母 어미 모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毋,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ボ, ボウ, モ
|
||||||
일본어 훈독
|
はは
|
||||||
-
|
|||||||
표준 중국어
|
mǔ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母의 획순 |
[clearfix]
1. 개요
母는 '어미 모'라는 한자로, '어미', ' 엄마( 어머니)', ' 암컷', ' 근본' 등을 뜻한다. 그래서 '어머니 모'라고도 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어미 |
음 | 모 | |
중국어 | 표준어 | mǔ |
광동어 | mou5 | |
객가어 | mû | |
민북어 | mǔ | |
민동어 | mū[文1] / mō̤ [白1] | |
민남어 | bú[文] / bó, bió[白] | |
오어 | mu (T3) | |
일본어 | 음독 | ボ, ボウ, モ |
훈독 | はは, かあ-さん, かか | |
베트남어 | mẫu |
유니코드에는 U+6BCD에 배정되어 있다.
상형자로, 어머니가 아이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을 본뜬 한자이다. 현재의 자형으로는 알아차리기 어렵지만, 사실 女(여자 녀) 자의 안쪽에 젖가슴을 상징하는 점 두 개를 찍은 모습이다.
'하지 말다'라는 금지의 뜻으로 가차되어 쓰일 때도 있었지만, 이 의미는 毋(말 무)로 분화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계모(繼母/季母)
- 고모(姑母)
- 국모(國母)
- 노모(老母)
- 노비종모법( 奴 婢 從母 法)
- 다모(茶母)
- 대모(大母)
- 모교(母校)
- 모국(母國)
- 모국애(母國愛), 모국어(母國語)
- 모녀(母 女)
- 모분산(母分散)
- 모선(母船)
- 모성(母性)
- 모성애(母性愛)
- 모수(母數)
- 모암(母巖)
- 모유(母乳)
- 모음(母音)
- 모음조화(母音調和)
- 모자(母子)
- 모주(母主/母酒)
- 모체(母體)
- 모친(母 親)
- 모태(母胎)
- 모평균(母平均)
- 모표준편차(母標準偏差)
- 모함(母艦)
- 항공모함(航空母艦)
- 모회사(母會社)
- 미혼모(未婚母)
- 백모( 伯母)
- 부모(父母/傅母)
- 조부모(祖父母), 증조부모(曾祖父母), 학부모(學父母)
- 분모(分母)
- 산모(産母)
- 산모사망(産母死亡)
- 숙모(叔母)
- 당숙모(堂叔母)
- 시부모( 媤 父母)
- 식모(食母)
- 운모(雲母)
- 유모(乳母)
- 유모차(乳母車)
- 이모( 姨母)
- 자모(字母)
- 장모( 丈母)
- 조모(祖母)
- 주모(酒母)
- 친모( 親母)
- 효모(酵母)
- 효모균(酵母菌)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다모가미 도시오( 田母 神 俊 雄)
- 서모( 徐母)
- 아네모 네모( 姉母 ネモ)
- 여모( 呂母)
- 요모츠 히사미( 豫母 都 日 狭 美)
- 천마 모레이( 天 魔 母 禮)
- 하하지마 후와리(母 嶋 フワリ)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媽(어미 마)
5. 상대자
- 父(아비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