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2 13:52:12

퇴비

두엄에서 넘어옴
파일:퇴비.png

1. 소개2. 역사3. 제조법
3.1. 재료 모으기3.2. 섞어 넣기3.3. 쌓아 두기3.4. 뒤집기
4. 사용법5. 퇴비 사용 효과
5.1. 양분 공급5.2. 물리성 개선5.3. 화학성 개선
6. 기타
6.1. 유기농 작물6.2. 인분 사용 기피와 주의점6.3. 유박과 퇴비의 차이
6.3.1. 제조 공정의 차이6.3.2. 사용 용도의 차이
6.4. 유박과 퇴비를 헷갈리는 이유6.5. 인간 시신의 퇴비화6.6. 북한 내 사정
7. 관련 문서

[clearfix]

1. 소개

堆肥 / Compost

순한국어로는 두엄이라고도 부른다. 풀, 짚, 동물의 배설물 등 여러 가지 재료를 발효시키거나 썩혀서 만든 천연 비료. 식물이 자라기에 충분한 양분이 있고 썩어서 분해될 수 있는 재료라면 모두 가능하다.[1] 보통 한 가지의 재료만 들어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 비율이 높게 잘 섞인 퇴비는 동물의 배설물이 들어간다 하더라도 지독한 냄새가 나지 않고 흙냄새만 난다. 유기질 비료( 유박)와는 조금 다른 개념이다. 하지만 둘 다 주성분이 유기질이라서 많이 헷갈린다고. 이 둘의 비교는 후술.

Manure는 가축 분뇨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퇴비 재료 중 하나다. 퇴비는 compost.

2. 역사

인류가 농경사회로 넘어온 이후부터 퇴비는 필수품이였다. 동·식물의 사체 또는 부산물을 이용한 데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고, 식물이 자랄 때 꼭 필요한 암모니아 등 양분을 공급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선 해방 이후에도 농촌의 필수품으로 여겨졌다. 재래식 화장실을 이용해 인분을 보관하기도 하였다.[2]

이전에는 식물에 영양을 공급해 농업 산물이 증대되는 효과에 초점을 맞췄으나 현재는 산물 증대 측면 뿐만 아니라 화학 비료 또는 농약으로 인해 오염된 토양을 개량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프리츠 하버가 질소고정법을 개발하여, 상대적으로 값싸고 쉽게 비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이후 퇴비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현재까지도 인공 비료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곳이나 유기농 농법에서는 농촌의 중요 자원이다.

3. 제조법

출처

3.1. 재료 모으기

질산(N), 인산(P), 수산화 칼륨(K)을 비료의 3요소라고 지칭하는데, 되도록이면 이 세 성분이 골고루 들어간 퇴비를 만들어주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고 이상적인 생각이겠지만, 특별하게 키울 식물이 있다면, 그 식물의 종에 따라서 더 도움되는 성분이 있으므로, 그 식물에 대해서 정확히 조사하고 그 식물의 특성에 맞는 퇴비를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아래는 효율성이 좋고, 구하기 쉬워 널리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퇴비 재료의 성분 함유량을 나타낸 표이다. 단위는 %.
구분 깻묵 계분 쌀겨 생선찌꺼기 우분 돈분 나뭇재 왕겨 볏짚
질산(N) 5 4 2 8 0.3 0.6 0 0.5 0.6
인산(P) 2.2 2 4 3 0.2 0.5 3 0.2 0.2
수산화 칼륨(K) 1.2 1 1 1 0.1 0.4 6 0.5 1

3.2. 섞어 넣기

모은 재료를 골고루 잘 섞어주고, 물을 조금씩 뿌려가며 수분 조절을 해준다. 이때 수분은 약간 모자라게 하는 것이 관건. 퇴비 재료를 골고루 섞었을 때 푸슬푸슬하고 손으로 꽉 쥐어 짰을 때 손에 물기가 나올락 말락 하는 정도가 좋다. 물기가 많으면 부패하기 쉽다고.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퇴비를 섞을 때 밭의 흙을 퇴비 전체 중량의 30~40% 넣어주면 퇴비의 품질이 상당히 좋아지고, 흙 속의 미생물들이 퇴비화 과정을 촉친해 준다.

3.3. 쌓아 두기

재료를 잘 섞어서 비가 새지 않는 곳에 쌓아 둔다. 쌓는 높이는 기온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데, 기온이 상승하는 시기에는 30~40㎝, 하락하는 시기에는 60~70㎝ 정도로 쌓아 둔다. 쌓아 둔 후에 그 위를 짚으로 덮어주면 발효가 잘 되고 파리나 벌레들이 들어오지 않는다.

3.4. 뒤집기

퇴비를 쌓아 두고 일주일 정도 지나면 한 번 정도 뒤집어 주면 좋다는데 중요한 건 이게 개고생굉장히 힘들다고 한다. 덮어두었던 짚을 치우고 퇴비를 섞어준 후에 다시 그 위를 짚으로 덮어주면 된다. 뒤집기 할 때 수분이 너무 적다고 느껴지면 물을 뿌려가며 수분 조절까지 같이 해주는 게 좋다고.[3]

4. 사용법

퇴비를 쌓아두고 뒤집기를 3~4번 거치면 어느 정도 완숙퇴비가 된다고 한다. 완숙퇴비가 되었는지 구분하는 방법은 퇴비에서 열이 나지 않아야 한다. 아직 열이 난다면 그것은 완숙퇴비가 아니고 발효 중인 퇴비라고. 또 다른 방법은 냄새를 맡는 방법이 있다. 누룩 띄울 때 나는 달콤한 향이 나면 완숙퇴비, 간장 달이는 냄새가 난다면 발효 중인 퇴비라고 한다.

완숙된 퇴비는 사용할 만큼 덜어 쓰고 짚으로 덮어두면 된다. 그래야 벌레도 덜 붙고, 습도도 유지되며, 미생물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이제 퍼낸 퇴비를 밭에 뿌려줘야 하는데, 여기서는 적당한 양과 밭에 퇴비를 골고루 뿌리는 시간이 중요하다. 절대로 퇴비는 밭의 어딘가에 쌓아둬서는 안되며 한 번에 많은 양을 줘서도 안된다. 왜냐하면 너무 많은 양이 흙에 퍼져있거나 한 곳에 쌓여있을 경우 잠시 동안은 식물이 달가워 할지 몰라도 곧 삼투 현상으로 인해 식물이 흡수했던 양분이 도로 흙으로 돌아가는데다가, 원래 식물에 있던 양분 및 수분이 빠져나가 식물이 죽어나가는 막장 사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피해는 식물의 죽음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퇴비를 아무리 골고루 뿌려도 너무 많은 양을 뿌리게 되면 식물도 죽을 뿐더러 지하수의 오염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퇴비는 최대한 빨리 골고루 뿌리고 너무 많은 양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 두 가지만 주의한다면 식물이 자라기에 매우 좋은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퇴비 발효열도 궁리만 잘 하면 쓸 데가 있다. 발효 과정에 생기는 열로 온실/축사 등의 난방을 하거나, 별도의 밀폐용기에서 유기물을 혐기발효시켜 메탄가스를 포집하기도 한다.

또한 발효열이 파리 등 해충의 번식을 막아주기도 한다. 그렇기에 퇴비는 똥무더기가 아니지만, 만약 똥파리가 득실거리면 실패한 것이다.

5. 퇴비 사용 효과

5.1. 양분 공급

퇴비 뿐만 아니라 모든 비료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효과이다. 식물이 자라면서 토양에 녹아있는 양분을 흡수하는데, 당연히 이 양분도 고갈된다. 이럴 때 부족한 양분을 보충하기 위해 쓰이는 것이 퇴비이다.

5.2. 물리성 개선

퇴비는 토양의 구조를 식물이 자라기에 좋은 구조로 바꿔준다. 흙이 푸슬푸슬해져 뿌리가 뻗기 좋아지고, 수분 유지에 용이해 가뭄이 들어도 식물이 잘 버티게 해주고, 비가 오면 물이 잘 빠져 뿌리의 습해를 방지해주기도 한다. 또한 퇴비를 준 밭은 지렁이가 늘어나 밭을 갈아주는 효과를 내기도 한다.

5.3. 화학성 개선

퇴비를 발효하면서 생긴 미생물들이 흙의 화학적 성질을 개선한다. 퇴비를 준 밭의 식물은 외부의 화학적 충격에 강하며, 산성비가 내려도 쉽게 토양이 산성화 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화학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아 식물이 안정적으로 자랄 수 있게 해준다.

6. 기타

6.1. 유기농 작물

퇴비를 사용해 작물을 재배한다고 하면 떠오르는 것이 보통 유기농 작물 재배이다. 퇴비는 유기농 작물 재배에 필수적이긴 하지만 퇴비를 사용한다고 해서 모두 유기농 작물 재배인 것은 아니며 정확히는 아래와 같은 규정이 존재한다.

국내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기농 작물에 대한 기준은 두 가지가 있고, 이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유기농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맹점 또한 존재하는데, 첫째는 화학비료 또는 농약은 농경지에만 안 주면 된다는 것이다. 주변에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제초제를 뿌리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렇게 되면 제초제가 농경지까지 스며들기 때문에 상식적으로 그 농경지에서 생산된 작물은 유기농 작물이 아니다.

유기농의 경우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손 놓고 있는 것은 아니며 목초액이나 다른 식물 추출물을 쓰는 천연 농약이나 미생물 농약은 사용 할 수 있다. 유기인제 등의 농약에 비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에 부담도 적다.

6.2. 인분 사용 기피와 주의점

역사적으로 보면 인분을 사용하는 경우도 흔했다. 오히려 인분도 좋은 재료다. 영양가도 풍부하고, 재활용도 할 수 있고. 꺼림직한 거 빼면 굉장히 효율적이다. 아시아에서는 인분 거름이 흔하게 사용된 것에 비해 북미나 유럽은 가축 배설물을 비료로 주로 사용하며 인분 비료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다만 유럽도 인분을 사용하지 않은건 아닌데 고대 로마의 경우 인분을 발효하지 않고 그대로 비료로 썼다. # 제대로 발효하지 않은 인분 비료의 문제점은 다음 문단에서 후술.

당연히 제대로 처치 되지 않은 인분 비료는 큰 위생상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대변에는 다양한 장내 기생충과 세균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걸로 퇴비를 만들어서 식물에게 주게되면 자칫 세균과 기생충들을 전달하고 생야채를 통해 다시 사람에게 감염되는 순환을 완성시키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프리카 지역에 아직도 기생충 질환이 창궐하게되는 주 원인 중 하나이다.

한국의 경우도 과거 장내 기생충의 많은 감염을 퇴치하기 위해 구충제를 나눠주고 주기적으로 검사를 하는 등, 구제노력을 많이 하면서 동시에 인분 비료의 사용을 금지하면서 퇴치에 성공을 거두고 제8차 전국 장내기생충 감염통계에서도 장내 기생충 보다는 민물고기가 감염원인 흡충류가 문제이다.

단 아예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 아니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Commission)의 가이드라인 과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 별표1 유기농산물 재배에 사용가능한 자재에도 인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제대로 처리해서 완전히 발효하여 부숙시킨다면 그 과정에 온도가 약 65~80℃까지 상승하면서 유해 병원소들이 사멸한다. 실제로 미국 내에서도 일부 인분을 처리해 비료로 사용하고 있다.

돈분이나 계분, 우분같은 가축에서 유래한 퇴비와 가장 큰 차이점은 사람이 먹는 음식물에 포함된 높은 농도의 염분이다. 염분이 많은 특성상 나무에는 쓸수 없다고.

6.3. 유박과 퇴비의 차이

비료관리법 상 부산물비료인 유기질 비료( 유박)과 부숙유기질 비료(퇴비)는 흔히 혼돈해 사용되곤 한다. 이 둘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6.3.1. 제조 공정의 차이

퇴비는 일반적으로 자연 발효를 통해 생산되지만 유박에는 발효 공정이 없다! 때문에 유박에는 원료 자체의 수분이 15% 정도밖에 없고 제품 내에 함유되어야 할 주성분의 최소량이 공정규격상 표기·보증 되어야 하는데 원료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맞추는 데는 별로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퇴비의 경우에는 수분이 많은 원료와 건조한 원료 등 여러가지를 혼합한 후 발효 공정을 거쳐야 해 실질적으로 제품 내에 함유된 성분을 표기하기는 무리가 있다. 때문에 적당한 수분 함유량, 유기물 대 질소의 비율 정도만 공정 규격에 정해져 있다. 잘 발효된 퇴비라면 수분 함유량이 30% 이상인 경우가 많은데, 만약 이 기준에 미달 한다면 미생물의 활동이 중단되므로 좋은 퇴비라고 보기 어렵다. 특히 요즘처럼 퇴비의 유기질원으로 톱밥이 사용되고 있는 현실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6.3.2. 사용 용도의 차이

유박은 퇴비에 비해 냄새도 덜 나고 사용하기가 편리하며, 비료 성분이 높고 지효성인 장점이 있으나 단점으로는 생유박의 경우, 토양 내에서 반드시 발효가 일어나므로, 많이 사용할 때 작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또한 가격이 다소 비싸다.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땅심(지력)을 높일 수 있느냐 마느냐이다. 유박은 목질(리그닌)이 없기 때문에 땅심을 높일 수 없지만 땅심유박이라는 브랜드가 있던데 퇴비는 유기질원으로 톱밥 등을 사용했기 때문에 토양 속에서 장기간 남아 토양 유기물로서의 역할을 해주므로 땅심을 높여준다. 따라서 농토를 되살리는 데 퇴비가 더 많이 기여한다.

6.4. 유박과 퇴비를 헷갈리는 이유

현행비료관리법 상 유기질 비료의 대표격인 유박과 부산물 비료의 대표격인 퇴비가 확연히 구분되어 있으나 둘 다 주 성분이 유기질이기에 유기질 비료를 퇴비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 것은 어떤 면에서 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 탓에 현행 비료관리법상 엄연히 구분되어야 함에도 일선 공무원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비료라고 밭에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고 묻어버려서 위와 같이 2차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2019년에는 퇴비의 재료로 써야 할 담배 찌꺼기를( 연초박이라 한다) 유기질비료 재료로 불법유용하여 만든 것이 전북 익산시 장점마을 암 집단발병 및 사망의 원인으로 밝혀지기도 하였다.

6.5. 인간 시신의 퇴비화

탄소 중립이 유행하며 토지를 필요로 하는 매장이나 탄소를 발생시키는 화장 대신 관심을 받고 있다. 이미 영국 스웨덴은 인간을 관없이 매장해 자연 분해해 퇴비화하는 퇴비장이 허용되며, 미국의 경우도 2019년부터 퇴비장을 허용하는 주들이 서서히 늘어나고 있다.

6.6. 북한 내 사정

북한은 비료가 부족해서 화장실, 외양간, 아궁이, 강바닥 등 여러 곳에서 퇴비거리를 모아 오라고 할당량을 주는데 이것을 '열두 바닥 파기 운동'이라고 한다. 도시에도 할당하므로 흙을 야외에서 태우는 뻘짓도 벌어지고, 이걸 훔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7. 관련 문서



[1] 하지만 동물의 사체같이 꺼림칙하거나 양분이 거의 없거나 썩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면 잘 사용하지 않는다. [2] 명심보감의 "成家之兒, 惜糞如金. 敗家之兒, 用金如糞."(집을 일으킬 아이는 똥을 금처럼 아끼고, 집을 망치는 아이는 금을 똥처럼 쓴다)라는 말도, 비료를 두고 나온 말이다. [3] 지식백과에 따르면 퇴비더미에 구멍을 촘촘하게 내서 공기가 통할 수 있게 해주면 뒤집을 일이 반으로 줄어든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