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한민국 내 영국의 외교공관에 대한 내용은 주한영국대사관 문서 참고하십시오.
대한제국 내의 주요 외교공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독일 |
러시아 |
미국 |
벨기에 |
영국 |
이탈리아 |
일본 |
청 |
프랑스 |
||
※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과 덴마크에서는 외교공관을 두지 않았다.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 조영수호통상조약 · 거문도 점령 사건 · 주한영국공사관 |
사건사고 | 영국 브라이튼 인종차별 폭행 사건 · MBC 2020 도쿄 올림픽 개막식 중계방송 사진 및 문구 논란 | |
외교 | 한영관계 · 한영관계/2020년대 · 한영 FTA · 주 영국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영국대사관 | |
유학 | 옥스퍼드 대학교/한국 · 케임브리지 대학교/한국 · 에든버러 대학교/한국 · 취브닝 장학금 | |
기타 | 한영협회 · 영한협회 · 주영 한국문화원 · 영국 한국교육원 · 영국문화원 · 재영한인사회 · 재영 한인회 · 재영한인교육기금 · 뉴 몰든 · 인천-히스로 항공노선 · 친영 · 반영 | }}}}}}}}} |
대한제국 내의 외교공관 | ||
주한영국공사관 駐韓英國公使館 | The British Legation in Korea[1] |
||
|
|
|
국기 | 국장 | |
<colbgcolor=#012169><colcolor=#fff>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19길 24 | |
상급기관 | 영국 외무부 | |
영사관 설립 | 1884년 | |
공사관 승격 | 1898년 | |
공사관 폐쇄 | 1905년 |
|
<colbgcolor=#c8102e>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영국 공사관 모습 |
|
영국공사관의 현재 모습[2]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위치한 영국의 옛 공사관이다. 1957년에 대사관으로 승격되면서 현재는 주한영국대사관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조선시대의 위치와 건물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3] 이는 조선과 외교 관계를 수립한 서양 국가들 중 처음부터 지금까지 같은 장소 및 건물을 외교공관으로 사용한 유일한 사례이다.[4]2. 역사
1883년( 고종 20년) 11월에 조선과 영국은 조영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한 후 다음해 4월에 비준서를 교환하여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당시 영국은 거문도를 무단으로 2년간 점령했었는데 이 거문도 문제 해결 및 개방 정책의 일환으로 수교한 것이다.영국은 곧바로 한성에 총영사관을 두었다. 이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한성에 설치한 서양 외교공관이었다. 그러나 조약이 비준되기도 전에 부지 선정 작업을 신속히 시작했으며 이는 미국보다 앞선 것이었다. 그 이유는 당시 국제정세와 관련있다. 영국은 동아시아에서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조선의 정세에 관심을 기울였고, 그에 따라 조선과 외교관계를 맺은 즉시 최대한 빨리 상주 공관을 두려고 했던 것이다.[5]
|
<colbgcolor=#c8102e> 한옥 영국공사관[6] |
그러나 서양인들에게 한옥 생활은 매우 낯설고 불편했으므로 새로 양옥을 짓기로 했다. 1889년( 고종 26년) 1월에 상하이 건설국[11] 책임건축가였던 F.J. 마셜이 예비 설계도를 만들어 영국 외무부로 보냈고, 그것을 바탕으로 건축 디자인을 설계했으며 건립 과정 전반은 당시 총영사였던 월터 힐리어[12]가 총괄주도했다. 그러나 자재 확보에 시간이 걸리는 등의 이유로 착공이 늦어지다가 1890년(고종 27년) 5월에 드디어 한옥을 철거하고 서양식 건물을 짓는 공사를 시작했다. 그해 7월 19일에 힐리어 총영사의 부인이 정초석을 놓았으며, 그 사실은 현재까지 그 자리에 그대로 남아있는 정초석에 새겨져있다. #
|
<colbgcolor=#c8102e> 완공 후 영국공사관 |
완공된 영국총영사관 건물은 당시 서양식 고층 건물이 거의 없었던 한성의 풍광을 상당히 이채롭게 만들었다. 그 무렵 한성을 찾았던 영국인들은 자신들의 나라 총영사관 건물에 대해 꽤 인상깊게 느꼈던 모양이다. 완공 당시 영국총영사관을 찾았던 영국군 대위 카벤디시는 자신의 저서 《조선과 신성한 백두산》에 자신의 느낌을 아래와 같이 적었다.
(전략) 우리는 극동 지역의 영국식 관공서 건물에서 볼 수 있는 통상적인 취향에 따라 설계된 새 총영사관을 방문했다. 총영사관 건물은 약간 도드라진 언덕 위에 서 있으며, 방들의 규모와 배치에 관한 한 내부는 흡족한 정도이다. 사무공간들은 이곳과는 테라스와 테니스 잔디구장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경사면에서 조금 더 내려간 곳에 위치했다. 열정적인 식물학자이기도 한 힐리어 총영사는 작은 온실에다 숱한 수목과 화초를 키우고 있으며, 상당한 취향과 정성으로 정원을 꾸며놓았다. (중략) 모여 있는 한옥으로 이루어진 원래 영사관 건물들은 새 건물을 지으면서 철거되었으며, 지금은 이곳이 정원으로 바뀌었다. 영사관 구역 바로 곁에는 소나무 숲이 울창한 넓은 정원이 있는데, 이곳은
왕비의 재산이었으나 아무 것도 그가 이곳을 영국 정부에 내놓도록 하지는 못했다. (후략)
#
카벤디시, 《조선과 신성한 백두산》
카벤디시, 《조선과 신성한 백두산》
또한 영국의 지리학자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자신의 저서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에 이렇게 기록했다.
길폭이 차차 넓어지면서 우리는
서울의 성벽에 도착했다. 굴곡이 깊은 이중 지붕을 가진
성문(숭례문)이 있는 매우 높은 성벽을 통과하여 10여 분간 더 추저분한 길을 걸으니 산들바람 부는 언덕이 나타났다. 그 언덕 위에 눈에 확 띄는 영국영사관의 붉은 벽돌건물이 있었다. (후략)
이사벨라 버드 비숍, 이인화 譯,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영국 정부에서는
대한제국 수립 후인 1898년(
광무 2년) 2월에 영국총영사관을
공사관으로 승격시켰다.
#이사벨라 버드 비숍, 이인화 譯,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
<colbgcolor=#c8102e> 일본 미쓰코시 오복점에서 제작한 영일동맹 기념엽서.[14] |
|
<colbgcolor=#c8102e> 6.25 전쟁 당시 부산으로 이전했던 영국 공사관 터 확인을 다룬 연합뉴스TV 영상 |
3. 건물
- 1호관은 19세기 빅토리아 양식에 당시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 건축 양식을 혼합한 형태로 평가받는다. # 컨트리하우스 형태에 청나라 양식과 르네상스 빌라의 구성을 더했다고 보기도 하는데 #, 어떤 해석으로든 동, 서양의 건축이 섞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 붉은 벽돌과 회색 전돌을 쌓아 건물을 지었다. 정면 지붕에는 삼각형 모양 박공인 페디먼트(pediment)를 두었으며 페디먼트 가운데에 둥근 환풍구를 설치했다. 전면 칸 사이마다 아치를 설치했으며 아치 하단에 난간을 설치했다. 1층의 아치는 한 칸에 하나인 반면, 2층의 아치는 한 칸에 2개이며 두 아치가 중앙에서 만나는 부분의 하단에는 돌기둥을 두었다. 아치 안으로는 베란다가 있다.
4. 여담
<colbgcolor=#c8102e> 영국공사관 옆에 있는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18] |
- 1912년 7월 23일 자 《 매일신보》기사에 따르면, 그달 18일 오후 1시에 덕수궁 준명당 후원의 느티나무가 쓰러지면서 준명당 뒤편에 자리하던 영국총영사관이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
- 1933년 12월 15일 자 《 조선중앙일보》 기사에 따르면 당시 영국총영사관에서 이왕직[19]에 ‘ 석조전 2층에서 자신들의 공사관이 내려다보인다’며 항의했다고 한다. 그 무렵 일제가 덕수궁을 공원으로 개방하여 일반인들이 자연스레 석조전에 들어갈 수 있었는데, 석조전 뒤편과 영국총영사관은 바로 마주보는 위치였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 자신들의 외교공관이 노출되는 것에 불만을 가진 것이다. 그래서였는지는 몰라도 현재 주한영국대사관과 덕수궁 사이에는 나무가 대량으로 심어져있어 덕수궁에서 영국대사관을 바로보기 힘들다.
5. 같이보기
[1]
공사관은 영어로 Legation이라고 하며, 공사는 Minister라고 한다.
[2]
사진 출처.
[3]
물론, 그때 지은 건물말고도 현대에 새로 지은 건물과 같이 사용하고 있다.
[4]
구 미국공사관 부지도 현재
주한미국대사관 측에서 사용 중이나 대사관이 아닌 대사관저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오롯이 조선 말기와 같은 용도라고 보기는 힘들다. 그리고 미국대사관저는 한옥이며 그나마도 현재는 새 한옥
하비브 하우스를 지어 입주했다. 근대에 지은 양관을 현재까지 사용하는 건 영국대사관 뿐이다.
[5]
한승훈 著, 《1882~1884년 영국의 공사관 부지 선정과 매입을 둘러싼 외교교섭》, 서울역사편찬원, 2018, p.87.
[6]
사진 출처.
[7]
강화도 조약 체결 당시 조선 측 대표였으며
경복궁 경회루의
현판 글씨를 쓴 사람이다.
[8]
한승훈 著, 《1882~1884년 영국의 공사관 부지 선정과 매입을 둘러싼 외교교섭》, 서울역사편찬원, 2018, p.106.
[9]
외아문은 조선 말기에 외교와 통상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이고 독판은 최고 책임자를 말한다.
[10]
한승훈 著, 《1882~1884년 영국의 공사관 부지 선정과 매입을 둘러싼 외교교섭》, 서울역사편찬원, 2018, p.107.
[11]
영국 건설부 소속 조직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영국 외교공관의 건설, 유지, 관리를 책임지던 기구였다.
[12]
Walter C. Hillier. 1889년(고종 26년) 5월부터 1896년(
건양 원년) 10월까지 약 7년 간 재임했다.
[13]
1호관의 침실 개수는 4개였으나 2호관의 침실 개수는 3개였다.
[14]
왼쪽의 영국 소녀는 일본 황실의 꽃인
국화(菊花)를 들고 있고, 오른쪽의 일본 소녀는 잉글랜드의 국화인
장미를 들고 있다. 참고로 일본은 정해진 국화(國花)가 없고, 영국도 연합왕국 차원에서 정해진 국화가 없다.
[15]
단 당시 공사였던 비비언 홀트는 전쟁 초에
서울을 탈출하지 못하고
북한군에게 잡혀 3년이나 억류당했다가 1953년 4월에서야 다른 민간인 포로들과 함께 풀려났다.
[16]
당시 부영사이자
영국 비밀정보국 요원
조지 블레이크는 이 때 공산주의에 경도되어 희대의 이중 스파이로 각성한다.
소련
KGB의 스파이로 지내다 검거되어 1961년 징역 42년을 선고받고
런던 근교 웜우드 스크럽스 교도소에 수감되었으나, 1966년 아일랜드 테러리스트 숀 알폰스 버크의 도움으로 탈옥에 성공하여 소련으로 들어가 2020년 러시아에서 98세로 사망했다.
[17]
정동의 이름이 여기서 유래했다. 다만, 능 자체는 1410년(태종 10년)에
태종이 현재의
성북구
정릉동으로 이장시켰다.
[18]
사진 출처 - 《부산일보》.
[19]
李王職.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이왕가(구
대한제국 황실)의 의전 및 관련 사무 담당을 위해 설치한 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