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6 14:32:07

삼성 라이온즈/1991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 삼성 라이온즈
역대 시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2px -12px"
1982 1983 1984 1985 1986
2위
4위 2위
'''1위
'''
2위
1987 1988 1989 1990 1991
2위
3위
4위
2위

3위
1992 1993 1994 1995 1996
4위
2위
5위 5위 6위
1997 1998 1999 2000 2001
4위
3위
4위
3위
2위
2002 2003 2004 2005 2006
'''1위
'''
4위
2위
'''1위
'''
'''1위
'''
2007 2008 2009 2010 2011
4위
4위
5위 2위
'''1위
'''
2012 2013 2014 2015 2016
'''1위
'''
'''1위
'''
'''1위
'''
2위
9위
2017 2018 2019 2020 2021
9위 6위 8위 8위 3위
2022 2023 2024 2025 2026
7위 8위 ?위 ?위 ?위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
삼성 라이온즈 시즌별 성적
1990 시즌 1991 시즌 1992 시즌
파일:samsung_lions_logo_1989.png {{{+1 KBO 리그 1991 시즌 {{{#FFFFFF }}} 삼성 라이온즈 }}}
<rowcolor=#FFFFFF> 순위 승차 승률
3 / 8 70 1 55 11.0 0.560

1. 스토브리그
1.1. 코칭스태프 이동1.2. 선수 이동1.3. 신인 지명1.4. 기타
2. 정규 시즌3. 포스트시즌
3.1. 준플레이오프3.2. 플레이오프
4. 선수별 개인 성적
4.1. 투수4.2. 타자
5. 수상 및 기록6. 시즌 총평7. 여담

1. 스토브리그

1.1. 코칭스태프 이동

전년도 한국시리즈에서 1번도 못 이기면서 그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정동진 감독이 물러났고, 투수진 강화를 목적으로 '투수 조련사'로 이름난 김성근 감독을 영입했다.

김성근 감독이 부임하면서 2군의 김명성과 김광웅 코치를 해임했는데 이에 반발한 손상대, 천보성, 함학수 코치가 사임했다. 손상대는 OB 베어스로, 함학수는 빙그레 이글스로 옮겨갔고 천보성은 미국 연수를 떠났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천보성은 삼성과는 완전히 등을 졌다.

빈 배터리코치 자리에는 해태 타이거즈에서 활동했던 재일 한국인 김무종을 영입했다. 마티 코치와의 계약도 해지하며 대신에 이선희를 데려왔다.

이외에 김성근 사단 중 한 명인 박용진 前 태평양 돌핀스 2군 감독과 태평양 돌핀스에서 매니저로 있던 이철성을 2군 코치로 데려오고, 구단 직원으로 일하던 손상득이 2군 배터리코치를 맡게 됐다.

1.2. 선수 이동

1990년 시즌 후 오명록, 이성근, 최동원 등이 은퇴했다. 재일교포 송광훈도 방출돼 귀국했다.

한편 당시 김성근 감독은 베테랑을 중용했던지라 타팀 방출 선수를 데려왔다.

1990년 12월 22일에 OB 베어스에서 트레이드 대상으로 내놓은 윤석환 조범현을 현금 트레이드로 데려왔다. 윤석환의 경우엔 성준과 정윤수를 대신할 좌완 마무리로, 조범현은 이만수와 백업 박정환이 건재했음에도 윤석환을 위해서 데려왔다.

1991년 1월 15일에는 강영수가 OB 베어스 신경식을 상대로 트레이드됐다. 좌타 및 1루수 보강이 그 목적. 16일에는 지난 1988년 MBC 청룡에서 방출된 후 미국 독립리그에서 활동하던 최홍석을 입단시켰고, 17일에는 대주자감으로 이용하려고 롯데 자이언츠 허규옥을 현금 트레이드로 데려왔다[1]. 1월 22일에는 태평양 돌핀스에서 방출된 이광길을, 2월 1일에는 LG 트윈스에서 방출된 최일언을 추가로 데려왔다.

1.3. 신인 지명

이름 포지션 경력 계약금
1차 이영재 포수 경주고 - 동국대 2300만원
2차 1라운드 윤용하 외야수 동산고 - 동국대 2000만원
2라운드 이창근※ 포수 인천고 - 인하대 -
3라운드 손정우※ 내야수 경주고 - 영남대 -
4라운드 조기흠※ 내야수 북평고 - 인천전문대 -
5라운드 장인태※ 투수 경북고 - 영남대 -
6라운드 이상범 투수 대구고 600만원
7라운드 이창대※ 외야수 경북고 - 한양대 -
고졸 연고 김상태 포수 대구고 1000만원
문기영 외야수 경주고 600만원
손영철 투수 경주고 1900만원
신동주 외야수 포철공고 1200만원
유인재 투수 대구상고 600만원
장재영 내야수 포철공고 600만원
전상렬 외야수 대구상고 600만원
최형현 포수 포철공고 1000만원
허삼영 투수 대구상고 1600만원

1.4. 기타

1990년 말 류영수 2군 감독을 포함해 이상목, 김인철, 이상훈, 박용준, 정존수, 이규창, 박규대, 정경훈, 박인구 등이 미국 교육리그에 참가했다. 이 때를 시작부터 한동안 삼성은 유망주들을 미국 교육리그에 파견했다.

2군 리그가 시작된지 불과 1년만에 삼성은 3군 체제까지 꾸릴 계획을 갖고 있었지만 결국 무산됐다.

2. 정규 시즌

떠오르는 기대주 김상엽이 페이스 조절 실패로 6승을 올리는데 그쳤고, 류명선은 경기 중 발등에 타구를 맞는 부상을 당하기도 했다.

게다가 김성래, 이종두가 부상으로 많이 결장했고, 류중일 강기웅도 부상에 시달리면서 타선을 비롯해 수비에서도 공백이 생겼다.

하지만 김성길을 선발, 계투, 마무리를 가리지 않고 기용하는 등[2] 김성근 감독은 특유의 변칙적인 투수 운용을 펼치면서 70승 1무 55패로 3위를 차지했다.

3. 포스트시즌

3.1. 준플레이오프

1991년 준플레이오프
롯데 자이언츠 VS 삼성 라이온즈
경기 일시 경기장 원정 경기 결과 중계방송사
1차전 9월 22일 (일) 14:00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X 롯데 3 : 8 삼성 O KBS1
2차전 9월 23일 (월) 14:00 사직 야구장 X 삼성 2 : 10 롯데 O MBC
3차전 9월 25일 (수) 18:00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롯데 3 : 3 삼성 KBS1
4차전 9월 26일 (목) 18:00 X 롯데 2 : 10 삼성 O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O 준플레이오프/1991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플레이오프

1991년 플레이오프
삼성 라이온즈 VS 빙그레 이글스
경기 일시 경기장 원정 경기 결과 중계방송사
1차전 9월 29일 (일) 14:00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X 삼성 0 : 3 빙그레 O MBC
2차전 9월 30일 (월) 18:00 X 삼성 1 : 2 빙그레 O KBS1
3차전 10월 2일 (수) 18:00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X 빙그레 1 : 3 삼성 O MBC
4차전 10월 3일 (목) 14:00 O 빙그레 10 : 3 삼성 X KBS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O 플레이오프/1991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선수별 개인 성적

4.1. 투수

  이름 경기수 선발등판 이닝 세이브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7 김성길 52
(1위)
14 188
(8위)
16
(4위)
12 18
(2위)
3.30 164 64 94
33 류명선 27 14 127⅓ 11 4 4 3.18 97 77 84
12 이태일 31 21 126 10 10 3 4.64 137 31 31
30 김상엽 36 11 99⅓ 6 6 7
(7위)
4.62 87 73 62
11 최일언 32 9 96⅔ 9 6 0 4.47 100 56 56
77 이상훈 17 2 42⅔ 1 0 0 5.91 54 23 21
67 김인철 16 1 33 1 1 0 7.91 41 23 17
48 손영철 3 1 14 0 0 0 0.64 10 6 8
29 홍성연 7 0 13⅓ 0 0 1 7.43 21 3 11
18 최현준 5 0 12 0 1 0 0.75 10 3 2
71 이상범 3 0 3⅓ 0 0 0 10.80 2 7 1
  이름 경기수 선발등판 이닝 세이브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4 성준 28 24 148⅔ 8 4 1 2.97 141 56 59
47 박용준 29 21 95⅔ 6 9 2 4.70 107 46 27
31 정윤수 37 7 80⅔ 1 2 2 5.02 100 38 37
27 윤석환 16 1 29 1 0 0 6.52 29 12 13
28 이문한 8 0 19 0 0 0 6.63 22 6 4

4.2. 타자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22 이만수 118 378 .317
(5위)
102 18 0 17
(7위)
74
(6위)
51 6
26 박정환 63 102 .216 22 4 0 2 15 6 0
25 조범현 51 61 .262 16 3 0 1 10 11 0
16 이영재 1 1 .000 0 0 0 0 1 0 0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21 신경식 126 460 .309
(7위)
142
(2위)
15 3 7 57 71
(8위)
20
(9위)
7 김용국 126 403 .295 119 21 1 7 58 55 4
1 류중일 90 344 .285 98 14 4 5 45 59 19
3 박승호 106 302 .245 74 21 0 10 65 37 0
24 김용철 108 268 .250 67 8 0 15 46 32 2
6 강기웅 68 228 .303 69 14 3 6 26 30 10
56 정경훈 87 200 .260 52 7 1 0 25 35 12
2 최해명 42 96 .250 24 3 0 1 6 13 1
5 김성래 30 51 .157 8 1 0 3 5 7 0
38 이광길 37 37 .216 8 3 0 1 4 4 1
15 이종옥 6 12 .000 0 0 0 0 0 0 0
44 이규창 6 4 .000 0 0 0 0 0 0 0
13 박홍철 3 1 1.000 1 0 0 0 0 0 0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8 허규옥 102 304 .234 71 5 7
(6위)
2 25 46 19
45 강종필 111 258 .264 68 7 3 8 29 42 15
4 장태수 89 178 .292 52 3 2 4 32 33 2
10 정성룡 77 132 .295 39 8 0 5 12 22 2
9 윤용하 67 102 .274 29 10 0 6 21 18 1
40 이종두 21 76 .342 26 6 0 5 19 20 9
39 이현택 33 70 .186 13 4 0 3 9 14 0
37 김종갑 33 46 .283 13 3 1 0 4 10 1
20 김정수 46 25 .120 3 1 0 0 3 10 1
19 구윤 7 11 .273 3 1 0 0 1 2 0
35 나광남 22 8 .125 1 0 0 0 1 7 1
43 박인구 12 6 .000 0 0 0 0 0 3 0
61 박규대 9 6 .000 0 0 0 0 0 1 0
32 최홍석 5 6 .000 0 0 0 0 0 0 0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7 김성길 1 1 .000 0 0 0 0 0 0 0
30 김상엽 1 1 .000 0 0 0 0 0 0 0

5. 수상 및 기록


6. 시즌 총평

시즌 전에는 해태, LG 등과 함께 우승후보로 꼽혔다.

4월, 개막 후 5연승행진과 함께 선두경쟁을 펼쳤지만, 4월 21일 경기에서는 외야수 이현택이 부상으로 시즌아웃, 4월 26일 경기에서 당시 타격 전부분 수위권을 달리던 이종두가 부상으로 사실상 시즌아웃[3]되면서 불안감을 야기한다.

5월, 3~5일 당시 선두다툼 중이던 해태와의 3연전을 스윕패당했고,[4] 이 시리즈에서 김상엽이 2패를 떠안으면서 그 해 부진의 시작을 알렸고 5월말까지 2군에 머물게 된다. 그나마 류명선이 에이스역할을 대신하면서 리그 다승왕 경쟁까지 펼치게 되지만, 5월말 롯데와의 경기도중 상대타자의 강습타구에 맞아 부상 이탈하게 된다.[5] 대신, 2군에 있던 김상엽이 다시 1군에 복귀해 5월 30일 잠실 OB전에 선발 등판하지만 1회부터 대량실점하면서 무너지고 다시 2군으로 내려가게 된다.[6] 하나 덧붙이자면, 키스톤콤비인 강기웅 류중일과 부상으로 5월 내내 나란히 공백기를 가진다.[7]

6월에 강기웅 류중일은 복귀하지만, 김상엽 류명선은 공백기를 가지고 팀도 고전하게 된다. 다만 이 시기, 철저한 무명이었던 외야수 강종필이 맹타를 휘두르면서 팀에 조금의 활력을 불어넣게 된다. 그리고 6월 23일 펼쳐진 올스타전에서 이태일이 우수투수상을 받게 되면서 팬들에게 위안거리를 제공한다.

7월, 김성근 감독은 기존 선발투수였던 김성길중무리마무리투수 전환을 결정하면서 승부수를 던진다. 김성길5경기 연속 세이브를 기록하면서 기대에 부응한다. 그리고 김상엽은 7월 5일 인천 태평양전,[8], 류명선은 7월 12일 대구 해태전[9]을 통해 복귀하게 되었고 팀도 서서히 상승세를 타게 된다. 특히 7월 14일 대구 해태전에서 선동열을 상대로 김용철 박승호이 각각 홈런을 기록하면서 선동열을 무너뜨린 장면은 백미.[10][11] 다만, 7월말 당시 2위다툼을 펼치던 빙그레와의 청주 4연전[12]을 1승 3패로 마감한 것은 아쉬운 대목이었다.

8월, 삼성은 16~18일 LG와의 대구 3연전을 위닝시리즈로 마감하면서 2위 자리를 수성함과 동시에 1위 해태를 3게임차로 바짝 쫓게 된다. 아쉽게도 이후 해태와의 맞대결을 포함한 8월말까지의 경기에서 극심한 부진을 겪게 되고, 이 과정에서 빙그레에게 2위 자리마저 넘겨주게 된다.

9월, 2위 빙그레와의 경기차는 점점 벌어지게 되면서 시즌 3위 자리는 고착화되고, 팀 수뇌부 또한 본격적으로 준플레이오프에 대비한 경기운영을 펼치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정규시즌 3위를 기록했다. 특기할 사항들도 있는데, 9월 7일 대구 롯데전 더블헤더에서 김성길하루에 2승을 기록한 점이다.[13] 그리고 정규시즌 마지막경기인 9월 17일 대구 해태전에서 이만수가 개인통산 200호 홈런을 기록하기도 하는데, 개인 200호 홈런은 당시 KBO 역사상 처음이다.[14]

이후 삼성은, 롯데와의 준플레이오프에서는 승리하지만 빙그레와의 플레이오프에서는 패배해 최종순위 3위가 확정된다.

1991시즌 아쉬운 대목으로써

투수진 관련 첫번째는, 전년도 팀에이스였던 김상엽의 정규시즌 부진이다. 그나마 포스트시즌에서는 부활했고, 특히 빙그레와의 플레이오프 대호투[15]로 다음시즌 희망을 가지게 된다. 두번째로는, 김상엽 대신 에이스역할을 해 주던 류명선이 시즌 중 잔부상을 시달리게 되고, (롯데와의 준플레이오프 4차전 선발등판을 제외하면) 포스트시즌에 전혀 등판하지 못한 점도 팀에게는 큰 손실이었다. 세번째로는, 좌투수 성준이 롯데와의 준플레이오프에서 극심한 부진을 겪은 후유증으로, 좌타자가 주력이었던 빙그레와의 플레이오프에 제대로 등판하지 못한 점도 뼈아팠다.[16] 네번째로는, 전년도 특급 불펜이었던 좌투수 정윤수가 전년도 혹사후유증으로 시즌 내내 부진에 시달린 점도 빼놓을 수 없다. 마지막으로, 당시 고졸 3년차 좌투수 박용준[17]이 7월말까지 (선발승으로만) 6승을 기록하면서 센세이션을 일으키나 싶었지만,[18] 8월 이후 단 1승도 기록하지 못하고 부진에 빠지면서 시즌을 마감한 점이다.[19]

타선 관련 첫번째는, 김성래, 이종두 등이 부상으로 인한 장기이탈로 팀타선에 공백이 생겼던 점이다.[20] 두번째로는 전년도 지명타자 골든글러브까지 수상했던 박승호가 에이징커브 영향으로 전년도만큼 활약하지 못했던 점도 뼈아팠다.[21] 세번째로는, 전년도 2루수 골든글러브 수상자 강기웅이 시즌 중 잔부상에 시달리면서 공백기가 길었던 점도 꼽힌다. 네번째로는, 김성근 감독이 취임하면서 데려온 옛 제자들 중 ( 신경식을 제외하면) 제대로 된 활약을 펼친 선수가 없었다는 점이다.[22] 마지막으로, 타선 전체가 전반적으로 노쇠했다는 점인데 허규옥(1956년생), 김용철(1957년생), 장태수(1957년생), 박정환(1957년생), 박승호(1958년생), 이만수(1958년생) 등 30대 중반 타자들이 (이만수를 제외하면) 모두 에이징커브를 겪으면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치지 못했다. 그나마 김용철이 (일리미네이션 경기였던) 롯데와의 준플레이오프 4차전에서 역전결승홈런을 때려낸 것이 위안거리였을 정도.[23]

결국 그 해 전천후 활약을 펼쳤던 투혼의 김성길, 트레이드 된 후 바로 핵심적 활약을 펼친 신경식, 8월말까지 리그 수위타자 경쟁을 펼쳤던 이만수 등이 고군분투했지만, 결국 팀은 최종순위 3위로 시즌을 마감한다.

7. 여담

.

[1] 당시 허규옥은 부상으로 은퇴까지 고려했었지만 김성근 감독의 부름을 받고 2년 더 활동하고 은퇴했다. [2] 참고로 김성길은 이 해 188이닝을 던졌는데 그는 이 때 30대 중반의 노장이었다. [3] 7월에 잠시 복귀하지만 몇경기만 뛰고 최종 시즌아웃된다. [4] 해태는 이 3연전에서 1위로 치고나갔고, 시즌 종료 때까지 단 한번도 1위 자리를 놓치지 않게 된다. [5] 이후 7월 12일 해태전에서야 1군 복귀. [6] 이후 7월 5일 태평양전에서야 1군 복귀. [7] 이 시기 정경훈 최해명이 대체 내야수로 나서게 된다. [8] 7이닝 1실점 승리투수. [9] 5이닝 1실점. [10] 선동열이 KBO 기준 한경기 2피홈런을 허용한 경기는 본 경기가 유일하다. [11] 김성근 감독의 이중오더 사건이 발생한 것도 본 경기이다. [12] 더블헤더 포함. [13] 2승 모두 구원승이다. [14] 여담으로 이날 삼성 원년코치 출신의 임신근 당시 쌍방울 코치가 경기장에서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별세한다. [15] 2차전 9.1이닝 2실점, 4차전 6회까지 2실점(7회에 대량실점했지만). [16] 마지막 4차전에 가서야 패전처리로 등판. [17] 광주일고 출신으로, 1970년생이다. [18] 5월 29일 잠실 OB전에서 데뷔 첫 승을 완투승으로 장식했고, 이후 두달 동안 선발투수로 6승을 수확했다. 특히 6월 15일 대전 빙그레전에서 당시 다이너마이트 타선으로 소문난 빙그레 타선을 상대로 2실점 완투승을 거두는 장면은 백미. [19] 포스트시즌 엔트리에도 들지 못했다. 그해 삼성이 포스트시즌에서 만난 롯데와 빙그레 모두 좌타자 위주 타선이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좌투수 박용준의 공백이 더욱 아쉽게 다가왔다. [20] 김성래, 이종두 둘 다 포스트시즌 엔트리에서도 제외된다. [21] 특히 빙그레와의 플레이오프 4차전 4회 무사만루 상황에 대타로 출전해 병살타를 기록하는 장면은 그날의 승부처였다. [22] 조범현, 이광길, 최홍석 등등. 이는 투수 쪽의 윤석환도 마찬가지이다. [23] 그렇지만 이후 빙그레와의 플레이오프에서 김용철은 부진을 거듭했고, 특히 2차전 1대1 동점상황 연장 10회 1사 만루에서 (송진우 상대) 삼진으로 물러남으로써 아쉬움을 더했다. 팀 또한 이후 무득점과 함께 경기에서도 패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