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8:47:20

태극

삼태극에서 넘어옴
태극(太極)
파일:음양.svg
언어별 명칭
한국어 태극[1]
중국어 太極
중국어 병음 tàijí
영어 Taiji, Taegeuk[2]

1. 개요2. 역사
2.1. 태극의 기원과 기록2.2. 송나라 시기
3. 한국에서의 태극
3.1. 삼태극
4. 상징으로 사용하는 경우5. 관련6. 기타7. 창작물
[clearfix]

1. 개요

태극() 또는 태극 문양은 태극의 개념과 가치가 내포된 중국의 문양으로, 대한민국의 국기인 태극기의 중앙에 위치한 문양 또한 태극이다. 태극 문양의 개념을 익히려면 태극사상을 이해해야 한다. 태극이라는 단어는 중국의 타이지( 중국어: 太极, 병음: tàijí)를 한국식 음독(독법)으로 발음한 단어로 이 한자를 직역하면 거대한 궁극이나 궁극적 실체라고 해석이 된다. 태극은 태극의 도교 철학적 가치와도 연관되어 있다.

2. 역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국기 '태극기'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태극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가장 오래된 태극문양 유물은 중국 후베이성 ​​천문시의 스자허 선사시대 유적지에서 발견된 태극 장식이다.[3][4]

2.1. 태극의 기원과 기록

장지

도교 고전 장자는 태극 개념을 도입했다. 기원전 3세기경의 "내장" 중 하나는 태극과 류지()를 대조한다. 류지는 문자 그대로 "6가지 궁극적인 것, 6가지 기본 방향"을 의미한다.
부수 거울은 태양 에서 불의 기운을 모으고, 방초방경 은 달에서 이슬을 모은다.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것은 아무리 뛰어난 계산기라도 그 수를 헤아릴 수 없다. 그러므로 손이 극히 작은 것은 만지고 살필 수 있어도 해와 달의 밝기는 잡을 수 없다. 만일 한 가지 범주에 속하는 것을 손이 닿는 범위 안에 있다면, 위에서 태극 ()으로 모으면 불과 물을 즉시 낼 수 있다. 이는 음 과 양은 공통 의 기를 공유 하고 서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


역경

태극은 또한 역경 에 대한 주석서인 서사 에도 등장한다. 전통적으로 공자의 작품으로 여겨지 지만 기원전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더 크다.
그러므로 변화 속에 위대한 원시적 시작이 있습니다. 이것은 두 가지 기본적인 힘을 생성합니다. 두 가지 기본적인 힘은 네 가지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네 가지 이미지는 팔괘를 생성합니다. 팔괘는 행운과 불운을 결정합니다. 행운과 불운은 큰 행동의 영역을 만듭니다. [5]

2의 거듭제곱 의 순서는 태극 → 음과 양(두 가지 극성) → 육상 ( 사상 ) → 팔괘 (팔괘) 로 구성된다 .
근본적인 가정은 존재하는 모든 것의 "위대한 원초적 시작"인 태극권 입다 . 태극권의 원래 의미는 "능선"입니다. 후대의 인도 철학자들은 원초적 시작이라는 이 개념에 많은 생각을 바쳤습니다. 훨씬 더 이른 시작인 무극 은 원 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이 개념에 따라 태극권은 빛과 어둠, 양과 음으로 나뉜 원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이 상징은 인도와 유럽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영지주의-이원론적 성격의 추측은 역경의 원래 사상과는 거리가 멉니다 . 역경 이 제시하는 것은 단순히 능선, 선입니다. 그 자체로 일체성을 나타내는 이 선과 함께 이원성이 세상에 들어옵니다. 선은 동시에 위와 아래, 오른쪽과 왼쪽, 앞과 뒤를 제시하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반대의 세계입니다. [6]

2.2. 송나라 시기

파일:1000023242.png
송나라 시대 에 발전한 신 유교 철학 에서 태극은 인체 구조에 상응하는 소우주로 여겨졌다.[7] 송나라 철학자 주돈이(1017-73) 는 신유교 우주론의 초석이 된 태극 도설 ()을 썼다. 주의 간략한 텍스트는 중국 불교 도교의 측면을 역경 의 형이상학적 논의와 종합했다 . 주의 서두는 다음과 같다.
비극성( 무극성 )이면서도 태극성( 태극성 ) 극성은 활동할 때는 양을 낳지만 활동의 한계에서는 고요하다. 고요할 때는 음을 낳지 만 고요할 때는 활동적이다. 활동과 고요는 번갈아가며, 각각이 다른 하나의 기초이다. 음 과 양 을 구별함으로써 두 가지 양태가 확립된다. 양과 음이 번갈아가며 결합하면 물, 불 , 나무, 금속, 흙이 생긴다. 이 다섯 가지 [기의] 위상이 조화롭게 배열되면 사계가 이를 통해 진행된다. 다섯 위상 은 단순히 음 과 양일 뿐이다 . 음 과 양은 단순히 극성일 뿐이다. 극성은 근본적으로 비극성이다.[그러나] 다섯 위상이 생성될 때 각각은 그 본성을 갖는다.[8]

3. 한국에서의 태극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의 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기

한반도내에서의 제일 오래된 태극 문양은 7세기 유물에서 볼 수 있다. 고구려의 무덤이나 백제, 신라 유적에서 그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데, 최근 발굴된 백제시대의 전라남도 나주 복암리 유적에서 발견된 목간 속 태극 문양이 7세기 초반인 618년경 즉 무왕 시기의 유적으로 밝혀짐에 따라 이보다 더 전에도 태극 문양이 사용되었을 시사한다.[9]

또한 성리학을 받아들인 조선 시대에는 도교적 의미의 음양의 조화를 기원하는 것을 표현하거나 백성들이 국가의 선정()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의미를 나타내게 되었다.[10]

또한 조선시대 왕의 깃발로 사용된 어기와 오늘날 대한민국의 국기인 태극기의 기원이 되는 대한제국의 태극기 또한 마찬가지로 도교 유교적 개념과 해석을 담아서 만들어졌다.

또한 한국의 무속 신앙 등이 중국 도교, 유교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한국의 무속신앙 상징물로 태극 문양을 사용하고있다.[11]

3.1. 삼태극

파일:attachment/tgksn.jpg
한국의 태극선

한국식 태극 문양에선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이 들어간 '삼태극'을 많이 썼는데 전통적인 부채나 한옥의 대문 등 민간에서도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흔히 이태극이 '음양의 어우러짐'을 상징한다면 삼태극은 '천지인(天地人)'을 상징한다.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시기에도 군기로 자주 사용되었으며 또한 자주 사용한 상징색이 각각 빨강, 노랑, 파랑이다.

서울 지하철 개통 후 3, 4호선이 개통되었을 때 환승역 표시에 이 삼태극 무늬를 사용하였다. 지금도 일부 노선도나 지도에서는 삼태극을 사용한다.

일부 학계에서는 삼태극은 중국 중화문화에서 유래한 것이 아닌 한민족 고유의 독창적인 무늬로 위 도교 태극과 기원이 다르다고 보기도 한다.

4. 상징으로 사용하는 경우

5. 관련

6. 기타

파일:기술관료제운동상징물.svg * 모나드(Monad)라고도 불리는 테크노크라시 운동 상징물도 태극 문양과 비슷한데 여기서는 각각 생산과 소비의 균형을 상징한다.* 2023년에 양자 얽힘을 시각화했는데 그 모양이 태극 모양을 닮아 화제가 되었다. #

7. 창작물


[1] 太極의 한국식 음독 [2] 한국의 태극기의 태극을 지칭할 때 사용. 'Taeguk'으로 쓰기도 한다. [3] https://d.wanfangdata.com.cn/periodical/ChlQZXJpb2RpY2FsQ0hJTmV3UzIwMjQwNzA0EhZ5dHNmeHl4Yi16eHNoMjAyMDA0MDA1GghveXJyOGR4OA%253D%253D [4] 黃亞平. 考古发现最早的"太极纹":原始"阴阳"观念的形象表达. 魯東大學學報(哲學社會科學版). 2020, 37 (4): 26–33. [5] Wilhelm, Richard; Baynes, Cary F. (1967). I Ching 또는 변화의 책 . Bollingen 시리즈 XIX.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Wilhelm, Richard; Baynes, Cary F. (1967) [7] https://search.worldcat.org/ko/title/46661540 [8] https://www2.kenyon.edu/Depts/Religion/Fac/Adler/Writings/Chou.htm [9] 이것은 특히 초기 주나라 동안 고조선에 고대 중국 문화가 가장 먼저 전파된 것과 관련이 있다. [10] https://web.archive.org/web/20101105151330/http://rki.kbs.co.kr/english/korea/aboutkorea/korea_aboutsymbol.htm [11] https://www.san-shin.org/Sacred-Mtns-01.html [12] 단, 태극문양은 상업적 사용이 법으로 금지되었기 때문에 태극 가운데에 흰색 프로펠러 모양을 추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