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의 경부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화명역(경부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화명역 (더퍼스트 피부과) |
||
수 정 ← 1.5 ㎞ |
2호선 (235) |
율 리 1.2 ㎞ → |
경부선 일반철도로 갈아타기 | ||
역명 표기 | ||
2호선 |
화명 Hwamyeong 華明 / 华明 / [ruby(華明, ruby=ファミョン)] |
|
주소 |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지하311 ( 화명동) | ||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
화명관리역 / 제2운영사업소 | ||
운영 기관 | ||
2호선 | 부산교통공사 | |
개업일 | ||
2호선 | 1999년 6월 30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심도: 13.07m)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35번.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지하311 ( 화명동) 소재.2. 역 정보
대합실 |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만 열차가 정차하는 6량 길이의 승강장에만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나머지 4량 승강장은 유리벽으로 막아놓았으며 전등을 꺼 놓았다. 가끔 가다 켜져있을 때도 있지만 거의 꺼져있다. 10량 승강장 전체를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자니 비용이 많이 들고 나머지 4량 길이의 승강장은 쓰이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한 듯 하다. 따라서 4량 길이의 승강장은 사실상 폐쇄되었다. 역명판 양식을 교체할 때도 6량 승강장에만 교체하고 나머지 4량 승강장과 선로 기둥은 교체하지 않았다.
율리역 방향으로 건넘선이 설치되어 있는데 동원~호포 구간의 고가에 문제가 생길 경우 이 역에서 비상타절을 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열차 안이나 양산 방면으로 진입/출발할 때는 분기기 통과 할 때 나는 특유의 소음이 심한 편이다.[1]
2번 출구에는 큰 폴사인이 설치되어 있다.[2]
3. 역 주변 정보
화명 신시가지의 중심에 있는 역으로, 예전에 ' 와석'이라고 불리었던 곳[3]에 역이 설치되어 있다. 실제로도 버스정류장 명칭이 화명역이 아니라 와석이라고 지정되었다.[4] 화명동의 중심지로서 덕천역과 비슷한 수준으로 번화한 곳이며[5] 화명 롯데낙천대, 화명 대우이안, 코오롱하늘채, e편한세상 화명힐스, 화명 대림타운 등의 대단지 아파트들과 롯데마트 화명점, CGV 화명을 비롯한 상업시설 또한 많아서 유동인구도 상당히 많고 승하차 인원도 많다.[6]이 역에서 700m 정도 떨어진 곳에 경부선 화명역이 있는데, 1번출구로 나가서 '10여분'이나 걸어가야 나오기 때문에 환승 그딴거 없다. 여담으로 경부선 화명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는 부산 버스 300이 있고 마을버스는 1시간 간격의 부산 버스 북구7-2가 있다.
2012년 7월 역 근처에 대동화명대교가 완공되었으며 대동화명대교를 통하여 김해시 대동면으로 바로 갈 수 있다. 그러나 대동화명대교를 경유하는 버스 노선은 없고, 화명역 주차장이 없기 때문에 아무런 의미가 없다. 2018년 9월 18일에는 산성터널이 이 역 근처에 개통되었다.
화명동 화명경남아너스빌 정문 앞에 있는 게시판에 이 역 열차시간표가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화명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연도 | 비고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12,454명 | 비고 | ||
2003년 | 17,375명 | ||||
2004년 | 18,010명 | ||||
2005년 | 18,168명 | ||||
2006년 | 18,814명 | ||||
2007년 | 18,056명 | ||||
2008년 | 19,222명 | ||||
2009년 | 19,312명 | }}}}}}}}} | |||
2010년 | 19.800명 | ||||
2011년 | 21,387명 | ||||
2012년 | 21,643명 | ||||
2013년 | 21,828명 | ||||
2014년 | 22,231명 | ||||
2015년 | 21,758명 | ||||
2016년 | 22,038명 | ||||
2017년 | 21,870명 | ||||
2018년 | 21,215명 | ||||
2019년 | 21,390명 | ||||
2020년 | 16,143명 | ||||
2021년 | 16,561명 | ||||
2022년 | 18,486명 | ||||
2023년 | 19,796명 | ||||
출처 | |||||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수요 패턴을 보면 개통 초기인 2000년대 초반에는 1만 명대 초반에 불과했으나, 2003년에 급격히 증가하여 이후로는 약 8년간 18,000~19,000명 선을 유지했다. 18,000명에서 정체를 보였지만 2008년경부터 조금씩 이용객이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여 2011년에 2만 명을 넘어섰고, 이후로는 21,000~22,000명 선을 유지하고 있다.
고무적인 사실은 미래에 이용객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이곳이 화명지구의 중심이기는 하지만, 역세권 모든 구역이 신도심이 아니여서 역 동쪽 일부 구역은 개발된지 오래된 주거단지가 남아있다. 이 주거단기의 재개발 계획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어서 재개발이 끝나는 대로 수요가 다소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2012년 대동화명대교가 개통되었지만, 2020년 기준으로 아직 두 지역을 연결하는 시내버스 노선이 없어, 도로가 완전히 개통되어 버스가 경유한다면 대동면 주민들을 조금이나마 끌어올 수 있게 될테니 미래가 밝은 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화명역부터 덕천역까지 역 간 거리가 모두 1.5km로 제법 긴 편이라 열차의 표정속도 또한 좋아 시내버스에 비해 빠른 속도로 덕천역까지 이어주기에 이용률이 높다고 할 수 있다.[9]
특히 막차 시간대에는 이용객이 상당히 붐비는데 장산행 막차가 화명역에 23:24경 도착하는데 이 시간대에는 덕천동으로 나가는 버스의 막차가 모두 끊겼기에 덕천동으로 갈 수 있는 교통수단이 이거 하나말고는 없기 때문이다. 또한 23:41경에 도착하는 전포행 막차 또한 이용객이 많은데 덕천역에서 3호선 환승, 연산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하여 노포행 막차로 환승할 수 있고[10] 반대로 3호선을 타고 수영역까지 가서 아까 놓친 장산행 막차를 기다렸다가 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에 반비례하게 역의 위치가 상당히 애매하고 출구가 와석교차로 인근이 아닌 롯데마트화명점 방면에만 치우쳐져 있는데다 6개 뿐이라서 와석교차로에서 화명역 진입이 매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11] 정확히는 2호선 화명역의 위치가 와석교차로 정중앙이 아닌 북쪽으로 조금 올라간 위치에 있어서 출구를 그쪽에만 설치한 것인데 화명역 위치를 와석교차로 바로 아래쪽에 역을 건설했거나 토성역이나 미남역, 수영역처럼 대합실을 길게 늘여서 교차로 연선에도 출구를 놓았으면 아마 이용객이 더욱 많았을 것이다.[12]
2018년 9월 18일부로 산성터널이 개통했다. 이를 경유하는 111-1번, 300번 시내버스가 개통하여 금정구방면으로 빠른 진입이 가능해졌으나 도시철도 이용객 수에는 별 영향을 주지 못했다. 애시당초 화명-금정구, 부산대 간 수요는 전철로 가기엔 서면까지 돌아가는 선형이었기 때문에 버스가 전담해왔다.
5. 승강장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명판 |
역 안내도 |
수정 ↑ | |||
하 | ㅣ | ㅣ | 상 |
↓ 율리 |
상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덕천· 사상· 서면· 수영· 장산 방면 |
하 | 율리· 금곡· 호포· 증산· 양산 방면 |
6. 연계 교통
6.1. 금곡대로 가로변 정류장
- 화신중학교.화명역(정류장 번호: 08-047)
- 부산 버스 15[심야]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59 - 남포동행
- 부산 버스 111 - 부산진시장행
- 부산 버스 111-1 - 연제공용차고지행
- 부산 버스 121 - 장전역행
- 부산 버스 126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1012 - 김해공항행
- 화신중학교.화명역(정류장 번호: 08-048)
- 부산 버스 15[심야]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111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111-1 - 금곡역행
- 부산 버스 121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1012 - 금곡동행
- 화명역.화신중(정류장 번호: 08-204)
6.2. 화명대로 가로변 정류장
- 와석교차로(화명역)(정류장 번호: 08-218)
- 부산 버스 111-1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300 - 구포시장행
- 와석교차로(화명역)(정류장 번호: 08-219)
- 부산 버스 111-1 - 연제공용차고지행
- 부산 버스 300 - 금정공영차고지행
- 화명롯데마트(화명역)(정류장 번호: 08-220)
- 부산 버스 300 - 구포시장행
- 부산 버스 1012 - 김해공항행
- 화명롯데마트(화명역)(정류장 번호: 08-221)
6.3. 마을버스
7. 여담
2014년 동남권 폭우 사태 당시에는 이 역의 선로가 침수되어 덕천~ 금곡 구간 운행이 중단된 적이 있으며, 2016년 2월 27일에는 호포역에서 전동차 탈선 사고가 일어나 모든 장산발 열차가 일시적으로 화명역에서 타절하는 일이 발생했다. 그리고 2023년 8월 10일 태풍 카눈이 접근하여 12시까지 모든 장산발 열차가 일시적으로 화명역에서 타절했다.2019 부산 원아시아 페스티벌이 10월 19일 ~ 10월 25일 동안 개최되었는데, 개막식과 폐막식이 화명생태공원에서 열려 역 내에 부산 원아시아 페스티벌 관련된 것으로 도배된 적이 있다.
8. 둘러보기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장산 -
중동 -
해운대 -
동백 -
벡스코 -
센텀시티 -
민락 -
수영 -
광안 -
금련산 -
남천 -
경성대·부경대 -
대연 -
못골 -
지게골 -
문현 -
전포 -
서면 -
부암 -
가야 -
동의대 -
개금 -
냉정 -
주례 -
감전 -
사상 -
덕포 -
모덕 -
모라 -
구남 -
구명 -
덕천 -
수정 -
화명 -
율리 -
동원 -
금곡 -
호포 -
증산 -
부산대양산캠퍼스 -
남양산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얼마나 심하냐면은 지나갈때 무언가가 무너지는 소리가 난다. 대연역 방향으로 건넘선이 존재하는
경성대·부경대역의 소음과 비교 될 정도다.
[2]
작은 폴사인이 만들어지기 전 2018년에 에스컬레이터 공사를 마치고 설치되었다.
[3]
정확히 화명역과
대동화명대교가 있는
교차로 부근이
와석이라고 불리운다. 공식적인
행정동이나
법정동은 아니지만 오래전부터 불려왔던 명칭이기 때문에 계속 사용중이다. 부산에는
토곡,
서면,
구포,
동래,
자갈치시장,
송도등 몇 곳이 있다.
[4]
근데 정작 '화명역' 이름이 붙은 정류장은 와석보다 한 정류장 북쪽인 화명역(화신중), 화신중학교(화명역) 정류장이다(...). 참고로 마을버스 정류장 이름은
롯데마트이며
부산 버스 금정1이 서는 정류장 이름만 그냥 화명역이다. 최근에는
산성터널 개통으로 인해 와석교차로 동쪽에 산성터널을 통과하는
111-1번과
300번이 정차하는 정류장의 이름이 와석교차로(화명역)가 되면서 화명역과 와석이 함께 들어가는 정류장이 생겼다.
[5]
굳이 따지자면 화명동은 주거기능에 좀 더 치중하고 덕천동은 상업기능에 더 집중해서 발전했다. 그래도 신도시기때문에 덕천동보다는 도로와 건물이 체계적으로 설계되었다.
[6]
사상역 이북으로 2호선 승차인원이 만 명이 넘는 역은 화명역이 유일하다. 덕천역의 경우 번화가에 가까운 3호선쪽 게이트로 하차량이 집중되어 2호선쪽 게이트는 승하차 인원이 적은 편이다.
[7]
화명동 화명벽산강변타운에 율리역 시간표가 있다.
[8]
전체 이용객으로 따지면
덕천역이 더 많긴 한데 번화가에 인접한 3호선 개찰구의 승하차 집계량이 더 많이 나오기때문에 2호선 개찰구의 경우 번화가랑 조금 떨어진 위치에 있어 3호선 개통이후부턴 상대적으로 화명역보다 이용객이 적어지게 됐다.
[9]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비록 환승을 해야 하지만 111번이나 121번에 비해 도시철도의 경쟁력이 크게 발휘된다. 특히나 111번은 111-1번의 신설로 인해 국제여객이 철수한 이후 배차간격이 2배 가량 길어졌고 121번은 배차간격이 25분으로 매우 길다. 도시철도로는 두 정거장이면 가는데 시내버스를 이용할 경우 무려 여덟 정거장을 거쳐야 한다.
[10]
신평행의 경우 23:24경에 도착하는 장산행 막차를 타지 않으면 환승이 불가능하다.
[11]
여기서는 그냥 와석 정류장에서 버스타고 가는 편이 훨씬 낫다.
[12]
추후 대동화명대교와 산성터널을 연결하는 화명고가교 건설을 위해 역을 일부러 교차로와 떨어진 곳에 지었다는 얘기도 있다.
고가차도 건설을 위해 교차로와 떨어진 곳에 역을 지은 사례로
모라역,
부암역이 있다.
[심야]
심야포함
[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