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05:48:50

회충

회충
蛔蟲 | Large roundworm
파일:external/www.polykhrest.od.ua/ASCARIS.jpg
1번 수컷, 2번 암컷
학명 Ascaris lumbricoides
Linnaeus, 175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선형동물문(Nematoda)
크로마도레아강(Chromadorea)
회충목(Ascaridida)
회충과(Ascarididae)
회충속(Ascaris)
회충(A. lumbricoides)

1. 개요2. 원인3. 증상4. 치료
4.1. 과거의 치료
5. 기타

[clearfix]

1. 개요

선형동물문 선충강 회충목 회충과에 속하는 기생충으로 아스카리스라고 불린다. 학명은 Ascaris lumbricoides. 순우리말로는 '거위'라고 한다.[1] 기생충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날지도 모르는 생물로, 인간에게 감염되는 토양 매개성 연충 중 대표격이다. 사람 뿐만 아니라 , 돼지, 고양이, 등 수많은 동물들한테도 기생한다. 그리고 그 기생 숙주마다 각각 이름이 다르다. 보통 소장에서 살며 암컷 수컷보다 크다.

2. 원인

주 원인은 으로 농작물의 비료를 삼던 시절 제대로 된 발효처리 과정이 되지 않은 것을 사용한 것이다.[2] 놀이터 모래에 개 회충 알이 들어있다는 뉴스가 있다. 가끔 놀이터에서 놀다가 손을 안 씻고 밥을 먹거나 동물을 만지고 손을 입에다 넣었을 때에도 몸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위생상태가 의심되는 회를 먹었을 때도 발생하는데, 미국에서는 주유소 편의점에서 판매한 스시를 먹고 몸에서 회충이 생겨 비타민 B12를 몽땅 회충에게 빼앗기는 바람에 환각 증세, 불면증, 각종 이상 감각에 시달리던 끝에 치유한 사례도 존재한다.

3. 증상

회충으로 인해서 생기는 위험한 현상은 기생충이 일반적인 기생부위를 벗어나 여러 장기로 들어가는 것이다. 에 들어가서 위경련양발작, 쓸개에 들어가서 염증을 일으키거나 담석양발작을 일으키고, 췌장에 들어가서 췌장염을 일으키며, 또 충수(충양돌기)에 들어가서 충수염을 일으킨다. 드물게는 장벽을 뚫고 복막염을 일으키며, 그밖에 신체 각부에 침입하여 위험한 증세를 일으킨다. 또한 충란(즉 )이 핵이 되어 담석을 형성하는 수도 있다.

또한 회충은 암컷이 수컷의 몸에 자신의 몸을 끼워 파고 들어가는 방식으로 짝짓기를 하는데, 적절한 시기를 놓친 암컷이 발작적으로 수컷을 찾아 내장 기관 곳곳을 돌아다니다가 몸을 끼울 만한 곳에는 모두 들어가서 담낭 등을 막아 폐색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매우 드물게 소화 기관을 벗어나 식도를 기어 올라서 코나 입으로 빠져 나오거나, 내이도의 유스타키오관으로 빠져 나오다 고막을 자극 혹은 파열해서 청각을 손상시키기도 한다. 그냥 결론은 특별한 해를 끼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일단 있어서 좋을 것이 하나도 없는 기생충.

하지만 아토피를 포함한 자가면역질환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있으며 회충이 면역체계를 억제하는 작용을 이용한 여러 연구가 진행 중이다.

4. 치료

수많은 피해를 주던 때가 있었던지라 치료법도 발달하였지만, 여전히 남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그리고 북한 지역 쪽에서는 드물지 않게 발견되는 듯하다.

가끔씩 대변을 보면 산 채로 안에 섞여 나와 대변이 꿈틀거리는 것처럼 보이거나 회충이 항문으로 빠져나오는 경우가 있다. 당황하지 말고 약국에 가서 구충제를 사 먹으면 한방에 해결된다. 하지만 납작하고 매우 긴, 흡사 칼국수 면발같은 녀석이 나왔을 경우 조충( 갈고리촌충, 민촌충)일 가능성이 높으니 의사와 상담하여 감염 여부를 확실하게 확인한 후 프라지콴텔 등을 복용하여 치료해야 한다.

흔히 약국에서 파는 구충제의 성분인 " 알벤다졸"(Albendazole)이나 "플루벤다졸"은 이 회충과 요충을 치료하기 위한 약이다. 표준적인 치료법은 알벤다졸 400mg 1회 투여.

4.1. 과거의 치료

과거에는 "산토닌"이라는 성분을 사용하였지만 효과가 어중간하여 기절하거나 죽은 기생충이 분해되지 않고 뒤로 빠져나오거나 흔히 하늘이 노래진다고 표현하는, 황시현상이 일어나는 등 부작용이 있어 대체되었다. 요즘 쓰는 약들은 회충이 장내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절대 기생충이 뒤로 나올 일은 없다.

과거에는 매년 구충제를 먹어야 한다는 설이 있는데 이는 현대 한국에는 맞지 않는 권고이다. 한국은 기생충이 거의 박멸됐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위생상황이 좋아졌다. (감염률 0.2%) 또한 오늘날에는 기생충의 근원인 분뇨를 퇴비화하거나 화학비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생충 사이클이 무너져서 더이상 구충제를 먹는 건 의미가 없다. 또 소수의 회충은 큰 해를 끼치지 않는다. 오히려 알벤다졸 등을 매년 복용하는 경우 일부 특이체질에서는 간독성으로 위험할 수도 있으므로 현재는 예방용으로는 구충제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만약 발생한다 해도 한두 번 약으로 해결될 일이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인도 같은 비위생 국가로 여행을 가거나 민물회를 즐겨 먹는다면[3] 기생충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좋다.

5. 기타

파일:03E35161-7112-432E-92E3-53F7289626BD.jpg }}} ||


[1] 중세 국어 시기 '거ᇫ위'로 나타났으며, 지렁이를 뜻했다. 현대에는 동음이의어인 조류 거위는 그 당시 '거유'(...)로 나타났다. [2] 이 발효 과정 중에 고온이 발생하고, 대부분의 유해한 미생물들이나 기생충, 충란들이 사라진다. 조상들은 분뇨와 볏짚 등을 섞어 충분히 발효시켜 두엄을 만들어서 농사에 사용하였다. 그냥 분뇨를 퍼서 붓는 것이 아니다! [3] 이 경우는 간흡충에 감염된 거라 병원에서 처방전을 받고 프라지콴텔이나 디스토시드 등을 먹어야 효과가 있다. [4] 195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오정희의 <중국인 거리> 라는 작품에서도 그 해인초의 쓰디쓴 물을 마시고 황시증으로 세상이 노랗게 변하는 장면이 나온다. [5] 蛔가 動하다 : 구미가 당기거나 무엇을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다. [6] 무게는 5kg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