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
|
||||||||||||||||
|
|
|
|||||||||||||||
서암 | ┏ | ━ | ━ | ━ | ┓ |
|
|
|
|
|
|
|
|||||
영렬천 | ┃ | 자정전 | ┃ |
|
|
|
|
|
|
||||||||
|
태령전 | ┠ | ━ | 자정문 | ━ | ┨ |
|
|
|||||||||
태령문 |
|
숭정전 | ㅣ |
|
|
|
|
|
|||||||||
|
┃ |
|
|||||||||||||||
┗ | ━ | 숭정문 | ━ | ┛ |
|
|
|||||||||||
|
|
|
|
|
|
|
|
||||||||||
|
|
|
|
|
|||||||||||||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
|
|
|
|
|
|
|||||||||||
|
서울특별시교육청 |
|
서울역사박물관 |
|
금천교 | 흥화문 | |||||||||||
|
|
|
|
|
|
|
|||||||||||
|
|
|
|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식 편전 |
경복궁 사정전 景福宮 思政殿 |
창덕궁 선정전 昌德宮 宣政殿 |
창경궁 문정전 昌慶宮 文政殿 |
경희궁 자정전 慶熙宮 資政殿 |
부 편전 |
경복궁 수정전 景福宮 修政殿 |
창덕궁 희정당 昌德宮 凞政堂 |
창경궁 숭문당 昌慶宮 崇文堂 |
경희궁 흥정당 慶熙宮 興政堂 |
|
※ 덕수궁의 편전은 한 건물에 고정되어있지 않았다. | |||||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 |
대한민국 사적 제271호 경희궁 | ||
<colbgcolor=#bf1400> 경희궁 자정전 慶熙宮 資政殿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45 ( 신문로2가) | |
건축시기 | 1620년 (창건) / 2001년 (복원) |
|
<colbgcolor=#bf1400> 자정전 |
[clearfix]
1. 개요
경희궁의 편전이다. 편전은 임금이 신하들과 함께 정무를 보고 나랏일을 의논하는 곳이다. 경희궁 정전 숭정전의 바로 북쪽 뒤편에 있다.'자정(資政)' 뜻은 '정사(政)를 돕는다(資)'이다. # 현재 현판은 서예가 송천 정하건 선생(松泉 鄭夏建. 1939 ~ )이 썼다. #
2. 역사
1620년(광해군 12년) 경희궁 창건 때 지었다. 편전으로 처음 사용한 시기는 1624년(인조 2년)부터이다. 이괄의 난으로조선 후기에는 빈전으로 주로 사용했고 선왕들의 어진이나 위패를 임시로 보관하는 용도로 쓰기도 했다. 숙종, 영조 연간까지 활발히 사용되었으나 정조 이후부터는 사용이 뜸해졌으며 순조가 간간히 이용할 뿐이었다. 빈전[2]으로서의 사용이 빈번하고 접근성의 문제도 있어서, 조선 후기에는 내전과 가까운 흥정당을 편전으로 사용했다.
1865년 고종 때 경복궁 중건을 하면서 경희궁을 헐어 경복궁 공사의 자재로 썼다. 이 때 자정전도 철거했다. 흔히 일제가 없앴다고 알고있지만 사실이 아니다. 근거는 다음과 같다.
서궐(경희궁) 내에는
숭정전,
회상전, 정심합(正心閤), 사현합(思賢閤),
흥정당만 남기고 그 나머지는 모두 헐었다. 목재를 가져오니 다수가 썩었다. 이 가운데 좋은 것을 골라서 (경복궁의) 나인간(內人間)과 각사의 건조에 사용했다.
《경복궁 중건일기》
그리고
대한제국 시기 숭정전을 찍은 사진을 보면 자정전이 있어야 할 자리에 자정전이 없다. 이로 보아 고종 시기에 자정전을 없앴음을 알 수 있다.《경복궁 중건일기》
|
<colbgcolor=#bf1400> 1901년 이전에 촬영한 경희궁 숭정전 사진 (프랑스어 교사인 샤를 알레베크가 제작한 사진 엽서의 사진) |
|
<colbgcolor=#bf1400> 복원 공사 중인 자정전. 왼쪽 사진은 북쪽에서, 오른쪽 사진은 남쪽에서 바라 본 모습이다.[3] |
3. 정문
자세한 내용은 경희궁 자정문 문서 참고하십시오.4. 구조
- 경희궁 자체가 원래 이궁으로 잠시 머물 목적으로 지은데다 산자락이란 지형의 한계 때문인지 조선 궁궐의 편전 중 규모가 제일 작은 편이다. 단적으로 선정전, 문정전과 같은 측면 3칸이지만, 선정전은 가운데 칸에 문짝이 4개 달려있고 좌, 우칸으로 문짝이 3개다. 문정전도 규모가 작고 측면 가장자리 칸의 문짝이 각각 2개 달려있지만 가운데 칸의 문짝이 4개이다. 그런데 자정전의 측면은 가운데 칸과 좌, 우 가장자리 칸의 문짝이 다 2개 씩 달려있다.
- 하지만 산자락의 지형을 역이용해 기단을 높임으로써 오히려 편전의 위엄을 돋보이게 했다. 다른 궁궐의 편전들은 전부 1단이지만 자정전은 2단이다. 물론 윗 단과 아랫 단의 높이 차이가 좀 있어 실제로는 1단 반으로 봐도 될 정도지만.
<colbgcolor=#bf1400> 자정전 내부 |
<colbgcolor=#bf1400> 자정전과 자정문의 축 |
<colbgcolor=#bf1400> 〈서궐도안〉을 채색한 〈서궐도〉에서 묘사한 자정전 |
5. 여담
<colbgcolor=#bf1400> 태령전 뒤에 있는 서암 | <colbgcolor=#bf1400> 서암의 샘 |
6. 매체에서
2000년대 후반 들어 문화재 보호 등의 이유로 경복궁, 창덕궁 촬영이 어려워지면서, 드라마, 영화 제작사에서는 경희궁에서 촬영을 많이 한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숭정전이나 태령전에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고, 자정전은 지나가는 배경 정도로만 등장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
|
<colbgcolor=#bf1400> KBS2 《장희빈》 65회에 등장한 자정전[7] | <colbgcolor=#bf1400> 영화 《사도》에 나온 자정전 내부 |
[1]
당시 이름은 경덕궁.
[2]
빈전(殯殿): 상여가 나갈 때까지 왕이나 왕비의 관을 모시던 곳.
[3]
사진 출처: MBC Archive.
[4]
보통
전통
건축의 경우 1층보다는 단층(單層)으로 말한다.
[5]
옥좌 위에 만들어 다는
집 모형.
[6]
원래
경희궁 자리가
광해군의 동생
정원군의 집터이다. 광해군에게
아들도
역모로 억울하게 몰려 죽고 집마저 뺏기면서 정원군은 화병으로 세상을 떠난다. 나중에 정원군의 아들 능양군이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로 즉위하면서 뺏긴 집을 도로 다시 찾은 모양새가 되었다.
[7]
참고로 극본을 맡은 강태완은 사실
신봉승 작가로, 당시 가명으로 집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