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2 14:34:45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30년대에 건조된 키로프급에 대한 내용은 키로프급 순양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문서명을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으로 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문서명을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으로 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12px-Naval_Jack_of_the_Soviet_Union.svg.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전함 <colbgcolor=#fefefe,#191919>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순양전함 크론슈타트급, 스탈린그라드급, 키로프급
순양함 순양함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프로젝트 65형 순양함|프로젝트 65형]], [[프로젝트 66형 순양함|프로젝트 66형]], [[프로젝트 84형 순양함|프로젝트 84형]], [[소형 경순양함 계획|소형 경순양함]], [[자이틀리츠(중순양함)|자이틀리츠]]배상, 어드미럴 마카로프배상, 케르치배상
미사일 순양함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프로젝트 1126형 순양함|프로젝트 1126형]], 크레스타급, 카라급, 키로프급, 프로젝트 1165형, [[프로젝트 1080형 순양함|프로젝트 1080형]], 슬라바급, 프로젝트 11960형, 프로젝트 11641형, 프로젝트 1293형
대잠 순양함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구축함 구축함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대잠 구축함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호위함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게파르트급 초계함|프로젝트 11661형]]
초계함 소형 미사일함 (МРК)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사란차급
소형 대잠함 (МПК)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소형 함포함(Мак) 야즈급
경비정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모니터함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함포정 쉬멜급
어뢰정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대잠정 무레야급, S·O-1급
미사일 고속정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항공모함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오렐급]],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울리야놉스크급]]
상륙함 강습상륙함 [[프로젝트 11780형 강습상륙함|프로젝트 11780형]]
대형 상륙함(БДК)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중형 상륙함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소형 상륙함(МДК)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공기부양정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LCU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기뢰함 대양 소해함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기본 소해함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연안 소해정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추적유도함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통합보급함(ККС) 베레지나급
급유함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고속 및 특수급유함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급탄함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위그선 룬급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건조 중 취소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현대의 러시아 해군 군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191919> 잠수함 <colbgcolor=#fff,#191919> 재래식(SS) 위스키급R, 줄루급R, 로미오급R, 줄리엣급R, 폭스트로트급R, 골프급R, 탱고급R, 킬로급, 라다급, (칼리나급)
SSN 노벰버급R, 빅터급, 알파급R, 마이크급R, 시에라급, 아쿨라급, ( 하바로프스크급)
SSGN 에코급R, 찰리급R, 파파급R, 오스카급, 야센급, 머큐리급, ( 허스키급)
SSBN 호텔급R, 양키급R, 델타급, 타이푼급R, 보레이급
SSA 팔투스급, 로샤릭급, 사로프급
경비정 주크급CG/R, 스베틀야크급CG, 그라초노크급, 랩터급, 스텐카급, 몽구스급, 독스타바벳급, BK-16급, BK-18급, 쉬멜급
경비함 바실리 비코프급, ( 이반 파파닌급)
초계함 무하급R, 무라베이급R, 그리샤급, 나누추카급, 파르킴급, 타란툴급, 파우크급CG, 보라급, 부얀급, 부얀-M급, 카라쿠르트급, 게파르트급, 스테레구시급, 소브라지텔니급, 그리먀시급, ( 데르즈키급)
호위함 페트야급, 크리박급CG, 네우스트라시미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 프로젝트 22350M형)
구축함 카신급R, 우달로이급, 소브레멘니급, 프로젝트 21956형, ( 리데르급)
순양함 카라급R, 슬라바급, 키로프급
항공순양함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 러시아 연방의 항공모함 계획)
상륙정 무레나급R, 아이스트급R, 주브르급, 세르나급, 듀공급, 온다트라급
상륙함 LPH ( 이반 로고프급), 미스트랄급
LSD 이반 그렌급
LST 이반 로고프급R, 앨리게이터급, 로푸카급
소해함 나탸급, 소냐급, 고랴급, 리다급, 알렉산드리트급
위그선 룬급R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4B형R,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프로젝트 864형,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R, 우랄급R, 유리 이바노프급, 비시냐급
군수지원함 벨랸카급, 삿코급, 루자급, 발라급, 다우가바급, 비테그랄레스급, 무나급, 유니 파티잔급, 암게마급, 프로젝트 323A/323B형
구난함/잠수함구조함 프로젝트 23040형, 프로젝트 05360형, 엘브루스급, 카쉬탄급, 콤무나
잠수함지원함 프로젝트 1886형R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프로젝트 22010형, ( 프로젝트 22011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R
※ 윗첨자R: 퇴역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Kirov-class_battlecruiser.jpg
파일:kirov-class-battle-cruiser12.jpg
Тяжёлые атомные ракетные крейсеры проекта 1144 «Орлан»

1. 개요2. 제원3. 개발
3.1. 건조3.2. 성능
4. 운용 및 동형함5. 대중매체에서6. 모형화7. 관련 링크8. 관련 문서

1. 개요

NATO 분류 키로프급 순양함(Kirov-class cruiser), 소비에트 연방 해군 형식명칭 프로젝트 1144형 핵추진 미사일 중순양함 "오를란"(Тяжёлые атомные ракетные крейсера проекта 1144 «Орлан» )은 소련 해군 러시아 해군 순양함이다.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중항공순양함 다음으로 러시아 해군의 2등 기함이며 강력한 미사일과 연장 함포 등 소련 시절의 수상함의 특징을 잘 드러낸다.

현대의 건조된 신형 구축함 중 큰 것들은 배수량이 1만 톤을 넘어서 구축함과 순양함의 구분이 거의 무의미해졌다. 그러나 키로프급은 그런 거대 구축함들조차 압도하며 과거 순양 전함에 필적하는 위상을 보여준다.

2. 제원

키로프급 제원
배수량 기준 24,300톤
만재 28,000 톤
전장 252m
전폭 28.5m
흘수선 9.1 m
추진 2축 CONAS
KN-3 핵추진 × 2기
GTZA-688 증기터빈 × 2기
마력 140,000 마력
속력 최대 32노트[1]
항속거리 2,000km[2]~무제한
승조원 710명
장갑 측면 75mm~100mm[3]
상부 50mm

3. 개발

3.1. 건조

1960년대 건조된 미국 해군 롱비치급이나 베인브리지와 같은 원자력 순양함의 영향을 받아서 건조되었으며, 건조 계획 수립 시 운용 목적은 원자력 추진 대잠순양함으로 계획하였다.[4] 그러나 최초 계획 수립 이후 이 대잠버전 외에 각각 SS-N-19 쉽렉 60발을 장착하는 대함버전, S-300을 장착하는 대공버전 원자력 순양함이 계획되었다가 예산 문제로 전부 취소되었다. 더군다나 근본적으로 이 함정들이 본디 호위하기로 되어있던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이 초기 계획과 달리 원자력 추진이 아닌 재래식 추진으로 바뀐 탓에 호위해야 할 대상이 항속거리가 고자가 되어버려 굳이 항속거리가 긴 호위함을 개발할 이유가 없게 되었다. 결국 키로프 프로젝트만 살아남으면서 다른 두 원자력 추진순양함에 장착될 예정이었던 무장이 키로프급에 장착되어 현재와 같은 과무장이 되어 건조되었다.

분류형식은 원자력 미사일 순양함(CGN)이나, 함체가 워낙 큰 탓에 제인 연감에서 처음에는 키로프급을 순양전함으로 분류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공식적으로 원자력 순양함으로서 분류하고 있다.

불필요하게 여러 종류의 특화형 수상전투함을 운용하는 것보다는 무장 편성의 밸런스가 좋은 한 종류의 다목적 수상전투함에 집중하는 쪽이 더 나은 경우가 많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오히려 이것이 그나마 효율적인 선택이 되긴 했다. 예산 문제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이런 선택을 한 거고 과무장으로 인한 비효율성도 어느 정도 생기기는 했지만, 그래도 결과적으로 볼 때 여러 종류의 특화형 수상전투함을 운용하는 것보다는 나았던 것이다. 키로프급 정도로 과무장을 하는 사례는 드물긴 하나, 이러한 점은 타국의 해군에서도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경험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오히려 냉전 시절의 소련 해군은 이런 사실을 다른 나라의 해군에 비해 비교적 늦게 파악한 축에 속하기도 했었다. 냉전 시절의 소련 해군은 본래는 여러 종류의 특화형 수상전투함을 운용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었으나,[5]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이것이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고 비용과 인력도 불필요하게 많이 소모된다는 것을 알게 된 이후에는 다른 나라의 해군과 마찬가지로 한 종류의 다목적 수상전투함에 집중하는 쪽으로 선회하였다.

3.2. 성능

파일:external/giant.gfycat.com/UnevenGrotesqueArieltoucan.gi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Image-Kirov_forward_launchers_highlighted.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ARKR_Kalinin_bow_highlighted.jpg
키로프급 감지체계
다목적 레이더 4면 고정식 + 회전식 복합 AESA 레이더 자슬론
장거리 대공 레이더 MR-800 Voshkod(Top Pair)
대공/대수상 MR-700 Fregat(Top Steer) (1~3번함)
MR-710 Fregat-MA(Top Plate) (4번함)
항법 레이더 Palm Frond 3기
사격 통제 레이더 3R41 볼나(Top Dome) 회전식 위상배열 레이더 × 2기(1~3번함)
Volna 회전식 위상배열 레이더 × 1기 함미쪽, Flap Lid 위상배열 레이더 × 1기 함수쪽(4번함)
MPZ-301(Pop Group) 2기(1-3번함)
MR-360 Podkat(Cross Sword) 2기(4번함)
Argument(Front Door-C)
MR-145(Kite Screech) (1번함)
MR-184(Kite Screech) (2-4번함)
MR-123 Turel(Bass Tilt) 4기(1번함, 2번함)
3P37(Hot Flash) 6기(3번함, 4번함)
소나 MGK-355 Polinom 함수 소나, Platina 가변 심도 소나
키로프급의 무장
무장 1번함(키로프)[6] 2번함(어드미럴 라자레프) 3번함(어드미럴 나히모프) 4번함(표트르 벨리키)
함포 AK-100 100mm 함포 × 2문 AK-130 130mm 2연장 함포 × 1문
CIWS AK-630 30mm CIWS × 8문 CADS-N-1 30mm 개틀링 미사일/혼합체계 카쉬탄 × 6문
9M311 대공미사일 × 약 216기(!)[7]
대함 P-700 그라니트 대함 미사일 × 20셀
대공 S-300F 함대공 미사일 × 96셀[8] S-300FM 함대공 미사일 x 96셀[9]
SA-N-9[10] 건틀렛 단거리 함대공 미사일 × 64셀 or SA-N-4 게코 단거리 함대공미사일 × 40기
대잠 RBU-1000 305mm 1연장 대잠 폭뢰발사기 × 1문 Udav-1 254mm 대잠 폭뢰발사기 × 2문
SS-N-14 사일렉스 대잠 미사일 × 14기 SS-N-15 스타피시 대잠 미사일[11]
533mm 5연장 어뢰발사관 × 2기; 53형 대잠어뢰탑재.
보유 헬기 Ka-27 대잠헬기 또는 Ka-35 조기경보헬기 × 3[12]
파일:external/www.globalsecurity.org/kirov-DNSC9003793.jpg 파일:eZjPUJE.jpg

러시아 해군을 상징하는 함선이자, 실질적으로 현재 러시아 해군의 최강 군함이라고 할 수 있다.[13]

함체의 함형으로는 소련 해군이 건조한 전투함 최초로 RCS 감소를 위한 대책이 적극적으로 취해져 설계에 반영된 함정이다. 스텔스성을 위해 우선 함체 상부구조물은 일반적인 수직구조물이 아니라 안쪽으로 경사진 구조물을 채택했다. 다음으로 각종 미사일 관련 시스템이 갑판 하부 수납형으로 변경되었다. 우선 대형 SS-N-19 미사일 발사대가 갑판 하부의 경사발사시스템으로 옮겨졌고[14], 마찬가지로 S-300F 미사일 발사대도 수직발사시스템( VLS)으로 만들어져 갑판 하부로 옮겨졌다. 이 S-300F의 VLS는 대공미사일 발사용으로서는 세계 최초의 VLS이다. 심지어 OSA-MA 미사일의 발사대조차도 평상시에는 함체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미사일 발사시에만 밖으로 나와 미사일을 발사하도록 되어 있다.

덤으로 헬기 격납고도 마치 항공모함이나 강습상륙함의 그것처럼 함체 하부에 위치해 있어서, 착함하는 헬기는 착함갑판 바로 앞의 갑판이 열리면 내부의 엘레베이터를 타고 내려가서 수납된다. 이런 RCS 저감 대책의 적극적인 채용으로 인해 키로프급은 크기에 비해서 상당히 작은 레이더 반사 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매우 강력한 대함/대공/대잠 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동시에 강력한 장갑까지 갖추고 있다.

추진 체계에서는 원자력 함정인데도 불구하고 중유 보일러를 같이 탑재한 CONAS 추진방식을 채택하였다. 이 추진 방식은 소련 해군이 원자로 자체를 신뢰하지 못한 까닭에 보조 동력원을 추가로 탑재한 것이며, 출력 조절이 더 용이한 관계로 입항 시 등의 경우 잘 써먹고 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승조원이 많은 대형함이기에 함내에는 한 변 약 6m의 사우나와 샤워실 및 욕조, 당구대 및 피아노가 있는 살롱, 영화관과 도서관, 체육관으로 사용할 수 있는 200석의 클럽이 설치되어 있다고 한다.

4. 운용 및 동형함

키로프급 순양함 4번함 표트르 벨리키 키로프급 순양함 3번함 아드미랄 나히모프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은 소련 해군에서 총 5척을 건조하기로 계획되었으며, 4척이 건조되고 1척은 건조가 최종적으로 취소되었다. 이후 소련이 붕괴됨에 따라 소련 해군을 이어받은 러시아 해군은 키로프급에 어드미럴 우샤코프급[15]라는 새로운 함명을 부여하였고, 이후 총 4척을 취역하였다.
파일:oTTgUSnr.jpg
현대화 개장 완료 후 자슬론 AESA 레이더 장착 상상도

러시아 해군은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을 2050년 이후까지 사용하는 개장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에 따라 2014년 1월 24일 세프마시 조선소에 모스볼 상태로 있었던 3번함 아드미랄 나히모프가 정부로부터 예산을 받아 15년만에 다시 현대화를 위한 대대적인 정비에 들어갔다. 현대화 개장 내용으로는 무기체계 P-800 오닉스/야혼트, S-400의 해상형 버전, 신형 CIWS, 극초음 순항미사일 지르콘(3M22), 장거리 순항미사일 칼리브르(Kalibr)를 장착하며 레이더가 상부 구조물을 덮을 만큼 커지고 전체적으로 매끄러워지도록 변경된다.
소련 해군 함명 러시아 해군 함명 함번 기공 취역 상태 배치
1 Киров
키로프[16]
Киров
키로프[17]
090 1974년 1980년 퇴역 처분 미정[18]
2 Фрунзе
프룬제
Адмирал Лазарев
아드미랄 라자레프[19]
015 1978년 1984년 퇴역 스크랩
3 Калинин
칼리닌
Адмирал Нахимов
아드미랄 나히모프[20]
080 1983년 1988년 현역 오버홀
4 Юрий Андропов
유리 안드로포프
Пётр Великий
표트르 벨리키
099 1986년 1998년 현역 북방함대
5 Адмирал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Кузнецов
아드미랄 플로타 사벳츠코가 사유자 쿠즈네초프
건조 취소

1번함 키로프(Киров)는1990년 여름 지중해에서 작전 중 원자력 추진기가 고장나는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후 러시아 해군에서 어드미럴 우샤코프(Адмирал Ушаков)로 재취역한 이후 1998년 해체 예정이었다. 그러나 1999년 1월 12일 러시아 하원에서 해체 철회와 수리안을 결회하여 세베로드빈스크에서 계류되어 있었다. 이후 2004년 함명이 다시 키로프로 바뀐 뒤 계속 세베로드빈스크에 계류되어 있던 중 2010년대에 타 자매함 3척과 같이 현대화 개장공사가 계획되었다. 하지만 세베로드빈스크에서 계류되는 동안 부품들이 자매함의 수리에 사용되고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아 함에 녹이 스는 등 사실상 수리하기 힘든 상태가 되었고 이후 3번함 아드미랄 나히모프의 현대화 개장 계획이 수립되며 최종적으로 해체하기로 결정되었다. 현재 세베로드빈스크에서 계류 중.[21]

2번함 아드미랄 라자레프(Адмирал Лазарев)는 1999년 퇴역 이후 태평양 함대의 예비함으로 방치되었으며 현재까지 보관중이다. 이후 3번함 아드미랄 나히모프의 현대화 개장 계획이 수립되며 해체 작업이 논의되었으나 러시아 해군이 공식적으로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다고 발표하여 포키노 앞바다에서 예비역 함정으로 보관하고 있던 중 2021년, 1번함과 같은 이유로[22] 결국 해체가 결정되어 조선소로 예인되었으며 4월부터 해체가 시작되어 2025년까지 해체 완료 예정이다. 현재 해체작업 진행 중.

3번함 아드미랄 나히모프(Адмирал Нахимов)는 러시아 해군으로의 취역 이후 예비함으로 보관되어 있었으나 오버홀 및 현대화 개장 계획이 수립되어 2020년 8월을 기점으로 중요한 개량은 끝났고, 전자장비 추가 등만 남았다고 한다. 2023년 현대화 개장 작업이 거의 막바지이며, 핵 연료 탑재와 동력 계통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2024년 구조물을 설치하는 의장 공사가 끝나 오버홀 공사 자체는 완료되었다. 이후 개수한 원자력 엔진을 조선소 내에서 정박 시험을 하고, 2025년부터 시험 항행에 나서 2026년 해군 인도를 목표로 하고 있다. #

4번함 표트르 벨리키(Пётр Великий)는 러시아 해군 북방함대의 기함이며 제43미사일함 사단 소속으로 활동 중이다. 러시아 해군은 3번함 아드미랄 나히모프의 결과를 바탕으로 표트르 벨리키의 무장 변경을 장기적으로 반영한다고 언급하였다. 하지만 2023년 4월 러시아 해군은 4번함에 대한 현대화 작업을 잠정 중단하고, 3번함이 복귀하면 4번함을 퇴역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3번함 현대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비용 상승분이 너무 커서 부담이 됐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후 4번함의 퇴역이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라고 입장을 번복했다. 다만 조기 퇴역 여부와 현대화 작업 여부는 불명이다.[23]

5번함 어드미럴 쿠즈네초프(Адмирал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Кузнецов)는 소련 해군에서 건조를 시작하였으나 1990년 10월 건조가 취소되어 그대로 스크랩되었다.

그러나 키로프급의 부활을 노리는 러시아의 계획은 전혀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배가 워낙 크다보니 개량에도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어서, 1번함은 해체를 결정했으나 계속해서 세베로드빈스크에 계류, 2번함은 해체 논의가 진행되었으나 보류되고 현대화 개장 없이 예비함으로 지정되어 보관되던 중 결국 2021년 해체가 시작되었다. 3번함만 겨우 2020년 8월 중요 개량을 끝내고 전자장비 등을 추가하여 2024년 재취역 예정이다.[24] 3번함 개량 이후 4번함도 개량할 예정이였는데 러시아군이 4번함 개량을 최종적으로 포기하게 되면서 키로프급 개량 사업은 완전한 반쪽자리 사업으로 남게 되었다.

추가적으로 건조가 비슷한 시기 시작되었던 인공위성 추적/통신 중계를 목적으로 하는 ' SSV-33 우랄' 정보수집함과 유사한 함체를 가지고 있다. 추진방식이 KN-3 원자로와 GT3A-688을 각각 둘씩 쓰는 CONAS에 14만 마력으로 완전히 같으며 오를란급의 함체보다 길이와 폭이 늘었지만 홀수는 무거운 무장을 탑재하지 않기 때문에 감소하였다.

2021년 9월 23일 USC( 연합조선공사)의 군용 조선 관련 부국장 블라디미르 코롤료프(Vladimir Korolev)가 TASS와 가진 인터뷰에 따르면 연합조선공사 산하 세브마시(Sevmash) 조선소에서 수리 및 현대화를 진행 중인 프로젝트 1144.2M(코드 "Orlan") "어드미럴 나히모프" 순양함이 2023년 해상 테스트를 위해 출항할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 #

5. 대중매체에서

파일:maxresdefault (2.1).jpg 파일:pyotr-1-smaller.jpg
3번함 '나히모프' 4번함 '표트르 벨리키'
게임 모던 워쉽에서 3티어 순양함으로 등장. 3번함 어드미럴 나히모프와 4번함 표트르 벨리키, 총 2척이 존재한다. 둘다 공통적으로는 어마무시하게 크다는 것과 전선유지 역할을 맡으며, 나히모프의 경우 벨리키보다 화력이 낮지만 체력이 더 많고, 조금 더 기동성이 높다. 반면에 벨리키는 나히모프보다 체력과 속도가 조금 낮지만 화력이 강하고 대잠 면에서 더 우월하기 때문에 나히모프보다 더 많이 쓰인다.[25] 이후 벨리키의 진용 위장이 출시되고 24년 9월에 배틀패스로 1번함 키로프가 출시되었다. 동생들과 닮으면서도 확연히 다른 무장 구성과 스펙이 특징.

파일:2nd_Fleet_Flagship_Marigold.png
에이스 컴뱃 시리즈에서는 좀 늦게 등장했다. 에이스 컴뱃 6 Fires of Liberation에서 에메리아 공화국 해군의 기함으로 등장한다. 함명은 메리골드. 에메리아는 영국이 모티브인 국가인데, 특이하게도 현실의 러시아가 쓰는 장비를 사용한다.

게임 내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아군으로, 얘가 지원을 해주면 종류를 가리지 않고 적들에게 신나게 미사일을 퍼부어주는 것에 더해 ESM, 다시 말해 전자 지원까지 붙어서 미사일 명중률이 상승한다. 1렙 ESM은 체감 효과가 크게 와닿지는 않지만, 2렙부터는 효과가 상당히 커진다. 특히 일리야 파스테르나크 보스전에서 단순 클리어든, S 랭크를 위해 말레볼제 무인기를 잡아가며 점수 벌이를 하는 중이든 없어서는 안될 존재.

에이스 컴뱃 어설트 호라이즌에서는 두 척이 파괴되기도 하고, 에이스 컴뱃 7 Skies Unknown에서는 미션 15 Battle for Farbanti와 SP 미션 2 Anchorhead Raid에서 고급 점수원 적으로 등장한다.

미드 더 라스트 쉽에서 가상의 키로프급 순양함 비예르니 함이 등장한다. 신종 판데믹으로 기존 세계질서가 무너지고 많은 사람이 죽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상황에서 독립 세력이 되어 파리에 핵공격을 하는 등 행패를 부리다가 주인공인 미 해군 네이단 제임스 함에게 격침당한다.

6. 모형화

키로프급은 쭉 뻗은 함체와[26] 멋진 외형, 강력한 무장으로 현용 전투함 중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과 함께 단연 최상급의 인기를 누리는 군함이다. 그 덕분에 현용 전투함은 모형계에서 그다지 인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이 모형화되었다.

7. 관련 링크

8. 관련 문서



[1] 보조 추진장치 작동 시 [2] 보조용 증기터빈만 가동한 경우 [3] 알루미늄 합금 경사장갑 [4] 최초 소요 제기에서 항공모함을 포함한 함대를 때려잡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식으로 잘못 알려진 경우가 많이 있으나 사실이 아니다. 오히려 항모 전단을 잡으려고 만든 건 방공함인 모스크바급 순양함 쪽이지 키로프급이 아니다. [5] 범용성을 중시한 함종보다는 각 분야에 특화된 전문 함종이 성능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소련 해군은 대공·대함 임무를 위한 함선과 대잠 임무를 위한 함선을 각각 따로 만들 정도로 철저하게 특화병기를 추구하려 했었다. [6] 소련 해군 시절에는 '키로프'함, 러시아 해군 시절에는 '어드미럴 우샤코프함'이였으나 2004년 함명이 다시 '키로프'로 바뀌었다. [7] 카쉬탄에서 발사되는 대공미사일로서, 카쉬탄은 기본으로 9M311 대공 미사일 4발을 발사하고 4발이 모두 소모되면 하부의 예비저장고에 탑재된 32발의 미사일을 차례로 장전한다. 우샤코프를 제외한 오를란급에는 카쉬탄이 총 6문이 달려있다. [8] S-300F는 S-300P계열의 해상형으로, 대략 육상형의 S-300PS/PM과 동세대의 미사일이다. [9] S-300FM은 S-300PMU1/2와 동세대이다. [10] Tor missile system [11] 특이하게도 533mm 어뢰발사관에서 발사하는 대잠미사일이다. 사거리는 약 50km이며 406mm 40형 어뢰나 10~20킬로톤 규모의 핵탄두를 탑재한다. 2~4번함에만 탑재. [12] Ka-52k 공격헬기도 시범 운용된 적이 있다. 따라서 유사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13] 항공순양함이라고 분류될 정도로 과무장한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도 키로프급보다는 화력이 약하다. [14] 비슷한 대형 미사일 SS-N-12 시스템을 운용하는 슬라바급의 탑재형태와 비교해보자. [15] 1번함 어드미럴 우샤코프는 2004년경 함명이 다시 키로프로 변경됨. [16] 도시 키로프인지 세르게이 키로프인지는 불명이지만 자매함들의 함명은 인명에서 따온것이라 세르게이 키로프로 추정된다. [17] 2004년 이전 함명은 Адмирал Ушаков ( 아드미랄 우샤코프) [18] 보존 여부 불명, 당초 스크랩 예정 [19] 여담으로 선대 라자로프는 나히모프급 순양함 4번함이었다. [20] 여담으로 선대 키로프인 키로프급 순양함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순양함의 후속함이다. [21] 어느정도 근황과 사진이 나오고 있는 아드미랄 라자레프와 달리 이렇다 할 만한 소식이 없다. 해체일정 역시 정해지지 않은것으로 보인다. 아마 처음 키로프에 해체처분이 내려졌을 당시 2012년에 원자력 순양함 키로프 재향군인위원회가 당시 연방 부총리 드미트리 로고진에게 해체 처분에 반대하는 서한을 보낸적이 있었다. 이와같은 퇴역 군인들의 반발과 초도함이라는 상징성을 의식하여 기념함으로 보존할 것인지 해체할 것인지 결정이 내려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2] 1번함과 마찬가지로 자매함들의 수리를 위해 라자레프의 부품이 사용되었으며 "현대적인 군함 몇 척을 건조하는 것보다도 수리비용이 더 많이 들어갈 것입니다" 라는 내용의 관계자의 언급이 해체관련 기사에 실려 있다. 훈련함으로 사용하자는 의견도 있었던 듯하나 결국 비용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듯. [23] 한 언론에 따르면 3번함 현대화 비용이 약 2조 7000억원이 들어갔다고 한다. 이정도 비용이면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을 3척 건조할 수 있다. [24] 재취역 일정도 2018년→2020년→2021년→2022년→2024년으로 계속 밀렸다. [25] 특히나 예전에는 잘하면 양쪽다 풀피인상태로 근접전에서 미주리를 이길수 있었으나 미주리가 받은 상향폭이 압도적이고 기타 순양함들과 구축함들의 체력이 상향 평준화 되었다. [26] 단순 길이로는 비스마르크보다 약간(1m) 길다. 거기에 비스마르크는 길이에 비해 다소 함폭이 길지만, 키로프급은 함폭이 좁아서 더 길어보인다. 타 대형함들과도 맞먹는 크기로서, 최후세대의 전함과 동등한 크기를 자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