에게서 OP-SKS를 노획할 시 이 도브테일 마운트가 없는 상태로 얻을 때가 많은데, 마운트는 예거에게 따로 구매가 가능하므로 필요하다면 구매 후 광학장비를 운용하자.
}}} ||

1.4. VPO-209

몰롯 Vepr AKM/VPO-209
파일:EFT_VPO-209.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366 TKM
30발
탄속 593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300
무게 3.575 kg 반동 세로: 290
가로: 485
연사 속도 600 사정거리 300m
안전성 96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스키어 'Stirrup' 퀘스트 해결 후 해금. Molot 조병창에서 AKM을 기반으로 .366 TKM 탄약을 사용하도록 설계해 생산하는 '산탄총'이다.[5] 사실 현실에서나 게임에서나 이름만 산탄총이지 실 성능은 일반적인 반자동 소총에 더 가깝고, 게임 내에서도 .366 TKM 산탄이 전혀 등장하지 않아 그냥 소총 취급이다.

.366 TKM 탄환은 7.62×39mm보다 반동이 훨씬 강하며, 강력한 깡딜과 상대적으로 낮은 관통력 등 산탄총의 슬러그탄과 유사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깡딜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저등급 탄이라도 방어구가 보호하지 못하는 부위를 노리면 한 방에 블랙아웃을 시키며, 고관통 최종탄인 .366 AP 탄은 90 대미지에 4클래스까지 확정 관통, 3클래스까지 흉부 원탭이 가능한 탄종이라 이 총기와의 시너지가 아주 좋다. 밸런스 패치가 누적되어 기존의 고효율 가성비 탄들이 전부 기존의 고관통 탄들을 대체해 상인 레벨 후반부로 올라가며, 변화가 적은 EKO 탄과 AP-M 탄을 가진 이 총기의 효율이 상당히 올라갔다.

외형 그대로 총구 파츠를 제외한 모든 AKM용 부품이 그대로 호환되기 때문에 AKM용 최종 모딩을 그대로 여기다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AK용 최종 모딩을 갖다 붙여도 반동이 워낙 강해서 DMR로도 쓰지 못할 수준이라 그다지 권장되지는 않는다.

AK 7.62 시리즈의 모든 탄창이 호환된다는 특성으로 인해 이 총에 7.62x39 탄을 그대로 삽탄하거나 반대로 AKM, SKS, Mk.47에 .366 TKM을 넣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잘못된 탄을 삽탄한 총기는 기능고장에 걸려 발사가 불가능해지므로 실수로 삽탄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주로 인레이드에서 루팅 중 다른 탄이 들어 있는 탄창을 미처 구분하지 못하고 그대로 조끼에 넣는 등의 이유로 이런 사고가 발생하니 적 시체(특히 스캐브)에서 탄창을 루팅하기 전에는 주무기 슬롯에 있는 총기가 무엇인지 꼭 확인할 필요가 있다. 잘못 삽탄된 탄은 단축키로 배출하거나 총기 세부 정보 탭에서 직접 제거해야 한다.

작업대에서 이 총을 분해해서 총기 부품 2개를 만드는 조합식이 있는데, 스캐브가 굉장히 자주 들고오는 총이라서 펜스에게 내구도가 걸레짝인 VPO-209를 값싸게 구할 수 있으며 이렇게 만드는 쪽이 더 저렴하다.

최종탄인 AP-M은 메카닉 3레벨부터 구매할 수 있는데, 관통력 자체는 5.56mm M855A1과 거의 동급으로 4클래스까지 확정 관통, 5클래스도 높은 확률로 관통하는 고성능 탄종이다. 깡딜도 90으로 매우 강하지만, 반동과 정확도 패널티가 심해서 DMR처럼 사용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방어구를 관통할 때 어느정도 피해량이 감소되어 들어가기 때문에 흉부 원탭은 3클래스까지만 가능하다.

주코프 개머리판 등 AKM용 최상급 부품이 전부 호환되기에 맘만 먹으면 돈지랄을 해서 풀모딩을 뽑을 수 있으나, 총구 파츠는 .366 전용의 쓰레기같은 소음기만 장착할 수 있는데다 AP-M의 반동 패널티가 워낙에 심해서 아무리 모딩해도 DMR처럼 운용할만큼 반동을 줄일 수는 없다.
}}} ||

1.5. VPO-101

몰롯 Vepr 헌터/VPO-101
파일:VPO-101.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1mm
5발
탄속 864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500
무게 3.807 kg 반동 세로: 300
가로: 540
연사 속도 600 사정거리 4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일명 헌터. 예거 2레벨에 해금되며 7.62x51mm NATO를 사용하는 러시아제 민수용 수렵총이다.

조준경과 소음기, 전용 SVD 스타일 스톡 외에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부품이 없으며 탄창도 5발, 10발들이 밖에 존재하지 않아 확장성이 떨어진다. 풀모딩 상태로도 수직 반동이 겨우 100 아래로 내려갈 정도로 큰 반동은 덤.

하지만 일찍 해금되며 가격과 모딩비도 저렴하고 심지어 스캐브들도 심심찮게 들고 다니기 때문에 매우 쉽게 입수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7.62mm NATO라는 고위력 탄종을 반자동으로 날릴 수 있기 때문에 유명한 가성비 죽창 중 하나다.

다만 총기 자체의 전반적인 성능이 워낙에 별로고 탄창 용량도 너무 적다 보니 보통은 같은 탄종을 쓰는 RFB를 사용하는 것이 더 권장되는 편이다. 어차피 RFB도 워낙에 저렴한 무장이다 보니 실질적인 가격 차이도 크게 나지 않는데다 기본 스펙도 헌터보단 좋고, 헌터가 10발 탄창을 겨우 사용하는 반면 RFB는 20발 들이 FN FAL 탄창을 매우 쉽게 입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기존에 비교적 쉽게 구하다 쓰던 M80, M62 등의 고효율 탄종들이 구하기 매우 힘들어지면서 초중반에 쓸만한 탄종의 효율이 여러모로 낮아져 운용하는 플레이어들을 보기 힘들어졌다.

}}} ||

1.6. VPO-136

몰롯 Vepr KM/VPO-136
파일:EFT_VPO-136.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39mm
30발
탄속 716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600
무게 3.575 kg 반동 세로: 225
가로: 486
연사 속도 600 사정거리 4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스키어 1레벨에 해금. AKM의 민수용 단발사격 버전이다.

연사가 불가능한 것을 제외하면 AKM과 차이가 없으며, 유탄발사기를 포함한 AKM용 모든 파츠가 호환된다.

반동이 AKM과 다른데, AKM을 단발사격하는것보다 체감 반동이 적다. SKS와는 성능상 서로 일장일단이 있는데, 플리마켓조차 열리지 않은 극초반에는 대용량 탄창과 레일마운트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이 총이 SKS보다 비교 우위에 있다. 그러나 플리마켓이 열리고 상인 레벨이 오르면 모딩의 가격과 효율 면에서 차이가 크게 벌어진다. 큰 돈을 들여서 풀모딩을 한다 하더라도 SKS의 반동과 인체공학 수치를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에, 전자동 사격이 불가능한 이 총은 초반부를 넘기면 버려지게 된다.

사이드레일 마운트가 없어 스코프를 달려면 별도로 레일이 필요하다. 마침 스키어 1레벨에 Bastion 더스트커버를 판매한다.

}}} ||

1.7. SAG AK

슈어샷 아마먼트 그룹 AK 5.45 카빈
파일:Tarkov_AK-545_카빈.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5.45x39mm
30발
탄속 m/s 크기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

}}} ||
SAG AK 5.45 카빈 단축형
파일:Tarkov_AK-545.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5.45x39mm
30발
탄속 m/s 크기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12.13에서 등장한 미국의 슈어샷 아마먼트 그룹(SAG) 사의 민수용 AK 계열 소총. 5.45버전 TX-15나 STM-9 정도의 포지션이다. 원본 러시아제 AK-74와는 다르게 미국제 AK 소총답게 세련되고 잘 빠진 현대적이고 레일이 기본 장착된 택티컬한 외형, 낮은 기본 반동과 높은 에르고, AR-15용 버퍼튜브가 기본장착이라 넓은 개조폭까지 가진 등 장점이 많지만, 단발 사격만 가능해 취향을 심하게 탄다.

반자동 소총이다보니 근접전은 최대한 피하고 적의 자동사격을 맞지 않을만큼의 중거리에서 운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런 운용을 주력으로 한다면 5.45탄을 사용 총기 중 가장 강한 면모를 보여준다. 다만 그 정도 거리의 교전에서는 7.62mm급 전투소총이나 DMR이 훨씬 강하기 때문에 애매한 부분이 있다.

특이사항으로 레일이 달린 더스트 커버가 1칸짜리라 2칸짜리 조준경을 얹어 스태쉬 정리에 쓸 수 있다. 기본형 버전은 AK-74계열 기본 소염기를 장착하고 있으나 12인치 단축 총열 버전은 PWS CQB 머즐을 기본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 ||

1.8. RFB

켈-텍 RFB
파일:EFT_RFB.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1mm
20발
탄속 m/s 크기 4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3.606 kg 반동 세로: 173
가로: 307
연사 속도 700 사정거리 900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스키어 2레벨에 해금. 7.62x51mm 나토탄을 사용하는 미제 민수형 불펍 라이플이다. 최소 6x2 이상의 크기를 자랑하는 여타 DMR들과 달리 짧은 사이즈 때문에 4x2라는 매우 작은 크기를 자랑한다. 별다른 파츠가 달리는 것이 없어서 총구와 포어그립만 세팅하면 끝이라 모딩 비용도 저렴하다. 탄창은 50발 드럼탄창을 제외한 SA-58용 탄창이 모두 호환된다.

헌터의 상위호환 격이긴 하지만 이 총이라고 성능이 썩 좋은 것도 아니며, 모딩 비용이 저렴하다는 것은 곧 확장성이 떨어져서 성능 향상 폭이 낮다는 것이라 그냥저냥 싼 맛에 유사 DMR처럼 쓰는 총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권총손잡이와 개머리판도 바꿀 수 없으며 심지어 측면 레일도 없어서 레이저 표적 지시기나 전술조명조차 달 수가 없다.[6]

7.62x51mm M80이 피스키퍼 2레벨에 해금됐던 과거에는 저렴한 7탄 발사기이자 뉴비의 죽창으로 많이들 쓰였으나, M80 해금이 기어코 피스키퍼 4레벨까지 올라가버리면서 현재는 쓸 이유가 거의 없다. 예거 1레벨에 해금되는 TCW SP를 넣고 쓴다면 쓸 수야 있지만, 4클래스도 확정 관통을 못하기 때문에 굳이 그 탄을 쓰면서까지 RFB를 쓸 이유가 적다.

또한 탄창을 빼는 순간 4x1 짜리 아담한 사이즈로 변신하므로 적에게 노획당하기도 아주 쉽다. 그래도 M1A나 SR-25 등 다른 7.62x51mm DMR보다 훨씬 저렴하고, 탄창 또한 값싼 FN FAL 20발 탄창을 먹는다는 점에서 저가형 DMR로 사용하기는 좋다. 어차피 DMR을 쓸거라면 적어도 VPO-101 헌터보다는 RFB쪽이 성능이 훨씬 낫기 때문.
}}} ||

1.9. SVT-40

토카레프 SVT-40
파일:Tarkov_SVT.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R
탄속 m/s 크기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0.13.5에서 추가된 구 소련제 반자동 카빈 소총. SVD에 이어 두번째로 나온 7.62x54mmR을 사용하는 반자동 소총이다.

부착 가능한 장비가 3.5배율 PU 스코프 말고는 아무것도 없지만, 그럭저럭 빠른 시점에 해금되는데다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고등급 방탄복도 숭숭 뚫는 탄을 속사할 수 있으며, 위력에 비해 반동이 얌전하기 때문에 가성비가 좋다.

한 때 사기를 넘어 날먹 총기 수준으로 악명을 떨쳤다. 가격이 엄청나게 저렴한 것은 물론, 모신나강, SVD와 동일한 7.62x54 탄종을 쓰면서 반동도 다룰만한 수준인 등 가격에 걸맞지 않는 성능을 가졌기 때문이다. 반동 너프를 당했고 상인 판매 시점이 늦춰진 것은 물론 고관통 탄종들도 구하기 어려워지며 사기 무기 자리에서는 내려왔지만, 스캐브로도 총과 탄을 구할 수 있는 접근성과 중장거리 저격용으로는 여전히 문제가 없는 성능으로 효율은 좋다.

단점은 아이언사이트임에도 기본 에르고가 18로 매우 낮아 조준속도가 몹시 느리다는 점. 3.5배율 스코프를 달면 여기서 6이 더 떨어진다. 또 소음기를 비롯한 모딩 자유도 역시 없다.

}}} ||
AVT-40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R
탄속 m/s 크기
발사 모드 단발/연사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0.13.5에서 추가 되어진 구 소련제 완전자동 카빈 소총. 타르코프에서 최초로 등장한 7.62x54mmR을 자동사격할 수 있는 무기이다.

SVT보다 구하기 어렵지만 7.62x54mmR을 750 RPM으로 쏘는 미친 화력 덕분에 근거리에서는 SA-58이상의 믹서기로 돌변한다. 탄창이 작다는 점도 탄약 자체가 워낙 대미지가 높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안그래도 대구경인 7.62 림드를 SA-58보다도 높은 RPM으로 쏴버리는 관계로 반동이 저세상으로 가버린다는 문제점과 모딩등을 통해 이 반동을 제어할 방법도 마땅하지 않은데 근거리에서는 총 길이 때문에 총이 지형에 걸쳐서 제대로 조준이 안되는 문제도 있다.

원래는 프라퍼 3레벨에 바로 구매가 가능했으나, 노모딩으로 5클래스 방탄복도 갈아버리는 날먹총기로 악명을 떨치자 결국에는 별도의 퀘스트를 거쳐야 교환 가능하게 바뀜과 동시에 반동이 크게 너프되어 연사로 사용하기는 매우 힘들어졌다.
}}} ||

1.10. VSK-94

VSK-94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R
탄속 m/s 크기
발사 모드 단발/연사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0.14 패치에서 추가된 9×39 mm 사용 돌격소총. 프라퍼 4레벨에 판매한다.

높은 깡딜의 9x39mm를 사용하면서 연사속도도 AS VAL이나 VSS와 같은 900RPM이기 때문에 근접전에서 매우 강력하다. 다만 전용 20발 탄창만 사용 가능, 개머리판과 권총손잡이 교체 불가, 수직손잡이 장착 불가 등 확장성이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다. 또한 전술조명/레이저 장착을 위해서는 반드시 전용 소음기를 장착해야 한다.

총열이 매우 짧기 때문에 VSS나 AS VAL에 비해 탄속도 약간 느리고 정확도도 떨어진다. 안 그래도 아음속탄이라 장거리 사격에 불리한데 MOA가 무려 4.3에 달하기 때문에 철저하게 근접전 위주로 운용해야 한다.

기본 반동은 상당히 튀나 전용 소음기 장착 시 반동이 꽤 괜찮아진다. 아래 9A-91과는 모딩 폭이 정확히 동일하고 차이점은 개머리판 일체형 손잡이가 장착되었다는 점 뿐인데, 9A-91보다 이 총의 기본 반동도 더 낮고 에르고도 소폭 더 높기 때문에 상위호환이라 보아도 무방하다.
}}} ||

1.11. 9A-91

9A-91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R
탄속 m/s 크기
발사 모드 단발/연사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0.14 패치에서 추가된 9×39 mm 사용 돌격소총. 프라퍼 4레벨에 판매한다.

위의 VSK-94와 대동소이하나 접이식 개머리판을 사용하여 기본 반동이 더 높다. 때문에 가능하면 VSK-94를 사용하는 편이 좋겠다.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8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8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당장해야 대한민국의 제식소총인 K2C1 소총이 광학장비를 달려면 어떻게 해야(라이저 마운트를 올려야) 하는지 생각해보자. [2] 사실 M4A1의 전반적인 가성비는 높고 칸성비가 낮고 생각보다 보험 회수률이 높은 편이다. 웬만큼 모딩한 엠포라면 다르겠지만 2024년의 반동패치로 인해 도트 사이트만 단 순정 엠포들이 많아진 상태다. [3] 대표적인 에르고 세팅인 탭코 사의 인트라퓨즈 바디킷은 메카닉 1레벨에 풀셋을 전부 취급한다. [4] 피스키퍼 3레벨에서는 프로맥 35발 탄창을, 메카닉 3레벨에서는 75발 탄창을 판매한다. [5] 러시아의 희한한 총기법 상, 강선 길이가 120mm 이하면 산탄총으로 분류된다. [6] 상단 레일이 있는 스코프 링 마운트를 장착한 다음 거기에 거리 측정기를 올리면 거리 측정기에서 나오는 레이저를 표적 지시기로 사용할 수 있긴 하다. 이러면 지향사격 명중률 보정도 정상적으로 받지만... 가격도 성능도 저렴한 RFB에 비싼 스코프와 거리측정기까지 장착해야 해서 현실적인 방법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