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3 13:09:55

허강수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832d>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832d>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강원채
2대
김판규
3대
유학성
4대
전성각
5대
김종구
6대
나동원
7대
이광로
8대
김상언
대리
김영규
9대
정진권
10대
정호근
11대
여운건
12대
최평욱
13대
송응섭
14대
김정현
15대
이현부
16대
이재달
17대
이유수
18대
양인목
29대
이종옥
20대
김승광
21대
이선민
22대
김장수
23대
김병관
24대
김근태
25대
김영후
26대
박성규
27대
이준구
28대
임국선
29대
박찬주
30대
장재환
31대
이종섭
32대
이정기
33대
윤의철
34대
허강수
35대
고현석
36대
김호복
37대
박재열
※ 초대~8대: 동해안경비사령관(소장) ▸ 9대~현재: 제7기동군단장(중장)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ed272d>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ed272d>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초대
이형석
2대
김봉철
3대
김계원
4대
정래혁
5대
이치업
6대
박경원
7대
김동수
8대
전부일
9대
안광영
10대
이준학
11대
임지순
12대
나희필
13대
윤흥정
14대
최영식
15대
김선일
16대
권영각
17대
정진권
18대
정순현
19대
김찬기
20대
편동수
21대
윤인하
22대
편장원
23대
양상태
24대
오형근
25대
김현수
26대
이풍길
27대
김승광
28대
김기성
29대
김군식
30대
이명구
31대
하정열
32대
이승우
33대
김인동
34대
전인범
35대
이진원
36대
김종태
37대
김정수
38대
허강수
39대
정해일
40대
정진팔
41대
민인기
해체
}}}}}}}}}}}}}}} ||

파일:중장 허강수.jpg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86년 ~ 2022년
학력 충주고등학교 (졸업 / 39회)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 (안보학 / 석사)[1]
임관 육군3사관학교 (23기)
최종 계급 중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제7기동군단
주요 보직 지상군 페스티벌 행사기획단장
제27보병사단
제7포병여단
제3야전군사령부 대화력전과장
제5포병여단 제1포병단장

1. 개요2. 생애3. 주요 직위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장군이다. 최종 계급은 중장으로, 최종 보직으로 제7기동군단장을 2년 6개월 역임하였다.

2. 생애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다불리 출신이며 충주고등학교(39회)[2]를 졸업하고 육군3사관학교(23기)에 입교하여 1986년 졸업 후 포병 소위로 임관하였다.[3]

부인 신미경 씨와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으며 딸 두 명은 출가하였다.

3. 주요 직위

4. 여담

5. 관련 문서



[1] 석사 학위 논문: 韓·美 軍事同盟關係의 發展方向 : 韓·美 相互防衛條約과 安保協議機構 및 軍事指揮體制를 中心으로 (2002) [2] 동기로 이인영 국회의원이 있으며, 군 관계 인사로 1년 선배인 유무봉 전 국방부 국방개혁실장, 3년 후배로 윤병호 공군참모차장이 있다. [3] 1998년 이전의 육군3사관학교 출신 장교들은 지금처럼 전문대 졸업생 또는 4년제 대학 2년 이상 수료자가 편입학하는 방식이 아닌 입교 후 오로지 군사훈련만 받고 임관하였기에 소대장을 마친 후 중위때 2년간 3사관 학사학위과정 교육을 받았으며 입교기준으로는 88군번과 같이 인사관리가 이뤄지는 동기그룹(year그룹)이며 진급 시기도 이들과 같다. 이 기준으로는 김현종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육사 44기), 박양동 제6군단장( 학군사관 26기) 등과 동기라고들 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엄연히 임관년도 기준으로는 선배다. 임관년도 기준 동기가 김승겸 전 합참의장. [4] 후술할 간증 인터뷰에서 언급하지만 원래 대령 진급이 잘 나오는 요직 부서로 가기로 되어 있었는데, 30사단에서 핵심 참모를 맡고 있다 보니 훈련 끝나고 가라고 붙잡았고, 훈련이 끝나고 보니 원래 가기로 되어 있던 자리엔 이미 다른 사람이 가 있고 본인은 한직인 지통실로 보내져 낙담했다고 한다. 그런데 전화위복으로 여가 시간이 많이 나오는 보직에서 목 디스크 치료도 하고, 주에 한 번 하는 총장 배석 브리핑을 맡아 평소 자신 있던 영역에서 능력을 보여주는 데에 성공하여 대령 1차 진급을 했다고 한다. [5] 준장 진급률이 높은 요직이다. 똑같이 포병 대령급 요직인 합참 화력과장과는 달리 비육사에게 개방된 보직이기도 하다. 당시에도 브리핑을 했었는데 잘한다는 칭찬을 들었다고 한다. 김현집 사령관이 보고는 참모들에게 ‘야, 저 허강수는 왜 아직 장군이 안됐냐. 장군으로 내보내라’고 했다는 거다. [6] 후임 여단장 이귀우 준장은 육사 41기로 7군단에서 짬밥 넘버원이었다. 당시 군단장인 윤의철보다 2년 선배. 그리고 허 장군 본인이 군단장에 취임하면서 전역신고를 받게 되었다. [7] 허 장군이 여단장을 맡았을 적 군단장은 이종섭 장군이었다. 이종섭 장군은 허 장군에 대한 신뢰가 있었고, 이 때문에 허 장군은 소장 진급에 성공했다. [8] 전임은 김정수, 후임은 정해일 [9] 무려 31개월 간 지휘관을 지냈다. 긴 기간 안정적으로 군단을 이끌며 능력을 보여줬기에 정권 교체 후 육사 위주의 인사 기조로의 복귀와 기수 물갈이만 없었다면 대장 진급도 노려볼만 했으나 좌절되었다. 전임은 윤의철, 후임은 고현석 [10] 육군에서 포병부대 중대장을 포대장이라고 한다. [11] 본인은 매일 10km구보를 개인적으로 시행했다. [12] 심지어 본인과 똑같은 포병 출신이다. 다만 소위 임관은 허강수가 3개월 빠르다. [13] 윤의철 시절때는 반대로 참모들이 7군단에서 탈출하려는 시도가 많았다고 한다. [14] 청와대에 몸담은 적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