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00:58:20

시민

1. 협의의 시민
1.1. 고유명사가 된 특정 도시 시민
2. 정치·사회적 의미의 시민
2.1. 여담
3. 스페인의 중도우파 정당4.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유닛5. 마피아 게임의 직업
5.1. 마피아42의 직업
6. 아이슬란드의 통신회사

1. 협의의 시민

/ citizen

좁은 의미의 '시민'은 행정구역 또는 시가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을 이른다. 따라서 행정구역상 에 사는 사람을 '군민[1]', 에 사는 사람을 '구민', , , 에 사는 사람을 ' 동민', '읍민', '면민'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1.1. 고유명사가 된 특정 도시 시민

특정 도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특정 국가의 국민을 의미하는 -an, -ese 등을 붙이듯이 도시 이름에 어미를 붙여서 따로 고유명사로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어휘에는 국가에도 쓰이는 -an, -ese 외에도 -er, -ite 등이 있다.

2. 정치·사회적 의미의 시민

시민은 이성(합리적 의사 결정 능력)을 가진 공화정의 구성원이다. 국가의 공동 소유자로서 권리와 의무를 가지며, 자발적이고 주체적으로 공공 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사람이다.[2] 자발성과 보편성, 비판적 사고와 합리적 의사 결정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대중과는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요약하자면 참정권(시민권)을 가진 사람이다. 참정권이 없으나 거주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는 영주권자이고 시민이 아니다.

넓은 의미의 시민으로, 정치· 사회적 의미에서 '민주시민', ' 시민권,' '시민단체', '시민사회', '시민의식', '시민혁명' 등의 '시민'은 이 경우를 말한다. 즉 도시민뿐만 아니라 군민, 면민, 읍민 등도 모두 광의의 시민이 된다.

국가의 구성원들로 말하자면 전체로서는 국민(peuple, people)이라 하고, 국가를 공동으로 소유하는 주권 참여자로서는 시민(Citoyen, citizen)이라고 한다. 그리고 국가 법률에 따르는 자로서는 백성(sujets, subject)이라고 한다.[3] 계몽 시대의 지식인이었던 루소에 의하면, 시민들(Citoyens)이 모여 도시 국가(Cité)를 만들며, 도시(ville)에 거주하는 도시 주민(bourgeois)[4]과는 구별된다. 도시 국가(Cité)는 계몽 시기 이후부터 공화국(République) 또는 정치 집단(corps politique)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5]

여기서 참정권자를 시(city)민으로 부르는 건 유럽의 개념을 동아시아에서 한자어로 번역하다 보니 생긴 오류라고 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제대로 자기 목소리 내는 참정권자는 지주계층을 제외하면 대부분 도시 거주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도시 주민이라는 의미를 배제하고 국민들 중 주권 참여자라는 의미만으로 쓴다면 '공민(公民)'이라고도 한다. ' 공민권( 선거권, 투표권과 같은 참정권을 뜻한다) 행사'의 '공민'이 바로 이것이다. 중국, 북한 공산권 국가들은 국민의 의미로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는 일반사회 과목을 공민이라고 부른다.

2.1. 여담

3. 스페인의 중도우파 정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민(정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유닛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민간인(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마피아 게임의 직업

마피아 게임에서는 아무런 능력도 가지지 않은 직업을 의미한다. 참가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5.1. 마피아42의 직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민(마피아4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아이슬란드의 통신회사

파일:Siminn_Logo.png

홈페이지

아이슬란드의 통신회사다.

1998년 아이슬란드 포스트에서 분리되었고 2005년 민영화됐다.


[1] 다만 군민은 국민과 발음이 너무 비슷한 탓에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아서 시민과 구민에 비하면 혼동 방지를 위하여 덜 쓰이는 편이다. [2] 고대사회에서 여성이 시민으로 인정받지 못한 이유가 전쟁 같은 시민의 의무를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의 총력전을 통하여 여성이 후방군수지원을 하고 전쟁에 기여하여 시민의 의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 손가락 하나 까딱하면 근육돼지도 한방에 처치할 수 있는 총을 잡으면서 여성에게 참정권이 부여되기 시작했다. [3] 군주제 국가에서 이 지위에 놓인 사람들은 신민(臣民)이라고도 한다. [4] 마르크스주의 이후 부르주아지(bourgeois)라는 단어는 생산 수단을 가지고 있는 자본가 계급을 지칭한다. [5] 장 자크 루소 지음, 박은수 옮김, <사회계약론 외 Du Contrat Social>, 사단법인 올재, 2013, 3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