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19:20:23

솔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솔거노비에 대한 내용은 노비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 #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21년 개벽에서 조선인들을 대상으로 설문한 10개 부문별 위인의 선정자 및 차점자 명단이다.
<rowcolor=#ffffff> 사상 정치 군사 문학 미술
이황 이이 이순신 최치원 솔거
- 을파소 을지문덕 박지원 담징
<rowcolor=#ffffff> 종교 과학 산업 교육 사회개선
최제우 서경덕 문익점 최충 유길준
원효 정약용 흘간(屹干) - -
※ 응답수 100명 미만의 차점자는 공개하지 않음.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1. 개요2. 기록3. 여담

1. 개요

率居 (생몰년대 미상)

신라시대의 화가로, 삼국사기 열전에 적혀 있다. 언제 태어나고 죽었는지는 기록에 없으므로 조상이 누군지도 모르는데 미천한 출신이었던 모양이다. 그래도 현재 한국사 기록에 남은 화가들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사람.

2. 기록

그림 실력이 뛰어나 황룡사 벽에 그린 나무 그림이 너무 진짜 같아 새들이 날아가다가 진짜인 것으로 착각해서 앉아서 쉬고 가려다가 부딪힌 이야기가 있다. 그 이후 벽의 소나무 그림의 색상이 바래졌는데도 새들은 계속 부딪혔다.[1] [2] 그러다 어떤 승려가 다시 색을 칠했는데, 그 이후로는 새들이 찾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 나무 그림은 아쉽게도 현존하지 않는다.

조선시대의 역사서 동국통감에는 진흥왕 27년(566)에 황룡사가 완성되자 솔거라는 자가 벽에 그림을 그렸다는 내용이 있으므로 진흥왕 시대의 사람으로 보인다.[3]

3. 여담


[1] 사실 새들이 그림을 실제로 착각해 날아오다 부딪히는 이야기는 과장이 아니라 충분히 현실성이 있는 이야기이다. 당장 유튜브 등에서 동물들이 사진이나 TV의 영상을 보고서 진짜라고 착각하여 빠르게 움직이다 부딪히거나 하는 장면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2] 특히 새들은 그림이나 유리창에 머리를 들이받아 스턴 상태에 걸려 날지 못하고 멍하게 떨어지는 일도 도시에서 생각보다 흔하다.(이를 방지하기 위해 벽이나 유리창에 독수리 등 맹금류 스티커를 붙여놓아 새들이 다가오지 않게 하기도 한다. 그러나 효과는 전혀 없다는 게 팩트. 황조롱이 문서 2번 문단 참조.)새들의 판단력은 종마다 다르긴 하지만 마냥 좋지는 않아서, 다른 예를 들면 농촌에서 허수아비를 괜히 세워놓는 게 아니다. [3] 엄밀하게는 그가 어느 시대 사람이었다고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기록은 없다. 동국통감은 어떤 사건이 일어난 정확한 연대를 모를 경우에는 그냥 그 사건이 일어난 왕대 마지막 재위년에 써붙여놓는 경우도 많았다. 또 삼국사기 솔거열전에서는 황룡사의 노송도 말고도 분황사 관음보살상과 진주 단속사의 유마거사상도 그의 작품이라고 했는데, 두 절은 모두 진흥왕 사후 백 년, 2백 년이 지난 후대에 세워진 절이다. 물론 담징의 사례에서 보듯 분황사나 단속사 쪽이 후대에 와서 솔거의 이름을 가탁해서 지었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