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14:27:38

달성 서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1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60><tablebordercolor=#008080>
파일:달성 서씨 종문.svg
達城 徐氏
달성 서씨
}}}
<colcolor=#fbe673><colbgcolor=#008080> 관향 대구광역시
시조 서진(徐晉) | 원조 미상(未詳)
집성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대구광역시
달성군· 동구· 북구· 수성구
울산광역시
중구· 울주군
충청북도
청주시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안군· 익산시· 장수군
전라남도
고흥군· 구례군· 광양시· 순천시· 여수시
경상북도
경산시· 고령군· 구미시· 문경시· 상주시· 안동시· 영주시· 영천시·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칠곡군· 포항시
경상남도
고성군· 거제시· 남해군· 밀양시· 양산시· 의령군· 진주시· 창녕군· 창원시· 함양군· 합천군
황해도
황주군
평안남도
덕천시· 성천군
함경남도
갑산군· 이원군
인구 407,431명 (2015년)
링크 달성서씨감찰공파종회 뿌리를찾아서-달성서씨(達城徐氏)

1. 개요2. 달성 서씨(達城徐氏) 가문(家門)의 진정한 원조(鼻祖)는 누구일까
2.1. 달성군(達城君) 서주행(徐周行)의 이름이 본명이 아니라는 가설에 대한 증거2.2. '閈'은 문장 속에서 큰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2.3. 달성 서씨(達城徐氏)의 원조/비조(鼻祖)가 서유행(徐惟行)이라는 가정 하에 발현되는 몇 가지의 문제점2.4. 서희(徐熙)와 그의 후손들에 관한 정보의 이상(異常)2.5. 서희(徐熙)와 서진(徐晉)의 관계2.6. 서신통(徐神通)과 서목(徐穆)
3. 달성 서씨 계파
3.1. 달성 서씨 상계 계보(上系系譜) 1-7世
4. 고전 문집에 기록된 역사의 달성인(達城人)들
4.1. 총 157명
5. 신원 불명의 달성인(達城人)들6. 기타 자료에 기록된 역사의 달성인(達城人)들
6.1. 서른아홉
7. 집성촌
7.1. 충북7.2. 전라7.3. 대구·경북7.4. 부산·울산·경남7.5. 북한
8. 항렬표9. 인명
9.1. 21세손(22세)9.2. 22세손(23세)9.3. 23세손(24세)9.4. 24세손(25세)9.5. 25세손(26세)9.6. 미상

[clearfix]

1. 개요

대구(大邱)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姓氏). 대구라는 지역은 본래 달구화(達句火), 달불성(達弗城), 달구화현(達句火縣) 또는 달구벌(達句伐)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는데,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에 대구(大丘)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되었다. 대구광역시누리집 지식백과

달성 서씨의 시조인 서진(徐晋/徐晉)은 고려의 인물로,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으며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 그의 출생 연도는 불분명하다. 달성 서씨 소윤공파의 파시조이자 원조(遠祖)로 거론되는 한(閈)[1]은 고려조에 중랑장(中郞將)과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냈다.

閈에 관해 수집된 문헌 자료들은 아래와 같다.

이렇듯이 각기 다른 제작 시기와 편저자를 바탕으로 하는 다수의 문헌에서 閈은 달성인(達城人), 즉 달성 서씨(達城徐氏)의 선조로 기록되었다. 비록 서진(徐晉)과 한(閈)의 관계와 달성이라는 한 가문에서 어째서 판도공파와 소윤공파의 구별이 나타야만 했던 것인지, 무슨 연유로 여러 인물들의 이름과 생년을 비롯한 기타 사항들이 변경되어야만 했던 것인지, 그 시기와 원인은 안개 속에 있다. 그러나 과거와 현재를 잇는 한 뿌리, 즉 본관(本貫)을 공유한다는 점은 각종 기록들이 진술하고 있다.

달성 서씨의 5세인 서침(徐沈/徐沉)은 세종대에 당시 달성 서씨의 세거지였던 달성(達城)을 국가가 경상도의 요새로 삼기 위해 필요로 하자 기꺼이 헌납한 공으로 포상을 받게 되었으나, 그는 포상 대신에 환곡(還穀)의 이자를 경감해 주도록 건의하여 허락받았다. 달성공원의 수령 300년이 넘는 회화나무는 서침의 정신을 기리는 뜻에서 '서침나무'로 명명되었다. 대구역사문화대전

현재 달성 서씨의 도시조인 서진(徐晉)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 문양역 인근에 위치해 있다.

2. 달성 서씨(達城徐氏) 가문(家門)의 진정한 원조(鼻祖)는 누구일까

(* 해당 목차의 내용들은 오히려 혼란을 더욱 증폭시키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으며 사전에 인지 필요)

2.1. 달성군(達城君) 서주행(徐周行)의 이름이 본명이 아니라는 가설에 대한 증거

  1. 한국 기록유산 : 서유행 - 아명 서유행(徐惟行)
    2. 한국 기록유산 : 서주행 - 아명 서유행(徐惟行)
    3. 위키피디아 : 각주 8번 - "His childhood name(아명) was Sŏ Yu-haeng (서유행, 徐惟行). He later married Lady of the Chogye Chu clan (부인 초계 주씨) and had 1 son, Sŏ Han (서한, 徐閈)."
    4. 네이버 블로그 : "서희의 열전에 측실자인 서주행이 있다고 했는데 족보에는 나타나 있지 않았다. 다만 서유행(徐惟行)이 막내아들로 나와 있는데 달성군파(達城君派) 시조로 되어 있다."
→ 현재는 삭제된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관련 대구 서씨와의 혼란" 목차에서 확인된 바, 문과 급제 자료와 국조인물고를 포함한 각종 문서들에 기재된 그들의 본관은 진실과 상충되었다. 그것이 실행 가능했던 인과관계를 고려해 보자면, '서희의 열전'과 '고려사'라거나, 기타 자료들에 기재된 내용을 무조건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서주행(徐周行)의 신상정보를 비롯해 그의 아들이라 전해지는 서한(徐閈)[2]이 실존 인물이라 여기기에는 여러모로 미심쩍은 부분들이 많다.[3]

2.2. '閈'은 문장 속에서 큰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파고 번역기를 사용했을 때 '鼻祖 閈 高麗中郞將。'은 '원조 고려 중랑장.', '自後冠冕聯綿。'은 '그 뒤로 왕관이 이어지다.', 그 사이에 '閈'을 더한 '自後閈冠冕聯綿。' 역시 '뒤로 관이 이어져 있다.'로 해석된다. 또 하나의 예로 '山水相圍抱。' 한국고전종합DB-소암집 발췌의 의미는 '산과 물이 서로 에워싸다.'-이며, '山水閈相圍抱。'또한 '산과 물이 서로 둘러싸다.'로 큰 변화 없이 동일한 맥락의 문장으로 해석된다. 즉, '閈'은 이름이나 명칭이 아니라 문장을 잇는 접사(接辭), 조사(助詞-은/는/이/가 등) 혹은 이음매의 형태로 사용된 단어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閈'이라는 단어 앞에 '휘(諱)'를 추가한다면, 마치 하나의 이름처럼 생각될 법도 하다.[4]
- 예(1) : "蘭腓蕙欲燬。天地已窮陰。爲君賦變徵。" = "난비혜가 무너지려 한다. 천지는 이미 어둠에 잠겼다. 군주를 위해 변혁을 일으키다." | "蘭腓閈蕙欲燬。天地閈已窮陰。爲君閈賦變徵。" = "난비가 비옥하여 망하려 하다. 천지가 이미 기울었다. 군주를 위해 변혁을 일으키다." 한국고전종합DB-소암집
- 예(2) : "鶴下于皋物外翔。登西樓畔月如霜。梧翁詩禮承衣鉢。" = "학이 높은 산에서 내려오다. 서루가에 오른 달은 서리와 같다. 오옹시례가 의발을 이어받다. | "鶴下閈于皋物外翔。登西閈樓畔閈月如霜。梧翁閈詩禮承衣鉢。" = "학 아래서 높은 물체가 바깥으로 날아오르다. 서쪽의 누각에 올라 달이 서리처럼 밝다. 오옹이 시례로 의발을 받들다." 한국고전종합DB-일포집
- 예(3) : "以公內舅李公慶徽長政曹也。尋拜兵曹佐郞。因事罷。明年。因大臣言始敍。" = "처남 이공경으로 정조야를 휘장하다. 병조좌랑을 찾아 뵙다. 일 때문에. 내년. 대신의 언시로 서서가 서서하다." | "以公內舅李公慶閈徽長政曹也。尋拜兵曹閈佐郞。因事閈罷。閈明年。因大臣言閈始敍。" = "처남 이공경으로 정조야를 휘장하다. 병조좌랑을 찾아 뵙다. 일 때문에 그만두다. 내년을 기약하다. 대신의 언쟁으로 서서가 시작되다." 한국고전종합DB-만정당집
- 예(4) : "重輪瑞日耀天衢。 璿潢綿曆洪圖永。 銀印傳心聖眷紆。" = "두터운 서해가 하늘길을 밝게 비추다. 황제가 끊임없이 홍수를 이루다. 은인전심성군." | "重輪瑞日耀閈天衢。 璿潢閈綿曆洪圖永。 銀印閈傳心聖眷紆。" = "무거운 기선의 서해가 하늘의 길가에 드리워져 있다. 황제가 끊임없이 홍수를 이루다. 은빛 인장이 마음을 전하다." 한국고전종합DB-명고전집
→ 이로써 문장 속에 '閈'을 추가해도 의미상의 특별한 차이가 없거나, 또는 어딘가 어색했던 그 문장이 더욱 완성도를 높인 형태로 해석됨을 알 수 있다.

2.3. 달성 서씨(達城徐氏)의 원조/비조(鼻祖)가 서유행(徐惟行)이라는 가정 하에 발현되는 몇 가지의 문제점

  1. 전해지는 서유행(徐惟行)의 계보 : 서유행(徐惟行) → 서한(徐閈) → 서신(徐愼) → 서무질(徐無疾) → 서진(徐晉) → 서기준(徐奇俊) → 서영(徐穎) → 서균형(徐鈞衡) → 서침(徐沈)
    => 서한(徐閈), 서신(徐愼), 그리고 서무질(徐無疾)의 신원이 불분명하다. 그들이 실제로 존재했던 것인지, 이름만 변경된 것인지, 혹은 후에 창조된 인물들인지 문헌상으로 명확히 진위 여부를 가릴 물증이 확보되지 않았기에 모순점[5]이 많으므로 이 계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다.
    한국 기록유산 서유행 참고

    2. 달성 서씨의 시조인 서진(徐晉)의 부인이 초계 주씨(草溪周氏)인데, 서유행(徐惟行)의 부인 역시 초계 주씨(草溪周氏)라 전해진다. 그렇다면 단지 선조와 후손 관계인 두 인물의 부인 성씨와 출신 가문만 동일한 것인지, 혹은 서유행과 서진이 동일인물인지에 대한 의문을 피할 수 없다. 하지만 그 가정 역시 다양한 모순을 품고 있다. 서유행(徐惟行)의 부친인 서희(徐熙)의 생년은 공식적으로 알려진 바에 의하면 942년이다. 반면에 서진의 생년은 흔히 1260-1280년으로 거론되고는 한다. 즉, 아버지와 아들 관계라기에는 그 활동 기간에 200년 이상의 지나친 격차가 있다. 따라서 그 사이의 기간에 존재했으나 실종된 인물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들의 정체가 불분명하다. 더불어 서유행(徐惟行)으로 추정되는 한(閈)은 고려 중랑장(高麗中郞將)이며, 서진(徐晉)은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로 언급되므로 직업과 신분마저 불일치한다.

    3. 네이버 블로그를 참고했을 때 이천 서씨 족보에는 막내아들이자 달성군파(達城君派)의 시조로 기록된 서유행(徐惟行)이 서희의 열전에는 측실의 아들인 서자(庶子)이자 서주행(徐周行)이라는 이름의 인물로 기재된 원인 또한 오리무중이다.

2.4. 서희(徐熙)와 그의 후손들에 관한 정보의 이상(異常)

2. 서희(徐熙)의 아들 서눌(徐訥) :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문하시중(門下侍中) 판상서(判尙書) 이부시랑(吏部侍郞)이다. 초시(初謚)는 간경(簡敬)이며 부인(夫人) 최씨(崔氏)와는 2명의 아들과 1명의 딸이 있다. 나중(後=후)의 부인(夫人) 정씨(鄭氏)는 이천부대군(利川府大君)에 봉(封)해졌다.
→ 문하시중(門下侍中)인 그의 신분은 서진(徐晉)의 아들인 서기준(徐奇俊)과 일치한다. 서기준의 아들인 서영(徐穎)과[12]도 같다.
3. 서눌(徐訥)의 아들(=족보상 이천 서씨 5세) : 서유걸(徐維傑/徐惟傑), 서유위(徐維偉/徐惟偉)
→ 즉, 서유걸(徐維傑/徐惟傑)과 서유위(徐維偉/徐惟偉)는 서희(徐熙)의 아들이 아니라 서눌(徐訥)의 아들로 기록되었다. 더해 1846년의 이천서씨족보에는 서유행(서주행)이 부재한다.
4. 서유걸(徐維傑/徐惟傑) : 정종(靖宗=재위:1034~1046) 조(朝)에 등제(登第)하여 관지(官至) 상서(尙書) 복사(僕射) 판도사(版圖事)를 지냈다. 두 아들은 서정(徐靖)과 서존(徐存)이다.
5. 서유위(徐維偉/徐惟偉) : 장서령(掌署令). 후손(后孫)에는 서견(徐甄)이 있다.
2. 서눌(徐訥) : 초시(初謚)는 간경(簡敬), 후시(後謚)는 원숙(元肅), 승헌부(承憲府) 고백(枯栢) 복생/부생(復生) 역사(歷事)이다. 문하시중(門下侍中)이며, 누가(屢加)하여 삼중(三重) 태사(太師) 내사령(內史令)이다. 부인 최씨(崔氏)는 이천부대부인(利川府大夫人), 정씨(鄭氏)는 이천부대군(利川府大君)으로 기록되었다.
3. 서눌(徐訥)의 아들 서유걸(徐維傑/徐惟傑) : 정종(靖宗) 조(朝)에 등제(登第), 관지(官至) 상서(尙書) 우복사(右僕射) 판도사(版圖事/版圖司)이다. 두 아들은 서정(徐靖)과 서존(徐存)이다.
4. 서눌(徐訥)의 아들 서유위(徐維偉/徐惟偉) : 문과(文科), 장치서령(掌治署令)이다. 호학(好學)하였으며, 악선(樂善) 지절강(志節剛) 직중(直衆) 개경지(皆敬之)이다. 1846년의 족보에는 부재했으나, 1898년 족보에는 그의 아들로 서면(徐冕)이 기록되었다.
5. 서눌(徐訥)의 아들 서유행/서주행(徐維行/徐周行) : 1846년의 족보와는 달리 초휘(初諱)가 유행(維行)인 서주행(徐周行)이 추가되었다.
6. 서유행/서주행(徐維行/徐周行)의 후손(后孫) 서한(徐閈) : 1846년의 족보에는 부재했던 서유행(서주행)과 더불어 서한이 추가되었다. 그는 족보에 '달성파(達城派)'라는 문구와 함께 기록되었다.
2. 서눌(徐訥) : 시호(諡)는 간경(簡敬)이며, 원숙(元肅)으로 시개(諡改=시호를 바꾸다)되었다. 승헌(丞憲) 일(壹=한 일/갖은한 일) 고백(枯栢) 복생/부생(復生)이다. 관지(官至) 평장사(平章事) 문하시중(門下侍中)에 누가(累加)하여 삼(三) 중대광(重大匡) 내사령(內史令)이다. 앞서 확인한 족보들과는 달리 부인 최씨(崔氏)와는 아들 없이 딸이 하나 있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부인 정씨(鄭氏)는 이천부대부인(利川府大夫人)에 봉(封)해졌다.
3. 서희(徐熙)의 아들 서유걸(徐維傑/徐惟傑) : 관지(官至) 상서(尙書) 좌사랑(左司郞) 중우(中右) 승선(丞宣), 추봉(追封) 대광동(大匡同)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판도사(版圖事)이다. 두 아들은 서정(徐靖)과 서존(徐存)이다.
4. 서희(徐熙)의 아들 서유위(徐維偉/徐惟偉) : 장서령(掌書令). 그의 현손(玄孫)에는 서견(徐甄)이 있다.
5. 서희(徐熙)의 아들 서유행/서주행(徐維行/徐周行) : 초휘(初諱)가 유행(維行)인 서주행에게는 '달성파(達城派)'라는 문구가 표기되어 있다. 서한(徐閈)은 해당 족보에 부재한다.
→ 150년의 세월을 넘나드는 세 종의 족보를 비교한 끝에 다다르게 된 하나의 결론점이라면, 서희(徐熙)의 가계도는 그 사이에 상당한 변천을 겪었다는 것이다. 서희의 독자였던 서눌(徐訥)의 두 아들은 문득 셋이 되었으며, 이어서 그 세 명은 본디 조부였던 서희(徐熙)의 아들이 되었다. 1898년의 족보에서는 서주행(서유행)의 후손이자 달성파(達城派)로 기록되었던 서한(徐閈)은 어디론가 사라진 채, 서주행이 달성파(達城派)가 되어 나타나기도 했다.

2.5. 서희(徐熙)와 서진(徐晉)의 관계

18981973년[21]의 이천서씨 족보에는 서한이 달성파로, 1995년 발행된 족보에서는 서주행(서유행)이 달성파로 기록되었다. 반면에 1846년의 족보에는 서유행이 존재하지 않았다. 일관적이지 않으며 드물게 등장하는 서주행과 서한이라는 두 인물의 실체가 정확히 무엇인지 확실한 판결을 내릴 수 없다. 따라서 달성 서씨의 시조인 서진(徐晉)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서희(徐熙)의 관계를 파악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그 전에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라면, 1846년 발행된 이천서씨 족보에 기재된 서희(徐熙)의 생년은 후진(後晉/後晋) 고조(高祖) 천복(天復) 8년 계묘(癸卯)라는 것이다. 18981973년의 족보에 역시 후진(後晉/後晋) 고조(高祖) 천복(天復) 8년 계묘(癸卯)로 기록되었다. 기타 족보에서는 천복(天福)이 사용된 관계로 혼동이 있을 수 있으나, 천복(天復)은 네이버 지식백과에 의하면 중국 당나라 소종 때의 연호(901~904년)이며 천복(天福)은 중국 5대10국 시기 후진의 제1대 황제인 고조 석경당 때의 연호(936~944년)이므로 엄연히 별개의 의미를 지닌 단어이다. 즉, 간략한 계산을 해 보아도 ‘천복(天復) 8년 계묘(癸卯)’라는 문구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순전히 작성자의 오타인지, '天復'과 '天福'의 의미에 착오가 있었던 것인지, 실제로 서희의 생년이 천복(天復)의 연호 내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의문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후진(後晉)'과 '고조(高祖)'라는 단어가 호기심의 대상이 된다. 후진(後晉)은 네이버 지식백과에 의하면 '중국 5대의 세 번째 왕조'로 해석된다. 그러나 '後'라는 단어는 '뒤 후/임금 후'-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다양하게 활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18981973년의 이천서씨 족보에서 서눌(徐訥)의 시호(謚)를 말할 때 처음의 시호라는 뜻의 '초(初)'와, 시개된 시호라는 뜻의 '후(後)'가 쓰였다. 서눌의 부인인 정씨(鄭氏)를 거론할 때도 '후(後)'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서희의 후진(後晉) 역시 알고 보면 그의 이름이나 시호(謚)인 장위(章威)에 연관된 단어이거나, 후손(後孫)을 일컫는 '후(後)'일 가능성이 미약하게나마 잔존한다. 또한 서진(徐晉)의 부인은 '검교'장군(檢校將軍) 주치('周'穉)의 딸이며, 서희는 '검교'병부상서(檢校兵部尙書)이기에 그 둘에[22] 어떠한 분명한 연관성이 있다.[23] 그리고 고조(高祖)는 네이버 국어사전에 의하면 '할아버지의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또는 '중국 당나라의 제1대 황제(565~635)'-로 해석된다. 고로 후진(後晉)에 두 가지의 뜻을 각기 연계한다 하더라도 어딘가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다.

이러한 사항들을 토대로 세 종류의 가설을 세울 수 있다.
1. 서희(徐熙)의 후손(後孫)이 서진(徐晉)이다.
2. 서진(徐晉)의 후손이 서희(徐熙)이다.
3. 서희(徐熙)가 서진(徐晉)이다.

이때 두 번째와 세 번째 가설의 경우 두 인물의 생졸년과 계보에 큰 차이가 있으며 신분과 관직도 다르므로 그리 합리적이지는 않다. 반면 첫 번째 가설은 서유행의 계보를 비롯해 여러 사항들을 고려했을 때 조금 더 합당할 법도 하다는 축에 든다. 서씨의 대종인 이천 서씨도 각 서씨의 본관이 고려 시대에 분관한 것으로 족보상 파악한다니, 아마 사실에 가까울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1898년의 족보와 1995년의 족보에서 달성파(達城派) 서유행(서주행)과 서한이 발견된 것을 제외한다면 그 가설을 입증할만한 증거가 부족하다. 따라서 참과 거짓을 판가름하는 방법 중 하나는 이천서씨 족보에서 서진(徐晉)의 이름을 지닌 기록을 찾는 것이다.

1846년과 18981973년, 그리고 추가적으로 조사된 몇몇 족보에서는 서진(徐晉)이 부재했기에 그 외 족보들이 참고되었다.

덧붙이자면, 그 과정에서 하나의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바로 족보에서 '大邱人'이라는 단어가 눈에 자주 들어왔다는 점이다. 다름이 아니라, 족보에 기록된 딸들의 남편을 의미하는 대구 배씨(大邱裵氏)이다. 그 예로는 1846년 족보의 264페이지에 배의도(裵𠋣度), 265페이지의 배덕룡(裵德龍), 270페이지의 배수첨(裵壽瞻), 273페이지 배유도(裵有道), 그리고 18981973년 족보의 804페이지의 배흠련(裵欽練)등이 있다. 대구 배씨는 대구광역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인데, 이천이라는 지역은 대구와 220km가량의 거리 차이를 지니는 머나먼 곳에 위치한다. 어째서 이천 서씨의 족보에 대구 출신의 인물들이 많은 것인지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으나, 달성은 지역적으로 이천에 비해 대구와 훨씬 가깝다는 것만은 사실이다.
→ 결론 : 다섯 종의 이천 서씨 족보에 기록된 서진(徐晉/徐晋)의 신상 정보는 달성 서씨의 시조인 서진(徐晉)과 결부되지 않는다.

2.6. 서신통(徐神通)과 서목(徐穆)

달성 서씨의 시조인 서진(徐晉)의 생몰년이 불분명하며 그의 계보를 되짚어 보아도 선조들에 관한 실존의 유무 여부조차 확신시할 수 없는 현재의 정황상 족보의 발행 연도를 불문하고 신뢰도가 그리 높지 않다. 결과적으로 그보다 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시점에서 이천 서씨의 시조인 서신일(徐神逸)에게 '서(徐)'라는 성을 물려주었던 그의 선조를 탐구하는 방법이 한층 효율적이라 생각된다.

다만 서신일의 부친과 그 선조에 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한편 한국 기록유산에 의하면 서신통(徐新通/徐神通)은 이천서씨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의 동생이자 서목(徐穆)의 아버지이다.

그리고 서목(徐穆) 정보 출처:한국 기록유산은 신라말 고려초 이천 지방의 호족으로, 본관은 이천 서씨(利川徐氏)이며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다. 그에 관한 일화 중 하나는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로 전해진다.

서진(徐晉)과 서희(徐熙)의 연관성이 명확히 해석되지 않았기에 대신 서신통과 서목의 주위에 그와 이어지는 현을 찾아 나가는 방향이다. 접근 가능한 이천 서씨 족보들이 다량 조사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 '이천서씨세보 利川徐氏世譜, 1920, 권 1-8'[30]
→ " 부재(不在)
- 이천서씨파보 利川徐氏派譜, 1928, 권 1-2[31]
→ 서신통(徐神通) : 정보 미상(未詳)
→ 서신통(徐神通)의 아들 서목(徐穆) : 정보 미상(未詳) / 후손 미상(未詳)[32]
- 이천서씨자은파보 利川徐氏慈恩派譜, 1936[33]
→ " 부재(不在)
- '이천서씨족보 利川徐氏族譜, 1939, 권 1-2'[36]
→ " 부재(不在)
- '이천서씨족보 利川徐氏族譜' 연도미상[37]
→ " 부재(不在)
- '이천서씨감무공파대동보(행록) 利川徐氏監務公派大同譜(行錄), 권2-4'[40]
→ 서신통(徐神通) : 정보 미상(未詳)
→ 서신통(徐神通)의 아들 서목(徐穆) : 정보 미상(未詳) / 후손 미상(未詳)
==> 결론 : 서신통(徐神通)과 서목(徐穆)을 통해 서진(徐晉)과 서희의 관계, 그리고 달성 서씨와 이천 서씨의 연관성을 파악하기에는 이천 서씨 족보에 기록된 그들의 정보가 불충분하다.

이 결론을 바탕으로 몇 가지의 가설을 정립할 수 있다.
1. 서진(徐晉)은 서신통(徐神通)과 서목(徐穆), 또는 이천 서씨의 후손이다.
2. 서신통(徐神通)과 서목(徐穆)은 서진(徐晉), 또는 달성 서씨의 후손이다.
3. 달성 서씨(達城徐氏)와 이천 서씨(利川徐氏)는 관계가 없다.

가설 1번은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던 것이지만 이천 서씨의 족보에서 서진의 발자취가 명백히 확보되지 않은 것뿐만 아니라, 서진의 선조이자 달성군(達城君)으로 알려진 서주행(서유행)과 그의 아들인 서한의 실체가 불확실하다. 그것은 즉, 그들의 후손인 서진(徐晉)의 존재마저 마치 뜬구름이나 다름없게 된다는 뜻이다. 누군가의 계보와 가족 관계라는 것은 임의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직계 혈족인 아들이 갑작스럽게 방계 혈족인 형제가 되거나, 할아버지가 손자가 된다는 일은 자연적으로 불가능한 현상이다. 그러므로 가령 서진(徐晉)이 서희, 서신일, 서신통, 혹은 서목과 혈연으로 맺어진 사이가 아니라면 달성 서씨가 이천 서씨에서 분파했다는 가정조차 성립되지 않는 명제이다.

결국 이 시점에서 첫 번째 가설은 오히려 더욱 신빙성이 떨어진다라 여겨지기도 하므로 '달성 서씨(達城徐氏)와 이천 서씨(利川徐氏)는 관계가 없다.'-라는 세 번째 가설이 세워지게 되었다. 실상 '서(徐)'라는 성명의 한 글자를 공유한다 해서, 반드시 근원이 같다는 법은 없기에 막연히 억측이라 치부할 수는 없다고 본다. 하지만 그 어떠한 결론에도 가까이 접근할 만한 뚜렷한 근거와 물증이 부족하며 해결되지 않은 수많은 의문들이 남아 있다는 것 또한 현실이다. 달성 서씨(達城徐氏)의 진정한 원조(鼻祖)를 찾는 길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3. 달성 서씨 계파

(위 정보는 사실과 다를 수 있음을 유의)

3.1. 달성 서씨 상계 계보(上系系譜) 1-7世

- 서유(徐宥)/서지유(徐之宥)[47] : 서진(徐晉)의 아들, 고려조에 봉익대부(奉翊大夫) 밀직사(密直使) 겸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와 상호군(上護軍)을 역임했다.
| 부인 : 미상(未詳)
- 서원(徐遠) : 서진(徐晉)의 아들, 고려(高麗)의 생원(生員)
| 부인 : 미상(未詳)
- 서습(徐漝) : 서균형(徐鈞衡)의 아들,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송화(松禾)의 부사(府使)를 지냈다. 문과자료(慶尙道固城府叢瑣錄)-48p,R(徐漝/達城人/文科/官-府使) 참고2
| 부인 : 미상(未詳)

- 서환(徐渙) : 서균형(徐鈞衡)의 아들, 초휘(初諱)는 좌(坐)이다. 성균학생(成均學生)이었으며 1380년 고려 문과에 급제했다. 전교부령(典校副令)과 보문각직제학(寶文閣直提學)을 임했다. 고려문과 고려사마
| 부인 : 안동 권씨(安東權氏), 권청(權清)의 딸

- 서균(徐均) : 서사민(徐士敏)의 아들, 생원(生員)
| 부인 : 미상(未詳)
- 서준(徐埈) : 서사민(徐士敏)의 아들[54]
| 부인 : 미상(未詳)
- 서종일(徐宗一) : 서세주(徐世柱)의 아들[62]
- 서종오(徐宗五) : 서세주(徐世柱)의 아들[63]
(위 정보는 사실과 다를 수 있음을 유의)

* 주 참고 문헌 출처[64]
한국고전종합DB
달성서씨현감공파세보
달성서씨진사공파세보
* 그 외 계파별 족보 관련 상세 자료
달성서씨판서공파세보
달성서씨감찰공파세보
* 달성 서씨 족보 책들에서도 조상들을 발견할 수 없을 때 참고할 수 있는 자료[65]
왕실족보[66] : 달성 서씨(達城 徐氏)
음관세보(蔭官世譜)[67] : 달성(達城)

4. 고전 문집에 기록된 역사의 달성인(達城人)들

아래의 명단은 한국문집총간 편목색인에 본관이 달성(達城)으로 등재된 인물들이다. 고문서를 바탕으로 하는 사이트의 문집 자료들은 대상의 성명, 생몰년, 본관, 자(字), 호(號)를 비롯해 편목정보와 각각의 저작자, 그리고 문집명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어 다른 문서들에 비해 한층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며 그 값에 따라 신뢰도의 차이를 분석하기에도 유리하다.[68] 위치정보 칸의 [종합DB] 탭을 통해 해당 문집의 내용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명단은 사이트에 표기되어 있는 생몰년의 탄생일을 기준으로 하여 차례대로 정렬되었으며 실종된 이들을 탐색하는데 나름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인물들의 나이는 11??년생인 서한(徐閈)으로부터, 1923년 사망한 서상춘(徐相春)까지 넓은 폭을 아우른다.

4.1. 총 157명

(*인물들의 이름과 생년이 실제와 다를 수 있음을 항시 유념)
1. - 생몰년 : 11?? ~ ? | 자(字) : 인리(仁里)
- 편목정보 : 먼 조상의 묘표(遠祖墓表) | 저작자 : 서종급(徐宗伋) | 문집명 : 퇴헌유고(退軒遺稿)
2. 서영(徐穎) - 생몰년 : ? ~ 13?? | 자(字) : 미상(未詳) | 호(號) : 노남(櫓南) | 시호(諡號) : 충정(忠靖) | 봉호 : 달성군(達城君)
- 편목정보 : 달성군서공 영세 묘단비(達城君徐公 穎世 墓壇碑) | 저작자 : 조병덕(趙秉悳) | 문집명 : 숙재집(肅齋集)
3. 서익진(徐益進) - 생몰년 : 13?? ~ ? | 자(字) : 미상(未詳)
- 편목정보 : 자인아방곡묘단비(慈仁莪芳谷墓壇碑) | 저작자 : 서명응(徐命膺) | 문집명 : 보만재집(保晚齋集)
4. 서의(徐義) - 생몰년 : 13?? ~ ? | 자(字) : 미상(未詳)
- 편목정보 : 자인아방곡묘단비(慈仁莪芳谷墓壇碑) | 저작자 : 서명응(徐命膺) | 문집명 : 보만재집(保晚齋集)
5. 서침(徐沈) - 생몰년 : ? ~ 14?? | 자(字) : 미상(未詳) | 호(號) : 구암(龜巖), 구계(龜溪)
- 편목정보 : 대구 구암서원 묘정비명(大丘龜巖書院廟庭碑銘) | 저작자 : 서종급(徐宗伋) | 문집명 : 퇴헌유고(退軒遺稿)
6. 서미성(徐彌性) - 생몰년 : 1383 ~ 1431 | 자(字) : 자상(子常) | 봉호 : 달천부원군(達川府院君)
- 편목정보 : 9대조 증달천부원군 행안주목사 부군 묘표(九代祖贈達川府院君行安州牧使府君墓表)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7. 서한정(徐翰廷) - 생몰년 : 1407 ~ 1490 | 자(字) : 미상(未詳) | 호(號) : 돈암(遯菴)
- 편목정보 : 돈암서공묘지명 병서(遯菴徐公墓誌銘 幷序) | 저작자 : 이상정(李象靖) | 문집명 : 대산집(大山集)
- 편목정보 : 돈암서공묘갈명 병서(遯菴徐公墓碣銘 幷序) | 저작자 : 이광정(李光靖) | 문집명 : 소산집(小山集)
- 편목정보 : 장릉병의제신전(莊陵秉義諸臣傳) | 저작자 : 성해응(成海應) | 문집명 :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및 총 5종)
8. 서필(徐弼) - 생몰년 : 14?? ~ ? | 자(字) : 미상(未詳)
- 편목정보 : 증조 직장 부군 묘갈 발(曾祖直長府君墓碣 跋) | 저작자 : 서사원(徐思遠) | 문집명 : 낙재집(樂齋集)
- 편목정보 : 12대조 찰방 부군 묘표(十二代祖察訪府君墓表) | 저작자 : 서찬규(徐贊奎) | 문집명 : 임재집(臨齋集)
9. 서거정(徐居正) - 생몰년 : 1420 ~ 1488 | 자(字) : 강중(剛中/剛仲), 자원(子元) | 호(號) : 사가정(四佳亭), 정정정(亭亭亭) | 시호 : 문충(文忠) | 봉호 : 달성군(達城君)
- 편목정보 : 대구 구암서원 묘정비명(大丘龜巖書院廟庭碑銘) | 저작자 : 서종급(徐宗伋) | 문집명 : 퇴헌유고(退軒遺稿)
| 그 외 서거정 관련 고전문집
모당집(慕堂集) - 題徐四佳 居正 달성십영후(達城十詠後)[69] b008_025c | 편저자 : 손처눌(孫處訥) | 제작 시기 : 1784년
천파집(天坡集) - 달성십영(達城十詠)。次徐四佳韻。 a095_077a | 저자 : 오숙(吳䎘), 아우 오빈(吳䎙)이 편집, 간행 | 제작 시기 : 1646년
10. 서팽소(徐彭召) - 생몰년 : 14?? ~ ? | 자(字) : 맹당(孟棠)
- 편목정보 : 7대조 증이조참판 행장령 부군 묘표 음기(七代祖贈吏曹參判行掌令府君墓表陰記)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11. 서응기(徐應期) - 생몰년 : ? ~ 15?? | 자(字) : 사성(竢聖)
- 편목정보 : 11대 조상 처사부군 묘표(十一代祖處士府君墓表) | 저작자 : 서찬규(徐贊奎) | 문집명 : 임재집(臨齋集)
12. 서형(徐浻) - 생몰년 : 1524 ~ 1575 | 자(字) : 청원(淸源) | 호(號) : 연정(蓮亭)
- 편목정보 : 선고 진사 부군 묘갈문(先考進士府君墓碣文) | 저작자 : 서사원(徐思遠) | 문집명 : 낙재집(樂齋集)
13. 서창(徐昌) - 생몰년 : 1526 ~ 1598 | 자(字) : 영숙(永淑) | 호(號) : 남산(南山)
- 편목정보 : 남산서공 묘갈명 병서(南山徐公墓碣銘 並序) | 저작자 : 김홍/김굉(金㙆) | 문집명 : 구와집(龜窩集)
14. 서흡/서합(徐洽) - 생몰년 : 1527 ~ 1593 | 자(字) : 덕원(德源)
- 편목정보 : 생고전교부군묘문(生考典敎府君墓文) | 저작자 : 서사원(徐思遠) | 문집명 : 낙재집(樂齋集)
15. 서해(徐嶰) - 생몰년 : 1537 ~ 1559 | 자(字) : 정지(挺之) | 호(號) : 함재(涵齋)
- 편목정보 : 대구 구암서원 묘정비명(大丘龜巖書院廟庭碑銘) | 저작자 : 서종급(徐宗伋) | 문집명 : 퇴헌유고(退軒遺稿)
- 편목정보 : 함재선생위 대구 구암서원 향사제문(涵齋先生位 大邱龜巖書院享祀祭文) | 저작자 : 서명서(徐命瑞) | 문집명 : 만옹집(晩翁集)
16. 서몽호(徐夢虎) - 생몰년 : 1539 ~ 16?? | 자(字) : 병보(炳甫)
- 편목정보 : 주부서공행장 경오(主簿徐公行狀 庚午) | 저작자 : 서찬규(徐贊奎) | 문집명 : 임재집(臨齋集)
- 편목정보 : 통정대부 선무원 종훈 훈련원주부 서공묘갈명 병 서(通政大夫宣武原從勳訓鍊院主簿徐公墓碣銘 幷 序) | 저작자 : 장석영 | 문집명 : 회당집(晦堂集)
17. 서사원(徐思遠) - 생몰년 : 1550 ~ 1615 | 자(字) : 행보(行甫) | 호(號) : 낙재(樂齋), 만오당(晩悟堂), 고시/고체(顧諟)
- 편목정보 : 제서행보 사원 문(祭徐行甫 思遠 文) | 저작자 : 정구(鄭逑) | 문집명 : 한강집(寒岡集)
- 편목정보 : 서락(악)당사원만(徐樂堂思遠挽) | 저작자 : 이호민(李好閔) | 문집명 : 오봉집(五峯集)
- 편목정보 : 서락(악)재 사원 만장(徐樂齋 思遠 挽章) | 저작자 : 장현광(張顯光) | 문집명 : 여헌집(旅軒集)
(및 총 61종)
18. 서연/서유(徐渷) - 생몰년 : 1551 ~ 1622 | 자(字) : 호원(浩源) | 호(號) : 충효재(忠孝齋)
- 편목정보 : 승사랑 행흥덕현훈도 충효재 서공행장 신축(承仕郞行興德縣訓導忠孝齋徐公行狀 辛丑) | 저작자 : 황윤석(黃胤錫) | 문집명 : 이재유고(頤齋遺藁)
19. 서성(徐渻) - 생몰년 : 1558 ~ 1631 | 자(字) : 현기(玄紀) | 호(號) : 약봉(藥峯) | 시호(諡號) : 충숙(忠肅)
- 편목정보 : 행장[김상헌](行狀[金尙憲]) | 저작자 : 김상헌(金尙憲) | 문집명 : 약봉유고(藥峯遺稿)
- 편목정보 : 有明朝鮮國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世子師。行崇祿大夫判中樞府事兼判義禁府事。知經筵春秋館事同知成均館事。五衛都摠府都摠管謚忠肅徐公神道碑銘。幷序 [金尙憲] | 저작자 : 김상헌(金尙憲) | 문집명 : 약봉유고(藥峯遺稿)
- 편목정보 : 묘지명 병서 조희일(墓誌銘 幷序 [趙希逸]) | 저작자 : 조희일(趙希逸) | 문집명 : 약봉유고(藥峯遺稿)
- 편목정보 : 가장(家狀) | 저작자 : 서성(徐渻) | 문집명 : 약봉유고(藥峯遺稿)
(및 총 77종)
* 약봉유고 중 저작자 윤휘(尹暉 : 1571년생, 1644년졸)의 祭文[世侍生長洲尹暉]에서는 '達城之後', 서종급의 퇴헌유고 중 '大丘龜巖書院廟庭碑銘'에서는 "이 대구(=지역)의 달성(惟玆大丘之達城)"과 "약봉휘성(藥峯諱渻)"을 함께 읽을 수 있다.
20. 서식(徐湜) - 생몰년 : 1561 ~ 1644 | 자(字) : 청지(淸之) | 호(號) : 명암(銘巖)
- 편목정보 : 명암서공 묘갈명 병서(銘巖徐公墓碣銘 並序) | 저작자 : 신수이(愼守彝) | 문집명 : 황고집(黃臯集)
- 편목정보 : 명암서공행장(銘巖徐公行狀) | 저작자 : 양응수(楊應秀) | 문집명 : 백수집(白水集)
21. 서경빈(徐景霦) - 생몰년 : 1576 ~ 1664 | 자(字) : 자온(子溫)
- 편목정보 : 첨지중추부사서공묘지명(僉知中樞府事徐公墓誌銘)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22. 서사선(徐思選) - 생몰년 : 1579 ~ 1651 | 자(字) : 정보(精甫) | 호(號) : 동고(東臯)
- 편목정보 : 만동고서공 사선(輓東皋徐公 思選) | 저작자 : 도신징(都愼徵) | 문집명 : 죽헌집(竹軒集)
- 편목정보 : 제동고서공문(祭東皋徐公文) | 저작자 : 도신징(都愼徵) | 문집명 : 죽헌집(竹軒集)
- 편목정보 : 예빈시 참봉 동고서공 행장(禮賓寺參奉東臯徐公行狀) | 저작자 : 류심춘(柳尋春) | 문집명 : 강고집(江皐集)
- 편목정보 : 동고서공 묘갈명(東臯徐公墓碣銘) | 저작자 : 이병원(李秉遠) | 문집명 : 소암집(所菴集)
23. 서후치(徐後稺) - 생몰년 : 1589 ~ 16?? | 자(字) : 경유(景孺)
- 편목정보 : 고조고 승훈랑 호조좌랑 부군 묘지(高祖考承訓郞戶曹佐郞府君墓誌) | 저작자 : 서창재(徐昌載) | 문집명 : 오산집(梧山集)
24. 서후행(徐後行) - 생몰년 : 1595 ~ 1671 | 자(字) : 백순(伯順) | 호(號) : 동고(東皋)
- 편목정보 : 처사동고서공묘지(處士東皋徐公墓誌) | 저작자 : 서창재(徐昌載) | 문집명 : 오산집(梧山集)
25. 서봉(徐琫) - 생몰년 : 1598 ~ 1669 | 자(字) : 덕윤(德潤) | 호(號) : 매헌(梅軒)
- 편목정보 : 예빈사 참봉 매헌 서공행장(禮賓寺參奉梅軒徐公行狀) | 저작자 : 김도행(金道行) | 문집명 : 우고집(雨皐集)
- 편목정보 : 매헌서공묘갈명 병서(梅軒徐公墓碣銘 並序) | 저작자 : 김홍/김굉(金㙆) | 문집명 : 구와집(龜窩集)
26. 서후득(徐後得) - 생몰년 : 1599 ~ 1659 | 자(字) : 중선(仲先)
- 편목정보 : 왕고선교랑부군유장(王考宣敎郞府君遺狀) | 저작자 : 서성구(徐聖耈) | 문집명 : 눌헌집(訥軒集)
27. 서정리(徐貞履) - 생몰년 : 1599 ~ 1664 | 자(字) : 면중(勉中)
- 편목정보 : 증좌찬성 서공 묘갈명(贈左贊成徐公墓碣銘) | 저작자 : 최석정(崔錫鼎) | 문집명 : 명곡집(明谷集)
- 편목정보 : 조고증좌찬성행남원부사부군묘표음기(祖考贈左贊成行南原府使府君墓表陰記)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 편목정보 : 조고증좌찬성행남원부사부군행장(祖考贈左贊成行南原府使府君行狀)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및 총 5종)
28. 서변(徐忭) - 생몰년 : 1605 ~ 1656 | 자(字) : 자경(子慶)
- 편목정보 : 천안군수증예조참의서공묘표 을묘(天安郡守贈禮曹參議徐公墓表 乙卯) | 저작자 : 유한준(兪漢雋) | 문집명 : 자저(自著)
29. 서홍리(徐弘履) - 생몰년 : 1607 ~ 1687 | 자(字) : 여중(汝重)
- 편목정보 : 서동지 홍리 만(徐同知弘履挽) | 저작자 : 민유중(閔維重) | 문집명 : 문정공유고(文貞公遺稿)
- 편목정보 : 재종조 동지중추 서공 묘지명(再從祖同知中樞徐公墓誌銘)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30. 서유원1(徐惟遠) - 생몰년 : 1610 ~ 1683 | 자(字) : 이숙(邇叔) | 호(號) : 만각재(晩覺齋)
- 편목정보 : 만각재서공묘표(晩覺齋徐公墓表) | 저작자 : 송환기(宋煥箕) | 문집명 : 성담집(性潭集)
31. 서위(徐瑋) - 생몰년 : 1615 ~ 1678 | 자(字) : 자옥(子玉) | 호(號) : 나은/라은(懶隱)
- 편목정보 : 증조 고처사부군 묘지(曾祖考處士府君墓誌) | 저작자 : 서창재(徐昌載) | 문집명 : 오산집(梧山集)
32. 서정리(徐正履) - 생몰년 : 1617 ~ 1678 | 자(字) : 여수(汝守)
- 편목정보 : 종조 파주목사 서공 묘지명(從祖坡州牧使徐公墓誌銘)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 편목정보 : 파주목사 서공 묘표(坡州牧使徐公墓表) | 저작자 : 이덕수(李德壽) | 문집명 : 서당사재(西堂私載)
33. 서진리(徐晉履) - 생몰년 : 1622 ~ 1661 | 자(字) : 계소/계조(季昭)
- 편목정보 : 직장서공 진리 묘표(直長徐公 晉履 墓表) | 저작자 : 권상하(權尙夏) | 문집명 : 한수재집(寒水齋集)
34. 서문준(徐文濬) - 생몰년 : 1625 ~ 1667 | 자(字) : 사심(士深)
- 편목정보 : 통덕랑서공묘표(通德郞徐公墓表)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35. 서숙(徐璹) - 생몰년 : 1628 ~ 1698 | 자(字) : 수옥(壽玉), 숙옥(叔玉) | 호(號) : 기암(寄菴), 야일당(野逸堂)
- 편목정보 : 만서 연(挽徐 琡) | 저작자 : 장신(張璶) | 문집명 : 금강집(錦江集)
- 편목정보 : 선고처사부군유장(先考處士府君遺狀) | 저작자 : 서성구(徐聖耈) | 문집명 : 눌헌집(訥軒集)
* 서숙에 관해 그의 후손이 작성한 한 블로그
36. 서문해(徐文海) - 생몰년 : 1629 ~ 1685 | 자(字) : 호원(浩源)
- 편목정보 : 감역서공묘표(監役徐公墓表)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37. 서문상(徐文尙) - 생몰년 : 1630 ~ 1677 | 자(字) : 국익(國益) | 호(號) : 송파(松坡), 나산(羅山)
- 편목정보 : 선고 증영의정 행병조참의 부군 묘표 음기(先考贈領議政行兵曹參議府君墓表陰記)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 편목정보 : 선고 증영의정 행병조참의 부군 묘지(先考贈領議政行兵曹參議府君墓誌)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38. 서문중(徐文重) - 생몰년 : 1634 ~ 1709 | 자(字) : 도윤(道潤) | 호(號) : 몽어정(夢漁亭) | 시호(諡號) : 공숙(恭肅)
- 편목정보 : 서영상 문중 만 기축(徐領相 文重 輓 己丑) | 저작자 : 남구만(南九萬) | 문집명 : 약천집(藥泉集)
- 편목정보 : 서상공문중만(徐相公文重挽) | 저작자 : 최석정(崔錫鼎) | 문집명 : 명곡집(明谷集)
- 편목정보 : 중부의정공제문 무자(仲父議政公祭文 戊子)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 편목정보 : 서영상 문중 만(徐領相 文重 挽) | 저작자 : 송상기(宋相琦) | 문집명 : 옥오재집(玉吾齋集)
(및 총 9종)
39. 서유리(徐裕履) - 생몰년 : 1635 ~ 1716 | 자(字) : 덕노(德老)
- 편목정보 : 부사과 서군 묘지명 병서(副司果徐君墓誌銘 幷序) | 저작자 : 이의현(李宜顯) | 문집명 : 도곡집(陶谷集)
- 편목정보 : 왕고주춘공행장(王考住春公行狀)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 편목정보 : 주춘공유사 육조(住春公遺事 六條)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40. 서문제(徐文濟) - 생몰년 : 1640 ~ 1707 | 자(字) : 도장(道章)
- 편목정보 : 외오대조 증사복시정서공묘지명(外五代祖 贈司僕寺正徐公墓誌銘) | 저작자 : 홍석주(洪奭周) | 문집명 : 연천집(淵泉集)
41. 서종회(徐宗誨) - 생몰년 : 1649 ~ 1693 | 자(字) : 자승(子承)
- 편목정보 : 증사복시정 서공 묘갈명 병서(贈司僕寺正徐公墓碣銘 幷序) | 저작자 : 이항로(李恒老) | 문집명 : 화서집(華西集)
- 편목정보 : 사복시정 서공 종회 행장(司僕寺正徐公 宗誨 行狀) | 저작자 : 조병덕(趙秉悳) | 문집명 : 숙재집(肅齋集)
42. 서천건(徐天健) - 생몰년 : 1651 ~ 1691 | 자(字) : 이강(以强)
- 편목정보 : 만삼종형 천건 병서(輓三從兄 天健○幷序) | 저작자 : 서성구(徐聖耈) | 문집명 : 눌헌집(訥軒集)
- 편목정보 : 조고처사부군묘지(祖考處士府君墓誌) | 저작자 : 서창재(徐昌載) | 문집명 : 오산집(梧山集)
43. 서문유(徐文裕) - 생몰년 : 1651 ~ 1707 | 자(字) : 계용(季容) | 호(號) : 만산(晩山)
- 편목정보 : 서계용만(徐季容挽) | 저작자 : 최석항(崔錫恒) | 문집명 : 손와유고(損窩遺稿)
- 편목정보 : 서판서 문유 만(徐判書 文裕 輓) | 저작자 : 최창대(崔昌大) | 문집명 : 곤윤집(昆侖集)
- 편목정보 : 예조판서증좌찬성서공묘비명(禮曹判書贈左贊成徐公墓碑銘) | 저작자 : 이덕수(李德壽) | 문집명 : 서당사재(西堂私載)
(및 총 7종)
44. 서종적(徐宗積) - 생몰년 : 1651 ~ 1724 | 자(字) : 중차/중거(仲車)
- 편목정보 : 서윤 증이조참판 서공 묘갈명(庶尹贈吏曹參判徐公墓碣銘) | 저작자 : 서종급(徐宗伋) | 문집명 : 퇴헌유고(退軒遺稿)
45. 서종태(徐宗泰) - 생몰년 : 1652 ~ 1719 | 자(字) : 노망(魯望), 군망(君望) | 호(號) : 만정당(晩靜堂), 서곡(瑞谷), 송애(松厓) | 시호(諡號) : 문효(文孝)
- 편목정보 : 제서상국 종태 문(祭徐相國 宗泰 文) | 저작자 : 송상기(宋相琦) | 문집명 : 옥오재집(玉吾齋集)
- 편목정보 : 의정부 영의정 서공 묘지명(議政府領議政徐公墓誌銘) | 저작자 : 이덕수(李德壽) | 문집명 : 서당사재(西堂私載)
- 편목정보 : 왕세자 견궁관 졸 행판부사 서종태 치제문(王世子遣宮官卒行判府事徐宗泰致祭文) | 저작자 : 조태억(趙泰億) | 문집명 : 겸재집(謙齋集)
(및 총 4종)
46. 서종헌(徐宗憲) - 생몰년 : 1656 ~ 1712 | 자(字) : 치도(致度/致道)
- 편목정보 : 서참의 치도 만(徐參議 致度 挽) | 저작자 : 최석항(崔錫恒) | 문집명 : 손와유고(損窩遺稿)
- 편목정보 : 관찰사 서공 묘갈명 기해(觀察使徐公墓碣銘 己亥) | 저작자 : 최창대(崔昌大) | 문집명 : 곤윤집(昆侖集)
- 편목정보 : 강원도관찰사 서공 신도비명 병서(江原道觀察使徐公神道碑銘 幷序) | 저작자 : 이덕수(李德壽) | 문집명 : 서당사재(西堂私載)
47. 서종제(徐宗悌) - 생몰년 : 1656 ~ 1719 | 자(字) : 효숙(孝叔) | 시호(諡號) : 효희(孝僖) | 봉호 : 달성부원군(達城府院君)
- 편목정보 : 달성부원군 서공 시장(達城府院君徐公諡狀) | 저작자 : 이관명(李觀命) | 문집명 : 병산집(屛山集)
- 편목정보 : 서신천 종제 만(徐信川 宗悌 挽) | 저작자 : 이건명(李健命) | 문집명 : 한포재집(寒圃齋集)
- 편목정보 : 증달성부원군 효희 서공 묘표(贈達城府院君孝僖徐公墓表) | 저작자 : 이의현(李宜顯) | 문집명 : 도곡집(陶谷集)
(및 총 10종)
48. 서문택(徐文澤) - 생몰년 : 1657 ~ 1706 | 자(字) : 윤장(潤章)
- 편목정보 : 광흥창주부 서공묘지명 병서(廣興倉主簿徐公墓誌銘 幷序) | 저작자 : 이의현(李宜顯) | 문집명 : 도곡집(陶谷集)
- 편목정보 : 주부서공묘갈(主簿徐公墓碣) | 저작자 : 이재(李縡) | 문집명 : 도암집(陶菴集)
- 편목정보 : 선부군가장(先府君家狀) | 저작자 : 서종급(徐宗伋) | 문집명 : 퇴헌유고(退軒遺稿)
49. 서유원2(徐惟遠) - 생몰년 : 1658 ~ 1719 | 자(字) : 미상 | 호(號) : 만인당(萬仞堂)
- 편목정보 : 만인당서공 유원 묘표(萬仞堂徐公 惟遠 墓表) | 저작자 : 송병순(宋秉珣) | 문집명 : 심석재집(心石齋集)
50. 서종노(徐宗魯) - 생몰년 : 1658 ~ 1684 | 자(字) : 군득(君得)
- 편목정보 : 당제군득상사군유사 경오(堂弟君得上舍君遺事 庚午)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51. 서종진(徐宗愼) - 생몰년 : 1658 ~ 1726 | 자(字) : 사숙(思叔)
- 편목정보 : 선공감감역관증이조참판서공묘갈명 병서(繕工監監役官 贈吏曹參判徐公墓碣銘 幷序) | 저작자 : 남유용(南有容) | 문집명 : 뇌연집(雷淵集)
- 편목정보 : 선공감감역증이조참판서공 행장(繕工監監役 贈吏曹參判徐公行狀) | 저작자 : 서종급(徐宗伋) | 문집명 : 퇴헌유고(退軒遺稿)
52. 서종일(徐宗一) - 생몰년 : 1661 ~ 1732 | 자(字) : 관경(貫卿)
- 편목정보 : 서판결사 종일 만(徐判决事 宗一 挽) | 저작자 : 조문명(趙文命) | 문집명 : 학암집(鶴巖集)
- 편목정보 : 서판결사 종일 만(徐判决事 宗一 挽) | 저작자 : 윤봉조(尹鳳朝) | 문집명 : 포암집(圃巖集)
- 편목정보 : 판결사 서공 묘비(判決事徐公墓碣) | 저작자 : 서명응(徐命膺) | 문집명 : 보만재집(保晚齋集)
- 편목정보 : 제사판사공 휘 종일 문 대가대인작(祭判决事公 諱宗一 文 代家大人作)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53. 서문영(徐文永) - 이칭 : 서영희(徐永禧) | 생몰년 : 1662 ~ 1739 | 자(字) : 영숙(永叔) | 호(號) : 노주/로주(鷺洲)
- 편목정보 : 추만서찰방(追挽徐察訪) | 저작자 : 이재(李縡) | 문집명 : 도암집(陶菴集)
- 편목정보 : 찰방서공묘갈(察訪徐公墓碣) | 저작자 : 이재(李縡) | 문집명 : 도암집(陶菴集)
- 편목정보 : 선고노주공행상(先考鷺洲公行狀)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 편목정보 : 노주공유사 구조(鷺洲公遺事 九條)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54. 서종기(徐宗沂) - 생몰년 : 1663 ~ 1729 | 자(字) : 노원(魯源)
- 편목정보 : 공릉참봉 서공 묘표(恭陵參奉徐公墓表) | 저작자 : 이덕수(李德壽) | 문집명 : 서당사재(西堂私載)
55. 서성구(徐聖耈) - 생몰년 : 1663 ~ 1735 | 자(字) : 희언(希彥) | 호(號) : 눌헌(訥軒), 운곡(雲谷)
- 편목정보 : 가장[서창재](家狀[徐昌載]) | 저작자 : 서창재(徐昌載) | 문집명 : 눌헌집(訥軒集)
- 편목정보 : 행장[김도화](行狀[金道和]) | 저작자 : 김도화(金道和) | 문집명 : 눌헌집(訥軒集)
- 편목정보 : 묘지명[조보양](墓誌銘[趙普陽]) | 저작자 : 조보양(趙普陽) | 문집명 : 눌헌집(訥軒集)
(및 총 43종)
56. 서종대(徐宗大) - 생몰년 : 1664 ~ 1716 | 자(字) : 중칙(仲則)
- 편목정보 : 외고조 증이조참의 서공 묘지명(外高祖 贈吏曹參議徐公墓誌銘) | 저작자 : 홍석주(洪奭周) | 문집명 : 연천집(淵泉集)
57. 서중선(徐重宣) - 생몰년 : 1665 ~ 1750 | 자(字) : 미상
- 편목정보 : 증공조참판 서군 묘표(贈工曹參判徐君墓表) | 저작자 : 서종급(徐宗伋) | 문집명 : 퇴헌유고(退軒遺稿)
58. 서명륜(徐命倫) - 생몰년 : 1672 ~ 1699 | 자(字) : 이정(彝正)
- 편목정보 : 망아묘표음기(亡兒墓表陰記)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 편목정보 : 망아묘지(亡兒墓誌) | 저작자 : 서종태(徐宗泰) | 문집명 : 만정당집(晩靜堂集)
59. 서명부(徐命孚) - 생몰년 : 16?? ~ 17?? | 자(字) : 중실(仲實)
- 편목정보 : 서씨가전(徐氏家傳) | 저작자 : 성해응(成海應) | 문집명 :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60. 서명연(徐命淵) - 생몰년 : 1673 ~ 1735 | 자(字) : 지숙(止叔)
- 편목정보 : 충청도관찰사 서공 묘지명(忠淸道觀察使徐公墓誌銘) | 저작자 : 이덕수(李德壽) | 문집명 : 서당사재(西堂私載)
61. 서만유(徐萬維) - 생몰년 : 1680 ~ 1739 | 자(字) : 여장(汝張)
- 편목정보 : 서상사 만유 묘지(徐上舍 萬維 墓誌) | 저작자 : 김서일(金瑞一) | 문집명 : 전긍재집(戰兢齋集)
62. 서명균(徐命均) - 생몰년 : 1680 ~ 1745 / 자(字) : 평보(平甫) | 호(號) : 보졸재(保拙齋) | 시호(諡號) : 문익(文翼)
- 편목정보 : 좌의정서공묘지명 병서(左議政徐公墓誌銘 幷序) | 저작자 : 이종성(李宗城) | 문집명 : 오천집(梧川集)
- 편목정보 : 제령부사공휘명균 문(祭領府事公 諱命均 文)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63. 서종섭(徐宗燮) - 생몰년 : 1680 ~ 1734 | 자(字) : 숙화(叔和)
- 편목정보 : 서참의 종섭 만(徐參議 宗燮 輓) | 저작자 : 조관빈(趙觀彬) | 문집명 : 회헌집(悔軒集)
- 편목정보 : 서참의 종섭 만(徐參議 宗燮 輓) | 저작자 : 오원(吳瑗) | 문집명 : 월곡집(月谷集)
- 편목정보 : 숙씨 이조참의공 묘지명(叔氏吏曹參議公墓誌銘) | 저작자 : 서종급(徐宗伋) | 문집명 : 퇴헌유고(退軒遺稿)
64. 서명무(徐命茂) - 생몰년 : 1681 ~ 1740 | 자(字) : 미경(美卿), 미재(美哉)
- 편목정보 : 풍덕부사 서공 묘표(豐德府使徐公墓表) | 저작자 : 서명응(徐命膺) | 문집명 : 보만재집(保晚齋集)
- 편목정보 : 풍덕부사 서공 명무 묘지명 병서(豐德府使徐公 命茂 墓誌銘 幷序) | 저작자 : 이?(李?) | 문집명 : 동강유고(桐江遺稿)
65. 서종업(徐宗業) - 생몰년 : 1683 ~ 1724 | 자(字) : 대숙(大叔)
- 편목정보 : 의금부도사 서공 묘지명 병서(義禁府都事徐公墓誌銘 幷序) | 저작자 : 남유용(南有容) | 문집명 : 뇌연집(雷淵集)
66. 서명순(徐命純) - 생몰년 : 1684 ~ 1754 | 자(字) : 수보(粹甫) | 호(號) : 칩옹(蟄翁)
- 편목정보 : 군자감정 증이조참판 서공 묘지명(軍資監正贈吏曹參判徐公墓誌銘) | 저작자 : 이광려(李匡呂) | 문집명 : 이참봉집(李參奉集)
67. 서종준(徐宗峻) - 생몰년 : 1686 ~ 1753 | 자(字) : 사앙(士仰)
- 편목정보 : 가장(家狀) | 저작자 : 서명서(徐命瑞) | 문집명 : 만옹집(晩翁集)
68. 서명형(徐命珩) - 생몰년 : 1687 ~ 1750 | 자(字) : 행옥(行玉)
- 편목정보 : 가선대부 행승정원도승지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예문관직제학, 상서원정서공신도비명.병서(嘉善大夫行承政院都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藝文館直提學,尙瑞院正徐公神道碑銘。幷序) | 저작자 : 황경원(黃景源) | 문집명 : 강한집(江漢集)
- 편목정보 : 서감사행옥 명형 만(徐監司行玉 命珩 挽) | 저작자 : 정기안(鄭基安) | 문집명 : 만모유고(晩慕遺稿)
- 편목정보 : 제서행옥 명형 문(祭徐行玉 命珩 文) | 저작자 : 정기안(鄭基安) | 문집명 : 만모유고(晩慕遺稿)
69. 서종옥(徐宗玉) - 생몰년 : 1688 ~ 1745 | 자(字) : 온숙(溫叔) | 호(號) : 인재(訒齋), 학서(鶴西) | 시호(諡號) : 문민(文敏)
- 편목정보 : 서판서 종옥 만(徐判書 宗玉 輓) | 저작자 : 조현명(趙顯命) | 문집명 : 귀록집(歸鹿集)
- 편목정보 : 이조판서 서공 신도비명(吏曹判書徐公神道碑銘) | 저작자 : 조현명(趙顯命) | 문집명 : 귀록집(歸鹿集)
- 편목정보 : 선고 문민공 부군 묘표(先考文敏公府君墓表) | 저작자 : 서명응(徐命膺) | 문집명 : 보만재집(保晚齋集)
(및 총 9종)
70. 서종급(徐宗伋) - 생몰년 : 1688 ~ 1762 | 자(字) : 여사(汝思) | 호(號) : 퇴헌(退軒), 지계(芝溪)
- 편목정보 : 제서봉조하 종급 문(祭徐奉朝賀 宗伋 文) | 저작자 : 유척기/유탁기(兪拓基) | 문집명 : 지수재집(知守齋集)
- 편목정보 : 이조판서 치사서공 묘지명 병서(吏曹判書致仕徐公墓誌銘 幷序) | 저작자 : 남유용(南有容) | 문집명 : 뇌연집(雷淵集)
- 편목정보 : 묘지명 남유용찬(墓誌銘 南有容撰) | 저작자 : 서종급(徐宗伋) | 문집명 : 퇴헌유고(退軒遺稿)
(및 총 35종)
* 수록된 편목 4번의 퇴헌유고(退軒遺稿)[墓誌 b069_212c] 자료에서 '仍係以銘。公諱▣▣字▣▣。其先(=조상, 가계)達城人' 문구 중 "諱▣▣字▣▣"는 특정한 글자가 지워졌음을 암시한다. 원문이미지의 389페이지에서도 '諱'와 '字', 그리고 '字'와 '其' 사이에 무엇인가 비어있음이 확인된다. 그 실체는 명확하지 않으나 추정하자면 한 인물의 이름과 자(字)이다.[70] 그다음 문장인 "鼻祖 閈 高麗中郞將。自後冠冕聯綿。"는, "원조 閈(?)[71] 고려 중랑장. 그 뒤로 관면(=벼슬하는 것)이 이어져 있다."-로 해석된다.
71. 서명훈(徐命勳) - 생몰년 : 1691 ~ 1733 | 자(字) : 성흠(聖欽)
- 편목정보 : 외증조현령증이조참판서공묘지명(外曾祖縣令贈吏曹參判徐公墓誌銘) | 저작자 : 홍석주(洪奭周) | 문집명 : 연천집(淵泉集)
- 편목정보 : 제당질현령 명훈 문(祭堂姪縣令 命勳 文) | 저작자 : 서종급(徐宗伋) | 문집명 : 퇴헌유고(退軒遺稿)
72. 서명구(徐命九) - 생몰년 : 1692 ~ 1754 | 자(字) : 우경(虞卿) | 호(號) : 약허(若虛)
- 편목정보 : 사헌부대사헌서공신도비명 병서(司憲府大司憲徐公神道碑銘 幷序) | 저작자 : 남유용(南有容) | 문집명 : 뇌연집(雷淵集)
- 편목정보 : 대사헌서공묘갈명 병서(大司憲徐公墓碣銘 幷序) | 저작자 : 이천보(李天輔) | 문집명 : 진암집(晉菴集)
- 편목정보 : 가선대부사헌부대사헌겸동지춘추관사서공묘지명 병서(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兼同知春秋館事徐公墓誌銘 幷序) | 저작자 : 황경원(黃景源) | 문집명 : 강한집(江漢集)
- 편목정보 : 서참판 명구 만(徐參判 命九 挽) | 저작자 : 윤봉오(尹鳳五) | 문집명 : 석문집(石門集)
73. 서종벽(徐宗璧) - 생몰년 : 1696 ~ 1751 | 자(字) : 국보(國寶)
- 편목정보 : 계부목사공묘갈(季父牧使公墓碣) | 저작자 : 서명응(徐命膺) | 문집명 : 보만재집(保晚齋集)
74. 서명장(徐命長) - 생몰년 : 1698 ~ 1767 | 자(字) : 선백(善伯)
- 편목정보 : 사산감역서공행장(四山監役徐公行狀) | 저작자 : 서형수(徐瀅修) | 문집명 : 명고전집(明皐全集)
- 편목정보 : 감역서공행장(監役徐公行狀) | 저작자 : 임헌회(任憲晦) | 문집명 : 고산집(鼓山集)
* 동래정씨문경공파종중 사이트 "松涯公(諱 東後/22世)의 넷째사위 달성(達城) 서명장(徐命長)"
75. 서종화(徐宗華) - 생몰년 : 1700 ~ 1748 | 자(字) : 사진(士鎭) | 호(號) : 약헌(藥軒), 거이(居夷)
- 편목정보 : 가장[서명인](家狀[徐命寅]) | 저작자 : 서명인(徐命寅)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76. 서명보(徐命寶) - 생몰년 : 1704 ~ 1728 | 자(字) : 사온(士蘊) | 호(號) : 용재(勇齋)
- 편목정보 : 곡용재문(哭勇齋文)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 편목정보 : 재곡용재문(再哭勇齋文)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 편목정보 : 삼곡용재문 곡용재문 범구장 다서일 소존지차(三哭勇齋文 哭勇齋文。凡九章。多閪逸。所存止此。)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 편목정보 : 용재행상(勇齋行狀)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77. 서종해(徐宗海) - 생몰년 : 1704 ~ 1762 | 자(字) : 사함(士涵) | 호(號) : 경은(經隱)
- 편목정보 : 경은서공 묘지명 병서(經隱徐公墓誌銘 幷序) | 저작자 : 임헌회(任憲晦) | 문집명 : 고산집(鼓山集)
78. 서진(徐晉) - 생몰년 : 17?? ~ 17?? | 자(字) : 명숙(明叔)
- 편목정보 : 서씨가전(徐氏家傳) | 저작자 : 성해응(成海應) | 문집명 :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79. 서명보(徐命普) - 생몰년 : 1704 ~ 1778 | 자(字) : 화극(華極) | 호(號) : 북곽/배곽(北郭)
- 편목정보 : 학생 서공묘갈명병서○임술(學生徐公墓碣銘 幷序○壬戌) | 저작자 : 김희순(金羲淳) | 문집명 : 산목헌집(山木軒集)
80. 서명익(徐命翼) - 생몰년 : 1709 ~ 1729 | 자(字) : 경보(敬甫)
- 편목정보 : 백부 증이조판서 부군 묘지명(伯父贈吏曹判書府君墓誌銘) | 저작자 : 서형수(徐瀅修) | 문집명 : 명고전집(明皐全集)
- 편목정보 : 제경보 휘명익 문(祭敬甫 諱命翼 文)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81. 서일수(徐日修) - 생몰년 : 1709 ~ 1776 | 자(字) : 신지(新之)
- 편목정보 : 충주목사 서공 묘지명(忠州牧使徐公墓誌銘) | 저작자 : 서영보(徐榮輔) | 문집명 : 죽석관유집(竹石館遺集)
82. 서명서(徐命瑞) - 생몰년 : 1711 ~ 1795 | 자(字) : 백오(伯五) | 호(號) : 만옹(晩翁) | 시호(諡號) : 정간(貞簡)
- 편목정보 : 종환실기(從宦實記) | 저작자 : 서명서(徐命瑞) | 문집명 : 만옹집(晩翁集)
- 편목정보 : 사제문 을묘치제[지제교 이경운제진](賜祭文 乙卯致祭 [知製敎李庚運製進]) | 저작자 : 이경운(李庚運) | 문집명 : 만옹집(晩翁集)
83. 서명창(徐命昌) - 생몰년 : 1713 ~ 1730 | 자(字) : 덕재(德哉)
- 편목정보 : 족질명창묘지(族姪命昌墓誌)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84. 서효수(徐孝修) - 생몰년 : 1716 ~ 1753 | 자(字) : 여원(汝源)
- 편목정보 : 통훈대부 행홍문관수찬지제교 겸 경연검토관 춘추관기사관,남학교수,한학교수,세자시강원문학 증자헌대부 이조판서 서공 묘갈명 병서(通訓大夫行弘文館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南學敎授,漢學敎授,世子侍講院文學贈資憲大夫吏曹判書徐公墓碣銘 幷序) | 저작자 : 황경원(黃景源) | 문집명 : 강한집(江漢集)
85. 서무수(徐懋修) - 생몰년 : 1716 ~ 1785 | 자(字) : 욱지(勖之) | 호(號) : 수헌(秀軒)
- 편목정보 : 수헌공묘지(秀軒公墓誌) | 저작자 : 서영보(徐榮輔) | 문집명 : 죽석관유집(竹石館遺集)
86. 서명응(徐命膺) - 생몰년 : 1716 ~ 1787 | 자(字) : 군수(君受) | 호(號) : 보만재(保晩齋), 염계(恬溪), 담옹(澹翁) | 시호(諡號) : 문정(文靖)
- 편목정보 : 자표(自表) | 저작자 : 서명응(徐命膺) | 문집명 : 보만재집(保晚齋集)
- 편목정보 : 본생선고문정공부군행장(本生先考文靖公府君行狀) | 저작자 : 서형수(徐瀅修) | 문집명 : 명고전집(明皐全集)
- 편목정보 : 문정공서명응치제문(文靖公徐命膺致祭文) | 저작자 : 정조(正祖) | 문집명 : 홍재전서(弘齋全書)
- 편목정보 : 제왕부보만재선생문(祭王父保晩齋先生文)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87. 서명헌(徐命憲) - 생몰년 : 1722 ~ 1791 | 자(字) : 성중(聖仲)
- 편목정보 : 감역 증이조참판 서공묘지명 병서○을묘(監役贈吏曹參判徐公墓誌銘 幷序○乙卯) | 저작자 : 유한준(兪漢雋) | 문집명 : 자저(自著)
- 편목정보 : 증이조참판 서공묘갈명(贈吏曹參判徐公墓碣銘) | 저작자 : 이서구(李書九) | 문집명 : 척재집(惕齋集)
88. 서건수(徐健修) - 생몰년 : 1723 ~ 1753 | 자(字) : 원지(元之)
- 편목정보 : 서씨가전(徐氏家傳) | 저작자 : 성해응(成海應) | 문집명 :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89. 서명현(徐命顯) - 생몰년 : 1724 ~ 1743 | 자(字) : 사순(士純) | 호(號) : 심원(心遠)
- 편목정보 : 서군묘표(徐君墓表) | 저작자 : 윤봉조(尹鳳朝) | 문집명 : 포암집(圃巖集)
- 편목정보 : 학생 서군 묘지(學生徐君墓誌) | 저작자 : 이재(李縡) | 문집명 : 도암집(陶菴集)
- 편목정보 : 제서서사순 명현 문(祭徐婿士純 命顯 文) | 저작자 : 유척기(兪拓基) | 문집명 : 지수재집(知守齋集)
(및 총 5종)
90. 서형수(徐逈修) - 생몰년 : 1725 ~ 1778 | 자(字) : 사의(士毅) | 호(號) : 직재/치재(直齋)
- 편목정보 : 제서사의 형수 문(祭徐士毅 逈修 文) | 저작자 : 김종수(金鍾秀) | 문집명 : 몽오집(夢梧集)
- 편목정보 : 외조 강원도관찰사 서공 묘갈명(外祖江原道觀察使徐公墓碣銘) | 저작자 : 홍석주(洪奭周) | 문집명 : 연천집(淵泉集)
- 편목정보 : 제외구문(祭外舅文) | 저작자 : 홍인모(洪仁謨) | 문집명 : 족수당집(足睡堂集)
91. 서명선(徐命善) - 생몰년 : 1725 ~ 1791 | 자(字) : 계중(繼仲) | 시호(諡號) : 충문(忠文), 충헌(忠憲)
- 편목정보 : 제중부충문공문(祭仲父忠文公文) | 저작자 : 서형수(徐瀅修) | 문집명 : 명고전집(明皐全集)
- 편목정보 : 중부충문공부군묘표(仲父忠文公府君墓表) | 저작자 : 서형수(徐瀅修) | 문집명 : 명고전집(明皐全集)
- 편목정보 : 충헌공 서명선 성복일 치제문(忠憲公徐命善成服日致祭文) | 저작자 : 정조(正祖) | 문집명 : 홍재전서(弘齋全書)
- 편목정보 : 충헌공 서명선 안장일 치제문(忠憲公徐命善安葬日致祭文) | 저작자 : 정조(正祖) | 문집명 : 홍재전서(弘齋全書)
(및 총 11종)
92. 서창재(徐昌載) - 생몰년 : 1726 ~ 1781 | 자(字) : 상보(尙甫) | 호(號) : 오산(梧山)
- 편목정보 : 오산처사 서공행장(梧山處士徐公行狀) | 저작자 : 이상정(李象靖) | 문집명 : 대산집(大山集)
- 편목정보 : 처사서공묘지명(處士徐公墓誌銘) | 저작자 : 채제공(蔡濟恭) | 문집명 : 번암집(樊巖集)
- 편목정보 : 만서상보 창재(挽徐尙甫 昌載) | 저작자 : 류도원(柳道源) | 문집명 : 노애집(蘆厓集)
(및 총 32종)
93. 서창경(徐昌鏡) - 생몰년 : 1726 ~ 1799 | 자(字) : 정보(正甫) | 호(號) : 사천(沙川)
- 편목정보 : 처사서공행록(處士徐公行錄) | 저작자 : 조술도(趙述道) | 문집명 : 만곡집(晩谷集)
- 편목정보 : 처사사천서공 묘지명 병서 신미(處士沙川徐公墓誌銘 幷序○辛未) | 저작자 : 김굉(金㙆) | 문집명 : 구와집(龜窩集)
- 편목정보 : 만서장 창경(輓徐丈 昌鏡) | 저작자 : 황룡한(黃龍漢) | 문집명 : 정와집(貞窩集)
94. 서유경(徐有慶) - 생몰년 : 1727 ~ 1788 | 자(字) : 군선(君善)
- 편목정보 : 서판서 유경 만(徐判書 有慶 輓) | 저작자 : 김익(金熤) | 문집명 : 죽하집(竹下集)
- 편목정보 : 서판서 유경 만(徐判書 有慶 輓) | 저작자 : 김종수(金鍾秀) | 문집명 : 몽오집(夢梧集)
- 편목정보 : 만서판서 유경(輓徐判書 有慶) | 저작자 : 김재찬(金載瓚) | 문집명 : 해석유고(海石遺稿)
(및 총 5종)
95. 서유경(徐有敬) - 생몰년 : 17?? ~ ? | 자(字) : 미상(未詳)
- 편목정보 : 서효자정려기(徐孝子旌閭記) | 저작자 : 기정진(奇正鎭) | 문집명 : 노사집(蘆沙集)
96. 서유관(徐有觀) - 생몰년 : 1728 ~ 1760 | 자(字) : 내빈(乃賓) | 호(號) : 파재(笆齋)
- 편목정보 : 증동몽교관 파재서공 행장(贈童蒙敎官笆齋徐公行狀) | 저작자 : 이종상(李鍾祥) | 문집명 : 정헌집(定軒集)
97. 서성철(徐聖喆) - 생몰년 : 1728 ~ 1800 | 자(字) : 중협(仲協)
- 편목정보 : 통덕랑 서공묘갈명 병서(通德郞徐公墓碣銘 幷序) | 저작자 : 이수인(李樹仁) | 문집명 : 구암집(懼庵集)
98. 서동린(徐銅麟) - 생몰년 : 1729 ~ 1730 | 자(字) : 미상(未詳)
- 편목정보 : 유자광지명(猶子壙誌銘)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99. 서명성(徐命誠) - 생몰년 : 1731 ~ 1750 | 자(字) : 자명(自明) | 호(號) : 경재(絅齋)
- 편목정보 : 서랑명성묘표(徐郞命誠墓表) | 저작자 : 조현명(趙顯命) | 문집명 : 귀록집(歸鹿集)
- 편목정보 : 제서랑명성문(祭徐郞命誠文) | 저작자 : 조현명(趙顯命) | 문집명 : 귀록집(歸鹿集)
- 편목정보 : 제계제자명문(祭季弟自明文) | 저작자 : 서명응(徐命膺) | 문집명 : 보만재집(保晚齋集)
(및 총 6종)
100. 서유대(徐有大) - 생몰년 : 1732 ~ 1802 | 자(字) : 자겸(子謙) | 호(號) : 만포(晩圃) | 시호(諡號) : 무익(武翼)
- 편목정보 : 서훈장 유대 애사(徐訓將 有大 哀辭) | 저작자 : 성대중(成大中) | 문집명 : 청성집(靑城集)
- 편목정보 : 정헌대부 한성부 판윤 겸 지의금부 훈련원사 오위도경관 서공유대 행장(正憲大夫漢城府判尹兼知義禁府訓鍊院事五衛都捴管徐公 有大 行狀) | 저작자 : 성해응(成海應) | 문집명 :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 편목정보 : 서대장 유대 만(徐大將 有大 輓) | 저작자 : 홍석주(洪奭周) | 문집명 : 연천집(淵泉集)
(및 총 8종)
101. 서명민(徐命敏) - 생몰년 : 1733 ~ 1781 | 자(字) : 덕중(德仲)
- 편목정보 : 황주목사서공묘갈명 병서(黃州牧使徐公墓碣銘 幷序) | 저작자 : 홍양호(洪良浩) | 문집명 : 이계집(耳溪集)
- 편목정보 : 서서윤 명민 만(徐庶尹 命敏 挽) | 저작자 : 김종수(金鍾秀) | 문집명 : 몽오집(夢梧集)
102. 서유신(徐有臣) - 생몰년 : 1735 ~ 1800 | 자(字) : 순오(舜五) | 시호(諡號) : 문정(文貞)
- 편목정보 : 봉조하 서유신 사제문 경신(奉朝賀徐有臣賜祭文 庚申) | 저작자 : 이만수(李晩秀) | 문집명 : 극원유고(屐園遺稿)
- 편목정보 : 대제학서공시장(大提學徐公謚狀) | 저작자 : 이만수(李晩秀) | 문집명 : 극원유고(屐園遺稿)
103. 서유진(徐有晉) - 생몰년 : 17?? ~ 1764 | 자(字) : 명숙(明叔)
- 편목정보 : 서씨가전(徐氏家傳) | 저작자 : 성해응(成海應) | 문집명 :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104. 서호수(徐浩修) - 생몰년 : 1736 ~ 1799 | 자(字) : 양직/양치(養直) | 시호(諡號) : 문민(文敏)
- 편목정보 : 제백씨판서공문(祭伯氏判書公文) | 저작자 : 서형수(徐瀅修) | 문집명 : 명고전집( 明皐全集)
- 편목정보 : 본생선고 문민공 묘표(本生先考文敏公墓表)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105. 서철린(徐鐵麟) - 생몰년 : 1737 ~ 1738 | 자(字) : 미상(未詳)
- 편목정보 : 제삼아광지(第三兒壙誌) | 저작자 : 서종화(徐宗華) | 문집명 : 약헌유집(藥軒遺集)
106. 서길수(徐吉修) - 생몰년 : 1737 ~ 1759 | 자(字) : 미상(未詳)
- 편목정보 : 종손길수광지(從孫吉修壙誌) | 저작자 : 서종급(徐宗伋) | 문집명 : 퇴헌유고(退軒遺稿)
107. 서종윤(徐宗胤) - 생몰년 : 1740 ~ 1777 | 자(字) : 치승(穉承) | 호(號) : 연사(烟沙)
- 편목정보 : 제종윤질문 무술(祭宗胤姪文 戊戌) | 저작자 : 서창재(徐昌載) | 문집명 : 오산집(梧山集)
- 편목정보 : 서치승 종윤 뇌어 병소서(徐穉承 宗胤 誄語 幷小序) | 저작자 : 황용한(黃龍漢) | 문집명 : 정와집(貞窩集)
- 편목정보 : 망우서군행록(亡友徐君行錄) | 저작자 : 황용한(黃龍漢) | 문집명 : 정와집(貞窩集)
- 편목정보 : 연사처사 서공 묘지명 병서(烟沙處士徐公墓誌銘 幷序) | 저작자 : 이인행(李仁行) | 문집명 : 신야집(新野集)
108. 서유항(徐有恒) - 생몰년 : 1747 ~ 1768 | 자(字) : 치구(穉久)
- 편목정보 : 학생서군 유항 행장(學生徐君 有恒 行狀) | 저작자 : 김종후(金鍾厚) | 문집명 : 본암집(本庵集)
- 편목정보 : 서생 유항 애사(徐生 有恒 哀辭) | 저작자 : 김종후(金鍾厚) | 문집명 : 본암집(本庵集)
- 편목정보 : 서생 유항 애사 벙서(徐生 有恒 哀辭 幷序) | 저작자 : 김종수(金鍾秀) | 문집명 : 몽오집(夢梧集)
- 편목정보 : 서유항애사 신축(徐有恒哀辭 辛丑) | 저작자 : 유한준(兪漢雋) | 문집명 : 자저(自著)
109. 서부수(徐富修) - 생몰년 : 1747 ~ 1781 | 자(字) : 계학(季學)
- 편목정보 : 학생서공 부수 묘지명 병서(學生徐公 富修 墓誌銘 並序) | 저작자 : 김정묵(金正默) | 문집명 : 과재유고(過齋遺稿)

110. 서유병(徐有秉) - 생몰년 : 1748 ~ 1799 | 자(字) : 이백(彝伯)
- 편목정보 : 백구행좌승지석공묘지명(伯舅行左承旨徐公墓誌銘) | 저작자 : 홍석주(洪奭周) | 문집명 : 연천집(淵泉集)
111. 서형수(徐瀅修) - 생몰년 : 1749 ~ 1824 | 자(字) : 유청(幼淸), 여림(汝琳) | 호(號) : 명고(明臯), 오여(五如)
- 편목정보 : 제중부오여선생문(祭仲父五如先生文)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 편목정보 : 중부명고선생자지추기(仲父明皋先生自誌追記)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112. 서철수(徐澈修) - 생몰년 : 1749 ~ 1829 | 자(字) : 사형(士泂)
- 편목정보 : 선고 증이조판서 부군 묘표(先考贈吏曹判書府君墓表)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113. 서한보(徐漢輔) - 생몰년 : ? ~ 18?? | 자(字) : 미상(未詳)
- 편목정보 : 서효자 정려기(徐孝子旌閭記) | 저작자 : 기정진(奇正鎭) | 문집명 : 노사집(蘆沙集)
114. 서필원(徐弼元) - 생몰년 : 1750 ~ 1779 | 자(字) : 미상(未詳)
- 편목정보 : 서효자행록(徐孝子行錄) | 저작자 : 이종기(李種杞) | 문집명 : 만구집(晩求集)
- 편목정보 : 서효자 묘비명 병서(徐孝子墓誌銘 並序) | 저작자 : 이승희(李承煕) | 문집명 : 대계집(大溪集)
115. 서유기(徐有沂) - 생몰년 : 1751 ~ 1820 | 자(字) : 성유(聖游)
- 편목정보 : 사간원사간서공묘갈명(司諫院司諫徐公墓碣銘) | 저작자 : 강필효(姜必孝) | 문집명 : 해은유고(海隱遺稿)
116. 서미수(徐美修) - 생몰년 : 1752 ~ 1809 | 자(字) : 오여(五汝), 공미(公美) | 호(號) : 담포(澹圃)
- 편목정보 : 행승정원 도승지 서공묘지명(行承政院都承旨徐公墓誌銘) | 저작자 : 이서구(李書九) | 문집명 : 척재집(惕齋集)
- 편목정보 : 승정원 도승지 서공 신도비명병서(承政院都承旨徐公神道碑銘 幷序)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117. 서유교(徐有敎) - 생몰년 : 1755 ~ 1812 | 자(字) : 주경(胄卿)
- 편목정보 : 영천군수 서공 묘지명 병서(永川郡守徐公墓誌銘 幷序) | 저작자 : 서영보(徐榮輔) | 문집명 : 죽석관유집(竹石館遺集)
118. 서유수(徐有守) - 생몰년 : 1757 ~ 1775 | 자(字) : 자약(子約)
- 편목정보 : 제서생 유수 문(祭徐生 有守 文) | 저작자 : 김종후(金鍾厚) | 문집명 : 본암집(本庵集)
- 편목정보 : 서서묘지명 병서(徐壻墓誌銘 並序) | 저작자 : 김종수(金鍾秀) | 문집명 : 몽오집(夢梧集)
119. 서영보(徐榮輔) - 생몰년 : 1759 ~ 1816 | 자(字) : 경세(慶世) | 호(號) : 죽석관(竹石館), 옥경산인(玉磬山人), 약산병리(藥山病吏) | 시호(諡號) : 문헌(文憲)
- 편목정보 : 제죽석서태사 영보 문(祭竹石徐太史 榮輔 文) | 저작자 : 이만수(李晩秀) | 문집명 : 극원유고(屐園遺稿)
- 편목정보 : 이조판서 죽석서공 시장(吏曹判書竹石徐公謚狀) | 저작자 : 이만수(李晩秀) | 문집명 : 극원유고(屐園遺稿)
120. 서활/서괄(徐活) - 생몰년 : 1761 ~ 1838 | 자(字) : 청여(淸如) | 호(號) : 매야(邁埜)
- 편목정보 : 매야서공묘갈명 병서(邁埜徐公墓碣銘 幷序) | 저작자 : 류치명(柳致明) | 문집명 : 정재집(定齋集)
- 편목정보 : 만서매야청여 활(輓徐邁野淸如 活) | 저작자 : 이희발(李羲發) | 문집명 : 운곡집(雲谷集)
- 편목정보 : 만서청여 활(挽徐淸如 活) | 저작자 : 이병원(李秉遠) | 문집명 : 소암집(所菴集)
(및 총 5종)
121. 서유문(徐有聞) - 생몰년 : 1762 ~ 1822 | 자(字) : 학수(鶴叟)
- 편목정보 : 이조참판 서공 묘갈명(吏曹參判徐公墓誌銘) | 저작자 : 남공철(南公轍) | 문집명 : 금능집(金陵集)
- 편목정보 : 제서참판 유문 문 대가대인작(祭徐參判 有聞 文 代家大人作) | 저작자 : 조두순(趙斗淳) | 문집명 : 심암유고(心庵遺稿)
122. 서유본(徐有本) - 생몰년 : 1762 ~ 1822 | 자(字) : 혼원(混原) | 호(號) : 좌소산인(左蘇山人)
- 편목정보 : 백씨 62세 초도일제문(伯氏六十二歲初度日祭文)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 편목정보 : 백씨좌소산인묘지명(伯氏左蘇山人墓誌銘)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123. 서흥보(徐興輔) - 생몰년 : 1763 ~ 1829 | 자(字) : 기재(起哉)
- 편목정보 : 서상주 흥보 만(徐尙州 興輔 輓) | 저작자 : 남공철(南公轍) | 문집명 : 금릉집(金陵集)
- 편목정보 : 능주목사 서군 묘지명(綾州牧使徐君墓誌銘)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 편목정보 : 만서상주 흥보(輓徐尙州 興輔) | 저작자 : 심상규(沈象奎) | 문집명 : 두실존고(斗室存稿))
- 편목정보 : 서능주 흥보 만 삼수(徐綾州 興輔 挽 三首) | 저작자 : 홍석주(洪奭周) | 문집명 : 연천집(淵泉集)
124. 서유구(徐有榘) - 생몰년 : 1764 ~ 1845 | 자(字) : 준평(準平) | 호(號) : 풍석(楓石), 오비거사(五費居士), 부용(芙蓉), 용주(蓉洲) | 시호(諡號) : 문간(文簡)
- 편목정보 : 오비거사생광자표(五費居士生壙自表)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 편목정보 : 웜임제학 서유구 치제문(原任提學徐有榘致祭文) | 저작자 : 윤정현(尹定鉉) | 문집명 : 심계유고(梣溪遺稿)
- 편목정보 : 이조판서치사봉조하문간서공묘지(吏曹判書致仕奉朝賀文簡徐公墓誌) | 저작자 : 이유원(李裕元) | 문집명 : 가오고략(嘉梧藁略)
125. 서중보(徐重輔) - 생몰년 : 1765 ~ 1787 | 자(字) : 치원(致遠)
- 편목정보 : 내종형학생서공묘지명(內從兄學生徐公墓誌銘) | 저작자 : 홍석주(洪奭周) | 문집명 : 연천집(淵泉集)
126. 서노수/서로수(徐潞修) - 생몰년 : 1766 ~ 1802 | 자(字) : 경박(景博), 기상(冀上) | 호(號) : 홀원(笏園)
- 편목정보 : 종제경박묘지명(從弟景博墓誌銘) | 저작자 : 서형수(徐瀅修) | 문집명 : 명고전집(明皐全集)
- 편목정보 : 서경박 묘갈명(徐景博墓碣銘) | 저작자 : 이만수(李晩秀) | 문집명 : 극원유고(屐園遺稿)
127. 서유망(徐有望) - 생몰년 : 1766 ~ 1813 | 자(字) : 표민(表民)
- 편목정보 : 제계구문(祭季舅文) | 저작자 : 홍석주(洪奭周) | 문집명 : 연천집(淵泉集)
- 편목정보 : 계구 성균관 대사성 서공 묘갈명(季舅成均館大司成徐公墓碣銘) | 저작자 : 홍석주(洪奭周) | 문집명 : 연천집(淵泉集)
- 편목정보 : 대사성 서공 묘지명 병서(大司成徐公墓誌銘 幷序) | 저작자 : 김매순(金邁淳) | 문집명 : 대산집(臺山集)
128. 서유락/서유낙(徐有洛) - 생몰년 : 1770 ~ 1834 | 자(字) : 경렴/경염(景濂) | 호(號) : 근재(近齋)
- 편목정보 : 서경렴 유락 만(徐景濂 有洛 挽) | 저작자 : 강필효(姜必孝) | 문집명 : 해은유고(海隱遺稿)
- 편목정보 : 근재서공행장(近齋徐公行狀) | 저작자 : 강필효(姜必孝) | 문집명 : 해은유고(海隱遺稿)
- 편목정보 : 만서경렴(挽徐景濂) | 저작자 : 이병원(李秉遠) | 문집명 : 소암집(所菴集)
129. 서유락(徐有樂) - 생몰년 : 1772 ~ 1830 | 자(字) : 붕래(朋來)
- 편목정보 : 숙제붕래묘지명(叔弟朋來墓誌銘)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130. 서간발(徐榦發) - 생몰년 : 1774 ~ 1833 | 자(字) : 유상(幼祥) | 호(號) : 남애(南厓)
- 편목정보 : 만서유상(挽徐幼祥) | 저작자 : 이인행(李仁行) | 문집명 : 신야집(新野集)
- 편목정보 : 만서유상(挽徐幼祥) | 저작자 : 박시원(朴時源) | 문집명 : 일포집(逸圃集)
- 편목정보 : 만서유상(挽徐幼祥) | 저작자 : 이병원(李秉遠) | 문집명 : 소암집(所菴集)
- 편목정보 : 남애서공묘갈명(南厓徐公墓碣銘) | 저작자 : 권연하(權璉夏) | 문집명 : 이재집(頤齋集)
131. 서기보(徐耆輔) - 생몰년 : 1778 ~ 1825 | 자(字) : 덕재(德哉)
- 편목정보 : 학생서군묘표(學生徐君墓表) | 저작자 : 송치규(宋穉圭) | 문집명 : 강재집(剛齋集)
132. 서종간(徐宗榦) - 생몰년 : 1782 ~ 1828 | 자(字) : 백능(伯能) | 호(號) : 임여와(臨予窩)
- 편목정보 : 임여와서공묘갈명 병서(臨予窩徐公墓碣銘 幷序) | 저작자 : 노상직(盧相稷) | 문집명 : 소눌집(小訥集)
133. 서중보(徐中輔) - 생몰년 : 1783 ~ 1845 | 자(字) : 치정(致正)
- 편목정보 : 통덕랑 서공 묘갈(通德郞徐公墓碣) | 저작자 : 유신환(兪莘煥) | 문집명 : 봉서집(鳳棲集)
134. 서노열(徐老悅) - 생몰년 : 1784 ~ 1784 | 자(字) : 미상(未詳)
- 편목정보 : 여노열광전명(女老悅壙塼銘)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135. 서미(徐湄) - 생몰년 : 1785 ~ 1850 | 자(字) : 죽해(竹海) | 호(號) : 석사(石史)
- 편목정보 : 석사서공행장(石史徐公行狀) | 저작자 : 이항로(李恒老) | 문집명 : 화서집(華西集)
- 편목정보 : 서석사묘지명(徐石史墓誌銘) | 저작자 : 박규수(朴珪壽) | 문집명 : 환재집(瓛齋集)
136. 서좌보(徐左輔) - 생몰년 : 1786 ~ 1855 | 자(字) : 공필(公弼) | 호(號) : 죽헌(竹軒) | 시호(諡號) : 효정(孝靖)
- 편목정보 : 판의금부사 서공 좌보 시장(判義禁府事徐公 左輔 諡狀) | 저작자 : 송병선(宋秉璿) | 문집명 : 연재집(淵齋集)
137. 서조열(徐祖悅) - 생몰년 : 1788 ~ 1798 | 자(字) : 미상(未詳)
- 편목정보 : 망아조열광지명(亡兒祖悅壙誌銘) | 저작자 : 서유본(徐有本) | 문집명 : 좌소산인집(左蘇山人集)
138. 서유교(徐有喬) - 생몰년 : 1791 ~ 1859 | 자(字) : 장세(長世) | 호(號) : 소산(蘇山)
- 편목정보 : 승정원동부승지서공묘지명(承政院同副承旨徐公墓誌銘) | 저작자 : 이건창(李建昌) | 문집명 : 명미당집(明美堂集)
139. 서유긍(徐有肯) - 생몰년 : 1794 ~ 1822 | 자(字) : 치간(穉榦) | 호(號) : 대원(帶園), 학파(鶴坡)
- 편목정보 : 종조제치간묘지명(從祖弟穉榦墓誌銘)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140. 서우보(徐宇輔) - 생몰년 : 1795 ~ 1827 | 자(字) : 노경/로경(魯卿) | 호(號) : 추담(秋潭)
- 편목정보 : 제망자천폄문(祭亡子遷窆文)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 편목정보 : 망아묘지명(亡兒墓誌銘) | 저작자 : 서유구(徐有榘) | 문집명 : 풍석전집(楓石全集)
141. 서유훈(徐有薰) - 생몰년 : 1795 ~ 1862 | 자(字) : 계남(啓南) | 호(號) : 석종(石淙) | 시호(諡號) : 문경(文景)
- 편목정보 : 행이조판서 서공유훈시장(行吏曹判書徐公有薰謚狀) | 저작자 : 윤정현(尹定鉉) | 문집명 : 심계유고(梣溪遺稿)
142. 서윤모(徐允模) - 생몰년 : 1796 ~ 1834 | 자(字) : 원응(元膺) | 호(號) : 남와(南窩)
- 편목정보 : 수사서군 묘표(秀士徐君墓表) | 저작자 : 류치명(柳致明) | 문집명 : 정재집(定齋集)
- 편목정보 : 만서원응(輓徐元膺) | 저작자 : 류정문(柳鼎文) | 문집명 : 수정재집(壽靜齋集)
- 편목정보 : 만서원응 윤모 갑오(挽徐元膺 允模○甲午) | 저작자 : 신필흠(申弼欽) | 문집명 : 천재집(泉齋集)
143. 서헌순(徐憲淳) - 생몰년 : 1801 ~ 1868 | 자(字) : 치장(穉章) | 호(號) : 석운(石耘) | 시호(諡號) : 효문(孝文)
- 편목정보 : 행이조판서 서공시장(行吏曹判書徐公謚狀) | 저작자 : 이유원(李裕元) | 문집명 : 가오고략(嘉梧藁略)
144. 서병규(徐炳奎) - 생몰년 : 1803 ~ 1874 | 자(字) : 서응(瑞應) | 호(號) : 잠수(潛修)
- 편목정보 : 서부군묘갈명(徐府君墓碣銘) | 저작자 : 조긍섭(曺兢燮) | 문집명 : 암서집(巖棲集)
145. 서대순(徐玳淳) - 생몰년 : 1810 ~ 1889 | 자(字) : 윤백(允伯) / 호(號) : 졸암(拙菴)
- 편목정보 : 돈녕도정서공대순묘표(敦寧都正徐公 玳淳 墓表) | 저작자 : 송병순(宋秉珣) | 문집명 : 심석재집(心石齋集)
146. 서형순(徐衡淳) - 생몰년 : 1813 ~ 1893 | 자(字) : 치평(稚平) | 호(號) : 한산(漢山)
- 편목정보 : 개성유수겸관리사 서공형순 무휼관속 영세불훤지비 대가백작(開城留守兼管理使徐公 衡淳。撫恤關屬。永世不諼之碑。代家伯作。) | 저작자 : 강위(姜瑋) | 문집명 : 고환당수초(古歡堂收艸)
- 편목정보 : 서한산판서만 삼수(徐漢山判書挽 三首) | 저작자 : 김택영(金澤榮) | 문집명 : 소호당집(韶濩堂集)
- 편목정보 : 숭록대부 판돈녕부사 서공행장 갑진(崇祿大夫判敦寧府事徐公行狀 甲辰) | 저작자 : 김택영(金澤榮) | 문집명 : 소호당집(韶濩堂集)
147. 서상태(徐相泰) - 생몰년 : 1819 ~ 1883 | 자(字) : 사현(士賢) | 호(號) : 오강(梧崗)
- 편목정보 : 오강서군묘갈명 병서 임인 삼월(梧崗徐君墓碣銘 幷序○壬寅三月) | 저작자 : 서찬규(徐贊奎) | 문집명 : 임재집(臨齋集)
148. 서상옥(徐相玉) - 생몰년 : 1825 ~ 1846 | 자(字) : 진여(振汝)
- 편목정보 : 학생서공 상옥 묘표(學生徐公 相玉 墓表) | 저작자 : 송병순(宋秉珣) | 문집명 : 심석재집(心石齋集)
149. 서찬규(徐贊奎) - 생몰년 : 1825 ~ 1905 | 자(字) : 경양(景襄) | 호(號) : 림재/임재(臨齋)
- 편목정보 : 의금부도사임재서공묘갈명 병서(義禁府都事臨齋徐公墓碣銘 幷序) | 저작자 : 최익현(崔益鉉) | 문집명 : 면암집(勉菴集)
- 편목정보 : 만서도사 찬규 병오(挽徐都事 贊奎○丙午) | 저작자 : 곽종석(郭鍾錫) | 문집명 : 면우집(俛宇集)
- 편목정보 : 묘갈명 병서[최익현](墓碣銘 幷序 [崔益鉉]) | 저작자 : 최익현(崔益鉉) | 문집명 : 임재집(臨齋集)
- 편목정보 : 만서도사 찬규(挽徐都事 贊奎) | 저작자 : 이승희(李承煕) | 문집명 : 대계집(大溪集)
150. 서인순(徐璘淳) - 생몰년 : 1827 ~ 1898 | 자(字) : 은경(殷卿)
- 편목정보 : 감역서공 인순 묘표(監役徐公 璘淳 墓表) | 저작자 : 송병순(宋秉珣) | 문집명 : 심석재집(心石齋集)
151. 서일원(徐一源) - 생몰년 : 1829 ~ 1888 | 자(字) : 영지(盈之) | 호(號) : 악포(樂圃)
- 편목정보 : 악포서공행장(樂圃徐公行狀) | 저작자 : 전우(田愚) | 문집명 : 간재집(艮齋集)
152. 서필호(徐必浩) - 생몰년 : 1835 ~ 1883 | 자(字) : 양연(養然)
- 편목정보 : 학생서군 묘비명 병서(學生徐君墓碣銘 幷序) | 저작자 : 서찬규(徐贊奎) | 문집명 : 임재집(臨齋集)
153. 서응윤(徐應潤) - 생몰년 : 1836 ~ 1862 | 자(字) : 주성(周聖) | 시호(諡號) : 유자(孺子)
- 편목정보 : 서효자유사(徐孝子遺事) | 저작자 : 정각(鄭墧) | 문집명 : 진암집(進菴集)
- 편목정보 : 서유자 묘갈명 병서(徐孺子墓碣銘 幷序) | 저작자 : 장석영 | 문집명 : 회당집(晦堂集)
154. 서효원(徐孝源) - 생몰년 : 1839 ~ 1897 | 자(字) : 백순(百順) | 호(號) : 석간(石澗)
- 편목정보 : 만서백순 효원(挽徐百順 孝源) | 저작자 : 김흥락(金興洛) | 문집명 : 서산집(西山集)
- 편목정보 : 서백순 묘갈명 병서 병진(徐百順墓碣銘 幷序○丙辰) | 저작자 : 곽종석(郭鍾錫) | 문집명 : 면우집(俛宇集)
- 편목정보 : 석간서군백순행장(石澗徐君百順行狀) | 저작자 : 김도화(金道和) | 문집명 : 척암집(拓菴集)
(및 총 32종)
155. 서조병(徐肇秉) - 생몰년 : 1840 ~ 1917 | 자(字) : 인서(寅瑞) | 호(號) : 묵여당(默如堂)
- 편목정보 : 선공감감역서공묘갈명 병서(繕工監監役徐公墓碣銘 幷序) | 저작자 : 작석영 | 문집명 : 회당집(晦堂集)
156. 서상두(徐相斗) - 생몰년 : 1854 ~ 1907 | 자(字) : 순거(舜擧) | 호(號) : 화심정(華心亭)
- 편목정보 : 진사 서군 상두 묘표(進士徐君 相斗 墓表) | 저작자 : 송병순(宋秉珣) | 문집명 : 심석재집(心石齋集)
157. 서상춘(徐相春) - 생몰년 : 1863 ~ 1923 | 자(字) : 성즉(聖卽)
- 편목정보 : 서군성즉묘갈명 병서(徐君聖卽墓碣銘 幷序) | 저작자 : 장석영 | 문집명 : 회당집(晦堂集)

5. 신원 불명의 달성인(達城人)들

해당 목차는 자료 조사의 과정에서 발견되었으나 신원 불명인 달성인(達城人)들의 명단을 정리한 공간이다.
  1. 달성(達城) 서강인(徐強仁)/서?인(徐?仁) - 1617년 기타문서(통도사배한강선생동화록)(其他文書(通度寺陪寒崗先生同話錄)) | 작성시기 : 1617년 | 원소장처 : 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현소장처 : 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72]
    출처:디지털장서각 한국고문서자료관
2. 달성(達城) 서도익(徐道益) - 세효당실기(世孝堂實記) : 30페이지 | 작성시기 : 1901(光武 5) 序 | 원소장처 : 대구 영천이씨 세효당 이성구 후손가 출처:디지털장서각 한국고문서자료관

6. 기타 자료에 기록된 역사의 달성인(達城人)들

인물들의 이름과 생년, 혹은 가족 정보(부인, 모친 등)가 실제와 다를 수 있음을 항시 유념해야 하며, 족보와 문헌 자료들을 대조해 보아도 선조들의 신원이 부합되지 않는다면 그와 관계된 원인이거나 족보에 부재하다는 두 종류의 경우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이름에 앞서 자(字)와 호(號)를 표기했다.

6.1. 서른아홉

  1. 자(字) - 강중(剛中), 자원(子元) | 호(號) : 사가정(四佳亭), 정정정(亭亭亭) | 시호 : 문충(文忠) | 봉호 : 달성군(達城君) | 서거정(徐居正)
- 장유(張維-1587년출생, 1638년사망)의 계곡선생집 제3권 : "훈업(勳業)을 이룬 김 절재(金節齋 김종서(金宗瑞))ㆍ하 진산(河晉山 하륜(河崙))ㆍ신 고령(申高靈 신숙주(申叔舟))ㆍ정 하동(鄭河東 정인지(鄭麟趾)) 같은 이들, 문장(文章)으로 이름난 서 달성(徐達城 서거정(徐居正))ㆍ최 영성(崔寧城 최항(崔恒)) 같은 이들, 절의(節義)를 세운 성 창녕(成昌寧 성삼문(成三問))ㆍ박 평양(朴平陽 박팽년(朴彭年))ㆍ이 한산(李韓山 이개(李塏))" 출처:한국고전종합DB
이때 '절재'는 김종서의 호이며 고령 신씨, 하동 정씨, 창녕 성씨, 그리고 한산 이씨는 그들의 본관이자 성이다. 평양(平陽)은 과거 순천(順天)의 옛 이름이다. 평양박씨족보
- 목민심서 공전(工典) 6조 / 제3조 선해(繕廨)-출처:한국고전종합DB
서거정(徐居正)이 기(記)를 지었는데,
"적등강(赤登江) 위에 원(院)이 있고 누(樓)가 있으니, 실로 사방으로 통하는 큰길의 요충에 자리잡고 있다. 한더위와 혹독한 추위, 그리고 비바람이 몹시 치는 날이면 길 가던 사람이 여기 와서 머무를 수 있고, 혹은 물 건너기가 어려울 때라든지, 길 가다가 저문 때라든지, 마소가 없을 때라든지, 좀도둑의 근심이 있는 때를 만나면 여기에 와서 쉴 수가 있다. 올라와서 관람할 수도 있고 자고 갈 수도 있어, 추운 것을 덥게 하고, 뜨거운 것을 시원하게 할 수가 있으니, 그것이 어찌 사람에게 덕을 입힘이 적다 하겠는가."
- 매호유고 / 시(詩)○칠언절구(七言絶句)-출처:한국고전종합DB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의 《동인시화(東人詩話)》에 “사간(司諫) 진화가 ‘비 온 끝에 울안 뜨락 이끼들만 돋아난 채, 인적 뜸해 낮인데도 사립문을 안 여는데, 섬돌 위에 지는 꽃잎 한 치 남짓 쌓인 채로, 봄바람에 불려갔다 또다시 불려오네.’라고 했는데, 폄하하는 사람이 ‘떨어진 꽃이 한 치나 쌓였다고 한 것은 이치에 어긋나는 듯하다.’라고 하였다. 내가 말하기를 ‘조퇴암(趙退菴)의 시에 「부들빛 푸르디푸르고 버들빛 짙은데, 금년 한식도 지난해 마음일세. 취해 든 잠 관하의 꿈 기억도 못 하는데, 길 위로 날리는 꽃 무릎까지 쌓였네.〔蒲色靑靑柳色陰 今年寒食去年心 醉來不記關河夢 路上飛花一膝深〕」라고 하였다. 그 시에서 「온 무릎」이라 했으니 또 한 자보다 깊은 것이다. 하물며 이태백은 시에서 「연산의 눈꽃은 방석만큼 크네.〔燕山雪花大如席〕」라고 하고 또 「흰 머리털 삼천 길이네.〔白髮三千丈〕」라고 했으며, 소자첨(蘇子瞻)은 시에서 「큰 누에고치는 옹기만 하네.〔大繭如甕盎〕」라고 했다. 이것은 말을 가지고 시의 의미를 해쳐서는 안 되는 것이고, 다만 마음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일 뿐이다. 근래에 《감로집(甘露集)》을 보았는데, 바로 송나라 승려의 시였다. 그 시에 「푸른 버들 깊은 정원에 봄 낮은 길고, 섬돌 위에 지는 꽃잎 한 치 남짓 쌓여 있네.〔綠楊深院春晝永 碧砌落花深一寸〕」라고 하여 진화의 시구와 한 글자도 다른 것이 없으니 옛사람도 이런 말이 있었다.’” 하였다.
- 미국의 도서관에 소장돼 있는 서거정(徐居正)의 필원잡기(筆苑雜記)
"저자 서거정(徐居正)은 1420년(세종 2) 에 목사(牧使)를 지낸 달성(達成) 서미성(徐彌性)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외조부는 권근(權近)(1352-1409)이다. 자(字)는 강중(剛中)이고, 호(號) 사가정(四佳亭)이다.", "달성서씨(達成徐氏)의 문중서원 성격이 짙은 구암서원(龜岩書院/龜巖書院)에 제향(祭享)되었다."

- 1478년에 작성된 우향계축(友鄕稧軸) 5페이지 '達城剛中'
2. 자(字) : 맹당(孟棠) | 서팽소(徐彭召) | 고려대학교 한국사 연구소 인적 정보
3. 자(字) : 덕재(德載) | 서후(徐厚) | 고려대학교한국사연구소 인적관계 | 고전용어 시소러스 : 서팽소(徐彭召)의 아들, 승지(承旨)
4. 자(字) : 양정(養靜) | 호(號) : 오유당(烏有堂) | 서구연(徐九淵 - 1502~1562) : 참봉 서숙동(徐淑童)의 아들로 용문면 선리(仙里) 출신이다. 진사 서구강(徐九江)의 형으로, 밀양 부사(密陽府使)와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과 목사(牧使)를 지냈다. 1552년 함양군수로서 고을 내의 선비들과 함께 남계서원의 건립을 공의, 지원했다.
- 일두유집 제2권 / 부록(附錄) : 포증사전(褒贈祀典)
"세종 숙황제(世宗肅皇帝) 가정(嘉靖) 31년 - 명종대왕(明宗大王) 7년 - 임자(1552)
○ 사림(士林)이 남계(灆溪)에 서원(書院)을 세웠다.
강개암(姜介庵) - 익(翼) - 이 박공(朴公) - 승임(承任) -, 노사암(盧徙菴) - 관(祼) -, 정매촌(鄭梅村) - 복현(復顯) -, 임남계(林灆溪) - 희무(希茂) - 와 논의하기를 “우리 고을은 일두 선생의 고향인데, 선생께서 세상을 뜨신 지 이미 50년에 이르렀는데도 아직 서원을 짓고 사당을 세우는 일을 못 했으니, 실로 우리 고을의 수치입니다.” 하니, 모두들 그렇다고 하여, 이에 서원을 창립하였다. 이 시기에 우리나라의 서원은 오직 주무릉(周武陵 주세붕(周世鵬))이 죽계(竹溪)에 세운 서원 이외에는 없었으므로 견문(見聞)이 익숙지 않아서 반대가 없지 않았으나, 개암이 의연히 흔들리지 아니하고 뜻을 굳혀 공역을 거행하니, 고을의 유사(儒士)들이 다투어 미곡(米穀)을 가져왔고 이웃 고을에서 보내온 보조도 많았다. 군수 서후(徐侯 서구연(徐九淵))가 마음을 다하여 도왔는데, 강당(講堂)을 세운 뒤 서후가 체차(遞差)되어 돌아가고 농사도 흉년이 들었기 때문에 강당에 기와를 올리지 못한 채 드디어 그 공역이 정지되었다. 남은 재화를 증식하여 넉넉해지기를 기다리면서, 공역을 마무리할 것을 기약하였다."
5. 자(字) : 군망(君望), 계성(啓聖) | 호(號) : 창계(昌溪) | 시호(諡號) : 충렬(忠烈) | 서응시(徐應時) :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칠백의사 중의 한 사람이다.
- 월정집 月汀先生集卷之六 / 碑銘 | 편저자 : 윤근수(尹根壽) | 제작시기 : 1647, 1648년(인조 26)(초간), 1651년(효종 2)(중간) | 간행 : 윤정지, 윤이지
"또 만호 변계온(邊繼溫), 현감 양응춘(楊應春), 봉사 곽자방(郭自防), 무인 김헌(金巘)ㆍ김인남(金仁男)ㆍ이양립(李養立)ㆍ정원복(鄭元福)ㆍ강충서(姜忠恕)ㆍ강인서(姜仁恕)ㆍ박봉서(朴鳳瑞)ㆍ김희철(金希哲)ㆍ이인현(李仁賢)ㆍ황삼양(黃三讓)ㆍ박춘년(朴春年)ㆍ한기(韓琦)ㆍ박찬(朴贊)은 모두 편장(偏將)과 비장(裨將)으로서 먼저 성에 올라 강한 적을 무너뜨리기도 하고 수많은 적을 죽이기도 하였으니, 그들의 용맹스럽고 장렬함은 사람들의 이목에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사인(士人) 박사진(朴士振)ㆍ김선복(金善復)ㆍ복응길(卜應吉)ㆍ신경일(申慶一)ㆍ서응시(徐應時)ㆍ윤여익(尹汝翼)ㆍ김성원(金聲遠)ㆍ박혼(朴渾)ㆍ조경남(趙慶男)ㆍ전충남(全忠男)ㆍ고명원(高明遠)ㆍ강몽조(姜夢祖)는 모두 문학이나 행실로 알려진 이들인데, 살아서는 공의 문하에 출입하다가 전장에서 공과 함께 전사한 자들이다."
- 연려실기술 제16권 / 선조조 고사본말(宣祖朝故事本末) 조헌(趙憲)ㆍ중 영규(靈圭)ㆍ변응정(邊應井)붙임
"○ 선비 김절(金節)ㆍ만호 변계원(邊繼元)ㆍ현감 양응춘(楊應春)ㆍ봉사 곽자방(郭自防)ㆍ무사 김헌(金獻)ㆍ김인남(金仁男)ㆍ이양립(李養立)ㆍ정원복(鄭元福)ㆍ강충서(姜忠恕)ㆍ박봉서(朴鳳瑞)ㆍ김희철(金希哲)ㆍ이인현(李仁賢)ㆍ황삼양(黃三讓)ㆍ박춘년(朴春年)ㆍ한기(韓琦)ㆍ박찬(朴贊)은 모두 부장(副將)으로서 따라 죽었다. 선비 박사진(朴士振)ㆍ김선복(金善復)ㆍ복응길(卜應吉)ㆍ신경일(辛慶一)ㆍ서응시(徐應時)ㆍ윤여익(尹汝翼)ㆍ김성원(金聲遠)ㆍ박혼(朴渾)ㆍ조경남(趙慶男)ㆍ고명원(高明遠)ㆍ강몽조(姜夢組)ㆍ김충남(金忠男)이 모두 헌의 문하에 출입하더니 함께 전사하였다."
6. 자(字) : 미상(未詳) | 서호(徐浩)
- 재향지/순흥지 출처:한국고전종합DB
"본관은 화원(花園). 대사간(大司諫) 서충(徐衷)의 후손으로, 행의(行義)로 이름이 있었다. 직장(直長)을 지냈다.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 《죽계지(竹溪志)》에서 고장 선비 30여 명을 꼽으면서 이르기를,
“모두 인(仁)을 행하기를 즐겨 하고 불의를 부끄러이 여겨 고을 풍속이 후하여졌다.”
하였는데, 공의 이름 또한 그 속에 있었다."
(* 화원(花園)은 화원현(花園縣)이라는 지역을 일컫는 것으로, 달성군 화원읍에 있던 설화현(舌火縣)이 개명된 것이다. 참고자료:대구역사문화대전)
7. 자(字) : 선칙(善則) | 서지달(徐志達)
- 재향지/순흥지 출처:한국고전종합DB
"자는 선칙(善則). 직장(直長) 서호(徐浩)의 후손이다. 계묘년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8. 자(字) : 태언(台彦) | 호(號) : 죽은(竹隱) | 서정구(徐鼎九/徐鼎耈)
- 재향지/순흥지 출처:한국고전종합DB
"자는 태언(台彦), 본관은 화원(花園). 직장(直長) 서호(徐浩)의 후손이다. 무자년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타고난 자질이 강건하고 방정[73]하였으며, 행실이 두터워 사림의 추중(推重)을 받았다. 호는 죽은(竹隱)이다."
9. 자(字) : 희언(希彦) | 호(號) : 눌헌(訥軒), 기암(寄菴) | 서성구(徐聖耉 - 1663~1735) : 서숙(徐璹)의 아들로, 1691년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어려서부터 대자(大字)를 써서 이름이 났고, 특히 초서(草書)에 능하였다. 젊었을 때에는 역학(易學)에 관심을 가져 〈학리도설(學理圖說)〉을 찬집하였으며, 만년에는 예설에 관심을 가져 《의례논변(疑禮論辨)》을 편찬하였다. 저서로 《눌헌집》이 있다.(한국고전종합 DB 주-D001 참고)
- 재향지/순흥지 출처:한국고전종합DB
"서성구(徐聖耈) : 자는 희언(希彦), 본관은 화원(花園). 직장(直長) 서호(徐浩)의 후손이다. 숙종 경오년(1690, 숙종16)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문장과 글씨로 이름이 났다."
- 향산집 제10권 / 발(跋) : 〈학리도설〉 발문〔學理圖說跋〕
"이것은 눌헌(訥軒) 서성구(徐聖耉) 공이 찬집한 〈학리도설(學理圖說)〉이다. 도면은 총 50장이다. 그중 46장은 모두 상수(象數)의 원리를 그린 것이고, 인설(仁說) 이하 4장의 도면은 모두 마음을 다스리는 요체를 그린 것이다. 오로지 상수의 원리에 대해서만 논하고 마음을 다스리는 데로 귀결시키지 않는다면 사람에게 실제 쓰임이 될 수 없기 때문이며, 오로지 마음을 다스리기만 하고 상수의 원리를 궁구하지 않는다면 또 종지(宗旨)를 통괄하고 일원(一元)을 깨달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수의 원리를 그린 도면이 마음을 다스리는 요체를 그린 도면보다 10배나 많은 것은 또 무엇 때문인가? 무릇 상수의 원리는 하늘의 일이므로 은미하여 알기 어렵다. 이 때문에 도면이 많아도 번다한 폐단이 없다. 마음을 다스리는 것은 사람의 일이므로 내면에 반성하여 궁구하기 쉽다. 이 때문에 도면이 소략해도 부족한 폐단이 없다."
"듣건대 공의 선조 돈암공(遯庵公)께서 단종이 왕위를 내어놓던 시대를 만나 성균관 유생으로서 소백산 속으로 은거하여 진퇴(進退)의 의리를 잘 실천했다고 하니, 공의 가학에 근본이 있었던 것이다.
공은 숙종, 경종, 영조 세 임금의 치세를 살면서, 당시에 성균관에서 크게 칭예가 있었다. 그러나 송죽(松竹) 속에 노닐면서 스스로 눌(訥)의 삶을 지향하였으니, 공의 식견과 공의 신조는 실로 섣불리 말할 수 없다. 가령 공이 세상의 영욕을 따라 일시적인 이록(利祿)을 추구했다면 장차 의리의 오묘한 경지에 크게 힘을 펼칠 수 없었을 것이다. 부귀란 저 뜬구름이나 지나가는 새와 같아 덧없기 짝이 없는 것이니, 우리 유학의 일과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주-D003] 돈암공(遯庵公) : 영주 출신의 학자 서한정(徐翰廷, 1407~1490)이다. 본관은 달성, 돈암은 호이다. 일찍이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세조가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을 단념하고 가족과 소백산으로 들어가 은둔 생활을 하며 일생을 보냈다. 권득평(權得平)은 그를 노중련(魯仲連)과 백이(伯夷), 숙제(叔齊)에 비겨 고절을 찬양하는 시를 지었다. 영주시 단산면 사천리(沙川里)에 그가 강학하던 돈암정이 남아 있다. 사헌부 지평에 추증되었고, 구고이사(九皐里社)에 제향되었다. 구고이사는 뒤에 구고서원(九皐書院)으로 승격되었다."
10. 자(字) : 미상(未詳) | 호(號) : 돈암/둔암(遯庵/遯菴) | 서한정(徐翰廷)
- 대산집 제47권 / 묘지명(墓誌銘) : 둔암 서공 묘지명 병서 〔遯菴徐公墓誌銘 幷序〕 출처:한국고전종합DB
"9세손인 창재(昌載)가 근근이 유사를 모아서 벗인 나에게 유택에 지문을 짓도록 부탁하였다.
명은 다음과 같다.
동서에 달린 큰 종처럼 / 東序金鍾
그 자질이 탁월하였네 / 其質之卓也
명교와 실지가 / 實地名敎
그 학문의 힘이라 / 其學之力也
세상을 끊고 멀리 은둔하니 / 絶世遐遯
그 뜻이 확고하였네 / 又其志之確也
내 명을 지어 그를 기록하니 / 我銘以志之
이로써 천추만세에 남기리 / 用以垂諸千億也"
11. 자(字) : 백공(伯鞏) | 서고(徐固) 고전용어시소러스 : 조선 중종(中宗)에서 명종(明宗) 때의 문신, 서거정(徐居正)의 손자이다.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으나, 사절(使節)을 받들고 명(明)나라에 갔다가 도중에 사망하였다.
12. 자(字) : 진지(鎭之) | 호(號) : 춘헌(春軒) | 서엄(徐崦) 출처:위키실록사전 : 서고(徐固)의 아들
"[1529년(중종24)∼1573년(선조6) = 45세]. 조선 중기 명종~선조 때 활동한 문신."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기 전 유학(幼學)일 때 서엄은 임금이 경계할 일에 대해 10가지를 상소하여 진달하였다. 그 내용은 재상을 가려 뽑을 것, 선비의 기상을 배양할 것, 세속이 숭상하는 바를 바로잡을 것, 언로를 넓힐 것, 탐욕스러운 풍조를 진정시킬 것, 민생을 살릴 것, 사치를 금할 것, 상벌을 명확히 할 것, 인재 쓰기를 신중히 할 것, 환관을 억제할 것 등이었다. 명종은 “숨김없이 모두 말하였으니, 곧다고 할 만하다.”고 칭찬하였다. 그는 이 상소로 말미암아 유명해졌으나 당로자(當路者)의 미움을 사게 되었다."
"그는 학문에 박식하고 문장을 잘 짓는다고 그 명성이 대단하였다. 그는 항상 후학을 가르쳐서 관직에 진출시켰으므로, 한때 이들 중에 그의 가르침을 받고 출세하여 저명하게 된 사람이 아주 많았다. 그러나 정작 본인은 재주가 있으면서도 중용되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진사시(進士試)에 장원 급제하기 전에 포의(布衣)의 선비로 있을 때 소장(疏章)을 올려서 당시의 폐단에 대해 거리낌 없이 강직하게 비판한 것과 관련이 있었다."
* 참고로 서엄은 서섭(徐涉-부인 : 예조 참의의 딸)의 아들인 서감원(徐坎元/이명:서차원徐次元)과 유사한 역사를 지녔다. 몇몇 자료에 의하면 1484(성종)년의 『성종실록(成宗實錄)』 기사에 가뭄의 피해가 크자 성종이 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널리 구언(求言)을 요청하였으며, 이때 서감원은 성종의 실정을 조목조목 지적하는 구언소(求言疏)를 올렸다고 한다. 성종은 대부분의 지적을 받아들이면서도 관리의 파직 및 인사이동에 관한 비판에 대하여서는 구체적으로 누구를 지칭하는 것인지 추국하라며 경상도관찰사 이육(李陸)에게 명을 내렸다. 그 결과 그는 여러 차례 경상감영으로 불려가 추국을 당하는 곤욕을 치렀다라 '전해진다'. 서감원의 형제인 서진원(徐震元)은 진사(進士), 서간원(徐艮元)은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지냈으며, 서태원(徐兌元/徐兑元)은 성균 진사(成均進士)이다.
13. 자(字) : 현기(玄紀) | 호(號) : 약봉(藥峯) | 서성(徐渻) 위키실록사전 : 서고(徐固)의 손자, 서해(徐嶰)의 아들, 서엄(徐崦)의 조카, 우의정 서경우(徐景雨) · 달성위(達城尉) 서경주(徐景霌)의 부친
"[1558(명종13)∼1631(인조9) = 74세]. 조선 중기 선조∼인조 때에 활동한 문신."
"그의 성품과 자질은 다음과 같이 전한다. 풍채가 준수하고, 수염이 아름다웠는데, 눈빛은 사람을 쏘아 보듯 빛났다. 성품은 강건하여 누구도 빼앗지 못할 기개가 있었는데, 어떤 일이 옳다고 여기면 굳게 믿고서 실행하였으며, 자신을 굽혀서 남을 따르지 않았다. 평생에 일을 가지고 남에게 부탁도 하지 않았고 또한 다른 사람의 부탁도 받지 않았다. 그는 독서를 좋아하여 읽지 않은 책이 없었는데, 『주역(周易)』의 역리(易理)를 강론하는 데 더욱 힘써서 체득한 바가 많았으므로, 유학자들이 그의 학문이 정밀하고 심오하다고 존경하였다. 그는 생활을 검약하게 하고 화려한 옷을 입지 않았으며, 죽을 때에는 자제들에게 자기 장례를 후하게 치르지 말라고 당부하였다."
- 약봉유고(藥峯遺稿) 출처:한국고전종합DB | 간행년 : 1927年刊
14. 자(字) : 시백(施伯) | 호(號) : 만사(晩沙) | 서경우(徐景雨) 고전용어 시소러스
- 한국고전종합DB-연려실기술 제28권
"서경우의 자는 시백(施伯)이며, 본관은 달성(達城)이요, 서성(徐渻)의 아들이다. □ 문과에 올라 갑신년에 우의정에 임명되었다."
15. 자(字) : 자순(子順) | 호(號) : 송강(松岡) | 서경주(徐景霌) 고전용어 시소러스 | 위키실록사전 :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서성(徐渻)의 아들
"서경주의 성품과 자질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는 용모가 풍만하고 성질은 장중(莊重)하였다. 행동을 예절에 맞도록 애쓰지 않아도 저절로 법도에 맞았다. 부모 곁에 있을 때에는 항상 덕용(德容)과 화기(和氣)가 있어서 말을 하거나 침묵하거나 하여 즐거움을 주었다. 심지어 음식을 봉양하거나 온정(溫凊)의 물건을 받들 때에서도 지극한 효성이 있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었다. 형들과 우애가 두터워 언제나 만나면 종일토록 희희낙락하게 즐거워하였으며, 형들의 집에 혹시라도 없는 물건이 있으면 그는 즉시 이것을 구하여 주었다. 어려서부터 서사(書史)를 읽기를 좋아하였으므로, 말이 고금(古今)의 치란(治亂)에 미치면 언론(言論)이 당당하여 말씨에 구차한 기색이 없었다. 자손들을 가르치는 데에도 예법(禮法)을 근본으로 삼고 관혼상제(冠婚喪祭)는 반드시 고례(古禮)에 따랐으므로, 집안의 질서가 잡혀서 저절로 하나의 가법(家法)을 이루었다."
16. 자(字) : 여길(汝吉) | 서상리(徐祥履) 위키실록사전
1602년(선조35)∼1659년(효종10). 조선 후기 인조에서 효종 때 활동한 문신. 아버지는 종친부 전첨(典籤)서경수(徐景需)이다. 중추부 판사 서성(徐渻)의 손자이자 달성위(達城尉) 서경주(徐景霌)의 조카이다.
17. 자(字) : 면중(勉中) | 서정리(徐貞履)
- 계곡선생집 제13권 / 비명(碑銘) 9수(首) : 인빈 김씨 신도비명(仁嬪金氏神道碑銘) 병서 한국고전종합DB
"안홍량은 2남 1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발(鈸)과 모(某)이고, 딸은 한이성(韓以成)에게 출가하였다. 서정리(徐貞履)는 1남 1녀를 두었다."
- 인조 3년 을축(1625) 8월 12일(무자) 맑음 : 03-08-12[18] 이조가 민응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였다 한국고전종합DB
"이조가, 민응형(閔應亨)을 지평으로, 여이징(呂爾徵)을 정언으로, 김여추(金汝秋)를 남부 주부(南部主簿)로 삼았다. 종묘 봉사(宗廟奉事)에 서정리(徐貞履)를 차임하였다."
- 인조 6년 무진(1628) 3월 25일(병술) : 06-03-25[04] 사묘 부제를 친행할 때의 관원을 시상하다 출처:한국고전종합DB
"상이 하교하였다.
“사묘 부제(私廟祔祭)를 친행할 때의 종헌관(終獻官)인 의창군(義昌君)에게는 안구마(鞍具馬) 1필을 하사하고, 전사관(典祀官)과 묘사(廟司)에게는 각각 숙마(熟馬) 1필씩을 하사하라. 대축(大祝) 윤지(尹墀)는 가자하고, 재랑(齋郞) 서정리(徐貞履)는 6품에 천전(遷轉)하고, 축사(祝史) 심장세(沈長世)와 봉향(奉香)ㆍ봉로(奉爐)ㆍ집준(執樽)에게는 각각 한 자급을 가자하라. 입시한 승지 김수현(金壽賢)ㆍ이성구(李聖求)와 좌우 통례(左右通禮)에게는 각각 아마(兒馬) 1필씩을 하사하고, 대교(待敎) 김극항(金克恒), 검열 정유성(鄭維誠), 가 주서 김원립(金元立)은 한 자급씩 가자하라.”"
【원전】 34 집 267 면
18. 자(字) : 도윤(道潤) | 호(號) : 몽어정(夢漁亭) | 서문중(徐文重) 위키실록사전 : 생부는 남원부사(南原府使) 서정리(徐貞履), 양부는 서원리(徐元履)이다. 달성위(達城尉) 서경주(徐景霌)의 손자이며, 형조 판서 서문유(徐文裕)의 친형이다. 조선 후기 숙종 때 활동한 상신(相臣)이다.
"그의 성품과 자질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타고난 성품이 영민하고 굳세며, 재간과 도량이 크고, 굳은 지조가 있었다. 그는 진기한 물건은 좋아하지 않았고 음식은 가리는 것이 없었으며, 평생 동안 행동을 근신(謹愼)하였는데, 세간의 부귀영화를 뜬구름 같이 여겨서 멀리 하였다. 집안 사람들이 전토(田土)를 남에게 빼앗겼다고 하소연하거나, 노비가 주인을 배반하고 도망갔다고 하더라도 아무 말 없이 그저 듣고만 있을 뿐이었다. 그는 본래 당론(黨論)에 휩쓸리는 것을 싫어하였는데, 당론에 편파적이란 지목을 받은 사람과는 한 번도 왕래를 하지 않았고, 전후로 상소하여 논란한 글도 백성의 걱정과 나라를 경영하는 일뿐이고 한 마디, 한 글자도 당론에는 미치지 않았다."
- 사계전서 제50권 : 부록(附錄)의 제편서발(諸篇序跋) 송시열(宋時烈-1607출생, 1689사망)의 원고(原稿) 출처:한국고전종합DB
"선생이 돌아가신 뒤에 윤자(胤子)인 문경공(文敬公)이 여러 문인들과 함께 교정해서 책 상자 안에 갈무리하였고, 이어 달성(達城) 서문중(徐文重)과 완산(完山) 이사명(李師命)이 전후로 양남(兩南)의 방백(方伯)으로 있으면서 이 책을 간행하여 세상에 전하였으니, 이는 이 책이 풍교(風敎)에 도움이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었다.
숭정 전몽적분약(旃蒙赤奮若) 맹하(孟夏) 모일에 문인(門人)인 은진 송시열은 삼가 쓴다."
- 송자대전 제139권 : 송시열의 기록인 가례집람의 (家禮輯覽)》 후서(後序)출처:한국고전종합DB
"선생이 별세한 후에 윤자(胤子) 문경공이 여러 문인과 함께 교정해서 상자에 갈무리하였고, 이어 달성(達城) 서공 문중(徐公文重)과 완산(完山) 이공 사명(李公師命)이 전후해서 양남(兩南 영남과 호남) 방백(方伯)으로 있으면서 이 책을 간행하여 세상에 전하였으니, 이는 이 책이 풍교(風敎)에 도움이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숭정 기원 후 을축년(1685, 숙종11) 4월 일에 문인 은진 송시열은 삼가 쓴다."
19. 자(字) : 온숙(溫叔) | 호(號) : 인재(訒齋), 학서(鶴西) | 시호(諡號) : 문민(文敏) | 서종옥(徐宗玉)
- 국조보감 제60권 / 영조조 4 8년(임자, 1732)
"○ 상이, ‘존성묘(尊聖廟) 정사습(正士習) 무성실(務誠實)’이란 아홉 글자를 친히 썼는데, 승지와 중사(中使)에게 명하여 태학(太學)에 선유(宣諭)하도록 하고, 법선(法膳)을 내려주었다. 하교하기를,
“제생(諸生)이 진실로 예전에 물든 것을 씻어버리고 몸과 마음을 면려할 수 있다면 훌륭한 많은 선비가 배출되는 아름다움이 있을 것이니, 어찌 나라의 다행이 아니겠는가. 아, 그대 대사성은 구임(久任)하도록 하여 권장하는 뜻을 깊이 유념하여 힘쓸지어다.”
하였다. 다음날 대사성 서종옥(徐宗玉)이 제생을 거느리고 전소(箋疏)를 올려 사례하니, 상이 답하기를,
“맹자가 말하기를, ‘무언가를 할 자는 또한 이와 같이 할 뿐이다.’ 하였으나, 어찌 반드시 기(夔)를 기다린 뒤에야 주자(冑子)들을 가르치겠는가. 그대는 열성조(列聖朝)에서 배양(培養)한 뜻을 유념하여 나의 부덕함을 소홀히 하지 말고 부지런히 권면하여 기(夔)를 스승으로 삼아 힘쓸지어다.”
하였다. 이해 칠석제(七夕製) 때 성균관 유생 서해조(徐海朝)와 동사생(同舍生) 이복령(李復齡)이 잘못하여 문권(文券)이 바뀌어 서해조가 수석을 차지하였는데, 실제는 이복령의 글이었다. 두 사람이 앞다투어 서로 미루어 사양하자, 상이 기뻐 이르기를,
“선비의 기풍이 예전과는 크게 달라진 것을 볼 수 있으니, 교도(敎導)의 효과를 속일 수 있겠는가.”
- 조선왕조실록 / 경종(수정실록) 2년 임인(1722) 9월 21일(계묘) 02-09-21[02] 영종 을사년에 임인년의 옥안에 대해 다시 논의한 내용
"하고, 서종옥(徐宗玉)은 말하기를,
“신임 옥사(辛壬獄事)는 오직 전하께서만이 공안(公眼)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제 직접 대고(大誥)를 지어 목호룡ㆍ김일경ㆍ이천기 등의 역절(逆節)을 근원을 거슬러 논단(論斷)해서 팔방(八方)에 반고(頒告)한 후에 이 무안(誣案)을 쾌히 삭제한다면, 후세에 변명할 말이 있게 될 것입니다.”
20. 자(字) : 계중(繼仲) | 호(號) : 귀천(歸泉), 동원(桐源) | 시호(諡號) : 충문(忠文), 충헌(忠憲) | 서명선(徐命善) | 고전용어시소러스 : 대제학 서명응의 동생. 조선 영조(英祖)에서 정조(正祖) 때의 문신으로,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이조 참판(吏曹參判) 때 세손(世孫)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홍인한(洪麟漢) 일파를 탄핵하여 정조의 즉위에 공헌하였다.
- 경모궁의궤 제4권 / 금제(今制) : 인신(印信)
"○ 정조 6년 임인(1782) 8월 14일
이문원(摛文院)에 재숙할 때 입시하였다. 이때 도제조 서명선(徐命善)이 아뢰기를,
“관원이 있는 아문에 모두 인신이 있는데 경모궁 관원은 아직 인신이 없습니다. 모든 문서에 모두 백문(白文)을 쓰니 사체에 있어 미안합니다. 인신 1과를 즉시 만들어 보내도록 해당 조에 분부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상이 그렇게 하라고 하였다."
21. 자(字) : 노망(魯望), 군망(君望) | 호(號) : 만정당(晩靜堂), 서곡(瑞谷), 송애(松厓) | 시호(諡號) : 문효(文孝) | 서종태(徐宗泰) | 죽석관유집(竹石館遺集)에 실린 가계와 생애 출처:한국고전종합DB
-만정당집(晚靜堂集) 출처:한국고전종합DB

22. 자(字) : 미상(未詳) | 서승열/서승렬(徐承烈) 분관(分館)을 행하였다. - 순조 8년 무진(1808) 4월 17일(계미)
23. 자(字) : 군수(君受) | 호(號) : 보만재(保晩齋) | 서명응(徐命膺)

- 국조보감 수권 / 전표(箋表) 국조보감을 올리는 전문[進國朝寶鑑箋]
"감춘추관사 이복원(李福源), 보국숭록대부 행판중추부사 치사봉조하 서명응(徐命膺) 등은 삼가 교지를 받들어 《국조보감》의 속찬 작업을 마치고 삼가 전문을 받들어 올립니다. 상철 등은 황공한 마음으로 머리를 조아리며 상언(上言)합니다."
"상의 6년(1782, 정조 6) 11월 일에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중추부사 김상철(金尙喆),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좌의정 겸영경연사 감춘추관사 이복원(李福源), 보국숭록대부 행판중추부사 치사봉조하 서명응(徐命膺) 등은 삼가 전문을 올립니다."
- 국조보감 수권 / 국조보감 편찬 제신(編纂諸臣) 국조보감 원편(原編) 편찬 제신(編纂諸臣)
"교정(校正) - 원임대제학(原任大提學)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행 판중추부사(行判中樞府事) 치사봉조하(致仕奉朝賀) 신 서명응(徐命膺)"
"어제교열(御製校閱) - 원임 규장각제학(原任奎章閣提學)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행 판중추부사 치사봉조하(行判中樞府事致仕奉朝賀) 신 서명응(徐命膺)"
- 영조실록 / 영조 30년 갑술(1754) 6월 17일(을축) 30-06-17[04] 관리들의 전최와 구임에 관해 대신들과 논의하다
"약방에서 입진(入診)하였는데, 대신(大臣)도 같이 들어갔다. 영의정 이천보(李天輔)가 말하기를,
“전라도(全羅道)의 전최(殿最)를 봉진(封進)해야 할 것인데, 전 감사(監司) 서명구(徐命九)를 이제 이미 서용(敍用)하였으니, 교귀(交龜)하기 전에 법에 따라서 곧 봉진하게 해야 하겠습니다.”
하니, 임금이 옳게 여겼다. 이천보가 말하기를,
“춘방(春坊)의 관원은 구임(久任)해야 할 것인데, 이최중(李最中)ㆍ홍자(洪梓)ㆍ서명응(徐命膺)ㆍ홍양한(洪良漢)ㆍ황인검(黃仁儉)ㆍ윤동성(尹東星)ㆍ이명식(李命植)ㆍ박성원(朴聖源)ㆍ유정원(柳正源) 등은 모두 문학(文學)으로 이름났습니다.”
- 일성록 / 영조 37년 신사(1761) 3월 10일(기유) 37-03-10[01] 입학하였다.
"○ 오시(午時)에 입학례(入學禮)를 행하였다. 유생의 건복(巾服) 차림으로 명륜당(明倫堂)의 동문(東門) 밖에 섰다. 장명(將命)인 생원 홍용한(洪龍漢)이 의주대로 왕복하였다. 찬홀(贊笏)인 생원 한정유(韓鼎裕)ㆍ서호수(徐浩修)가 홀기(笏記)를 읽었다. 집비(執篚)인 생원 한용화(韓用和)가 저(苧) 3단(端)을 나에게 올리고, 내가 광주리〔篚〕를 잡았다가 도로 주니, 한용화가 받고서 앞에서 인도하였다. 익선 이인배(李仁培)가 나를 인도하여 문으로 들어가게 하였다. 집준(執尊)인 생원 박좌원(朴左源)ㆍ유지양(柳知養), 수안(修案)인 생원 김기대(金基大)ㆍ서탁수(徐琢修)가 각각 준(尊)과 안(案)을 받들고 따랐다. 제생이 뜰의 동서에 섰는데, 거안(擧案)을 올린 자는 5864인이었고 거안이 없는 자는 이보다 갑절이었다."

"익선이 나를 인도하여 편차로 나가 있게 하였다. 잠시 뒤에 환궁하였다. 사(師) 이정보(李鼎輔), 부(傅) 홍상한(洪象漢), 좌유선 서지수(徐志修), 우유선 김양택(金陽澤), 유선 박성원(朴聖源), 대사성 서명응(徐命膺)이 참석하였다."

24. 자(字) : 유청(幼淸), 여림(汝琳) | 호(號) : 명고(明皐) | 서형수(徐瀅修) 출처:한국고전종합DB의 명고전집 제2권 중 정종대왕 만장 10수
- 첫째 수 : 정조의 탄생이 비범하고 영조의 돌봄이 지극했으며 정조가 큰 공렬을 남긴 사실을 말한 것으로, 평성 ‘우(虞)’ 운의 측기식 수구용운체 칠언율시라고 한다.

"개국과 탄신일 모두 같은 해이니 / 定鼎流虹太歲符
본조(本朝)가 개국하고 정묘(正廟)가 탄신하신 것이 모두 임신년의 일이다.
다시 차오른 달빛 상서로운 햇빛 도성에 빛났어라 / 重輪瑞日耀天衢
왕실 핏줄 면면히 이어져 큰 계책 영원하니 / 璿潢綿曆洪圖永
성군께서 은인으로 마음 전하며 돌봐주셨네 / 銀印傳心聖眷紆
영묘(英廟)께서 정묘(正廟)에게 은인을 내리시어 마음을 전하셨다.
왕도는 진실로 크고 넓은 교화 이루고 / 王道允躋巍蕩化
인문은 장구히 잇고 여는 계책에 힘입었네 / 人文長賴繼開謨
찬란히 아름다운 공렬 온 세상에 드날리시니 / 煌煌徽烈揚窮宙
옥첩 금니에 어찌 다 옮겨 적으랴 / 玉牒金泥詎盡摹"
- 열째 수〔其十〕 : 정조로부터 받은 큰 은총을 추억하며 절절한 그리움을 표현. 평성 ‘원(元)’ 운의 측기식 수구용운체 칠언율시이다.
"차분히 성상 모신 지 몇 해이던고 / 幾載從容侍陛軒
크신 은혜 적으려다 눈물 먼저 삼키네 / 欲書洪造淚先呑
한 가문 어느 누가 온몸에 은혜 받지 않았으랴 / 一門頂踵誰非賜
삼대가 함께 높은 벼슬 오른 은총을 입었도다 / 三世簪纓共沐恩
집안사람처럼 여기시어 자주 서찰 보내시고 / 視似家人頻降札
오래 못 봄 염려하여 그때마다 안부 물으셨네 / 念勤契活輒垂存
다음 생 보답 맹세함은 오히려 항시 하는 말이거니와 / 來生矢報猶恒語
백번 죽어도 그리운 마음 다하기는 어려워라 / 戀結難銷百死魂"
"[주-D065] 한 …… 입었도다 : 달성 서씨(達城徐氏) 가문이 조정의 크나큰 은혜를 입어, 명고의 조부인 서종옥(徐宗玉)과 생부인 서명응(徐命膺) 그리고 명고 자신을 포함한 삼대가 모두 조정에서 벼슬하게 된 것을 말한다."
25. 자(字) : 여원(汝源) | 서효수(徐孝修)
- 강한집 제19권의 묘갈명(墓碣銘) 출처:한국고전종합DB
"영조 때 대헌공(大憲公)이 왕실에 척련(戚聯)이 되어서, 두려워하고 조심하는 마음을 깊이 간직하여 다 비우고 편안하게 물러날 뜻을 품고 있었다. 공이 이 때문에 능히 스스로 뜻을 이어 겸손하고 검약하였다. 빈렴(殯斂)하는 날, 상자 속에 있는 것은 평상복에 지나지 않았으니, 아 아름답도다.
서씨(徐氏)는 대대로 달성(達城) 사람이다. 대헌공의 증조부 휘 형리(亨履)는 첨정으로 좌찬성에 추증되었고, 조부 휘 문도(文道)는 사평(司評)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부친 휘 종신(宗愼)은 감역(監役)으로 이조 참판에 추증되었다. 참판은 우의정 서경우(徐景雨)에게 종증손이 되고, 판중추부사 충숙공(忠肅公) 서성(徐渻)이 우의정의 부친이다.
경원이 어려서 관찰공과 같은 마을에서 살았는데, 관찰공의 옆에 있는 동자가 타고난 자질이 도(道)에 가까워서 능히 《효경(孝經)》을 외는 것을 보았으니, 그가 바로 공이다. 그 후 관찰공은 벼슬이 황해 관찰사에 이르러 돌아가셨다. 지금 공이 홍문관 수찬으로 돌아가시어, 4년 사이에 공의 부자(父子)를 곡하게 되었으니 얼마나 슬픈 일인가."
26. 자(字) : 자겸(子謙) | 호(號) : 만포(晩圃) | 시호(諡號) : 무익(武翼) | 서유대(徐有大)
- 1802년 순조 2년에 기록된 순조실록 출처:한국고전종합DB
"훈련 대장(訓鍊大將) 서유대(徐有大)가 졸하였다. 대왕 대비가 경연(經筵)에 나와 하교하기를,
“이 무장(武將)이 늙기는 늙었지만 본시 숙장(宿將)으로써 갑자기 이 지경에 이르렀다.”
하고 애석해하기를 한참 동안 하였다. 서유대는 달성인(達城人)으로 문정공(文貞公) 서성(徐渻)의 후손이었다. 용모가 걸출하고 여력(膂力)이 남보다 뛰어나서 별천(別薦)으로 무과(武科)에 올랐다. 막부(幕府)로써 통신사(通信使)를 따라 일본(日本)에 들어가니 일본 사람들이 모두 장군(將軍)이라고 말하였다. 천성이 관대하여 융원(戎垣)을 두루 관장하였으나 군졸이 원망하는 이가 없으니 복장(福將)이라고 일컬어졌다."
【원전】 47 집 439 면
27. 자(字) : 행보(行甫) | 호(號) : 미락재(彌樂齋), 낙재(樂齋) | 서사원(徐思遠) 위키실록사전
- 갈암집 제25권 : 근시재(近始齋) 김 선생(金先生) 묘지명 출처:한국고전종합DB
"선생은 타고난 자품이 순수하고 아름다우며 의용(儀容)과 풍도(風度)가 근엄하였다. 그 학문은 참으로 알고 실천하여 성현의 바른 문로(門路)를 얻었다. 어버이를 섬김에 있어서는 그 힘을 다하였고, 선조를 받듦에 있어서는 그 정성을 다하였다. -(생략)- 교제하는 데 구차하지 않아 사귐이 오래되어도 공경하였으니, 비지(賁趾) 남치리(南致利),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 송소(松巢) 권우(權宇),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 존재(存齋) 곽준(郭䞭)과 도의(道義)로 사귀면서 책상을 마주하여 강론하고 편지로 왕복한 것이 함께 수양하고 절차탁마하는 데 도움되는 것 아님이 없었다."
- 선조 38년 을사(1605) 2월 13일(정사) : 비변사가 수령의 재목, 학행이 정예한 자들을 천거하다 출처:한국고전종합DB
"비변사가 아뢰기를,
“수령을 감당할 만한 재주와 재행(才行)이 겸비하고 학술이 정예한 사람을 모두 천거하라고 하명하신 지 이미 오래되었습니다. 신들이 상세히 보고 듣고서 지금에서야 비로소 뽑아 아룁니다. 수령을 감당할 만한 재주로 뽑힌 사람이 모두 참하(參下)에 있고 혹은 벼슬에 제수되지도 않은 자가 있으니 만약 일시에 모두 수령의 임무를 제수한다면 너무 갑작스러울 것 같습니다. 이미 벼슬에 제수된 자와 제수되지 않은 자는 마땅히 앞 뒤의 구분을 두어 차례로 수용해야 하니, 오직 상의 결정에 달려 있습니다. 재행이 겸비하고 학술이 정예한 자로 말하면 제목(題目)이 매우 중하여 그러한 자를 쉽게 얻지 못하겠습니다. 근일 명성이 있는 사람 중에서 혹은 학술을 취하고 혹은 재행을 취해 상의하여 기록해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전교하였다. 그 명단에,
“수령을 감당할 만한 재주로는 이유경(李有慶)ㆍ이대위(李大㐕)ㆍ지달해(池達海)ㆍ이분(李芬)ㆍ정사진(鄭思震)ㆍ성협(成浹)ㆍ김윤안(金允安)ㆍ안숭검(安崇儉)ㆍ이규빈(李奎賓)ㆍ허함(許涵)ㆍ이창정(李昌庭)ㆍ이강(李茳)ㆍ박돈(朴潡)이고, 재행이 겸비하고 학술이 정예한 자는 박성(朴惺) 【학행과 지조가 있다.】 ㆍ이기설(李基卨) 【효행이 있다.】 ㆍ장현광(張顯光)ㆍ서사원(徐思遠) 【두 사람은 명성이 있다.】 ㆍ이신의(李愼儀)ㆍ강복성(康復誠) 【두 사람은 관리의 재간이 있다.】 ㆍ윤효선(尹孝善)입니다.”
【원전】 25 집 32 면
28. 자(字) : 정보(精甫) | 호(號) : 동고(東皐) | 서사선(徐思選)

- 암서집 제31권 / 묘갈명(墓碣銘) : 서 부군 묘갈명〔徐府君墓碣銘〕
"경산(慶山)은 달성(達城)과 경계를 연이었으므로, 달성을 본관으로 하는 서씨(徐氏)가 경산에도 함께 섞여 살았다. 근세에 서씨의 가법과 문호의 아름다움을 헤아릴 때 반드시 경산의 중방(中方)을 으뜸으로 치는데, 중방의 서씨는 동고(東臯) 선생 사선(思選)을 널리 알려진 조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그 영향이 다한 지 또한 오래되었지만, 이러한 칭송을 얻는 것은 특별히 이유가 있는 것인가?

"[주-D001] 동고(東臯) 선생 사선(思選) : 서사선(徐思選, 1579~1650)을 말한다. -(생략)-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서사원(徐思遠, 1550~1615)의 종제이다. 저서로는 《동고집》이 있다."
"[주-D002] 그 …… 되었지만 : 서사선으로부터 5대를 지난 것이 오래되었음을 말한다. 맹자는 “군자의 유풍(遺風)도 5대가 되어 다하고, 소인의 유풍도 5대가 되어 다한다.〔君子之澤, 五世而斬;小人之澤, 五世而斬.〕”라고 하였다. 《孟子 離婁下》"
29. 자(字) : 서응(瑞應) | 호(號) : 잠수(潛修) | 서병규(徐炳奎)
- 암서집 제31권 / 묘갈명(墓碣銘) : 서 부군 묘갈명〔徐府君墓碣銘〕
"서군(徐君) 상효(相孝)는 나와 오래 전에 안 교분이 있었다. 어느 날 그 고조 부군(府君)의 행략(行畧)을 가지고 와서 묘갈명(墓碣銘)을 청했는데, 그 행략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어렸을 때 언어와 행동이 방종하거나 나태하지 않았고, 일찍 과거 공부를 그만두고 경학에 마음을 두어 사는 곳에 스스로 편액을 ‘잠수(潛修)’라고 하였다. 날마다 항상 일찍 일어나 세수하고 부모의 안부를 살핀 뒤 집안사람들에게 각기 할 일을 맡기고, 물러나 종일 고요히 서책을 대하였다. 그러나 친밀하거나 소원하거나 귀하거나 천한 사람들에게 모두 그 마음을 얻었다. 부모상을 당해서는 집상을 모두 예법대로 하였다. 고을 사람들이 추대하여 훈장이 되어서는 권장의 효과가 있었다. 종제와 종질 및 족손 가운데 일찍 고아가 되어 의지할 곳 없는 이가 있으면, 일을 시키기도 하고 가르치기도 하여 처소를 잃지 않게 하였다."
"부군의 휘는 병규(炳奎), 자는 서응(瑞應)이다. 서씨(徐氏)는 명덕(名德)이 나라 안에 알려져 있으니, 기록하기를 기다릴 것이 없다. 그 고조ㆍ증조ㆍ조부ㆍ부친은 차례로 만취헌(晩翠軒) 도선(道璿)ㆍ방촌(芳村) 광점(光漸)ㆍ유복(有復)ㆍ임여와(臨予窩) 종간(宗幹)이다. 모친은 광주 이씨(廣州李氏)이니, 호중(浩中)의 따님이다.
부군은 순조 계해년(1803) 10월 24일에 태어나고, 고종 갑술년(1874) 11월 12일에 돌아가시니, 향년이 72세였다. 이듬해 3월에 중방 동쪽 기슭 간좌(艮坐) 언덕에 안장하였다.
부인은 밀양 박씨(密陽朴氏)이니, 증실(增實)의 따님이다.
1남은 택기(宅基)이고, 2녀는 최가술(崔家述)ㆍ이정명(李庭蓂)에게 출가했다. 택기의 2남은 석보(錫輔)ㆍ석호(錫皓)이다. 석보의 아들은 경수(景洙)이다. 이하는 다 기록하지 않는다.
명(銘)을 붙인다.
혹 열매는 먹고 / 或實之食
뿌리는 잊어버리네 / 乃諼根
밝고 드러나게 하였으니 / 俾昭而著
어찌 잊으랴 / 奚其諼
네 조상을 생각하여 / 曰念爾祖
그 후손에게 끼칠지어다 / 詒厥孫"
30. 자(字) : 질보(質甫) | 시호(諡號) : 정간(靖簡) | 서명빈(徐命彬)
- 영조 10년 갑인(1734) 6월 23일(정묘) 비가 옴 : 10-06-23[27] 정세와 병세를 이유로 체차해 주기를 청하는 경상 감사 서명빈의 상소 출처:한국고전종합DB
"경상 감사 서명빈(徐命彬)이 상소하기를,
“삼가 아룁니다. 관찰사의 직임은 어느 지역인들 무거운 위임이 아니겠습니까마는 영남 한 도의 경우는 국가의 가장 근본이 되는 지역이니 왕명을 받들어 교화를 펴는 책임이 더욱 각별합니다. 성상께서 반드시 특별히 신중하게 선발하고자 하시고 조정에서 매번 그 적임자를 찾기 어려웠던 것은 진실로 그만한 이유가 있었으니 재주 없는 사람에게 경솔히 맡겨서는 안 되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런데 지금 갑자기 천만 가당찮은 천한 신에게 맡기어 성상의 선발에 누를 끼치고 듣는 사람을 놀라게 하는데도 이 문제를 돌아보지 않습니다. 신은 삼가 놀랍고 당황스러우며 이어 슬프고 두려워하면서 참으로 그렇게 하는 이유를 알지 못합니다. 만약 신이 조금이라도 이 직임을 감당할 수 있다고 평가하셨다면 이는 실상과 다르니, 사람을 잘 알아보는 전하의 밝음으로 백관들을 살펴보아 종합적으로 따져 보는 것을 우선으로 여긴다면 지극히 용렬하고 부족한 신의 실상에 대해서 반드시 남김없이 다 아실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만약 구차하게 채워 넣어 가당찮게 은혜로운 낙점을 내리셨다면 특별히 선택하는 뜻과 인재를 살펴보는 정사가 또한 너무 잘못된 것이 아니겠습니까."
"[주-D001] 대대로 …… 후예 : 서명빈은 본관이 달성(達成)으로 대표적인 소론 가문 출신이다. 아버지는 대제학을 지낸 서종태(徐宗泰)이며, 조부 서문상(徐文尙)은 병조 참의를, 증조부 서정리(徐貞履)는 풍덕 부사(豐德府使)를 지냈다."
31. 자(字) : 경세(景世) | 호(號) : 죽석(竹石) | 시호(諡號) : 문헌(文憲) | 서영보(徐榮輔)
-국조보감 제77권 / 순조조 2 : 8년(무진, 1808)
"○ 10월. 평안감사 서영보(徐榮輔)를 불러 보았다. 상이 이르기를,
“성심을 다해 대양(對揚)하고, 폐단이 있으면 반드시 없앨 방도를 생각하라. 강계(江界)의 인삼(人蔘)은 여러 해 동안 폐단이 누적되어 왔으니, 백성들의 실정을 널리 알아내어서 좋은 쪽으로 바로잡도록 하라. 또 전최(殿最)가 엄하고 엄하지 못한 것은 감사의 책임이다.”
하니, 서영보가 아뢰기를,
“본도의 강역(疆域)은 한 줄기 물을 사이에 두고 피지(彼地)와 인접해 있습니다. 풍속이 예로부터 무예를 숭상해왔으니 만약 다시 권장한다면 긴급한 사태가 발생했을 때 이를 믿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하자, 상이 이르기를,
“관서는 과연 관방(關防)의 측면에서 중요한 지역이다. 문사(文事)를 폐할 수는 없지만 무비(武備)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하였다."
32. 자(字) : 백오(伯五) | 호(號) : 만옹(晩翁) | 시호(諡號) : 정간(貞簡) | 서명서(徐命瑞)
- 일성록 : 정조 14년 경술(1790) 6월 27일(병자)
○ 전교하기를,
“연일 정사를 열어 노인직과 실직(實職)을 차출하는 것은 나이를 소중히 여기는 취지에서 나온 것이지만 관직의 소중함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아당(亞堂)이나 좌이(佐貳)를 아무에게나 다 강제로 시킬 수는 없는 일이지만, 신기경(愼基慶)의 경우에는 본래 이름난 집안인 데다가 문신(文臣)이기도 한데, 동지중추부사까지도 아울러 남보다 뒤늦게 받았으며 총관이나 아윤(亞尹)에도 전혀 검의(檢擬)하지 않았으니, 전조의 행위를 이해할 수가 없다. 오늘 정사에서 먼저 동지중추부사에 의망하여 들이고, 이어서 아윤이나 총관 중에 의망하여 들이게 하라.
음관(蔭官)인 가선대부(嘉善大夫) 서명서(徐命瑞)는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의 옛 궁료(宮僚)이고 또 계방(桂坊)으로서 공무를 행하였다. 게다가 다른 집안의 사람과도 다르고, 동지중추부사를 거쳤으니 이력(履歷)이 되기에도 충분하다. 서명서도 오늘 정사에서 총관에 의망하여 들이게 하라.”
하였다.
"○ 홍문영(洪文泳)을 병조 참판으로, 황욱(黃㮋)을 형조 참판으로, 신기경(愼基慶)을 우윤으로, 이의준(李義駿)을 예조 좌랑으로, 이응혁(李應爀)ㆍ서명서(徐命瑞)를 부총관으로 삼았다."
33. 자(字) : 상보(尙甫) | 호(號) : 오산(梧山) | 서창재(徐昌載)
- 대산집 제26권 / 서(書) : 김도언에게 답함 무술년(1778, 정조2) 〔答金道彥 戊戌〕
"일전에 서상보(徐尙甫)가 와서 5, 6일 머물렀는데 의사가 참으로 좋았습니다. 《논어》 몇 권을 읽고 돌아갔는데 그대와 교제하기를 원하는 뜻이 있었으나 일이 닥쳐서 그렇게 하지 못했습니다."

"[주-D002] 서상보(徐尙甫) : 서창재(徐昌載, 1726~1781)로, 상보는 그의 자이며, 호는 오산(梧山)이다. 대산의 제자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다. 저서에 《오산문집(梧山文集)》이 있다."
- 대산집 제27권 / 서(書) : 서상보 창재 에게 답함 경인년(1770, 영조46) 〔答徐尙甫 昌載○庚寅〕
"초여름에 편지를 받았는데 벌써 가을도 반 이상 지나갔습니다. 조용히 몸을 조섭하며 편안히 지내고 있으리라 생각하니 위안되고 그리운 마음 말로 다 할 수가 없습니다. 나의 부들처럼 연약한 몸은 쉽게 쇠하고 혼미한 정신은 점점 심해지니, 학업은 차츰 시들어 가고 그저 궁한 자의 슬픔이 있을 뿐입니다. 어찌해야겠습니까?
원근의 벗들은 밖으로는 전염병에 시달리고 안으로는 과거(科擧) 생각으로 복잡하여 함께 이 일을 말할 사람이 없었는데, 보내신 편지를 받고는 조용히 독서하며 즐거워하고 있음을 알았으니, 나로 하여금 마음이 열리고 눈이 밝아지게 하였습니다. 함께하고 싶지만 그럴 방도가 없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다만 그대에게 학업이 무너지고 생각이 뒤섞이는 탄식이 있다는 것은, 그 근심하는 바가 나태하고 일 없이 지내는 이 몸과 전혀 다를 바가 없으니, 어찌 짐짓 이로써 경계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이를 경계하지 않는다면 스스로 힘써 날로 진보한 뒤라도 내적 성찰의 뜻은 항상 부족하게만 느껴질 것입니다."
"[주-D001] 서상보(徐尙甫) : -(생략)- 본관은 달성(達城)이고, 호는 오산(梧山)이다. 어려서부터 영특하여 선생의 도움 없이 《주역》의 대의를 터득하였고, 후에는 과거 공부를 포기하고 《심경(心經)》, 《근사록(近思錄)》 등 성리서(性理書)를 공부하였으며, 《중용질의(中庸質疑)》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만년에는 예학(禮學)에도 크게 관심을 기울였다. 대산이 그의 행장(行狀)을 지었다. 《대산집》에는 그에게 답한 편지가 5통 실려 있으며, 서창재의 문집인 《오산집(梧山集)》 권2에는 대산에게 보낸 편지가 9통 실려 있다. 《大山集 卷52 梧山處士徐公行狀, 韓國文集叢刊 227輯》 《高山及門錄 卷1》
34. 자(字) : 정보(正甫) | 호(號) : 사천(沙川) | 서창경(徐昌鏡)
- 대산집 제27권 / 서(書) : 서정보 창경 의 별지에 답함 신축년(1781, 정조5) 〔答徐正甫 昌鏡 別紙 辛丑〕
"[주-D001] 서정보(徐正甫) : 대산의 문인인 서창경(徐昌鏡, 1726~1799)을 가리킨다. 정보는 그의 자이다. 본관은 달성(達城)이고, 호는 사천(沙川)이다. 생원 서만유(徐萬維)의 아들이며, 앞 편지의 대상인 서창재(徐昌載)의 족제(族弟)이다. 과거 공부를 중단하고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평소 ‘장경(莊敬)[74]’을 위주로 생활하였다. 문집으로 《사천집(沙川集)》이 있으며, 그의 문집 권2에 대산에게 보낸 편지 1통이 실려 있다. 《沙川集 卷4 行狀》 《高山及門錄 卷1》"
35. 자(字) : 여장(汝張) | 서만유(徐萬維)
- 순흥지 : 생원ㆍ진사[生進] 출처:한국고전종합DB
"서만유(徐萬維) : 자는 여장(汝張). 서정구(徐鼎耈)의 조카이다. 경인년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36. 자(字) : 수옥(秀玉) | 호(號) : 행와(杏窩) | 서호(徐琥) 참고: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서익명(徐翊明)의 아들, 형은 서규(徐珪)와 서관(徐瓘)이다.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의 5대손이다.
37. 자(字) : 경양(景襄) | 호(號) : 임재(臨齋) | 서찬규(徐贊奎) 참고:대구역사문화대전 : 개항기 달성 출신의 학자

"서찬규(徐贊奎)[1825~1905]는 1846년(헌종 12)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향리에 은거하면서 수동재(守東齋)를 지어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노력하였다. 그 후 1883년(고종 20)에 경상도 관찰사 및 암행어사의 추천을 받아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조병덕(趙秉悳)·최익현(崔益鉉) 등과 교류(交流)하면서 경전(經典)에 대한 질의와 한말의 사회·정치적 문제를 토론하기도 하였다. 일본 제국주의 침입에 대한 대비책으로 경상도 일원의 요새지에 성(城)을 수축할 것을 제의하였다. 이기설(理氣設)에 있어서는 이(理)는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고, 기(氣) 속에 존재하여 기(氣)의 주(主)가 된다고 전제하며, 이기 일원론(理氣一元論)을 지지하였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에 임연당(臨淵堂)을 짓고, 강학 장소로 삼았다."
38. 자(字) : 중강(仲强) | 호(號) : 성암(性菴) | 서건수(徐健洙-1874~1953) 참고:대구역사문화대전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지금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에서 태어난 그는 1919년 독립 청원서 운동인 파리장서운동이 전개될 때 유림 대표로 참여하였다. 그러나 1919년 송회근(宋晦根)이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는 과정에서 파리장서 운동의 전말이 발각되면서 서건수도 일제 당국으로부터 고초를 겪었다. 1995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39. 자(字) : 문보(文甫) | 호(號) : 목민(木民) | 서상교(徐相敎/徐尙敎) 참고출처1:대구역사문화대전 참고출처2: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서찬규(徐贊奎)와 서건수(徐健洙)의 후손, 일제감정기의 독립운동가이다.
"서상교는 김상길(金相吉)·이상호(李相虎)와 함께 태평양전쟁의 전황 및 아시아 각 나라의 동향, 일제의 민족 차별, 독립의 필연성 등에 대하여 논의하고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운동을 펼치기로 결의하였다. 서상교 등은 구한말 조선이 사용하였던 태극기를 본떠 ‘태극단’이라는 단명을 정하고 약칭을 ‘T·K·D’라고 하였다. 태극단은 전국의 학교와 각 지역별로 조직을 완성한 후 항일투쟁을 전개하고, 국내에서의 투쟁이 여의치 못할 때에는 중국으로 집단 망명하여 항쟁을 이어 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1942년 4월 일제가 강제로 행한 창씨개명(創氏改名)주2, 신사참배(神社參拜)주3 및 황국신민서사(皇國臣民誓詞)를 외우게 하는 것 등에 강한 불만을 갖고 있던 차에 절친한 친구였던 이상호(李相虎)의 집에서 김상길(金相吉)과 함께 항일 비밀결사 태극단(太極團)을 결성하기로 뜻을 모으고, 체육국장에 선임되었다."
(* 지식백과 참고 : "일제는 창씨개명을 거부한 사람들은 ‘불령선인’이라고 부르며 탄압했다. 불령선인이란 불온하거나 불량한 조선인이라는 뜻으로, 일제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경멸하거나 차별할 때 사용하는 말이었다. 나중에는 독립운동을 하는 조선인들을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
"태극단은 주로 동지 간의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체력을 단련하는 한편, 군사 지식을 공유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중국이나 만주로 망명하여 항일투쟁에 참가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이다. 또한, 중학교 1 · 2학년생과 보통학교 상급반 학생을 중심으로 하는 건아대(健兒隊)라는 별도의 조직을 두어 조직 규모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5월 하순경 내부의 밀고로 조직의 실체가 일제 경찰에게 발각되었으며, 5월 23일 수업 도중 학교에서 대구경찰서에 체포되었다. 1944년 1월 대구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소년 형량 단기 5년, 장기 7년을 언도받고 인천형무소에 투옥되었으며, 1945년 8 · 15광복을 맞아 출옥하였다."

7. 집성촌

달성 서씨는 서울특별시 지역 수도권을 제외하면 대구광역시와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지역에 많이 살고 있으며, 그 외 충청북도와 전라남·북도 등지에도 흩어져 살고 있다.

7.1. 충북

7.2. 전라

7.3. 대구·경북

7.4. 부산·울산·경남

7.5. 북한

8. 항렬표

19세: 건(楗)○, ○재(在), 간(幹)○, 상(相)○
20세: ○열(烈), ○흠(欽), 병(炳)○, 광(光)○, 병(丙)○
21세: ○곤(坤), ○규(奎), ○태(泰), 기(基)○, 정(廷)○, 재(載)○
22세: ○석(錫), ○화(和), ○진(鎭), 종(鐘)○
23세: ○수(洙), 영(永)○, ○원(源), ○호(浩)
24세: 정(正)○, 동(東)○, 병(柄)○, 상(相)○
25세: ○교(敎), ○환(煥)
26세: 보(輔)○, 규(逵)○, 민(民)○, 재(在)○
27세: ○덕(德)
28세: 영(永)○
29세: ○걸(杰)
30세: 현(炫)○
31세: ○준(埈)
32세: 용(鎔)○
33세: ○락(洛)
34세: 병(秉)○
35세: ○혁(焃)
36세: 재(在)○
37세: ○호(鎬)
38세: 홍(洪)○
39세: ○정(楨)
40세: 하(夏)○

9. 인명

9.1. 21세손(22세)

9.2. 22세손(23세)

9.3. 23세손(24세)

9.4. 24세손(25세)

9.5. 25세손(26세)

9.6. 미상


[1] 달성군(達城君) 서주행/서유행(徐周行/徐維行)의 아들이다. '周'는 두루, 골고루, 널리라는 의미를 가지며 '行'은 다닐 행이다. 즉, 이천 서씨인 서희의 아들로 알려진 그가 달성으로 멀리 거처를 옮겼다는 뜻을 담아 작명된 이름이었을 법도 하다. 또는 부인으로 언급되는 초계 주씨(草溪周氏)의 '주'를 대입한 것일 수도 있다. 서희에게는 네 명의 아들이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주행(徐周行), 그리고 서유위(徐惟偉)가 그들이며 그 계보에 상당한 오류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추측상의 정황이긴 하나, '閈'이 지닌 의미는 이문, 마을, 담, 담장(-牆)이며 보통 누군가의 이름을 그런 식으로 단순히 작명하지는 않는다. [3] 서진의 부인이 초계 주씨라는 사실을 접목시켜 보자면 서희의 넷 아들 중 서주행의 본명이 서유행, 동시에 달성 서씨의 시조인 서진(徐晉)이기도 하다는 '가설'도 떠오른다. 서희에게는 아들이 셋이었으며 그들 중 한 명이라는 '가설'도 경시할 수 없다. [4] 하지만 파파고 번역기는 그를 인식하지 못했다. '公諱閈'을 입력해 보았더니, '공공의 기호에 어긋남'으로, 그리고 '諱閈'은 '휘감다'로 해석되는 것이다. 구글 번역도 마찬가지이다. '公諱閈'은 '공공의 금기', '諱閈'은 '금기'로 번역된다. [5] 조작의 유무 여부 또한 불확실 [6] 조작의 여지를 최대한 배제함과 동시에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접근 가능한 이천 서씨 족보들 중 가장 오래된 1846년 발행된 자료를 참고했다. 저작권 문제("마이크로필름은 스캔되었으나 계약,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 또는 기타 제한 사항으로 이용이 제한되어 있습니다.")로 자료의 이용 여부가 불분명하여 링크 첨부는 하지 않으나, 패밀리 서치라는 인터넷 가계도 사이트의 카탈로그 검색을 통해 제목 '이천서씨족보 利川徐氏族譜'를 입력한다면 총 16개 검색 결과가 뜨는데 그중 '이천서씨족보 利川徐氏族譜, 900-1846'이라는 제목의 자료이다. 족보 의 앞 부분에는 함안 윤씨(咸安尹氏)가 함께 있으며 이천 서씨는 253페이지 부터 시작된다.(열람 시 로그인 필요*) [7] 오대십국 시대 중 오대의 3번째 왕조 [8] 중국 당나라 소종 때의 연호(901~904년)/天復 ≠ 天福 [9] 또는 고려 태조 26년 [10] 해당 족보에 부인의 정보가 불충분한 관계로 가계 정보가 흡사한 다른 족보를 함께 참고한 결과 서희의 부인(夫人)은 청주 한씨(淸州韓氏), 군기감사(軍器監事) 식(湜)의 딸로 기록되었다. 서희의 졸년은 통화(統和=중국 요나라의 제6대 황제인 성종이 사용한 첫 번째 연호/983~1012년) 15년 정유(丁酉)인 997년 7월 25일(또 다른 족보에는 그의 졸년이 고려 목종穆宗 원년元年인 998년이거나, 25일이 아닌 27일로 기록된 등 일관적이지 않은 양상을 띤다.), 향년(享年) 57세이다. [11] 염(廉)은 족보상 서희의 형제이자 서필(徐弼)의 아들로 파악된다. [12] 참고로 이천서씨족보 중 발행 연도 미상인 하나에서는 서눌(徐訥)을 문하시중이자 중대광(重大匡) 내사령(內史令)으로 기록했다. [13] '이천서씨절효공파족보 利川徐氏節孝公派族譜, 9권, 900-1898'이라는 제목의 파일 내에 포함된 여러 종류의 자료들 중 788페이지의 이천 서씨 족보부터는 1973년의 족보로 확인되었다. [14] 저작권 문제로 링크 첨부 X/패밀리 서치 사이트의 검색창에 이천서씨족보 利川徐氏族譜->위에서 두 번째 줄의 '이천서씨절효공파족보 利川徐氏節孝公派族譜, 9권, 900-1898'이라는 제목의 자료. 두 종류의 문서 중 '이천서씨절효공파족보 利川徐氏節孝公派族譜, 권 1-5'가 참고의 대상이며 788페이지부터 이천 서씨의 1세인 서신일이 시작된다.(열람 시 로그인 필요*) [15] 天復 ≠ 天福 [16] 검색 결과 한 블로그에 의하면 '‘우송(于宋)’이란 사방의 국경 안을 ‘송(宋)’나라라고 말한다.'-로 해석된다. [17] 네이버 지식백과 - ‘상부(祥符)’는 ‘상서로운 부적(符籍)’/대중상부(大中祥符) = 중국 송나라의 제3대 황제인 진종이 사용한 세 번째 연호(1008~1016년) [18] 상부(祥符) 3년 = 1010년(?) [19] =998년 [20] 167페이지(328쪽)부터 1세 서신일 [21] '이천서씨절효공파족보 利川徐氏節孝公派族譜, 9권, 900-1898'이라는 제목의 파일 내에 포함된 여러 종류의 자료들 중 788페이지의 이천 서씨 족보부터는 1973년 족보로 확인되었다.(새로고침 시 해당 자료로 이동하며 제목이 변한다.) [22] + 서주행(徐周行=서유행) [23] 예컨대 서섭(徐涉)의 부인이 예조참의(禮曹參議)의 딸이자, 서고(徐固)가 예조참의(禮曹參議)를 지냈다는 사항도 이 경우에 해당한다. [24] 출처 : 패밀리 서치 사이트/135페이지 [25] 출처 : 패밀리 서치 사이트/44페이지 [26] 출처 : 패밀리 서치 사이트 / 253페이지 1세 서신일 [27] 출처 : 패밀리 서치 사이트 / 752페이지 1세 서신일 [28] 출처 : 패밀리 서치 사이트 [29] 297페이지 [30] 506페이지 [31] 1052페이지 [32] 서목의 후손은 다른 문헌 자료들에서도 명확히 언급되지 않는 듯하다. [33] 1022페이지 [34] 출처 : 패밀리 서치 사이트 [35] 809페이지 1세 서신일 [36] 446페이지 1세 서신일 [37] 646페이지 1세 서신일 [38] 출처 : 패밀리 서치 사이트 [39] 41페이지 1세 서신일 [40] 1012페이지 1세 서신일 [41] 출처 : 패밀리 서치 사이트 / '이천서씨절효공파족보 利川徐氏節孝公派族譜, 9권, 900-1898'이라는 제목의 파일 중 1-5권, 788페이지부터 해당 [42] 출처 : 패밀리 서치 사이트 / 82페이지 [43] 출처 : 패밀리 서치 사이트 / 998페이지 [44] 저자인 서종급(徐宗伋)에 관한 부록으로 추정되나 확실하지 않다. 참고로 서섭(徐涉)의 아들인 서감원(徐坎元-이명:서차원徐次元)의 아들인 서준(徐俊)에게는 서시웅(徐時雄)이라는 아들이 있는데, 서시웅의 아들 중 서선영(徐先英)의 부인은 남양 홍씨(南陽洪氏)이다. 서선영에게는 서익한(徐翼漢)이라는 아들이 있다. 다만, 아래에 첨부된 판서공파세보에는 서선영과 서익한이 부재한다.(77p) [45] =이문, 마을, 담, 담장(-牆)/鼻祖 閈 高麗中郞將。= 원조(비조) 고려 중랑장。 [46] 죽은 뒤에 봉(封)함. [47] 족보에 의하면 한 책은 지유(之宥)라 한다는 내용이 있다. 상촌선생집 제26권 / 묘갈명(墓碣銘)에 "목사 고(翺)의 따님이자 밀직사(密直使) 지유(之宥)의 손녀이고" [48] 봉익대부(奉翊大夫) [49] 서충의 증손자인 6세 서한정(徐翰廷)과 함께 실려있으며, 서한정의 본관이 화원(花園)이라 서술되어 있으나 서충이 화원현으로 이주했던 과거로 인해 발생한 착오로 생각된다. [50] 문하(門下)에서 배우는 제자(弟子). [51] 족보에는 김영리, 기타 자료에는 김원명(金遠鳴)의 딸이라 기재돼 있기도 하다. 그러나 김약채(金若采)의 조부인 김영리(金英利)가 1314년생이라는 점을 고려하자면 시기상 전자가 더 적합하다. [52] 감찰(監察) [53] 지청도군사(知淸都郡事)에서 통훈대부(通訓大夫)에 이르렀다. [54] 문과(文科) 급제, 장령(掌令) [55] 문과 급제 [56] 문과 중시에 급제 [57] 우윤(右尹) [58] 涉은 '섭'과 '척'의 두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여타 문헌 자료와 족보에는 서섭, 또 다른 세보에는 서척으로 기재되어 있다. [59] 자료마다 서섭이 척간소를 올린 시점이 계유정난의 전과 후로 시점이 약간씩 다르다. [60] 진사(進士) [61] 진사(進士) [62] 참판(參判) [63] 현감(縣監) [64] 족보 책에는 기록되어 있으나 문헌상으로 미확인된 세부 사항들은 생략되거나 각주로 표기되었다. [65] 위에 첨부된 족보 책들은 상당히 공허한 편이다. 특히 판서공파세보가 그러한데, 92페이지에 초명이 문중(文重)인 서중운(徐重運)과 95페이지의 서명발(徐明發) 등이 그 예에 해당한다. [66] 신뢰도 : 하~중 [67] 신뢰도 : 하~중 / 과거를 거치지 아니하고 조상의 공덕에 의하여 맡은 벼슬. 또는 그런 벼슬아치. [68] 간혹 '大丘人', '大邱人', '大丘之徐', '系出大丘' 등의 문자가 눈에 들어오는 대상들이 존재한다. 그들은 총 24명으로, "주의 요구 스물네 명" 목차는 삭제되었다. 참고를 위해 각주에 간략히 기록하자면 그 명단은, 서한정(徐翰廷), 서성(徐渻), 서식(徐湜), 서진리(徐晉履), 서숙(徐璹), 서문상(徐文尙), 서문제(徐文濟), 서문중(徐文重), 서종제(徐宗悌), 서중선(徐重宣), 서종섭(徐宗燮), 서명형(徐命珩), 서명장(徐命長), 서명보(徐命寶), 서명현(徐命顯), 서형수(徐逈修), 서유항(徐有恒), 서중보(徐中輔), 서미(徐湄), 서대순(徐玳淳), 서형순(徐衡淳), 서상옥(徐相玉), 서인순(徐璘淳) 그리고 서상두(徐相斗)이다. [69] 보아하니, 이유는 알 수 없으나 대구십영(大邱十詠/大丘十詠)이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진 듯하다. [70] 원문의 맥락을 확인한 결과 해당 인물의 조상(其先)이 달성인이며 '원조는 고려 중랑장'으로 해석되므로 서주행(서유행)이 아닌 다른 인물에 더 가까울 것으로 보인다. 뒤 문장에 의하면 그의 고조(高祖)가 서성(徐渻?), 증조(曾祖)가 서경주(徐景霌)이며 조부(祖)는 서진리(徐晉履), 부친(考=사망한 아버지)은 문택(文澤)으로 해석된다. 돌아가신 모친(妣)은 남양 홍씨(南陽洪氏)이다. 따라서 서문택의 아들이라면 그 후보에는 서종집(徐宗集), 서종섭(徐宗燮), 서종업(徐宗業), 서종엽(徐宗燁), 그리고 서종급(徐宗伋)이 있다. 진사(進士), 태학(太學), 이조판서(吏曹判書), 더해 영조(聖上=영상) 38년인 1762년에 7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퇴헌유고의 부록(附錄=본문 끝에 덧붙이는 기록)이므로 저자인 서종급에 관한 편목으로 추정되나 확실하지는 않다. 그의 이름과 자(字)가 지워진 것을 보아, 서종급의 이름과 생년이 사실과 다르기 때문이라는 가정이 자연히 떠오르기도 한다. [71] =이문, 마을, 담, 담장(-牆)/원조(비조) 고려 중랑장 [72] 고문서인 관계로 이미지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첨부된 출처로 이동할 시 화면의 왼쪽으로부터 두 번째 줄에 있다. [73] 방정하다 : 말이나 행동이 바르고 점잖다. [74] 엄숙하고 공손하다. [75] 다전으로도 불린다. 달성서씨 감찰공파 집성촌이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 참고. [76] 항렬표에 의하면 21세(20세손)으로 추정되나 기존에 21세손에 위치해 있었으므로 이동X [77] 참고로 가수 서영은은 이천 서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