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쿼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화 원피스에서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내용은
스쿼드(원피스) 문서, 게임에 대한 내용은
Squad
문서
, 웨이트 트레이닝의 3대 운동 중 하나에 대한 내용은
스쿼트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c51426> | 대(隊)급 편제 | ||||||||
편제 | 분대 | 반 | 소대 | 중대 | 지역대 | 대 | 대대 | 연대 | ||
지휘관 | 분대장 | 반장 | 소대장 | 중대장 | 지역대장 | 대장 | 대대장 | 연대장 | ||
부지휘관 | 부분대장 | 부소대장 | 부중대장 | 부대대장 | 부연대장 | |||||
단(團)급 편제 | 군(軍)급 편제 | |||||||||
편제 | 단 | 여단 | 사단 | 군단 | 작전사령부 | 야전군 | 집단군 | 군관구 | ||
지휘관 | 단장 | 여단장 | 사단장 | 군단장 | 작전사령관 | 야전군사령관 | 집단군사령관 | 군관구사령관 | ||
부지휘관 | 부단장 | 부여단장 | 부사단장 | 부군단장 | 부사령관 | |||||
포병의 편제 | 지휘소 | |||||||||
편제 | 포반 | 전포대 | 포대 | 포병단 | 사령부 | |||||
지휘관 | 포반장 | 전포대장 | 포대장 | 단장 | 사령관 | |||||
※둘러보기: 군사학교 | }}}}}}}}} |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공용 군사 지도 표기 규약인 APP-6A에 따른 아군 분대 표기 |
1. 개요
분대( 分 隊, Squad, Section)[1]는 군대의 편제 단위로, 8~15명의 전투원이 소속되어 있다. 2개 이상의 분대가 모이면 1개 반(Section, Patrol)이 된다. 분대를 보다 잘게 나누면 2~4명의 사격조(Fireteam), 셀(Cell)이 된다.2. 지휘체계
분대의 지휘자인 분대장은 일반적으로 하사나 상병, 병장이 맡는다. 윗 단계인 소대와는 달리 보통 장교가 아니라 부사관이 책임자인 것이 특징.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분대 내에서 미친듯이 풀린 군번인 경우, 즉 분대 내 선임이 거의 없는 경우 일병 때 분대장을 달 수도 있다. GOP투입 부대에서 이런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2]3. 구조
병과에 따라 구성원 숫자가 다르며 보통 하나의 분대당 평균 7명~11명 이하, 보병 소총 분대 기준으로 대한민국 국군은 8명 미군은 9명, 영국군은 8명이 표준이지만 실제론 9명 내외이고 병력자원 부족으로 반쪽짜리 감편체제인 6인분대일 경우도 많다. 북한은 12명으로 알려져 있다.학생군사교육단 훈련 중 조교가 후보생들에게 해준 말에 따르면, 이 열 명 남짓한 인원수가 '세부조직으로 더 나누지 않고 한 사람이 직접 지휘할 수 있는 한계치'(span of control)라고 한다.[3] 그러나 타국 군대에서는 분대보다 작은 4명 단위의 사격조가 최소단위인 경우도 있고 국군도 1개 분대를 분대장조, 부분대장조로 나누기도 한다. 하지만 부분대장조는 소대장 혹은 분대장의 지시가 있기 전에는 기본적으로 분대와 함께 행동하며, 별도의 임무를 부여받기 전에는 부분대장은 지휘자가 아니라는 차이가 있다.
시기에 따라 구성 인원도 달라진다. 미군은 2차 세계대전 때는 12명이었으나 이후에는 9명으로 줄었고, 한국군도 9~10명이었으나 병력 감소 및 무기체계의 발전 수준을 고려하여 분대 규모를 2020년부터 8명으로 줄였다. 동시에 소대지원화기로 K16 기관총의 추가 배치, 상위급 부대에서의 화기 지원 강화 등을 통해 병력 감소를 대체하기로 하였다.
분대의 무장 역시 시대마다 달라져서 1차 세계대전기에는 분대원 전원 소총이었지만 1차대전 후기와 전간기쯤부터 경기관총이 전세계 대부분 분대에 추가되었다. 2차 대전기부터 분대장이 기관단총으로 무장하기도 했으며 미 해병대 같은 경우 한 분대에 지원화기를 3정씩 편제하기도 한다. 2차 대전 후기와 냉전기부터는 선진국들의 분대에 휴대용 대전차 화기도 대부분 포함된다. 그러나 현대에도 후진국이나 후방의 부대들은 2선급 소총만으로 무장하는 경우도 많다.
기갑의 경우 분대라는 개념이 희미하지만 굳이 분류를 하자면 3~4명이 탑승하는 1대의 전차가 1개의 분대가 된다. 또한 K-200과 같은 장갑차의 기준으로는 10명이 한 개의 분대로 구성되는데, 한국 육군 분대 편성 기준인 8명에 장갑차 조종수 1명, 부조종수 1명이 포함된 편제이다.
3.1. 대한민국 국군
한국군은 분대원마다 각기 고유의 번호가 있다.-
보병 소대·보병 분대 (전방지역 부대 기준)
1. 분대장 2. 소총수 3. 소총수 4. 유탄수
5. 기관총 사수 6. 기관총 사수 7. 유탄수 8. 부분대장
전방 사단은 완편이 위의 표처럼 8명이다. 따라서 일부 침대형 생활관에 1개 분대당 침대와 관물대가 8개씩 있다. 과거에는 소총분대의 평시완편 8명, 전시완편 10명으로 전시에 예비역 2명을 5, 6번 소총수를 채울 계획이었으나 병역자원 부족으로 2020년부터는 전시평시 구분없이 8명으로 조정되었다.[4] 따라서 예비군의 전방동원훈련도 폐지되고 예비역은 전시에 후방에 별도의 지역방위사단으로 편성된다.
후방 사단은 1/2/3 분대에는 기관총 사수/부사수가 없고 자동소총수[5]가 두 명 포진되어 있으며 화기분대라는 기관총 분대를 따로 운용한다. 화기분대에는 부분대장이 없이 분대장/1총사수, 부사수, 탄약수 2명/2총사수, 부사수, 탄약수 2명 총 9명의 인원으로 구성된다. 이 후방 사단의 편제는 과거 육군의 기본 분대 편제였으나 기관총이 소대지원화기에서 분대지원화기의 개념으로 각 분대에 배속이 되면서 바뀐 편제이다. 기관총도 K3 경기관총이 아닌 M60 기관총이다.
-
기계화보병 소대·분대 (
K200 APC 부대 기준)
1. 분대장 2. 기준병 3. 소총수 4. 유탄수 5. 소총수(겸 통신병)
6. 소총수 7. 소총수 8. 부분대장 9. 조종수 10. 부조종수
기계화보병의 특성상 조종수들이 편제되어있으며, 화기분대가 없는 대신 각 분대별로 M60 기관총과 K6 중기관총과 판처파우스트 3가 주어진다. 2번 기준병은 하차 시 가장 먼저 내려서 분대가 은엄폐할 곳을 찾는 병사다. M60 기관총은 이동시 장갑차에 거치시켰다가 하차 시 탈거하는데 이때 기관총은 대개 분대장과 기준병이 사수와 부사수로 운용하며, 상황에 따라 유기적으로 다른 분대원이 운용할 수 있다. K6 중기관총의 경우는 부조종수가 주로 다루며 미편제 시 기동간에는 부분대장이, 하차전투 시에는 조종수가 다루게 된다. 팬저파우스트의 경우는 부분대장과 6번 소총수가 사수 부사수로 많이 다룬다.
-
전차 소대의 분대
전차소대는 1개 전차를 1개 분대로 부른다. 즉 사람 수로 세지 않고 전차의 수에 따라 분대의 수도 결정난다. 분대장=전차장이 된다. 1개 전차 소대 편제는 부대에 따라 달라진다. 기동사단 소속 기갑부대와 일반 독립기갑부대 소속은 3대가 편제되며, 일반 보병사단에 편제된 기갑대대는 4대가 편제된다. 이는 미군 전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서, 미군 기갑 편제도 똑같다. 다만 일부 K-2 흑표 분대는 탄약수 없이 3인 체제로 하기도 한다.
더 알고 싶다면 전차 승무원과 전차병 문서를 참조.
1. 전차장 2. 포수 3. 조종수 4. 탄약수
- 해안 소대의 분대
- 소총 분대
- 화기 분대
1. 분대장 | 2. 소총수(겸 통신병) | 3. 유탄수 | 4. 기관총 사수 | 5. 기관총 부사수 |
1. 분대장(겸 포수) | 2. 포수 | 3. 부포수 | 4. 탄약수 | 5. 탄약수 |
해안 중대의 작전 특성상 일반 보병부대의 분대 구성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
기행부대의 분대
분대장을 포함한 분대원 전원이 행정병, 취사병, 운전병과 같은 비전투병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비중대/경비소대를 제외하면 실질적으로는 진정한 전투단위라기보다는 병영관리를 위한 편의상 편제에 가까운 것으로 봐야한다. 따라서 분대장 교육과정도 전투분대장과 기행분대장으로 따로 구분하며 아예 별도의 교육과정 없이 바로 분대장을 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런 부대의 기행부대장의 역할은 공군의 으뜸병사와 사실상 유사하다. 기행부대 내 전투부대라 할 수 있는 경비중대/경비소대의 분대의 경우에는 야전의 보병부대의 분대 편제와 유사하다.
3.2. 북한군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조선인민군/편제 문서 참조.1. 분대장(보총수) | 2. 부분대장(보총수) | 3. 기관총 사수 | 4. 기관총 부사수(보총) |
5. 발사관 사수(RPG 7) | 6. 발사관 부사수(보총) | 7. 저격수(저격보총) | 8. 투척기사수 |
9. 투척기사수 | 10. 보총수 | 11. 보총수 | 12.보총수 |
북한군의 분대 편제는 12명으로 한국군 분대편재 정원보다 4명 더 많다.
북한군의 분대 편제가 이렇게나 두꺼운 이유는 보병분대에 대한 지속적이고 보편적인 화력지원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북한군의 포병은 정밀도가 떨어지고 공군은 질적으로 매우 후달리므로 제공권을 잡을 수도 정밀 화력지원도 할 수 없다. 또한 북한이 자랑하는 기갑전력 또한
이라크전쟁의 사례를 볼때, 전쟁이 시작되면 한 달 이내로 무력화될 확률이 높다. 대보병전에서도 북한군 병사의 영양상태나 훈련상태가 엉망이기에 병력의 숫자를 늘려서 상대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이유로 한국군보다 숫자를 늘린 편재로서 분대당 대전차무기와 저격총을 배치할 수 있었다. 대전차 로켓탄두는 발사관 사수와 부사수 외에 다른 일반 분대원들도 한 발씩 휴대한다. 북한군은 자신들의 스스로 대전차전력이 열악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한국군보다 숫자를 늘린 편재로서 분대당 대전차무기와 저격총을 배치할 수 있었다. 대전차 로켓탄두는 발사관 사수와 부사수 외에 다른 일반 분대원들도 한 발씩 휴대한다. 북한군은 자신들의 스스로 대전차전력이 열악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북한군 기갑 편제는 1개 소대당 4대가 기본 편제이다. (부대에 따라서 3대로 편제되어 있는 곳도 있다.) 북한군 전차는 구형으로 인원을 감축할 수 없다. 따라서 최소 4명[6] 최대 5명 이상이다. 북한군의 전차부대는 1950년대 소련식 전차부대 편제를 받아들인 이후 큰 변동이 없다.
3.3. 미군
3.3.1. 제2차 세계 대전
-
미 육군의 소총분대(Rifle Squad) 편제
에이블(탐색팀) | ||
분대장 | M1 개런드 | 1명 |
정찰병 | M1 개런드 | 2명 |
베이커(화력팀) | ||
자동소총사수 | M1918 브라우닝 | 1명 |
자동소총부사수 | M1 개런드 | 1명 |
탄약수 | M1 개런드 | 1명 |
찰리(기동팀) | ||
부분대장 (겸 대전차총류탄수) |
스프링필드 M1903 + 총류탄발사기 M1 개런드 + 총류탄발사기[7] |
1명 |
소총수 | M1 개런드[8] | 5명 |
-
미 해병대 소총분대(Rifle Squad) 편제
분대장병장 | M1 카빈 | 1명 |
화력팀 | ||
사격조장상등병 | M1 개런드 | 1명 |
자동소총사수 | M1918 브라우닝 | 1명 |
자동소총부사수 | M1 개런드 | 1명 |
소총수 | M1 개런드 | 1명 |
화력팀 | ||
사격조장상등병 | M1 개런드 | 1명 |
자동소총사수 | M1918 브라우닝 | 1명 |
자동소총부사수 | M1 개런드 | 1명 |
소총수 | M1 개런드 | 1명 |
화력팀 | ||
사격조장상등병 | M1 개런드 | 1명 |
자동소총사수 | M1918 브라우닝 | 1명 |
자동소총부사수 | M1 개런드 | 1명 |
소총수 | M1 개런드 | 1명 |
3.3.2. 베트남 전쟁
-
미 육군 보병 소총분대 편제
분대장 | |
알파 화력팀 | 브라보 화력팀 |
화력팀장 | 화력팀장 |
유탄수 | 유탄수 |
자동소총사수 | 자동소총사수 |
소총수 | 소총수 |
소총수 |
만약 분대가 기계화소총중대 소속일 경우 몇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
- 소총소대마다 배속되어 있는 화기분대 편제
분대장 | |
탄약수 | 탄약수 |
기관총조 | 기관총조 |
기관총사수 | 기관총사수 |
기관총부사수 | 기관총부사수 |
대전차로켓조 | 대전차로켓조 |
대전차로켓사수 | 대전차로켓사수 |
대전차로켓부사수 | 대전차로켓부사수 |
분대가 기계화소총중대 소속일 경우 소총분대처럼 M113 병력수송차를 타고 다니는 것은 똑같았다. 하지만 조종수가 추가되는 소총분대와는 달리 탄약수 중 한 명이 M113 조종 임무를 맡았다.
3.3.3. 현대
-
미 육군의 보병분대 편제
분대장하사 | M4 카빈 + RCO(소총전투조준경) |
알파 화력팀 | |
조장병장 | M4 카빈 + RCO(소총전투조준경) |
유탄수상등병 |
M4 카빈 +
M203 혹은 M16 + M203 |
자동소총사수상등병 | M249 |
소총수일등병 | M4 카빈 + CCO(근접전투조준경) |
브라보 화력팀 | |
조장병장 | M4 카빈 + RCO(소총전투조준경) |
유탄수상등병 |
M4 카빈 +
M203 혹은 M16 + M203 |
자동소총사수상등병 | M249 |
소총수일등병 | M4 카빈 + CCO (근접전투조준경) |
-
미 육군 소대에 배속되는 화기분대 편제
분대장하사 | M4 카빈 + RCO(소총전투조준경) |
중형기관총조 | |
기관총사수상등병 | M240 |
기관총부사수일등병 | M4 카빈 |
중형기관총조 | |
기관총사수상등병 | M240 |
기관총부사수일등병 | M4 카빈 |
근접전미사일조 | |
재블린사수상등병 |
FGM-148 재블린 M4 카빈 |
탄약수일등병 | M4 카빈 |
근접전미사일조 | |
재블린사수상등병 |
FGM-148 재블린 M4 카빈 |
탄약수일등병 | M4 카빈 |
-
미 해병대의 소총분대 편제
분대장병장 | M4 카빈 |
사격조 | |
사격조장 겸 유탄수상등병 | M4 카빈 + M203 |
자동소총사수일등병 | M27 IAR |
자동소총부사수일등병 | M4 카빈 |
소총수이등병 | M4 카빈 |
사격조 | |
사격조장 겸 유탄수상등병 | M4 카빈 + M203 |
자동소총사수일등병 | M27 IAR |
자동소총부사수일등병 | M4 카빈 |
소총수이등병 | M4 카빈 |
사격조 | |
사격조장 겸 유탄수상등병 | M4 카빈 + M203 |
자동소총사수일등병 | M27 IAR |
자동소총부사수일등병 | M4 카빈 |
소총수이등병 | M4 카빈 |
3.4. 소련군
이 편제는 현 러시아군으로 이어져 바뀌지 않고 유지되고 있다.
분대장 겸 BTR 차장 |
AK-74 혹은 AKS-74 |
BTR 조종수 겸 정비사 |
PM 혹은 AKMS, AKS-74, AKS-74U |
BTR 기관총사수 | PM 혹은 AKMS, AKS-74 |
기관총사수 | RPK-74 |
유탄수 | RPG-7 혹은 GP-25 계열 유탄발사기 |
부유탄수 | AK-74 |
부분대장 겸 선임소총수 |
AK-74 |
의무병 | AK-74 |
소총수 | AK-74 |
각 분대마다 BTR 한 대를 운용했고 BTR 조종수와 BTR 기관총사수는 다른 분대원들이 BTR에서 내려도 BTR에 남아 다른 분대원을 지원하였다. SVD는 한 소대 당 한 정만 지급되었기에 가끔 소총수가 AK-74가 아닌 SVD를 장비하는 경우가 있었다.
분대장 겸 BMP 차장 |
AK-74 |
부분대장 겸 BMP 포수 |
PM 혹은 AKS-74, AKS-74U |
BMP 조종수 겸 정비사 |
PM, AKS-74, AKS-74U |
기관총사수 | RPK-74 |
유탄수 | RPG-7 혹은 GP-25 계열 유탄발사기 |
부유탄수 | AK-74 |
선임소총수 | AK-74 |
의무병 | AK-74 |
소총수 | AK-74 |
각 분대마다 BMP 한 대를 운용했고 다른 분대원들이 하차해 전투를 벌이는 순간에도 부분대장과 BMP 조종수는 BMP에 남아 다른 분대원을 지원하였다. BTR 차량화소총분대와 같이 한 소대당 SVD 한 정이 지급되었다.
3.5. 독일군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독일 육군의 보병분대 편제
분대장 | MP28, MP38, MP40 혹은 권총 한자루. | 1명 |
기관총반 | ||
기관총사수 | MG34, MG42 | 1명 |
기관총부사수 | Kar98k | 1명 |
탄약수 | Kar98k | 1명 |
소총반 | ||
부분대장 | Kar98k | 1명 |
소총수 | Kar98k | 5명 |
분대 화력의 대부분을 고성능 기관총이 담당하는 구조로 동시기의 미군 분대 편제와 자주 비교된다. 본격적으로 독소전쟁 중반기 부터는 자동화기병들의 필요성을 느낀 독일군은 소총수임에도 MP40을 주거나 아예 소련군의 PPSh-41을 노획해서 사용하였다. 44년 6월 부터는 서부전선 기준 MG42로 많이 교체되었고 연합군이 MG42에 대해 지독한 공포에 시달린 것도 반자동 소총인 M1 개런드로 분대의 화력을 분산한 미군 분대의 소총수 화력에 밀리는 볼트액션 소총 Kar98k를 장비한 독일군 소총수들을 지닌 독일군 분대에서 상대적으로 제일 위협적이었던 것이 바로 MG42였기 때문이었다. 대신 독일군은 기관총이 무력화 되면 분대 화력이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3.6. 프랑스군
-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군 전투반(Le Groupe de Combat) 편제
화력반(Fusiliers)[9] | ||
분대장[10] |
MAS-36 혹은 MAS-38 |
1명 |
화력분대장[11] | MAS-36 | 1명 |
경기관총사수[12] | FM 24/29 | 1명 |
경기관총부사수[13] | 루비 권총 | 1명 |
탄약수[14] |
MAS-36 혹은 베르티에 소총 |
3명 |
충격반(Demi-groupe Voltigeur)[15] | ||
충격분대장[16] | MAS-36 | 1명 |
소총수[17] | MAS-36 | 3명 |
척탄병[18] | 르벨 M1886, VB 총류탄 | 1명 |
-
현대전 보병 전투반
분대장 |
FAMAS 혹은 HK416F |
1명 |
300미터반 | ||
부분대장 |
FAMAS 혹은 HK416F |
1명 |
척탄-소총수[19] |
FAMAS 혹은 HK416F / AT4 |
2명 |
600미터반 | ||
부분대장 |
FAMAS 혹은 HK416F |
1명 |
사수 | FN 미니미 | 1명 |
회력척탄병[20] |
FAMAS 혹은 HK416F / LGI Mle F1 박격포 |
1명 |
3.7. 영국군
-
제2차 세계 대전 중반 영국군 보병 분대(Infantry Section) 편제
소총 분대 | ||
분대장 | 톰슨 기관카빈 | 1명 |
소총수 | 리-엔필드 | 2명 |
수류탄병[21] | 리-엔필드 | 2명 |
경기관총 분대 | ||
부분대장 | 리-엔필드 | 1명 |
경기관총사수 | 브렌 경기관총 | 1명 |
경기관총부사수 | 리-엔필드 | 1명 |
- 1944년 이후의 제2차 세계 대전 보병 분대
소총반 | ||
분대장 | 스텐 기관카빈 | 1명 |
소총수 | 리-엔필드 | 6명 |
브렌반 | ||
부분대장 | 리-엔필드 | 1명 |
경기관총사수 | 브렌 경기관총 | 1명 |
경기관총부사수 | 리-엔필드 | 1명 |
- 현대 영국 육군 보병 분대
알파팀 | |
분대장 | L85A2/3 |
지정사수 | L129A1 |
유탄수 | L85A2/3 + L123A2 |
소총수 | L85A2/3 |
브라보팀 | |
부분대장 | L85A2/3 |
기관총 사수 | L7A2 |
유탄수 | L85A2/3 + L123A2 |
소총수 | L85A2/3 |
3.8. 일본군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 소총반(小銃班) 편제
분대장 | 아리사카 | 1명 |
기관총사수 |
11년식 경기관총 혹은 96/99식 경기관총 |
1명 |
소총수 | 아리사카 | 11명 |
미군이 분석해 자국군 교범에 쓴 것을 가져온 것이라 분대 구성이 덜 자세하다.
일본군 소총반 편제는 분대장 예하 12명 분대로 구성된다.
기관총조는 기관총 사수, 기관총 부사수 겸 기관총조장, 탄약수와 총열운반수가 있다.
나머지 인원은 전원 소총으로 무장한다.
분대장은 군도나 권총을 휴대하거나 일반적인 소총으로 무장한다.
일본군 자료를 보면 1번 분대에서 3번 분대까지는 분대장을 포함 소총수 12명과 경기관총 사수 1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총수 중 하나는 경기관총 부사수의 역할도 겸한다.
그리고 4번 분대는 소총수 9명과 척탄통 사수 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소총수 중 6명은 2명당 1개의 척탄통 탄약수 역할을 맡아 임무를 수행했다. 척탄통 사수들은 권총을 장비했다. 그리고 중위나 소위계급을 달은 소대장과 준위와 상사가 각 1명씩 여기에 보임되어서 1개 소대를 구성하였다.
중대는 이 소대 3개와 대위 또는 중위 1명 행정병 3명 부사관 18명 의무병 4명이 추가되어 190명으로 구성되었다.
부사관들은 소총을 장비하되 도검을 패용하도록 규정된 부사관과 병, 즉 대도본분병(帶刀本分兵)에게는 95식 부사관도가 지급되었다. 물론 일본군 답게 이것도 물량이 부족해서 각자 싸제 일본도를 가져와서 쓰기도 했으며 대도본분병 이외에 한국군으로 치면 병장 이상의 군인들 역시 각자 알아서 일본도를 물려받거나 주문제작해서 사용했다.
이런 동양의 근접전 문화는 한국군에게도 퍼져서 6.25 전쟁 당시 한국군은 싸우다가 각이 보이면 각자 알아서 구해온 도검류와 착검한 총검을 들고 적진에 돌입하는 행동을 자주하였다. 1953년 6월 말, 1사단 방면의 퀸-박고지 전투에서는 중대장이 직접 도검을 뽑아서 중국군 진지에 돌입해 여럿을 죽이고 틈을 만들자 중대원들이 그 뒤를 총검과 도검과 야삽을 들고 따라와 중국군을 제압하고 진지 하나를 점령해버리는 삼국지스러운 짓을 저질렀다.
3.9. 창작물에서
콜 오브 듀티 시리즈, 배틀필드 시리즈 등등 밀리터리 FPS 게임 장르에서 분대 플레이가 가능하다. 하지만 현실과 다르게 글로벌로 유저들이 만나서 대부분 영어로 소통하는지라 영어못하는 유저들은 조용히 개인플레이를 한다.Dawn of War 시리즈, 워게임 시리즈, 월드 인 컨플릭트,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등 실시간 전략 게임 게임 장르 중에서는 보병이 분대 단위로 구현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게임에서는 분대원마다 체력과 공격력, 방어력, 장비, 고유 기술 등이 따로 지정되어 있어서, 더 많이 공격당한 경우 먼저 죽는다든가 죽은 분대원이 누구인지에 따라 특정 기술을 못 쓰거나 특정 무기로 공격할 수가 없게 되기도 하며, 분대원이 단 한 명이라도 남아있다면 충원하여 다시 분대원을 채울 수 있고 분대가 쌓은 경험치와 숙련도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보병 운용시 분대가 전멸하지 않도록 최대한 살려서 계속 운용하는 것이 핵심이며, 분대가 전멸하는 것을 "분대 삭제" 혹은 줄여서 "분삭"이라고 부른다.
4. 출처
- https://www.battleorder.org/
- FM 7-10, 1942년도와 1944년도
- FM 7-11, 1962년 1월
- FM 7-15, 1965년 3월
- The Organization of the Marine Infantry Regiment, 1944년 3월
- ATP 3-21.8, 2016년 4월
- MCRP 3-10A.4, 2018년 2월
- FM 100-2-3, 1991년 6월
- Small Arms Training Volume I, Pamphlet No. 4: Light Machine Gun, 1942년
- Infantry Training Part VIII: Fieldcraft, Battle Drill, Section and Platoon Tactics, 1944년 3월
- TME 30-480, 1944년 9월
- Soldier's Guide to the Japanese Army, 1944년 11월
5. 전투조종사의 분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39f><colcolor=#fff> 편제 [[지휘관| 지휘관 ]]
|
대대급 이하 | ||||||
중대급 이하 | 대대급 | |||||||
반 [[반장(동음이의어)#s-5| 반장 ]]
|
중대 [[중대장| 중대장 ]]
|
대 /
포대 [[대장#s-2.1| 대장 ]] / [[포대장|포대장 ]]
|
대대 [[대대장| 대대장 ]]
|
|||||
소대 [[소대장| 소대장 ]]
|
||||||||
분대 [[분대장#s-6.5| 분대장 (2L) ]]
|
편대 [[편대장| 편대장 (4L) ]]
|
|||||||
전투·전투지원부대 | 전투근무지원부대 | |||||||
전대급 | 단급 | 전대급 | 단급 | |||||
전대 [[전대장| 전대장 ]]
|
비행단 /
미사일방어여단 [[비행단장| 비행단장 ]] / [[여단장|여단장 ]]
|
단 [[단장#s-1.1| 단장 ]]
|
||||||
사령부급 | ||||||||
기능사령부급 | 작전사령부급 | |||||||
기능사령부 [[공군기능사령관| 기능사령관 ]]
|
작전사령부 [[작전사령관| 작전사령관 ]]
|
|||||||
※둘러보기: 군사학교 | }}}}}}}}} |
공군에서는 항공기 2~3대로 구성된 편대를 (비행)분대(Element/Section)로 칭하며, 지휘관은 분대장으로 칭한다.
[1]
영국과 일부
영연방 국가들의 경우 분대를 섹션(Section)이라 하기도 한다.
[2]
이것도 부대마다 다르지만 오히려 GOP 강안등 경계대대는 투입 전에 타 대대에서 인원을 충당하여 완편하거나, 증편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 작전 기간에도 연대 병력보충 1순위로, 일반 FEBA부대보다 충원율이 높다. 간부 또한 주변 부대에서 끌어오는 경우가 많아 웬만하면 하사분대장을 쓴다. 공군에서는 방공포, 헌병을 제외하면 평시에는 분대 개념이 없고 기지방호작전 때에나 분대가 생기기 때문에 상사 이상은 되어야 분대장 직책을 받는데, 이는 각 반장과 겸직한다.
[3]
정확히 말하면
병사가 혼자서 다니는 경우는 없으므로 둘씩 묶어서 2*5=10으로, 한 번에 지휘할 수 있는 단위는 5개 정도인 것. 사람의 단기 기억력은 5-7개라는 그거 맞다. (OMR카드 마킹 칸이 5개 단위로 끊어진 것과, 전화번호의 마디가 자리-4자리 식으로 되어 있는 것 등)
[4]
일부 부대는 이마저 채워지지 않아 1개 분대가 6명인 부대도 간혹 있다. 이 경우에는 중요도가 낮은 2번 소총수, 3번 소총수가 빠진다. 유탄수와 기관총 사수/부사수(기관총 사수 유고시 기관총 사수 임무 수행)는 분대 공용화기를 직접 운용하기에 중요도가 높다.
[5]
소총에 양각대를 부착하여 기관총 비슷하게 연발사격을 하는 소총수. 과거 소총(M1)과 자동소총(BAR)이 구분되던 시기에 사용되던 개념이 변형된 것이다.
[6]
현대 전차 계열, 차장, 조종수, 포수, 장전수
[7]
1944년이 되며 변화.
[8]
1944년도 교범에서는 소총수 중 2명에게 총류탄 발사기가 추가로 지급된다.
[9]
프랑스군은 분대장과 부분대장이 모두 화력반에 배치되어 있다. 화력반과 충격반은 보병전차-기병전차처럼 분업하며, 분대에서 방어 역할을 맡는다.
[10]
Sergent 혹은 Chef de Groupe.
[11]
Caporal 혹은 Adjoint. 화력반을 이끄는 화력분대장으로 실질적으로 부분대장의 역할을 한다.
[12]
Tireur.
[13]
Chargeur.
[14]
Pourvoyeurs. 탄약수지만 사실상 분대 내 공병, 소총수도 겸하며, 보급 순위가 떨어져 베르티에 소총으로 무장한 경우도 많았다.
[15]
충격반은 분대에서 공격 역할을 맡으며, 독특하게 총류탄을 운용한다. 탄약수와 소총수들이 F1 수류탄으로 무장했지만 공격을 위해 척탄병을 따로 배치하였고, 이는 분대 내 총알의 종류가 다양해지는 오점을 남겼다.
[16]
1ere Voltigeur. 일등소총수라고 불리기도 한다. 충격반을 이끄는 충격분대장을 맡으며, 화력분대장 보다는 낮은 계급이다.
[17]
Voltigeur.
[18]
Grenadier. 총류탄을 운용해서 충격반의 화력을 맡고 있다.
[19]
Grenadier-Voltigeur.
[20]
Lance-Grenadier.
[21]
Bomber. 수류탄 투척에 특화된 병과. 소총수는 수류탄을 소지하지 않지만 수류탄병은
밀즈 수류탄이나 연막탄 같은 수류탄을 소지한다. 대신 소총수는 경기관총 사수에게 넘겨줄 브렌 탄창을 잔뜩 들고다녔다. 1944년 편제에서는 소총수가 수류탄을 하나씩 소지하면서 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