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17:42:08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개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52b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인천광역시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폐선, 관련문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둘러보기
[[I-MOD/MODU|{{{#!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0c6; font-size: 14px;"
폐선 목록
공항 광역 좌석 급행 간선 지선 마을
관련 문서
역사 업체 목록 개편 목록 문제점 차고지
}}}}}}}}} ||

1. 개요2. 1980년대부터 1996년 이전 당시 노선 조정3. 1997~98년 노선 조정4. 1999년 노선 개편5. 2000~03년 노선 부분 조정6. 2004년 노선 개편7. 2007년 노선 개편8. 2009년 노선 대개편9. 2016년 노선 대개편10. 2017년 하반기, 버스노선 부분 개편11. 2018년 노선 부분 개편12. 2019년 노선 부분 개편13. 2020년 버스 개편
13.1. 2020년 강화군 농어촌버스 개편
14. 2020년 노선 대개편15. 2021년 버스 부분 개편16. 2022년 버스 부분 개편17. 2023년 버스 부분 개편18. 2024년 버스 부분 개편

1. 개요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의 개편 내용들을 서술한 문서.

참고로 인천은 타 지역에 비해 노선의 개편이 자주 있는 편이다.

2. 1980년대부터 1996년 이전 당시 노선 조정

1984년에는 44번 버스[1][2]가 파행 운행을 하다가 폐선되었고[3], 1988년에는 18번 버스가 폐지되었던 것이 대표적이다.[4] 그리고 29번이 신설되었다. 그 외에도 1995년에는 25, 29, 40, 43, 48번 버스가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5] 좌석버스의 경우 1990년 신설된 당시 102번(연안부두~동인천~송림동~가좌동~가정동~효성동~박촌 구간)과 1991년 개통된 지 얼마 가지 않아 바로 폐선시킨 104번(송도유원지~동인천~만수동(현 만수3지구, 남동중학교 인근) 구간)이 있고, 202번 좌석버스도 임시 운행을 하다가 임시 운행이 종료된 이력이 있었고, 106번도 역시 마찬가지로 없어졌다.[6] 또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의 개편사중 첫번째 대개편이 1992년 대개편이다. 그 당시에 대연수교통이 설립되면서 연수구 마을버스 3-1번이 신설되었다.

3. 1997~98년 노선 조정

1997년 당시 노선 조정을 살펴 보면, 폐선된 노선으로는 주로 적자 및 중복 노선들이 대부분이다. 대상 노선으로는 11, 19[7] , 31, 33-1, 37, 55, 56, 60, 61, 108, 135번이 있었으며, 22번 버스에서 3대중 1대꼴로 있던 만의골행 버스를 49번으로 따로 분리신설했다. 그리고 1997년 IMF 외환위기가 불어닥칠 당시 인천시에서 적자 노선을 대대적으로 노선단축에 들어가 26번 버스는 종점이 박촌에서 부평역까지 단축되고, 65번은 박촌동으로 축소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자 1998년에는 1999년 개편을 앞두고 18(2기), 26, 47번 버스가 차례차례대로 폐선되었으며 이들은 적자 노선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4. 1999년 노선 개편

1999년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 당시 신설 노선은 유일하게도 67번 버스가 있으며 폐지된 노선은 32-1, 65, 88, 107번 등 4개 노선이 있었으며, 101번의 경우 얼마 가지 않아 검단까지 연장되었으나 후일 들어 아예 들어오지 않고 폐선되는 흑역사가 있었으며, 6번과 39·105번 버스를 순환선으로 개편시켰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시기에는 10-1번이 신설되어, 101번과 혼동되기 쉬운 일반 시내버스가 신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당시 13번이 지하철 개통으로 동춘동종점에서 인하대후문으로 노선이 살짝 단축되기도 했다.[8] 이 해에 1번 노선이 일신동부대에서 14번과 함께 인천대공원으로 연장되었다.

5. 2000~03년 노선 부분 조정

2000년 이후 조정 및 폐지된 노선을 보면 조정된 경우는 박촌동에 있었던 버스 종점 자리에 빌라 등 주거시설을 신축하기 위해 차고지를 최북단의 오류동으로 이전하였다. 이전 당시 지금의 30번은 물론 이미 폐선된 32번, 39번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귤현동, 계양중학교, 장기동 등 계양구 북부지역 주민들의 인천시내버스 이용을 원활하게 이용하도록 촉진시켰던 것은 물론 귤현역 연계 시내버스 강화 취지인 것으로 보인다.[9] 또한 그 시기 이후에 폐선된 경우는 9, 10-1, 17, 49, 99, 105-1번 버스가 잇따라 폐선되었으며 원 9번은 독정이(이전에는 독쟁이)~동인천~송도유원지~연수구청~동춘동 구간을, 동생격인 99번 역시 소암마을 일대까지 운행했으나 수요가 비교적 적어서 폐지되었다. 더불어 10-1번은 10번에 통합되는 형태로 폐선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자 22번의 만의골 지선격이었던 49번 버스도 2001년 어린이날 이후 폐지되는 비운 역시 존재했었다. 그러다가 2002년 들어 영풍운수가 갖고 있었던 17번은 훗날 세원교통에 매각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운행되지 못하고 바로 폐선되었으며, 그 이후 수요가 줄어든 노선들도 물론 있다. 계속되는 이용 수요가 급감한 39번과 비교적 장거리로 뛴 32번은 물론 심지어는 105-1번 좌석버스 등이 연달아 폐지되었으며, 이후 신설되는 다른 노선들이 새로 개설되었다. 대상 노선으로는 11, 75, 76, 78, 740, 750~753번 등이 이에 해당된다.[10][11]
더불어 32번은 주로 오류동~병방동~계산동~4공단~ 부평역~ 동수역~ 동암역~간석지하차도~간석전화국~시민회관~ 제물포역~ 동인천역까지 운행했고 39번은 한 때 순환 노선이 되었지만 최후기에는 계산동~서구청~가좌동 구간으로 짧게 줄인 노선으로 가다가 폐지되는 암흑기를 맞이하였다. 20번도 2000년 이전 '동춘동~동인천역' 구간을 운행했으나 심각한 굴곡과 수요 저조로 폐선 위기에 놓였으나, 용현운수 계열사인 인천버스가 인수하고 나서 노선을 '동춘동~소래'로 단축해 운행한 것을 시작으로[12] 이후 노선을 완전히 바꿔 '소래~백운역' 노선으로 운행하였다. 이는 2000~2003년 노선 조정중 성공사례중 하나고, 20번은 2015년 3월 18일 부평역으로 종점이 연장되다가 2016년 개편으로 송내역까지 연장되었으나 2020년 개편으로 원상복귀 하게된다.

다만 새로이 개통된 노선들은 전부 교통 오지 위주로 운행된 것으로 보인다. 그 시기에는 숫자 9로 들어가는 버스 노선들(마을버스/지선버스 등은 제외)이 모두 비운의 노선이 되기도 하며, 인천 버스 정기 개편때 들어간 29번의 폐지도 마찬가지인 만큼 인천은 9와의 인연이 거의 없는 불행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다만 79번은 예외이니 어쩔 수 없고...

이 시기에 8번의 노선 개편 또한 있었다. 2001년 8월 24일부터 석바위 이후 간석오거리와 동암역을 거쳐 송내역으로 갔던것이 현재의 루트로 변경된 것. 이 변경안은 꽤나 성공적이어서 지금도 송도버스의 밥줄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어, 포스트 41번이라는 별칭을 두고 있다.

6. 2004년 노선 개편

이 당시엔 장거리노선을 분할한다는 시의 정책에 따라 굴곡 노선 및 장거리 노선의 분할이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노선은 8월 15일부터 개편되었는데, 이 중 연장된 노선은 8번이 유일하다.

7. 2007년 노선 개편

이 해 4월 1일부터 우리가 아는 운임대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의 요금이 대폭 인상되었다. 2007년 4월 1일이후 거의 이 당시 정해졌던 요금이 자잘한 변동은 있지만 대체적으로 거의 유지되고 있는편이다.[34] 동시에 42번 버스 노선이 '율도~만수3단지(만수시장)'에서 '율도~간석오거리'로 종점이 단축되었고, 64번은 폐선되었다. 또한 이때 87번과 71번이 통합되기도 하였다.

8. 2009년 노선 대개편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개편/2009년 참조.

9. 2016년 노선 대개편

파생된 항목이 많고, 내용 또한 상당히 길어서 문서로 분리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개편/2016년 참조

10. 2017년 하반기, 버스노선 부분 개편

11. 2018년 노선 부분 개편

12. 2019년 노선 부분 개편

13. 2020년 버스 개편

시청 안내자료

13.1. 2020년 강화군 농어촌버스 개편

14. 2020년 노선 대개편

자세한 사항이자 내용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개편/2020년 참조.

15. 2021년 버스 부분 개편

16. 2022년 버스 부분 개편

17. 2023년 버스 부분 개편

18. 2024년 버스 부분 개편



[1] 당시 노선은 북항 근로자 셔틀버스격으로 운행되었는데, 배차가 최소 110분이란 정신나간 배차와 기형적 노선으로, 수요가 저조해 폐선되었다. 여담으로 노선은 북항~검단(불로동 인근)을 운행했었다. [2] 폐선이후 당시 북항 근로자들은 카풀이나 자전거등을 이용해 출퇴근을 해야하는등 불편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한동안은 북항 내 근로자들이 자발적으로 돈을 모아 택시합승이 유행했다고. [3] 44번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중 최초로 폐선된 노선이며, 2018년 34년만에 부활되었다. [4] 18번 버스는 맨 처음 생긴 노선은 부평역~백마장~가좌동~동인천~십정동 구간으로 운행한 것으로 추정되며 2기 노선은 옛 17번(구 17-1번의 본래 노선)과 본디 17번의 지선 노선 성격으로 되어 있다. [5] 25, 29번 버스는 최근 폐선된 구간과 달리 24번의 파생형 노선과 검단~가정동~효성동~4공단~부평역~만수동 구간을(29번은 부평역 이후 가족공원, 간석사거리, 모래내시장을 거쳐 만수3단지까지 운행했고, 25번은 검단이 아닌 원창동이 기점이었고, 계양구쪽 구간과 백마장을 경유하고 백운역을 거쳐 간석오거리~길병원~소구월사거리~만수3지구까지 운행했다.) 40번은 폐선된 7-1번의 구간과 유사하게 다니는 것을(가좌주공아파트~동인천역 구간을 운행했는데 전반적으로 좀 비슷했다. 다만 동인천역을 가기전 산업용품유통센터를 경유했고 7-1번과 달리 가좌주공아파트 이후 동암역(간석오거리)까지 가지않고 가좌주공아파트에서 멈췄다는 차이가 있다.), 43번은 88번과 비슷한 구간을, 48번은 서인천 순환형 노선으로 추정(율도~북항 구간을 운행했는데 서구시티투어라 해도 좋을정도로 서구 곳곳을 운행하였다. 지금의 검단까지 휘젓고 다녔고 서구청부터 가정오거리까지 빙 돌아서 가는등 굴곡이 상당했다.) 된다. [6] 106번은 율도~만수3단지 구간으로 당시 42번 버스와 거의 비슷하게 다녔지만 차이점이 있다면 42번과 다르게 도축장 구간 이후 가좌동으로 빠지지않고 현 강인여객차고지 방향으로 우회전해 고가를 타고 이후 직선화된 구간을 통과한뒤 영창악기~목재단지구간을 경유해서 갔다. [7] 노선은 동춘동~동인천을 운행했었고, 당시 교통소외지역이었던 논현택지와 도림동, 구도심 지역을 경유했다. [8] 그 당시 운행거리는 자그마치 100km가 넘을 정도로 초장거리였다. 사실상 인천의 끝과 끝을 가는 노선이라 할 수 있었다. [9] 비슷한 사정이 있었던 당시 45번은 임학동이나 병방동으로 단축하였으나, 2020년 지금은 신복사거리로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32번은 2002년, 39번은 2004년에 폐선되었다. [10] 11번은 105-1번의 폐선에 따른 대체 노선으로 신설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1] 2003년 신설 당시 폐선된 노선은 75, 740번이 대표적이며 750~753번은 한정면허가 반납하였지만 훗날에는 524번 버스가 이를 대신하여 역할을 쓰고 있으며, 한 때 신설시킨 525번 버스도 물론 존재한 적이 있었다. [12] 이후 이 노선은 개편 후 동춘동 미경유로 바뀌었다. 대신 754번이 소래~동춘동 구간을 오가는 것을 일부 물려받았다. [13] 주안역~인하대후문이 단축되었다. 이는 적자노선이었던 5번의 굴곡을 조금이나마 줄일 겸 거기다 중복되는 구간을 511번에 집중하기 위함으로 추정된다. [14] 1999년 개편이후에 노선이 2016년 개편전처럼 되었다. [15] 1999년 이전에는 원당동에서 동춘동까지 갔었다고 한다. 이때는 거리가 100km가 넘었다고. 그러나 1999년 개편때 인천 1호선 개통으로 인하대후문으로 종점이 단축되었고, 동시에 남동공단 미경유로 바뀌었다. [16] 당시 서해운수에서 노선 개편을 안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시청의 압박에 못 이겨 당시 노선으로 분리했다. [17] 행선판에선 명목상 종점은 주안역이었으나, 현 540번의 종점으로 쓰는 플랫폼에서 회차했다. 당시 흔적으로 540번 녹색 표지판 옆에 파랗게 가린 파란 표지판이 있었다. 승강장 시설 개편으로 철거된 상태. [18] 원래는 원당지구~동인천역이었으나 서해운수(현 신흥교통)의 반발이 너무 심했다. 그래서 이런 노선이 나오게 된 것. [19] 다만 13-1번같은 경우는 꽤 잘된 편이다. 그러나 모체 노선인 13번이 적자가 돼서 그렇지. [20] 지금의 13-1번과는 완전히 다른 노선이다. [21] 본래는 조합에서 13번을 동인천역을 기준으로 '원당동~동인천역', 13-1번을 '갈산마을~동인천역', 13-2번을 '인하대후문~동인천역'으로 나누려 했었다. 아까도 말했듯이 뭐 서해운수에서 이러면 적자난다나 뭐라나... [22] 작전역으로 바뀐건 나중일이다. [23] 이 분할은 현재 최고의 분할이라 인정받는다. [24] 2005년도에 기종점이 각각 서구청에서 검암역과 산업용품센터로 연장 [25] 2011년 이후 종점이 산업용품센터에서 가좌동차고지로 연장 [26] 2009년 개편때 매립지로 소폭 연장되다, 2016년 대개편때는 기점이 왕길동차고지로 변경됨과 동시에 부평역 이후 송내역으로 완전 직선화된다. [27] 본래는 동인천역을 기준으로 분할이 될 예정이었으나, 인천시청의 뻘짓(버스회차들을 새로 만든 주안역환승장에 몰아넣는 분리개편으로 처참한 수요예측 실패)으로 주안역을 기준으로 분리되었다. 물론 머지않아 재통합되었다만, 당시 22번 못지 않게 수익이 엄청나게 악화되었다고. [28] 한때 41번, 42번의 종점이었던 신현동 효성아파트가 아닌 율도선착장 정류장. [29] 2009년 개편때 15번의 동인천~월미도 운행구간을 물려받아 운행하게 되고, 추후 부평구청에서 종점이 신복사거리( 굴포천역)로 변경되었다. [30] 한때 7번, 7-1번, 42번의 종점이었던 간석오거리역 종점이 아니다. [31] 인천시청, 간석역을 미경유하게 되었고, 인천터미널 이후 회차구간이 직선화되어 모래내시장과 상인천중학교 부근을 먼저 경유하고 회차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32] 이후 67번과 67-1번 모두 종점이 가좌동차고지로 연장되었고, 2017년 67번은 11번과 합쳐졌다. [33] 이는 14번과 마찬가지로 인천시의 버스정책중 최고의 변경이라고 인정받을 만큼 아주 초대박을 쳤는데, 검단~구월동간 수요가 이 노선에만 올인이 되었던데다, 무엇보다 지선버스에 고전하던 구간을 과감히 버리고 롯데백화점, 예술회관, 인천시청 등을 경유한 유일한 노선으로서 신의 한수가 되었다. 이로인해 77번은 2번 12번, 41번과 8번을 뒤를 잇는 인천 대표 개념노선 다섯손가락 안에 들정도로 완전히 신세가 역전되었다...만 2016년때 폐선되었다. [34] 2004년 11월 1일부터 2007년 3월 31일까지의 지선버스 요금:어린이 현금과 카드동일 150원, 청소년 현금 400원, 카드 350원, 일반 현금 600원, 카드 550원이었고, 간선버스 요금은 어린이 현금과 카드 동일 250원, 청소년 현금 700원, 카드 550원, 일반 현금 900원, 카드 800원이었다. [35] 논현동의 유승한내들와이드 일대 한정. [36] 5, 15번의 뒷방죽들 미경유에 따른 대체 노선 재편성 등. [37] 원래 5번, 537번도 계획이 있었지만 남촌동입구 교차로 직진금지로 인하여 취소되었다. [38] 문학경기장X게임장으로 변경 하고 회차는 선학역에서 하도록 변경 되었다. [39] 애초에 두 노선은 서로 반대방향의 순환노선이다. [40] 상행은 북항을 경유, 하행은 북항을 미경유하고 바로 석남동차고지로 가게 변경된다. [41] 584-1번 투입 [42] 17-1번 투입 [43] 취소 [44] 2022년 11월 28일 개청 [45] 순환54번 감차분 [46] 800번 감차분 [47] 공식 자료에는 없는 내용이다. [48] 운행 정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