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03:55:02

소녀혁명 우테나

장미의 기사 티나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리투아니아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우테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소녀혁명 우테나의 주요 수상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2년 아사히 신문이 철완 아톰 이후 50년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TV 애니메이션 104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순서는 연도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철완 아톰 밀림의 왕자 레오 요술공주 샐리 마하 GoGoGo 게게게의 키타로
거인의 별 비밀의 아코짱 타이거 마스크 사자에상 내일의 죠
루팡 3세 데빌맨 과학닌자대 갓챠맨 마징가 Z 에이스를 노려라!
알프스 소녀 하이디 마법소녀 메구짱 우주전함 야마토 만화 일본 옛날이야기 감바의 모험
타임보칸 잇큐씨 엄마찾아 삼만리 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 캔디캔디
얏타맨 미래소년 코난 은하철도 999 보물섬 빨강머리 앤
도라에몽 기동전사 건담 베르사이유의 장미 전설거신 이데온 닥터 슬럼프와 아라레짱
꼬마숙녀 치에 시끌별 녀석들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미래경찰 우라시맨 장갑기병 보톰즈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 캡틴 츠바사 북두의 권 터치 드래곤볼
세인트 세이야 시티헌터 키테레츠 대백과 날아라 호빵맨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마루코는 아홉살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짱구는 못말려
유유백서 닌자보이 란타로 슬램덩크 슬레이어즈 신세기 에반게리온
명탐정 코난 용자왕 가오가이가 포켓몬스터 소녀혁명 우테나 카우보이 비밥
카드캡터 사쿠라 오자루마루 꼬마마법사 레미 ∀건담 원피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방가방가 햄토리 갤럭시 엔젤 테니스의 왕자 오버맨 킹게이너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나루토 기동전사 건담 SEED 강철의 연금술사 플라네테스
빛의 전사 프리큐어 블리치 AIR 허니와 클로버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작안의 샤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은혼 제로의 사역마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천원돌파 그렌라간 전뇌 코일 기동전사 건담 00 트루 티어즈 마크로스 프론티어
스트라이크 위치스 이나즈마 일레븐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케이온!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골판지 전기 TIGER & BUNNY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출처 }}}}}}}}}

역대 애니메이션 고베
파일:external/i1.wp.com/kobe-2.png
작품상 - TV 부문
제1회
( 1996년)
제2회
( 1997년)
제3회
( 1998년)
신세기 에반게리온 소녀혁명 우테나 카우보이 비밥

}}} ||
소녀혁명 우테나 (1997)
少女革命ウテナ
Revolutionary Girl Utena
파일:12836248216d5dc805a173c20015e308.jpg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ea4f98,#ea4f98><colcolor=#ffffff,#ffffff> 장르 소녀지향, 학원, 백합
기획·원작 비파파스(ビーパパス)[1]
원안 이쿠하라 쿠니히코
사이토 치호(さいとうちほ)
감독 이쿠하라 쿠니히코
만화 사이토 치호
시리즈 구성 에노키도 요지
감독보좌 카네코 신고(金子伸吾)
타카하시 토오루(高橋 亨)
캐릭터 디자인 하세가와 신야
컨셉 디자인 나가하마 히로시
컬러 디자인 츠지타 쿠니오(辻田邦夫)[2]
미술 감독 코바야시 시치로
색채 설정 타나하시 마유미(店橋真弓)
촬영 감독 나카죠 토요미츠(中條豊光)
편집 니시야마 시게루(西山 茂)
음향 감독 타나카 히데유키(田中英行)
음악 미츠무네 신키치
CG 키시노 유지(岸野裕司)
프로듀서 코바야시 노리코(小林教子) 테레비 도쿄
이케다 신이치(池田慎一) 요미우리 광고사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카와사키 토모코(川崎とも子)
애니메이션 제작 J.C.STAFF
제작 테레비 도쿄
요미우리 광고사
방영 기간 1997. 04. 02. ~ 1997. 12. 24.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수) 18:00
한국 정식발매 대원동화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39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 ||

1. 개요2. 줄거리
2.1. 학생회 편(1화~13화)2.2. 흑장미 편(14화~23화)2.3. 아키오 편(24화~33화)2.4. 묵시록 편(34화~39화)
3. 특징4. 등장인물
4.1. 초기 결투 관계자4.2. 흑장미회4.3. 기타 인물
5. 설정6. 음악
6.1. 주제가
6.1.1. OP
6.1.1.1. 리듬 게임 수록
6.1.1.1.1. CHUNITHM CRYSTAL6.1.1.1.2. D4DJ Groovy Mix6.1.1.1.3.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6.1.2. ED16.1.3. ED2
6.2. 삽입곡
7. 회차 목록8. 극장판9. 미디어 믹스
9.1. 만화9.2. 뮤지컬9.3. 연극9.4. 게임
10. 본작의 영향을 받은 작품11.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DSD_2.jpg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감독으로 유명한 이쿠하라 쿠니히코를 중심으로 한 창작집단 Be-papas[3]가 기획하여 1997년에 TV 도쿄에서 방영한 39부작 TV 애니메이션. 주 원안과 캐릭터는 사이토 치호가 담당하였다. TV 애니메이션의 호평으로 1999년에 극장판 애니메이션 「소녀혁명 우테나 ~ Adolescence 묵시록」이 상영되었으며, 만화책, 게임, 뮤지컬, TCG 등 다방면으로 전개되었다.

한국에선 1998년 대원미디어에서 수입해 장미의 기사 티나라는 이름으로 대여용 비디오로 발매. 하지만 당시 남아 위주의 애니메이션 비디오 시장에서 우테나같은 작품은 잘 팔릴 리가 없었고, 결국 흥행 부진으로 테이프 8개 정도의 분량만 나왔다.[4] SBS에서도 방영할 예정이었으나 심의 문제로 무산되었다.[5] 주제가 문단에서 서술한대로 오프닝곡이 압권... 여러모로 충격과 공포다.

2. 줄거리

옛날옛적 어딘가에, 아버지와 어머니를 여의고 깊은 슬픔에 빠진 어린 공주님이 있었습니다.
그런 공주님 앞에 백마를 타고 여행 중인 왕자님이 나타났습니다.
늠름한 모습, 상냥한 미소……. 왕자님은 공주님을 장미 향기로 감싸서 눈물을 없애 주었습니다.

'혼자서 깊은 슬픔을 견디는 어린 그대여. 그 강인함, 우아함을 어른이 되어도 잊지 말아요.
오늘의 추억으로 이것을…….'
'우리들,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그 반지가 그대를 나에게 인도해 주겠지.'

왕자님이 주신 반지는 역시 약혼 반지였을까요…….

거기까지는 좋은데, 공주님은 왕자님을 동경한 나머지 자기도 왕자님이 되겠다고 결의를 하고 말았답니다.
그런데, 괜찮을까요? 정말로 그걸로?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1. 학생회 편(1화~13화)

개학일, 오오토리 학원 중등부 2학년이자 여학생들의 아이돌(?)인 텐죠 우테나는 장미 정원을 관리하는 이상한 여학생 히메미야 안시를 만나고 학생회의 비밀스러운 결투에 휘말리게 된다. 친구 시노하라 와카바의 실연 때문에 얼떨결에 듀얼리스트로 참가하게 된 우테나는 우여곡절 끝에 결투에 승리하고, 그날 저녁 안시에게 "저는 장미의 신부, 오늘부터 저는 당신의 꽃입니다."라는 말을 들으며 그녀와 기묘한 룸메이트 생활을 시작하게 되는데…….

우테나가 학생회의 결투에 휘말리면서 학생회 멤버들의 캐릭터와 갈등 구조가 소개된다. 학생회 멤버들은[6] 각자의 이유로 장미의 신부를 손에 넣기 위해 우테나에게 결투를 신청하며, 우테나는 그들을 하나둘 씩 이겨나가며 처음에는 단순히 이상한 아이라고 생각했던 안시와 정신적인 유대를 쌓게 된다.
학생회 멤버들이 결투에 임한 이유이자 주제들[7]은 차후 흑장미 편과 아키오 편으로 나아가면서 그 갈등이 심화되고 더욱 큰 시련으로 다가오게 된다. 이는 단순히 멤버들 뿐 아니라 우테나에게 있어서도 단순히 왕자님을 흉내내는 소녀가 아닌, 진정한 자기자신으로 성장하기 위해 겪어야 할 과정이기도 하다.

13화는 총집편이자 흑장미 편을 예고하는 에피소드.

2.2. 흑장미 편(14화~23화)[8]

학생회 멤버들의 패배로 듀얼리스트의 공백이 생기자 미카게 세미나, 통칭 흑장미회의 리더인 미카게 소우지는 현 장미의 신부인 히메미야 안시를 죽이고 치다 마미야라는 소년을 장미의 신부로 만들기 위해 학생회 멤버 주변 인물들[9]을 이용해 우테나에게 결투를 신청하게 만드는데…….

학생회 편에서 듀얼리스트들이 우테나에게 결투를 신청했던 이유들이 주변 사람들의 뒤틀린 감정, 콤플렉스, 분노와 같은 자아 이면의 그림자와 만나면서 갈등이 심화된다. 히메미야 안시의 오빠인 오오토리 아키오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도 이 부분.
특히 이 편에서 등장하는 네무로 기념관의 엘리베이터가 호평을 받아 극장판에서 리마스터링되기도 했다.

23화 마지막의 반전이 특히 강렬하다. 여기서부터 서서히 작품이 난해해지기 시작한다.

원래는 계획 당시 없던 에피소드였으나 시리즈 구성 담당이던 에노키도 요지의 고안으로 탄생된 에피소드다.

2.3. 아키오 편(24화~33화)

결투장 기둥 중심에 곤돌라가 출현하며 장미의 신부를 둔 결투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다. 텐죠 우테나가 디오스의 검이 아닌 자기 자신의 검을 사용해 결투에서 승리하기 시작하자 세계의 끝, 오오토리 아키오는 더 이상 우테나를 히메미야 안시의 약혼자로 놔두어서는 안되겠다는 결정을 내리고 학생회 멤버들을 부추겨 다시 한 번 우테나와 결투하게 한다. 그와 동시에, 우테나의 '왕자님이 되고 싶어.'라는 소망 안에 숨겨진 '다시 한 번 왕자님과 만나고 싶어.'라는 마음을 꿰뚫어본 아키오는 우테나에게 직접 접근하기 시작하는데…….

흑장미 편을 통해 자신의 어둠을 맛보고, 동시에 세계의 끝이 본격적으로 전면에 나서기 시작하면서 학생회 멤버들이 결투에 승리하고자 하는 의지가 더욱 명확해진다. 동시에 우테나 역시 기존의 왕자의 힘이 깃든 디오스의 검이 아닌, 자신의 가슴에서 뽑아낸 검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갈등이 더욱 심화된다.

33화는 일단은 아키오 편의 총집편이지만 누구도 그렇게 생각할 수 없는 충격적인 전개와 연출의 연속으로 보는 이들의 뒤통수를 대차게 후려친다. 혹자는 33화야말로 모든 총집편의 바이블이라는 극찬을 하기도…….

2.4. 묵시록 편(34화~39화)

우테나는 아키오의 접근에 이성적으로 두근거리며 그동안 지켜왔던 정체성이 흔들리고, 안시와의 사이에 금이 가기 시작하며, 토우가는 그런 우테나를 아키오의 손에서 (제 방식대로) 구하기를 열망하면서 갈등은 최고조에 달한다. 그와 동시에 '옛날옛적에~'로만 제시되던 우테나의 숨겨진 과거가 다른 모습으로 등장하고, 결국 모든 것은 혁명이라는 마지막 결투에서…….

왕자님이 되고 싶지만 결국에는 여자아이이고 여성인 우테나의 이중성, 이제는 절대로 동화 속 공주님처럼 구원받을 수 없는 '마녀'인 장미의 신부, 왕자의 힘을 잃어버리고 세계의 끝이 되어버린 타락한 왕자 등 기존까지 쌓아왔던 전체적인 주제에 파격적인 반전을 덧붙이며 다각적인 고찰이 이루어진다. 이제까지 끌어왔던 소녀혁명 우테나의 진정한 해답편이라고 볼 수 있다.

34화에서 제시되는 우테나의 과거, 그리고 38화 막판의 충격적인 반전과 그 뒤로 이어지는 39화는 여러모로 팬들도 우테나 애니메이션에서 최고로 뽑는 편들이다. 말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연출들이므로 일단 보자.

완결된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난 2010년대 후반에도 엔딩을 두고 왈가왈부가 많은데, 극장판의 평행우주(아래 항목 참조)나 흑장미 편의 시간 왜곡 등과 같은 설정들을 되새겨 보면 그리 논란 거리도 없다. 38화까지 오프닝을 지키던 '윤무'라는 테마곡이 마지막 화에 '로즈 앤 릴리즈'(아래항목 참조)라는 어레인지버전으로 엔딩에 쓰이는데, 가사 없이 진행되는 이 마지막 곡을 되새기며 엔딩을 지켜보면, 작가가 이미 많은 것들을 처음부터 배치 해두고 이야기를 진행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10]

3. 특징

비주얼적으로는 독특한 캐릭터 디자인과 화려하면서도 고전적인 탐미적 작화, 실험성이 강한 배경음악이 돋보이며[11], 내적으로는 페도필리아, 근친상간, 의붓남매, 이지메 등과 같은 충격적이고 자극적인 소재들로 이야기를 채워 놓은, 종합적으로 문제적 요소들의 종합선물세트라는 평이 아깝지 않은 실험적인 작품이다.

연출의 기반은 애니메이션도 영화도 아닌 연극. 다카라즈카와 이쿠하라 감독이 존경하는 테라야마 슈지의 전위예술 연극집단 '텐죠 사지키'의 연극 연출의 상당 수를 모방했다. 음악까지 거기 출신의 J.A 시저를 기용. 거의 똑같이 맞췄다.[12] 이쿠하라의 모든 작품 중에서도 가장 테라야마의 연출에 가깝다. 연극의 무대처럼 등장인물이 행동하는 공간도 제한되어 있어서 왔다갔다하는 장소가 한정적이고 대신 그 공간마다 특정한 상징과 의미가 부여되어 있다. 전위적인 세계를 그린 아방가르드 작품이며 현실을 리얼리티있게 그린 작품이 아니다. 중간에 사람이 소가 된다거나 학교 한복판에 이차원 공간이 있다거나 현실에선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진다. 그러나 작품의 주제는 현실에도 투영되는 것이다. 테라야마 슈지 작품 외에도 슬픔의 벨라돈나, 베르사이유의 장미, 빨강머리 앤, 조상님 만만세, 은하철도의 밤 같은 작품의 연출을 차용했다.

이 작품의 핵심적인 주제는 제목인 소녀혁명에서 나오다시피 기존의 신화적/가부장적/남성향적인 세계로부터 여성들이 스스로 주체가 되기 위해 독립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반란과 좌절, 시행착오를 통해 페미니즘을 포함한 사회적 약자들의 고뇌에 대해 애니메이션이라는 수단으로 명쾌하게 드러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주제의식과 완성도로만 보자면 이쿠하라 쿠니히코 감독의 작품중에서도 화룡점정이라 칭할만한 걸작 그 자체. 페미니즘에 관련된 수많은 메시지와 암시가 담긴 깊이 있는 내용이다보니 일본 현지에서는 물론 외국에서도 이 작품에 대한 연구글이 굉장히 많으며 한국에서도 서울대학교를 포함한 일부 대학교 등이 이 작품의 감상회 및 학술 세미나를 수 차례 열기도 하고 '소녀혁명 우테나 연구문집'을 만들기도 했다.

기본적으로는 대부분의 이야기가 1화 혹은 2화 내에 기승전결의 흐름을 가지며 그와 동시에 메인 플롯을 진행시키는 변신소녀물(전투로 마무리 짓는)이나 로봇물에 가까운 구조를 보인다. 이 때문에 각 에피소드의 갈등의 진행은 대부분 비슷한 패턴을 보이지만, 각각의 절묘한 캐릭터성과 및 그들의 인간적인 갈등과 맞물리면서 각 편마다 나름대로의 독특한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구조. 특히 아리스가와 쥬리 관련 편들은 연출이 장난이 아니다.

당시 대히트해 세계적인 센세이션을 일으킨 신세기 에반게리온과 비밀주의, 불친절한 스토리 전개, 캐릭터 상관관계 같은 점이 비슷해서 에반게리온을 따라한 애니로 오해받기도 하는데 이쿠하라 쿠니히코는 이미 세일러문 때부터 이런 거 하던 사람이었다. 오히려 에반게리온의 안노 히데아키가 이쿠하라의 영향을 받은 것에 가깝다. 에반게리온과는 다른 독창적인 작품성을 가지고 있으며 모호하게 해석의 여지를 남겨놓은 에반게리온 TVA에 비한다면 지극히 명쾌한 주제의식을 표현하면서 본연의 스타일대로 완결지은 걸작. 특히 당시 시청자들을 단 한 방에 공황상태로 몰아간 결말부의 충격적인 대반전은 지금도 많이 회자된다.

예술적 완성도는 비할 바 없이 훌륭하지만 3쿨 39화의 분량 속에서 엄청나게 컬트한 무언가 또한 생산한 비범한 작품이다. 특히 개그 에피소드와 진지한 에피소드의 분위기가 하늘과 땅 차이라 이 격차가 호불호의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진지한 에피소드는 시청자도 음울해질 정도로 어두운데 개그 에피소드는 웬만한 개그만화 수준으로 밝고 정신없다. 당시 유행하던 멋지다 마사루 슈르 개그도 반영되었다. 번갈아서 보다보면 이게 정말 같은 작품이 맞나 의구심이 들 정도.

아마도 이 항목의 여러 찬사를 보고 과도한 기대를 하고 접했다간 4화 쯤에서 엄청난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분위기에도 익숙해지면 아르누보를 위시한 고풍스런 영상미와 형이상학적인 연출력이 결합되어 뛰어난 작품이란 걸 실감하게 한다. 안노 히데아키 감독의 신세기 에반게리온과 함께 90년대 후반 일본 애니메이션계의 변혁을 주도했던 걸작이다. 대중적 영향력은 에반게리온이 월등했지만 우테나의 작품성은 에반게리온에 뒤지지 않는 강렬한 것이었다.

연출과 작화도 매우 뛰어난 애니메이션인데 이쿠하라 쿠니히코 감독부터가 매우 뛰어난 연출력을 가지고 있었고 타케노우치 카즈히사, 사토 준이치, 호소다 마모루, 니시키오리 히로시, 와타나베 타카시, 이가라시 타쿠야, 다테 하야토 같은 연출가가 이쿠하라, 오구로 유이치로와의 친분으로 보조로 참여해주었다. 애니메이터로는 하세가와 신야, 야마시타 아키히코, 나카무라 유타카[13], 이토 요시유키, 카토 히로미, 카가와 히사시, 요시나리 요우, 이토 노부타케, 나가하마 히로시, 타케우치 노부유키. 하야시 아케미, 아이자와 마사히로, 이와쿠라 카즈노리, 와타베 케이스케, 오구라 노부토시, 카도노소노 메구미 같은 실력파가 참여했다. 이런 뛰어난 완성도 덕에 제2회 애니메이션 고베 시상식에서 TV 프로그램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지금은 인기가 많이 떨어졌으나 연출가 사이에선 지금도 공부하려고 보는 교재 애니메이션으로 거론되고 있다. 배경 미술도 코바야시 시치로가 했으며 코바야시 작품 중에서도 가장 전위적인 배경으로 꼽힌다.

특히 호소다 마모루(하시모토 카츠요 명의로 참가)와 타케우치 노부유키 담당 에피소드가 평이 좋아서 팬들이 따로 챙겨본다. 호소다는 이 작품으로 연출가로서 명성을 얻어 감독의 자리까지 올라가게 된다. 평론가 겸 이 작품의 원작자 중 한 명인 오구로 유이치로는 호소다(하시모토 카츠요) 편만 유명한데 이가라시 타쿠야(카자야마 쥬고 명의로 참가) 편도 좋다고 평했다.

뱅크신이 상당히 많은데 이는 이쿠하라 쿠니히코가 의도적으로 한 것이다. 중간에 각종 뱅크 신과 그림자 연극을 넣는 대신 변화를 주어 매번 볼 수 있게 했고 남은 돈을 뱅크신과 결투 장면에 몰아줘 그 부분만 풀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었다. 그럼에도 저예산 애니는 아니었는데, 이쿠하라는 이 작품을 만들면서 돈이 너무 들어 지폐로 군고구마를 굽는 느낌이었다고 했다. #

또한 텐죠 우테나 히메미야 안시의 유대를 통해 백합 장르의 기초를 세운 작품이기도 하다.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백합 애니메이션계의 금자탑이라 소개되어 있다. 사실 우테나와 안시의 관계에 대한 묘사는 전형적인 백합물의 틀을 따르는가 싶으면서도 커플링적 요소를 완전히 벗어난 여성으로서의 두 사람의 유대를 그리는 등 대단히 복잡미묘하다. 즉 '우테나와 안시의 연애질'이라는 틀로 작품을 읽으면 오히려 작품의 전개 과정에서 던지는 메시지를 상당 부분 놓칠 수 있다.

감독인 이쿠하라는 우테나와 안시의 관계가 우정을 초월한 보다 친밀한 관계라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사이토 치호가 시청자들이 원하지 않을 것이라며 강하게 부정해 충격받았다고 한다. 사실 방영했던 시대를 생각하면 당연한 반응일 수도 있다. 그렇기에 선구자격 애니메이션으로서 더욱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애니메이션 방영 후에는 사이토 치호 역시 동성애적인 것에 대해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고 한다. 그 영향인지 극장판에서는 백합 이미지가 보다 명확하고 강해졌다.

먹방씬도 상당히 많은 편이다. 물론 여타 애니메이션도 중간중간에 먹방씬을 보여주긴 하지만 여기에는 의외로 많은 편. 작중에서 우테나와 안시, 츄츄가 케이크 외에도 팥빙수는 물론 우테나가 홀로 집밥을 만들어 먹는 것 외에도 심지어 듀얼리스트 학생회도 티타임을 즐기거나 사과를 쪼개 먹거나 최종화에서는 한밤중에 바베큐를 구워 먹기도 한다.

4. 등장인물

등장인물들마다 고유의 색이 있으며, 그것을 상징하는 장미들이 있는데, 인물들과 해당 장미의 꽃말을 비교해보면 장미들의 꽃말이 인물들의 정체성을 상징하는것임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등장인물의 이름에 식물기관이 들어간다. 식물기관 이름이 들어가있지 않은 경우는 듀얼리스트가 아니다. 덤으로 듀얼리스트 인물(전 듀얼리스트였던 기타 인물 포함)은 혈액형과[14] 이미지 컬러가 고루 분포되어 있는 케이스이다.[15]

덤으로 등장인물들은 모두 초중고 불문하고 모두 기숙사 생활을 하고 있다.

4.1. 초기 결투 관계자

4.2. 흑장미회

4.3. 기타 인물

5. 설정

대부분 사전적 의미가 아닌 작중 고유명사 및 오리지널 설정으로 사용되는데 그래서 이게 뭔지 설명을 일체 안 한다. 따라서 글로 해석하기엔 문제가 있다. 다만 해당 단어가 사용되는 상황이 정해져있어 의미를 대강은 유추할 수 있게 해놨으므로 직접 유추해가며 보는 게 가장 빠를 것이다. 사람마다 해석이 다를 수는 있는데 대강은 다 비슷하게 해석한다. 이쿠하라 쿠니히코는 이런 식으로 대강의 유추만으로도 이야기의 서사를 판단할 수 있게 작품을 만든다.

6. 음악

6.1. 주제가

6.1.1. OP

OP
輪舞-revolution
윤무-revolution
일본 TV ver.
한국 TV ver.[17]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오쿠이 마사미
작사
작곡 야부키 토시로(矢吹俊郎)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콘티 불명[18]
연출
원화 하세가와 신야
타케우치 노부유키
츠루 토시유키
하야시 아케미
요시나리 요우
아이자와 마사히로
마스다 히로후미
사이토 히사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본어판 가사 한국어판 가사
潔く カッコ良く 生きて行こう
당당하게 멋지게 살아갈 거야

}}}}}}}}} ||
헤이세이 애니송 대상
파일:heisei_anisong_taisho.png
1989년~1999년
작사상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CHA-LA HEAD-CHA-LA 카게야마 히로노부(影山ヒロノブ)
작사가:모리 유키노조(森 雪之丞)
TV 애니메이션 『 ドラゴンボールZ』 OP테마
輪舞-revolution 오쿠이 마사미(奥井雅美)
작사가: 오쿠이 마사미(奥井雅美)
TV 애니메이션 『 少女革命ウテナ』 OP테마
ターンAターン 사이조 히데키(西城秀樹)
작사가: 이오기 린(井荻 麟)
TV 애니메이션 『 ∀ガンダム』 OP테마 }}}}}}

1화부터 38화까지 사용된 오프닝곡. 39화에서는 어레인지 곡인 로즈 앤 릴리즈가 엔딩으로 사용되었다. 상당히 경쾌한 사운드와 보컬이 특징.[19] 오쿠이 마사미 인생 최고 히트 넘버이기도 하다. 가사가 매우 독창적이라 헤이세이 애니송 대상에서 1989년~1999년 작사상으로 선출되기도 했는데, 이런 가사는 감독 이쿠하라 쿠니히코가 작품의 세계관에 맞춰 '빛나는 뜰', '모든 것을 잃다' 같은 말을 가사에 넣도록 의뢰함으로써 탄생한 것으로 본작의 전체 주제가 함축되어 있다.

한국어판의 경우 가사 자체는 사랑을 우정으로 변경하고[20] 나체를 적절한 표현으로 순화한 정도만 제외한다면 일본판과 동일하다. 오히려 직역에 가깝다보니 일본어 번역체가 된 부분도 없지 않다. 문제는 초반부 가사 중 하나인 "Take my revolution"을 부르지 않고 뒷가사를 당겨 불렀다는 점인데, 이 차이 하나로 이후 멜로디와 가사가 어긋나게 된 것이다. 노래를 부른 사람도 중간부터 이상하다는 걸 눈치챈 듯 "현실은 가차없이 다가오는 것"까지 부르고 한 템포 쉰 후 다음 가사를 불렀다. 아마 번역가의 실수로 "Take my revolution"이라는 가사가 누락되었거나, 아니면 녹음 과정에서 해당 가사를 놓친 것으로 추정된다. 단, 정상적으로 불렀다고 가정하더라도 모든 가사가 멜로디와 박자에 맞게 개사된 것은 아니다.

오프닝 곡을 부른 사람이 누군지 알려지지 않았다. 루머로는 비디오판에서 안시 역을 담당한 성우 최문자라는 설이 있는데, 이 루머가 맞다고 가정했을 때 '줄거리/묵시록 편(34화~39화)'에 서술된 내용을 생각해본다면 의미심장하다.

오프닝 곡이 전조되는 부분에서 우테나와 안시가 기사 갑옷을 입고 영원의 성을 하늘을 나는 말을 타고 달려가는 시퀀스가 있는데, 원래 스토리상 그런 전개를 하려고 했고, 오프닝의 그 장면도 그것을 염두에 두고 넣었었다고 한다. 그러나 작품 제작 도중에 스토리가 멋대로 움직이기 시작했고, 결국 영원의 성은 등장만 하는 배경 1에 지나지 않게 되면서 오프닝에 등장한 '영원의 성을 함께 달려가는 우테나와 안시'의 모습은 끝내 작중에 등장하지 않았다.
6.1.1.1. 리듬 게임 수록
6.1.1.1.1. CHUNITHM CRYSTAL
CHUNITHM CRYSTAL에 2020년 1월 9일 업데이트로 수록되었다.
6.1.1.1.2. D4DJ Groovy Mix


FULL 버전
舞-revolution
윤무-revolution{{{#!wiki style="margin:-9px -10px auto;margin-bottom:-7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8d1cc,#004c4c>
BPM
135
02:13
}}}{{{#!wiki style="margin:0px -12px -16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0e0d0,teal><tablebgcolor=#40e0d0,teal> 파일:d4dj-rinbu-revolution.png
파일:d4dj_Easy.png
4
182
(NTS/SCR)
파일:d4dj_Normal_2.png
9
380
(DNG)
파일:d4dj_Hard.png
12+
557
(EFT)
파일:d4dj_Expert.png
14
848
(DNG)
}}}
<colbgcolor=#48d1cc,#008b8b><colcolor=#000,#e5e5e5> 수록 2021년 12월 14일
유닛 파일:logo_rondo.png
해금 방법 상점 구입
카테고리 커버
{{{#!folding [ 레이더 차트 & 채보 디자이너 ]
파일:레이더 차트.png
파일:d4dj_Easy.png 파일:d4dj_Normal_2.png 파일:d4dj_Hard.png 파일:d4dj_Expert.png
mabi
}}} ||


EXPERT PFC 영상.
6.1.1.1.3.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wiki style="margin: -1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373a3c> 1st Single 2nd Single 3rd Single 4th Single
Daylight -데이라이트-
금빛의 프렐류드
Bloom Bloom
flame of hope
하모니 데이
Sonorous
Fateful...
fly with the night
Secret Dawn
<rowcolor=#373a3c> 5th Single 디지털 싱글 1st Album
의지하는 Sunny, Sunny
One step at a time
The Circle Of Butterflies 멜랑콜릭 럴러바이
컬러풀 리버티
Sweet Cheers!
맹세의 Wingbeat
Ever Sky Blue
<rowcolor=#373a3c> 디지털 싱글 Mini Album 6th Single
Angel's Ladder 프레이징 미라지
MUGEN Reverberate!
나의 틀린그림찾기
esora no clover
오늘도 Merry go rounD
양 날개의 Brilliance
음반환의 세레나데
창궁으로의 트레일
<rowcolor=#373a3c> 7th Single 2nd Album
Tempest
Wreath of Brave
Polyphonyscape
Merry Merry Thanks!!
틸리카 모니카릴라
{{{#!wiki style="margin: -1px -11px -5px;"
{{{#!folding [ 커버곡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rowcolor=#373a3c> 커버 콜렉션 Vol.4 보카로 커버 콜렉션 커버 콜렉션 Vol.5 커버 콜렉션 Vol.6
chAngE 심해소녀 멜리사
Nevereverland
V.I.P
CQCQ
Agehachou
커버 콜렉션 Vol.7 커버 콜렉션 Vol.8 디지털 싱글 커버 콜렉션 Vol.9
COLORFUL BOX
unravel
ALIVE
Nameless Story
숨바꼭질 축복
Overdose
미발매 커버곡
초침을 깨물다 LEVEL5-judgelight- 월광화 나의 노트
Memento divine intervention 군청 (w.유키나) QUEEN
용사 윤무-revolution
}}}}}}}}} ||
{{{#!wiki style="margin: -1px -10px -5px;"
{{{#!folding [ 엑스트라곡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rowcolor=#373a3c> 커버 콜렉션 Vol.8
Rhapsody of Blue SKY
(w. fhána)
미발매 엑스트라곡
Fleur
(w. 유키하나 라미)
}}}}}}}}} ||
}}}}}}}}}
파일:gbp_rondo-jacket.png
輪舞-revolution
작사 오쿠이 마사미
작곡 야부키 토시로
편곡 이와하시 세이마 ( Elements Garden)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256px" <rowcolor=#ffffff,#ffffff> BPM 시간 카테고리
128 1:41 커버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BanGDream_Easy.png
7
(100)
파일:BanGDream_Normal.png
12
(200)
파일:BanGDream_Hard.png
19
(365)
파일:BanGDream_Expert.png
25
(600)
}}}
<colbgcolor=#66ccff><colcolor=#ffffff> 밴드 Morfonica
노래 쿠라타 마시로 (CV: 신도 아마네)
수록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9월 20일
(제271회 이벤트 ' 마시로 인 원더랜드' 추가곡)
해금
방법
CiRCLE의 음악 상점에서 교환
EXPERT ALL PERFECT 영상

Morfonica의 커버곡으로 2024년 9월 20일에 수록되었다.
[clearfix]

6.1.2. ED1

ED1
Truth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유미 루카(裕未瑠華)
작사 후지바야시 쇼코(藤林聖子)
작곡 아라이 리키(新井理生)
편곡 히라마 아키히코(平間あきひこ)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작화 나가하마 히로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1.3. ED2

ED2
バーチャルスター発生学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카미야 마키(上谷麻紀)
작사 J.A. 시저(J.A.シーザー)
작곡
편곡 미츠무네 신키치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작화 하세가와 신야
카도가미 요코(門上洋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2. 삽입곡

헤이세이 애니송 대상
파일:heisei_anisong_taisho.png
1989년~1999년
기획상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はじめてのチュウ 안신파파(あんしんパパ) TV 애니메이션 『 キテレツ大百科』 OP테마
FLY ME TO THE MOON CLAIRE TV 애니메이션 『 新世紀エヴァンゲリオン』 ED테마
絶対運命黙示録 스기나미 어린이 합창단(杉並児童合唱団) OVA 애니메이션 『 少女革命ウテナ』 삽입곡 }}}}}}

우테나가 결투투장으로 갈 때 흐르는 음악. 윤무와 함께 우테나를 대표하는 곡. 1쿨 , 2쿨, 3쿨, 극장판, 뮤지컬 별로 부른 사람이 다르다. 작곡가 J.A 시저는 테라야마 슈지가 아끼던 작곡가로 그의 연극에서는 뜬금없는 타이밍에 이런 기괴한 노래를 다같이 합창하는 연출이 자주 사용되었다. 이쿠하라는 그걸 재현한 것.
가사
[ 펼치기 · 접기 ]

絶体運命黙示録
절대운명 묵시록

絶体運命黙示録
절대운명 묵시록

出生登録・洗礼名簿・死亡登録
출생등록 세례명부 사망등록

絶体運命黙示録
절대운명 묵시록

絶体運命黙示録
절대운명 묵시록

わたしの誕生・絶対誕生・黙示録
나의 탄생 절대탄생 묵시록


闇の砂漠に 燦場・宇葉[21]
어둠의 사막에 찬장 우엽

金のメッキの桃源郷
금 도금의 도원향

昼と夜とが逆回り
낮과 밤이 거꾸로 돌며

時のメッキの失楽園
시간 도금의 실낙원


ソドムの闇
소돔의 어둠

光の闇
빛의 어둠

彼方の闇
저편의 어둠

果てなき闇
끝없는 어둠

絶体運命黙示録
절대운명 묵시록

絶体運命黙示録・黙示録
절대운명 묵시암 묵시록


もくし くしも
모쿠시 쿠시모

しもく くもし
시모쿠 쿠모시

もしく しくも
모시쿠 시쿠모


もくし くしも
모쿠시 쿠시모

しもく くもし
시모쿠 쿠모시

もしく しくも
모시쿠 시쿠모

7. 회차 목록

<rowcolor=#212529,#e0e0e0>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22] 薔薇の花嫁
장미의 신부
에노키도 요지 이쿠하라 쿠니히코 타카하시 토오루
(高橋 亨)
하세가와 신야 1997.04.02.
제2화 誰がために薔薇は微笑む
누구를 위하여 장미는 미소 짓는가
카네코 신고
(金子伸吾)
나가하마 히로시 1997.04.09.
제3화 舞踏会の夜に
무도회 밤에
타케노우치 카즈히사 와타나베 타카시 미야타 나오미
(宮田奈保美)
1997.04.16.
제4화 光さす庭・プレリュード
빛 드는 정원 프렐류드
타카하시 토오루 카토 히로미 1997.04.23.
제5화 光さす庭・フィナーレ
빛 드는 정원 피날레
니시키오리 히로시 카네코 신고 아이자와 마사히로 1997.04.30.
제6화 七実様御用心!
나나미 님 조심!
히가 노보루[23]
(比賀 昇)
마츠모토 준 오카자키 유키오
(岡崎幸男)
하야시 아케미 1997.05.07.
제7화 見果てぬ樹璃
이루지 못한 쥬리
에노키도 요지 하시모토 카츠요[24]
(橋本カツヨ)
1997.05.14.
제8화 カレーなるハイトリップ
카레가 된[25] 하이트립
히가 노보루 니시무라 사토시 니시야마 아키히코
(西山明樹彦)
타케우치 아키라
(竹内 昭)
1997.05.21.
제9화 永遠があるという城
영원이 있다고 하는 성
에노키도 요지 카자야마 쥬고
(風山十五)
카도노소노 메구미
(門之園恵美)
1997.05.28.
제10화 七実の大切なもの
나나미의 소중한 것
히가 노보루 마츠모토 준 사쿠라비 카츠시 카가와 히사시 1997.06.04.
제11화 優雅に冷酷・その花を摘む者
우아하고 냉혹, 그 꽃을 쥘 자
우에무라 카즈히로
(上村一宏)
니시키오리 히로시
카네코 신고
카네코 신고 아이자와 마사히로 1997.06.11.
제12화 たぶん友情のために
아마 우정을 위해서
타레 나가시[26]
(垂 永志)
타카하시 토오루 나가하마 히로시
하세가와 신야
1997.06.18.
제13화 描かれる軌跡
그려나가는 궤적
에노키도 요지 타카하시 토오루 아보 타카오
[1인원화]
1997.06.25.
제14화 黒薔薇の少年たち
흑장미의 소년들
하시모토 카츠요 오카자키 유키오 하야시 아케미 1997.07.02.
제15화 その梢が指す風景
그 코즈에가 가리키는 풍경
호시카와 타카후미 타케우치 노부유키 1997.07.09.
제16화 幸せのカウベル
행복의 카우벨
히가 노보루 니시키오리 히로시 코시 시게오
(腰 繁男)
츠바타 요시아키
(津幡佳明)
1997.07.16.
제17화 死の棘
죽음의 가시
츠키무라 료우에
(月村了衛)
마츠모토 준 사쿠라비 카츠시 카가와 히사시 1997.07.23.
제18화 みつるもどかしさ
미츠루 초조함
히가 노보루 니시무라 사토시 오카자키 유키오 하야시 아케미 1997.07.30.
제19화 今は亡き王国の歌
지금은 없는 왕국의 노래
카자야마 쥬고 타카하시 토오루 아이자와 마사히로 1997.08.06.
제20화 若葉繁れる
와카바 자라다
츠키무라 료우에 하시모토 카츠요 사쿠라비 카츠시 타케우치 노부유키 1997.08.13.
제21화 悪い虫
나쁜 벌레
사쿠라이 히로아키 아베 쿠니히로
(阿部邦博)
1997.08.20.
제22화 根室記念館
네무로 기념관
에노키도 요지 마츠모토 준 다테 하야토 츠바타 요시아키 1997.08.27.
제23화 デュエリストの条件
듀얼리스트의 조건
하시모토 카츠요 오카자키 유키오 하야시 아케미 1997.09.03.
제24화 七実様秘密日記
나나미 님 비밀일기
히가 노보루 마츠모토 준 타카하시 토오루 아보 타카오 1997.09.10.
제25화 ふたりの永遠黙示録
두 사람의 영원묵시록
에노키도 요지 카자야마 쥬고 카네코 신고 아이자와 마사히로
하세가와 신야
나가하마 히로시
1997.09.17.
제26화 幹の巣箱(光さす庭・アレンジ)
미키의 새집(빛드는 정원 어레인지)
마츠모토 준 오카자키 유키오 하야시 아케미 1997.09.24.
제27화 七実の卵
나나미의 알
히가 노보루 니시키오리 히로시 다테 하야토 타나카 타카히로
(田中孝弘)
나카야마 유미
(中山由美)
1997.10.01.
제28화 闇に囁く
어둠에 속삭이다
츠키무라 료우에 타카하시 토오루 아베 쿠니히로 1997.10.08.
제29화[28] 空より淡き瑠璃色の
하늘보다 엷은 유리색의
시라이 치아키[29]
(白井千秋)
하시모토 카츠요 이와사키 요시아키 타케우치 노부유키 1997.10.15.
제30화 裸足の少女
맨발의 소녀
에노키도 요지 카자야마 쥬고 사쿠라비 카츠시 카가와 히사시 1997.10.22.
제31화 彼女の悲劇
그녀의 비극
히가 노보루 니시키오리 히로시 오카자키 유키오 하야시 아케미 1997.10.29.
제32화 踊る彼女たちの恋
춤추는 그녀들의 사랑
마츠모토 준
카네코 신고
카네코 신고 아이자와 마사히로 1997.11.05.
제33화[30][31] 夜を走る王子
밤을 달리는 왕자
에노키도 요지 하시모토 카츠요 타카하시 토오루 하세가와 신야
나가하마 히로시
1997.11.12.
제34화 薔薇の刻印
장미의 각인
사토 준이치 사쿠라비 카츠시 카도가미 요코
(門上洋子)
하세가와 신야
1997.11.19.
제35화 冬のころ芽ばえた愛
겨울 무렵 싹튼 사랑
츠키무라 료우에 마츠모토 준 다테 하야토 아이자와 마사히로 1997.11.26.
제36화 そして夜の扉が開く
그리고 밤의 문이 열린다
니시키오리 히로시
타카하시 토오루
타카하시 토오루 타나카 타카히로 1997.12.03.
제37화 世界を革命する者
세계를 혁명하는 자
에노키도 요지 카자야마 쥬고 사쿠라비 카츠시 타케우치 노부유키 1997.12.10.
제38화 世界の果て
세계의 끝
카네코 신고 하야시 아케미 1997.12.17.
제39화[32] いつか一緒に輝いて
언젠가 함께 빛나며
하시모토 카츠요 타카하시 토오루 하세가와 신야 1997.12.24.

8. 극장판

파일:lqYuuz9.jpg

1999년에 개봉한 극장판 「소녀혁명 우테나 ~ Adolescence 묵시록」(少女革命ウテナ アドゥレセンス黙示録). 번역하면 사춘기 묵시록. 감독인 이쿠하라 쿠니히코는 아니메쥬 99년 5월호 인터뷰에서 이 작품을 통해 사춘기 특유의 기분을 그리고 싶었다고 밝혔다. 덧붙여 부제는 특별한 이유 없이 단순히 어감이 좋아서(....) 이렇게 붙인거라고 한다.

감독은 TV판에 이어 이쿠하라 쿠니히코. 각본 에노키도 요지. 콘티는 이쿠하라 혼자 짜지 않고 이가라시 타쿠야, 호소다 마모루, 하세가와 신야, 나가하마 히로시 등도 공동으로 작업하였다. 작화감독은 하세가와 신야, 타케우치 노부유키, 하야시 아케미, 카와시마 케이코, 아이자와 마사히로 5인. 원화가로는 카가와 히사시, 우마코시 요시히코, 스즈키 노리미츠, 무라키 야스시, 하시모토 타카시, 타카세 켄이치, 타카하시 유이치 등이 참여.

TV판을 더 과격하고 화려하게 리뉴얼한 작품으로 TV판과 등장인물들은 같지만 스토리는 다르다. 일종의 평행세계. 설명을 일절 안 하고 TV판의 기호화, 정형화된 연출을 다수 사용하므로 TV판을 안 보면 전혀 이해할 수가 없다. TV판에선 여러 번 반복하면서 이 장면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시청자에게 전달하는데 이 작품은 그런 설명이 전혀 없고 TV판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봐야한다. 그래서 TV판을 안 보고 봤다가 "이걸 영화라고 만들어 놨냐" 하고 욕하는 평가를 인터넷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하지만 TV판을 봤다면 무슨 의미인지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애초에 별로 복잡한 이야기도 아니다.

배경 연출이 굉장히 전위적으로 극장판의 오오토리 학원은 학교로도 보이지 않을 지경이다. 이 연출은 나중에 유리쿠마 아라시에서도 쓰였다.

2000년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 초청되었다.

나스 키노코는 이 작품은 자신이 살면서 본 영화 중 손에 꼽는 영화라고 평했다.

【스포일러】
TV판 이후의 이야기로 해석할 여지가 있는 대사, 주제가 가사, 연출도 존재한다. 특히 히메미야 안시는 전작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나온다. 그러니까 이번엔 반대로 히메미야가 우테나를 구하는 이야기인 것이다.

레이싱 애니메이션 중에서도 최상급의 작화를 자랑한다. 아예 충사의 감독 나가하마 히로시에게 메카닉 디자인을 시켰다. 왜 레이싱 장면이 나오는지는 보면 안다.

극장판에 대한 고찰글 전편 후편

==# 블루레이 커버 #==
파일:Shoujo.Kakumei.Utena.600.365319.jpg 파일:4cfdd395b5694506d81f68f2dc087c17.jpg
L’Apocalypse:1 L’Apocalypse:2
파일:cf7a9bb7214bfc02ae9e7e8833a9d0a9.jpg 파일:638c94a5355848e9d0012c18a7612bf0.jpg
L’Apocalypse:3 L’Apocalypse:4
파일:8ea410abbbf739b27ecd3b5a17f64dc1.jpg 파일:4afb2638b265eb650e1b4e37a0bb230a.jpg
L’Apocalypse:5 L’Apocalypse:6
파일:6f3880aa99b0a326f0bdb188f5b48d83.jpg 파일:ef1f065025450258e5613a047ff643d3.jpg
L’Apocalypse:7 L’Apocalypse:8
파일:1d3c1a986558fcc032ff0441bced1318.jpg 파일:66bb91b49fb53c4c78a153aab86ff122.jpg
L’Apocalypse:9 L’Apocalypse:10
파일:b3a52bff88df2e6cad248c2d8d55d01f.jpg 파일:d82c0466f33a35cb957f7c31c674134c.jpg
L’Apocalypse:11 Utena.full(1)
파일:Shoujo.Kakumei.Utena.full.241682.jpg
Utena.full(2)

9. 미디어 믹스

9.1. 만화

파일:09139814.jpg
사이토 치호가 그림을 맡았다.총 5권으로,한국에도 "장미의 기사 티나"라는 제목으로 정식출간되었으나 현재는 중고판도 구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태. 하지만 현재는 리디에서 E-book으로 재간되었다.

스토리는 애니보다는 좀 더 축약되어서 정신없다는 느낌도 든다. 하지만 사이토 치호의 그림은 괜찮은 퀄리티를 보여준다.

2018년에 우테나 애니메이션이 나온지 20년을 맞이하여 소녀혁명 우테나 AfterTheRevolution가 출판되었다. 등장인물들이 성인이 된 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9.2. 뮤지컬

1997년 뮤지컬로 공연을 하였다.스토리는 만화책을 따라가지만 시간관계상 토우가와의 결투에서 이긴 우테나가 안시를 되찾는 부분까지만 공연으로 올려졌다.
뮤지컬 특성상 절대운명묵시록은 그대로 나오며 주옥같은 대사들이 대부분 노래로 바뀌었으며 퀄리티가 상당하다.

9.3. 연극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여러 번 연극, 뮤지컬화 되었으며 높은 퀄리티로 사쿠라 대전과 함께 애니메이션 무대 실사화의 포문을 열었다고 평가받는다. 원작부터가 연극 연출 애니메이션이니만큼 연극으로 옮겨도 자연스러웠다는 평. 애니에서도 매화 나왔던 그림자 연극 연출은 연극에서도 대부분 재현되었다고.

2018년에는 18년 만에 다시 뮤지컬로 나왔으며 2019년에 후속편이 나왔다. 이 두 연극은 이쿠하라 쿠니히코가 직접 감수하였다. 2018년, 2019년 판은 일본 넷플릭스, 니코니코 동화 등 동영상 사이트에서 녹화해서 VOD로 서비스하고 있다. # 공식사이트 2020년에도 신작 제작 예정.

9.4. 게임


모두를 뿜게한 오프닝
1998년 소녀혁명 우테나 언젠가 혁명될 이야기(少女革命ウテナ いつか革命される物語)라는 제목으로 새가새턴판 게임이 나왔다. 애니 제작진이 참여했으며 애니메이션 파트 감독은 21화 연출과 콘티 담당인 사쿠라이 히로아키, 각본은 소설판을 쓴 오코우치 이치로, 작화감독은 하야시 아케미다. 산조인 치구사라는 게임 오리지널 캐릭터가 나오고 애니메이션 8~9화 시간대를 다루며 오오토리 학원에 전학 온 주인공[33]의 4일간의 행적이 스토리다.

흑장미편의 전일담 같은 내용이라 할 수 있으며, 본편 스토리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스토리가 구성되었기 때문에 특정 캐릭터 엔딩을 본다고 하더라도 그 캐릭터와 맺어지지는 않고 결국 이별한 뒤 오오토리 학원을 떠나는 식의 결말을 맞이한다.

아키오의 대사에 의하면 빌런인 산조인 치구사는 우테나 본편에는 등장하지 않은 '나쁜 여왕' 포지션의 캐릭터라 할 수 있다. 결국 왕자에게 쓰러지는 역할.

10. 본작의 영향을 받은 작품

11. 기타



[1] 이쿠하라 쿠니히코, 사이토 치호(さいとうちほ), 에노키도 요지, 하세가와 신야, 오구로 유이치로의 공동명의 [2] 國音那生 명의로 참여. [3] 여기 참여한 멤버도 대부분 세일러문 제작진이다. [4] 이전 버전에서는 테이프 3개 분량이라고 적혀 있었으나, 자료를 찾아보면 최소한 6개까지는 발매된 게 확실하다. # 판매 사이트에서는 8편(8개)까지 발매된 걸 팔고 있었던 것 같은데, 문제는 품절 상태여서 확인할 길이 없다. # [5] 하지만 SBS 방영이 성사되었다 해도 지상파 특유의 매우 엄격한 심의 탓에 스토리 이해가 어려울 만큼 많은 에피소드가 삭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6] 순서는 사이온지 쿄우이치, 카오루 미키, 아리스가와 쥬리, 키류 나나미, 키류 토우가 순 [7] 사이온지:우정, 미키:이성, 쥬리:사랑, 나나미:숭배, 토우가:신념, 우테나:자신 [8] 만화책에서는 본편이 아닌 외전격 에피소드로 최종장이 끝난뒤에 짧게 다루어졌다. [9] 미키 : 코즈에 / 쥬리 : 시오리 / 나나미 : 미츠루 / 쿄우이치 : 와카바 / 토우가 : 케이코 등 각각 학생회 멤버들과 관련되어 있고 이들의 검과 힘을 뽑아 우테나와 결투했다. 단 처음으로 싸운 오오토리 카나에는 학생회 멤버들과 관련이 없고 과거에 죽은 듀얼리스트의 장미의 각인으로 세뇌됐다. 또한 카자미 타츠야처럼 슬프긴해도 증오가 없고 자신을 희생하는 마음 가짐을 가진 사람은 흑장미회로 만들지 않고 돌려보냈다. [10] 여태까지 오프닝 곡 '윤무'의 화자가 우테나였다고 보여졌지만, 엔딩 이후, 그 노래의 화자가 사실은 안시인 듯한 느낌을 강하게 받기도 한다. [11] 오프닝 곡은 그런대로 '평범한' 곡이지만, 매 회 결투신마다 나오는 또 다른 대표곡 절대운명묵시록(絶対運命黙示録)은 가사나 곡조 면에서 굉장히 실험성이 강한 곡이며 이를 위시한 결투 배경노래들은 전부 절대운명묵시록과 같이 독특한 선율, 가사, 혼성 대합창이라는 특색을 가지고 있다. 두번째 엔딩 곡인 버추얼 스타 발생학(バーチャルスター発生学) 역시 결투신 노래들과 흡사한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곡의 구조가 평범하며 단독 여성 보컬이라 아무래도 더 귀에 잘 들어오는 느낌이다.(O.S.T.에서는 그 점이 아쉬웠는지 첫번째 엔딩 Truth, 최종화 엔딩 Rose&Release를 제외하고 전곡의 결투장노래화를 시켜놓았다) [12] 주인공인 텐죠 우테나 이름부터가 여기서 따온 것이다. [13] 계단을 걸어서 결투장까지 올라가는 뱅크신 [14] A형이 3명(토우카, 쥬리, 아키오), B형이 2명(우테나, 나나미), O형이 3명(쿄우이치, 미키, 루카), AB형 2명(안시, 소우지)이다. [15] 이미지 컬러의 원조는 슈퍼전대 시리즈로 거슬러 올라간다. [16] 이 가슴골에서 칼을 뽑는 장면은 우테나가 시초이고 이 작품을 대표하는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으며 후에 수많은 서브 컬쳐에서 많이 패러디와 오마주 되었고, 길티 크라운에서 그대로 오마주를 해 화재가 되었다. [17] 장미의 기사 티나 한국어판 오프닝. 한국어로 번안된 애니 주제가 중 안 좋은 의미로 회자되는 곡으로서는 단연 톱이라 할 수 있다. 파사대성 단가이오가 녹음 환경 등의 기술적 문제 탓으로 돌릴 수 있다면 티나의 오프닝은 그냥 총체적 난국이다. 자세한 것은 후술. [18] 그러나 이런 연출을 하는 사람이 이쿠하라 쿠니히코 정도 밖에 없기 때문에 거의 이쿠하라가 한 걸로 여겨진다. [19] 오프닝이 만들어질 당시만 하더라도 결말은 방영된 내용보다 오프닝의 이미지에 가까웠다. 두 주인공이 갑옷을 입고 성으로 향하고 성곽이 무너지며 안시가 사라지는 결말이었다. [20] 당시 사회는 학생끼리의 연애를 좋게 보지 못하는 시선이 있었기 때문에 심의에 걸리지 않고자 바꾼것으로 보인다. [21] 산모와 유모였지만 여러 이유로 이렇게 표기했다고 알려져 있다. [22] 원화 아보 타카오, 타나카 료(田中 良), 나카무라 유타카, 카토 히로미, 이와쿠라 카즈노리, 키쿠치 토시히로(菊池聡延), 와타베 케이스케, 오구라 노부토시, 고토 케이지 등. [23] 각본가 야마구치 료타(山口亮太)의 필명. [24] 호소다 마모루의 가명. 토에이 직원이기 때문에 다른 회사 작품에 참여할 땐 가명으로 몰래 했다. 물론 아는 사람은 다 안다. [25] '화려한'과 동음이다. 일종의 언어유희. [26] 소가베 타카시(曽我部 孝)의 필명. [1인원화] [28] 원화 칸베 히로유키, 키쿠치 토시히로, 나가하마 히로시, 아이자와 마사히로, 야마시타 아키히코, 타케우치 노부유키 등. [29] 하시모토 카츠요( 호소다 마모루)가 원래 각본을 보고 이런 건 쥬리가 아니라고 감독에게 말했더니 시간 없으니까 새롭게 쓰라고 했는데 각본을 전혀 안 보고 콘티를 그렸다. 방영되니 원래 각본가 이름이 아닌 시라이 치아키로 나왔다고 한다. [30] 총집편인 것처럼 시작해놓고는 애니메이션 역사에 유래없는 충격적인 전개를 보여주어 우테나 팬들이 '트라우마의 33회'라고 불리는 문제작. 구글에 우테나를 일본어로 검색하면 연관검색어로 이게 제일 위에 뜬다. [31] 원화 하세가와 신야, 나가하마 히로시, 아보 타카오. [32] 원화 타나카 타카히로(田中孝弘), 마스다 히로후미, 나가하마 히로시, 타나카 료, 아베 쿠니히로(阿部邦博), 아비루 타다시(阿蒜晃士), 마츠모토 준, 아보 타카오, 칸베 히로유키, 카가와 히사시, 니시오 키미타케(西尾公伯), 나카이 준, 타케우치 노부유키, 스즈키 노리미츠, 하야시 아케미, 하세가와 신야 등. [33] 성우는 후지노 카오루 [34] 소원을 걸고 진행되는 학생간의 결투, 특별한 힘을 가진 학생회, 히로인인 벨메이의 정체 및 과거 등 [35] 솔직히 오마주가 아니라 거의 표절 수준이다. 양쪽 학교 조감도를 보면 그냥 똑같다.(...) [36] 이쿠하라 감독의 사라잔마이 마지막 장면은 신세기 에반게리온 26화를 오마주했다는 의견이 있다. [37] 오구로는 인맥으로 사람을 끌어오는데 집중하고 작품에는 크게 관여하지 않았다. [38] 물론 일본어이고, 자막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