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5:14:05

현대 람다 엔진/2세대

현대 람다-Ⅱ 엔진
Hyundai Lambda-II Engine
파일:현대 람다엔진.jpg
<colbgcolor=#002e6b> 개발 및 생산 현대자동차
생산년도 2008년 ~ 현재[1]
구성 V형 6기통(V6)
3.0L, 3.3L, 3.5L, 3.8L
흡기 방식 자연흡기
트윈터보(G6DP, 3.3T)
연료 가솔린 혹은 LPG

1. 개요2. 상세
2.1. MPI/GDi2.2. LPi2.3. T-GDi2.4. 람다-Ⅱ 개선
3. 제원
3.1. 자연흡기3.2. T-GDi3.3. LPi
4. 적용 차종
4.1. 가솔린4.2. LPi
5. 문제점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현대 람다 엔진 중 2세대 모델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2. 상세

2.1. MPI/GDi

2008년 제네시스 BH의 3.3L, 3.8L MPI를 람다-Ⅱ로 부르기 시작했다. 2011년 1월 그랜저 HG를 시작으로 듀얼 가변 밸브 타이밍, 가변흡기 기구, 직접분사를 장착한 람다-Ⅱ 엔진이 3.0/3.3/3.8L(후륜, 전륜 앳킨슨 사이클) 3가지의 배기량으로 선보였다.

2011년 이후에 나온 제네시스 쿠페에는 보닛의 높이 때문에 특별히 마운트 위치를 조절하여 엔진의 장착 위치를 낮게 하고 좀 더 고회전으로 세팅한 RS 엔진(350마력)이 달렸다. 이 역시 GDi 버전으로 나왔다.

2.2. LPi

3.0L LPi 사양은 최고출력 235ps, 최대토크 28.6kgf·m이며, 그랜저(5~6세대), K7(2011년식부터)에 탑재됐다. 택시, 렌터카 등 영업용 차량들 위주로 장착된다는 점과 lpg연료의 높은 연소열 등을 고려하여 CVVT가 람다2엔진이 이닌 람다1엔진과 같이 흡기에만 장착되고 흡기 매니폴드가 알루미늄으로 설계되는 등 내구성 위주로 보수적으로 설계되어있다.

2.3. T-GDi

파일:Hyundai_lamda_3.3turbogdi_engine.jpg
2015년 4월 서울 모터쇼에서 3.3L 트윈터보 엔진이 공개됐다. 최고출력 370PS, 최대토크 52kgf·m 사양이며, 제네시스 EQ900(G90)을 통해 첫 선을 보였다.

타우 V8 5.0L 엔진과 함께 일반유 세팅으로 되어 있으며, '하이옥탄' 권장으로 나와 있다. 일반유를 사용한다고 해서 수입차처럼 큰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2] 후에 스포츠 성향 차종을 내놓을 때마다 매번 들어가는 엔진이 되고 있다.

3.3 T-GDi 엔진이 워즈오토가 선정한 '2018년 세계 10대 엔진'에 선정됐다.

2020년에 페이스리프트 된 스팅어 마이스터와 G70은 373마력으로 세팅됐다.

2.4. 람다-Ⅱ 개선

3.0 3.3GDI 대상으로 스트로크가 0.1mm 늘어나며 압축비가 11.5:1->12.0:1 로 상승 CVVT의 중간 위상이 추가되어 연비가 소폭 상승하게 된 버전이다.

3. 제원

3.1. 자연흡기

람다-Ⅱ 엔진 (자연흡기)
형식명 G6DA G6DB G6DC G6DE G6DF G6DG
배기량(cc) 3,778 3,342 3,470 2,999 3,342 2,999
보어 × 스트로크(mm) 96 x 87 92 x 83.8 92 x 87 92 x 75.2 92 x 83.8 92 x 75.2
압축비 10.4:1 ~ 13.0:1
출력(PS/rpm) 312/6,400 258/6,200 286/6,600 247/6,400 266/6,400 266/6,400
토크(kgf·m/rpm) 36.6/4,600 32.2/4,500 34.3/5,000 28.8/5,000 32.4/5,300 32.3/5,300
비고 MPi, CVVT GDi, Dual CVVT
형식명 G6DH G6DJ G6DK G6DL G6DM G6DN
배기량(cc) 3,342 3,778 3,778 2,999 3,342 3,778
보어 × 스트로크(mm) 92 x 83.8 96 x 87 92 x 75.2 92 x 83.8 96 x 87
압축비 11.5:1 12.0:1 11.5:1
출력(PS/rpm) 296/6,400 348/6,400 286/6,600 247/6,400 266/6,400 291/6,000
토크(kgf·m/rpm) 35.5/5,200 40.8/5,300 36.6/4,600 32.3/5,300 35.3/5,200 36.2/5,200
비고 GDi, Dual CVVT GDi, Dual CVVT, 앳킨슨 사이클

3.2. T-GDi

람다-Ⅱ 엔진 (T-GDi)
형식명 G6DP
배기량(cc) 3,342
보어 × 스트로크(mm) 92 x 83.8
압축비
출력(PS/rpm) 365/6,000
토크(kgf·m/rpm) 52/4,500
비고 트윈터보, Dual CVVT

3.3. LPi

람다-Ⅱ 엔진 (LPi)
형식명 L6DB
배기량(cc) 2,999
보어 × 스트로크(mm) 92 x 75.2
압축비
출력(PS/rpm) 232/6,000
토크(kgf·m/rpm) 28.6/4,500
비고 CVVT

4. 적용 차종

4.1. 가솔린

자연흡기
G6DC 기아 K7 1세대(VG)
기아 카니발 2세대 F/L(VQ PE)
G6DJ 현대 에쿠스 2세대(VI)
G6DF 현대 맥스크루즈(NC, NC PE)
G6DG 현대 아슬란(AG)
현대 아슬란 F/L(AG PE)
현대 그랜저 5세대(HG)
현대 그랜저 5세대 F/L(HG PE)
현대 그랜저 6세대(IG)
기아 K7 1세대(VG)
기아 K7 1세대 F/L(VG PE)
기아 올 뉴 K7(YG)
기아 K7 프리미어(YG PE)
G6DH 현대 맥스크루즈(NC)
현대 맥스크루즈 F/L(NC PE)
현대 그랜저 5세대(HG)
현대 그랜저 6세대(IG)
현대 더 뉴 그랜저(6세대 F/L, IG PE)
현대 아슬란(AG)
현대 아슬란 F/L(AG PE)
현대 제네시스 2세대(DH)
제네시스 G80(DH PE)
기아 K7 1세대(VG)
기아 K7 1세대 F/L(VG PE)
기아 K9 1세대(KH)
기아 K9 1세대 F/L(KH PE)
기아 카니발 3세대(YP)
기아 카니발 3세대 F/L(YP PE)
G6DJ 현대 제네시스 쿠페(BK)
현대 제네시스 1세대(BH)
현대 제네시스 1세대 F/L(BH PE)
제네시스 2세대(DH)
제네시스 G80(DH PE)
현대 에쿠스 2세대(VI)
현대 에쿠스 2세대(VI PE)
기아 K9 1세대(KH)
기아 K9 1세대 F/L(KH PE)
G6DM 기아 K7 2세대(YG)
K9 2세대(RJ)
기아 더 뉴 K9(RJ PE)
G6DN 현대 팰리세이드(LX2)
현대 더 뉴 팰리세이드(LX2 PE)
제네시스 EQ900(HI)
제네시스 G90 3세대 F/L(HI PE)
기아 K9 2세대(RJ)
기아 더 뉴 K9(2세대 F/L, RJ PE)
트윈터보 (3.3T)
G6DP 제네시스 G70 1세대(IK)
제네시스 더 뉴 G70(1세대 F/L, IK PE)
제네시스 G70 1세대 PE2(IK PE2)
제네시스 G80 2세대 F/L(DH PE)
제네시스 EQ900(HI)
제네시스 G90 3세대 F/L(HI PE)
기아 K9 2세대(RJ)
기아 더 뉴 K9(2세대 F/L, RJ PE)
기아 스팅어(CK)
기아 스팅어 마이스터(F/L, CK PE)

4.2. LPi

LPi (자연흡기)
L6DB 현대 그랜저 5세대(HG)
현대 그랜저 5세대 F/L(HG PE)
현대 그랜저 6세대(IG)
현대 더 뉴 그랜저(6세대 F/L, IG PE)
기아 K7 1세대(VG)
기아 K7 1세대 F/L(VG PE)
기아 올 뉴 K7(YG)
기아 K7 프리미어(YG PE)

5. 문제점

6.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 람다 엔진/여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3c83><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c83>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color=#fff> 현대자동차
구분 가솔린 LPG 디젤 CNG
<colbgcolor=#003c83> 3기통 카파(1.0L), 입실론 D(1.5L), U(1.1/1.2L) -
4기통 입실론, 카파, 알파,
감마, 베타, 누우, 세타,
오리온, 새턴, 시리우스
입실론, 감마, 베타, 누우,
세타, 새턴, 오리온, 시리우스
U, NEW-U, R, F,
D, T, W,
4.108·4.236, A
-
6기통 람다, 델타·뮤,
사이클론 V6·시그마,
쾰른 V6
람다, 델타·뮤,
사이클론 V6·시그마
R(3.0L), S, G, H,
L(파워텍),
D6B, Q, OM906,
T6.3544
G, Q
8기통 타우, 오메가 - D8A -
기아
3기통 CD형 -
4기통 B형, C형, 마쓰다 F형, MI-TECH, T8D 마쓰다 F형, T8D R형, 퍼킨스, J -
6기통 J형, KV6 KV6 퍼킨스, H형, M형 H형
8기통 - F형 -
갈색 글씨 - 선진국 시장에서 단종한 엔진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스마트스트림 G3.5가 개발 및 생산되는 현재에도 제네시스 G70, 현대 팰리세이드 등 몇몇 현대기아차에 탑재되고 있다. [2] 다만 약간의 출력 저하와 노킹이 생긴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