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
||||||
대한항공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
||||||
제주항공 | 진에어 | 티웨이항공 | |||||
에어부산 | 이스타항공 | 에어서울 | |||||
에어프레미아 | 에어로케이항공 | 파라타항공(운항 준비 중) | }}} | ||||
소형 항공사
Regional Carrier |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
||||||
하이에어(운항 중단) | 섬에어(운항 준비 중) | 에어인천 | 시리우스항공(운항 준비 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운항 중단 항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에어포항 | 에어필립 | 영남에어 | 코리아익스프레스에어 | ||||
코스타항공 | 프라임항공 | 한성항공 |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 | ||||
세기항공 | 대한국민항공 | }}}}}}}}} |
섬에어 Sum Air |
||
<colbgcolor=#6868ff><colcolor=#fff> 기업명 | 섬에어 주식회사 | |
SUM Air Co., Ltd. | ||
모회사 | 마프앤비욘드 주식회사 | |
MAAF & Beyond Co., Ltd. |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설립일 | 2022년 11월 17일 ([age(2022-11-17)]주년) | |
운항개시일 | 2026년 2월 예정 | |
보유 항공기 수
|
0 | |
취항지 수 | 0 | |
허브 공항 | 김포국제공항 | |
부호
|
<colbgcolor=#6868ff> | -[1] |
- | ||
- | ||
지상 조업사 | - | |
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 9 놀라움마곡 지식산업센터 1222호 | |
김포지점 |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112, 김포국제공항 국내선터미널 2층 L-229호 | |
대표이사 | 최용덕 | |
매출액 | - | |
직원 수 | 14명 (2023년 12월 29일 기준) | |
링크 |
[clearfix]
1. 개요
Your journey, Our destination
대한민국의 신생 소형항공운송사업 추진회사. 2022년에 설립되었으며, 2023년 하반기에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26년 2월 이후에 운항 개시를 할 것을 발표했다.하이에어와 똑같지만, 조금 더 최신 터보프롭 여객기인 ATR 72-600을 이용하여 국내 및 두 시간 이내의 일본과 중국 등 근거리 국제 노선에 취항할 예정이다.[2] 섬에어라는 회사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울릉도, 흑산도, 백령도에 공항이 개항하면 도시와 섬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 여객운송 뿐만 아니라 ATR72-600F 기종으로 화물운송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할 예정이다. 사업 추진을 위해 모회사인 마프앤비욘드㈜는 2022년 9월 두나무앤파트너스, 델타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40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
지난 2020년 11월 착공에 들어간 울릉공항은 2024년 12월 2일 기준으로 공정률은 57.77%을 보이고 있는데, 개항 예정인 2028년까지 중·대형 항공사들이 소형 기체를 들여 경쟁판에 끼지 않는다면 향후 울릉공항 개항에 맞춰 가장 먼저 취항할 가능성이 높다.[3]
2. 역사
- 2022년 7월 28일: 섬에어 본사 개소
- 2022년 11월 17일: 섬에어 설립
- 2023년 4월 24일: 섬에어 김포지점 개소
3. 보유 기체
보유기종 | |
기종 | 대수 |
ATR 72-600 | 0(+3) |
|
||
ATR72-600 HL5225 (예정) [4] |
등록 기호 | 제작사 | 기종 | 제작번호 | 제작일자 | 등록일자 | 이전 등록기호 | 좌석 | 비고 |
HL5225[5] | ATR | ATR 72-600 | - | - | - | - | - | - |
HLXXXX | ||||||||
HLXXXX |
위의 기종을 3대 보유할 예정이다.
4. 취항 목표
섬에어 홈페이지에서 공개한 운항 예정 노선 지도이다.- 노선도에 인천 - 부산 국내선 노선이 나와있다. 단순한 내항기를 표시한 것인지, 아니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내항기를 제공하지 못하는 저비용 항공사와 외항사 및 영종도의 주민 및 관광수요를 노린 정식 노선인지 미지수이다. 만약 정규노선이면 접근성이 더 용이해진다.
- 대부분의 공항 위치를 정확하게 표기하였으나, 제주국제공항의 위치가 많이 이상하다. 제주 2공항 예정 부지도 아니고 정석비행장 위치도 아니다. 서귀포시 대정읍 알뜨르 비행장 위치이다. 또한 청주국제공항에는 취향 계획이 없는지 표기도 되어있지 않다.
- 또한 국제공항이 아닌 광주공항에 국제선이 있다. 이는 표기만 잘못돼, 사실상 원래 무안국제공항이 정확한 표기로 되어 있어야 한다. (지금은 정확하게 되어 있다.)
- 그리고 일본 항공편이 수도권 공항이 아닌 대구국제공항과 김해국제공항에만 있다. 당연히 인천발 노선은 경쟁이 너무 치열하기 때문에 프롭기 입장에선 시간도 많이 걸리고 경제성이 없기 때문. 그리고 비수도권 지역 - 일본 간 틈새시장을 공략하기 위함도 있다.
4.1. 국내선
아래는 모두 계획이다.운항 국내선 | 운항횟수 | ||
김포 | ↔ | 양양 | |
|
|||
포항경주 | |||
울산 | |||
사천 | 4회/일 | ||
여수 | |||
군산 | |||
광주 | |||
제주 | |||
부산(김해) | |||
무안 | |||
|
|||
|
|||
부산(김해) | ↔ | 인천 | |
|
|||
군산 | |||
광주 | |||
제주 | |||
사천 | ↔ | 제주 | 4회/일 |
울릉 | |||
양양 | ↔ | 광주 | |
여수 | |||
대구 | ↔ | 군산 | |
제주 | |||
포항경주 | ↔ | 여수 | |
|
|||
광주 | ↔ | 제주 | |
울산 | ↔ |
|
4.2. 국제선
운항 국제선 | 운항횟수 | ||
인천 | ↔ | 옌타이 | |
웨이하이 | |||
칭다오 | |||
무안 | ↔ | 옌타이 | |
웨이하이 | |||
김해 | ↔ | 기타큐슈 | |
구마모토 | |||
미야자키 | |||
대구 | ↔ | 기타큐슈 | |
쓰시마 | |||
구마모토 |
[1]
SUM AIR로 불릴 가능성이 높다.
[2]
하이에어는 ATR72-500을 운항하였었다.
[3]
다만 여기서도 울릉공항 활주로 길이가 문제다. 활주로는 1200m인데 기체는 이륙에만 1333m를 잡아먹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연장하기엔 깊이 20m급 해저절벽이 튀어나오는 뭣같은 해저지형이 문제다. 이걸 해결하려면 천문학적인 중앙정부 예산을 갈아넣어야 한다 울릉도 전역에서 그만한 양의 산을 깎고 그 암석을 파쇄시설로 운반하여 일정 이하 크기로 파쇄해서 도로 가져와야 하는데, 그것을 하는데 드는 인건비,전기료다 수도료, 기름값등 각종 비용이 아주 어마무시하게 깨진다. 거기다 파쇄설비도 당장 화산에서 뻗어나온 급경사 일색의 험준한 산줄기가 빽빽하게 뒤덮고 있는 울릉도의 지형 특성상 설치할 평지가 거의 없기 때문에 본토의 작업장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러면 기름값이 무시무시하게 깨지는 배를 대야 하는 만큼 총 비용은 본토에서 공사하는 것보다 더 어마어마해진다.
[4]
1990년대 소형항공운송사업자 격으로 운항한 부정기항공운송사업자 '서울항공인터내셔널'이 사용한 BAe Jetstream 31 기재가 사용하던 등록번호이다.
[5]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