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2 13:02:51

본즈(기업)

<col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본즈(기업) 로고.svg 파일:본즈(기업) 로고 화이트.svg 주식회사 본즈
Bones
}}}
<colbgcolor=#ffe000> 기업명 정식: 株式会社ボンズ
영어: bones inc.
한글: 주식회사 본즈
국가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업종 애니메이션 영화 기획 및 제작업
설립일 1998년 10월
대표이사 미나미 마사히코
직원수 80명 (2021.3)[1]
본사 도쿄도 스기나미구 이구사 3가 1번지 12호
파일:본즈(기업) 로고.svg 파일:본즈(기업) 로고 화이트.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373a3c"
<colbgcolor=#ffdf00><colcolor=#000> 법인형태 주식회사
자본금 10,000,000엔 (2018)
순이익 23억 4,000만엔 (2019.7)
}}}}}}}}} ||

1. 개요2. 특징
2.1. 제작 방식2.2. 성향
2.2.1. 정치적 성향
2.3. 작화와 연출2.4. 액션2.5. 오리지널2.6. 음악2.7. 성우진2.8. 한국 방영
3. 역사
3.1. 설립3.2. 성장3.3. 침체기3.4. 부활
4. 관련 인물5. 스튜디오
5.1. A스튜디오5.2. B스튜디오5.3. C스튜디오5.4. D스튜디오5.5. E스튜디오5.6. F 스튜디오
6. 사건 사고7. 기타8. 제작 작품
8.1. TV 애니메이션8.2. 극장 애니메이션8.3. 웹 애니메이션8.4. OVA8.5. 게임8.6. 콜라보

[clearfix]

1. 개요

파일:주식회사 본즈.png
도쿄도 스기나미구 이구사 3가 1번지 12호에 있는 사옥.
파일:attachment/c888_1.jpg
본즈 10주년 기념 당시 나온 일러스트.[2][3][4]
파일:external/pds25.egloos.com/b0339010_55dc40c883d9b.jpg
본즈 10주년 기념 당시 나온 일러스트 2.[5]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대표작은 강철의 연금술사 시리즈( 강철의 연금술사(2003년 애니메이션),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소울 이터, DARKER THAN BLACK, 오란고교 사교클럽, 혈계전선, 문호 스트레이독스,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모브사이코 100, 카우보이 비밥 등이 있다.

2. 특징

멤버 대부분이 애니메이터이며 전속 촬영 팀이 있어서 작화, 영상미에선 본즈 만의 특징이 있지만 그 외에 스토리나 연출 같은 부분은 감독과 각본가 같은 참여 스태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2.1. 제작 방식

'뼈대 있는 작품을 만들겠다'라는 취지에 걸맞게 작품성을 중시하며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 그래서인지 판매량을 비롯한 상업 성적이 좋지 않더라도 작품이 마음에 들면 꿋꿋하게 밀어주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오히려 성적도 좋고 팬들이 속편을 바라는 작품은 소식이 없거나 방영 정보가 늦게 공개되는 기묘한 현상도 종종 일어난다.

2016년 5월에 열렸던 마치아소비 본즈 토크에서 말하길, 원작이 있는 작품의 경우에는 해당 원작을 재미있다고 말한 사람이 프로듀서를 맡는 일종의 책임제라고 한다. 강철의 연금술사 원작을 미나미 마사히코 사장에게 소개해준 사람도 다름아닌 2003년판의 총작화감독인 이토 요시유키였다.

TVA 기준으로 보통 1년에 많아야 3작품 정도 밖에 만들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1스튜디오 1작품'이며, 아주 가끔씩 2개의 스튜디오가 공동 제작을 하곤 한다. 무리한 다작은 하지 않기 때문에 퀄리티를 유지할 수 있지만, 소울 이터 NOT!이라는 예외도 있다. 그러나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다작을 시도한 적이 있다. 작품들을 대체로 2쿨 이상으로 만든다. 2018년 기준으로 49개의 TV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는데, 1쿨은 19개로 적은 편. 1쿨짜리 작품도 후속편이나 극장판 하나 정도는 만드는 경우가 많다.

2.2. 성향

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이 매우 적다. 설립 20년이 넘어가도록 라이트 노벨이 원작인 작품은 사쿠라바 카즈키 GOSICK 사카키 이치로 스크랩드 프린세스, 관희 챠이카 딱 3작품 뿐이다.[6]

그래서 다른 제작사들보다도 비율상 만화가 원작인 애니메이션이 많다. 의외로 판매량 1위 잡지사인 주간 소년 점프 작품은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한 작품 뿐이고, 실제로 메이저 잡지사 작품은 그리 많지 않다. 소년만화의 경우 소년 간간 연재작이 많고[7], 순정만화의 경우 LaLa 연재작만 제작했다.[8]

그리고 원작이 없는 오리지널 작품이 제작 작품에서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SF쪽에서 뚝심 있는 작품을 자주 내는데, 잘 만들어진 작품이라고 무조건 잘 팔리지는 않는다. 이거야 최근 일본 TVA 시장의 고질적 문제라고 봐야 할 듯하다.

장르 면에서 보면 액션으로 정평이 난 제작사답게 제작한 작품들 중에서 배틀물이 다수를 차지한다. 심지어 장르가 배틀물이 아닌데 액션이 조금이라도 들어가 있는 경우가 꽤나 있다. 반대로 일상물은 거의 제작하지 않는다.

2.2.1. 정치적 성향

유레카 7 AO에서 독도는 일본 땅이라 하거나, 심지어 천보이문 아야카시 아야시에서는 울릉도까지 일본 땅이라는 허무맹랑한 주장이 작품에 들어가기도 했고 이로 인해 한국에서 극우로 비난받았다. 그런데 이 두 작품은 모두 아이카와 쇼 작품으로 일본의 전체주의 비판이 들어간 좌익 애니이며 일본에서도 우익에게 욕을 먹는다. # 이런 경우는 보통 애니메이터나 감독이 멋대로 숨겨넣는 사고로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두 작품의 애니메이션 프로듀서는 미나미 마사히코, 방송국 프로듀서는 다케다 세이지로 겹쳐 이 둘 중 누군가가 하라고 지시했을 수도 있고 아니면 아이카와 쇼가 영토 문제에 대해서는 보수적일 수도 있다. 대체 작품의 전체 논조와도 반대되는 이러한 내용을 누가 왜 넣었는지 현재로선 알 수 없다.

미즈시마 세이지 아이카와 쇼의 영향으로 일본의 전쟁범죄나 일본사회를 비판하는 작품을 꽤 많이 만드는 편이다. 극우세력을 비판하는 대표적인 애니로 잘 알려진 UN-GO를 만들었으며, 2015년에는 일본의 전근대부터 시작해서 현재의 일본 사회까지 비판하는 애니인 콘크리트 레볼루티오 초인환상을 제작하였다. GOSICK은 원작에서 나오지 않았던 구 일본군 내부의 폭행이 짧게나마 그려졌고 미국에 대한 편파적인 시각이 삭제 되었으며, 드래곤 파일럿: 히소네와 마소땅은 후반부에 주인공이 자위대를 그만둔다. 그리고 원작에서 욱일기로 보일 수 있는 컷들도 색깔을 달리하거나 잘라내는 편. 물론 이는 작품을 담당한 감독의 성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고 그런 작품들을 만드는 사람들이 대체로 동일하기에[9] 제작사 자체의 성향이라고 단정지을 순 없지만, 이러한 감독들이 주로 임명되는 경향은 무시할 수 없다.

2.3. 작화와 연출

파일:미도리야19.png
파일:欧米ギリギリ!!ぶっちぎりの凄い奴_11.jpg
파일:Light Fades To Rain_14.jpg
파일:나히아 15.jpg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교토 애니메이션, ufotable, Production I.G와 함께 최상급 작화로 유명한 애니메이션 제작사중 하나다. 캐릭터 디자인과 동적인 작화는 물론이고, 연출이나 OST까지도 공을 들여 높은 수준으로 제작한다. 후술할 액션 작화만으로만 유독 주목 받는 경향이 있는데 일상물 작화도 비범하다.

애초에 회사 자체가 작화 팀 위주로 모여서 창업한 회사로 나카무라 유타카, 카와모토 토시히로, 이토 요시유키를 비롯해서 업계의 S급 천재라는 인력들이 전속으로 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2010년대 이후로는 신인도 키워내 세대 교체에도 성공한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배경이나 촬영 (이펙트) 같은 걸 고려하지 않고 작화만 본다면 확실히 기대해도 좋다.

게다가 작화 유지도 잘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퀄리티가 떨어지는 게 일반적인 장편이나 시즌제 작품에서도 퀄리티가 여전한데, 강철의 연금술사 시리즈와 소울이터의 경우 4쿨 이상의 장편인데도 작화의 질이 떨어지기는 커녕 후반부로 갈수록 상승했다.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도 50화 내내 높은 질의 작화를 유지했으며,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역시 시즌이 지날수록 작화가 상승했다.

그리고 기본 작화 뿐만 아니라 전매특허인 전투신 등 시각적인 면에서도 공들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 중 엔딩 애니메이션에도 공을 들이는 것으로 유명한데, 보통 엔딩의 경우엔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는 점과 예산 등의 이유로 적당히 일러스트로 때우거나 최대한 적은 움직임으로 만들 때가 많지만 본즈는 스즈키 노리미츠 우메츠 야스오미같은 유명인들에게 엔딩을 맡기는 경우가 적지 않다. 매수도 상당히 투자했음을 알 수 있다.

본즈의 가장 큰 특징은 3D CG를 거의 쓰지 않는다는 것. 작화의 대부분을 손그림으로 때운다. 다만 201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3D CG를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다. 2018년에 제작한 A.I.C.O. -Incarnation-에서 상당한 수준의 CG를 사용했고 2019년에 제작한 캐롤과 튜즈데이의 경우 2D와 3D를 부드럽게 혼합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작화와 연출에서 원작의 분위기와 느낌을 잘 살리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다른 제작사들이 자기들만의 작화를 작품에 적용시키는 느낌이라면 본즈는 원작의 작화를 애니메이션 작화에 맞게 그리는 느낌. 오리지널 전개로 인해 호불호가 다소 갈리더라도, 장르에 상관없이 해당 원작 특유의 분위기를 정말 잘 살려준다. 작품 연출을 보면 원작에 대한 이해도가 상당하다는 것이 보인다.[10] 이전, 본즈가 오란고교 사교클럽, 빨강머리 백설공주를 제작한다고 했을 때도 많은 팬들이 의외라는 반응이었지만 방영 이후엔 대호평이었다.

반면 본즈의 작화를 저평가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정확히는 작화에 비해 영상미가 떨어진다는 점을 주된 비판점으로 삼는다. 이를테면 CG 특수효과나 촬영 효과, 배경 미술 등에 대한 것인데, 본즈도 나름 뛰어난 촬영 팀을 확보하고 있으나[11] 화려한 이펙트를 잘 구사하지 않는 편이다. 이는 애니메이터의 그림을 메인으로 삼아 시각효과를 조금만 넣어 그림의 선을 가리지 않는 연출을 주로 하기 때문이다. 다른 회사라면 후처리 이펙트나 CG로 할 연출을 대부분 선으로 직접 그려내는 작화로 한다. 때문에 신카이 마코토 감독 작품이나 A-1 Pictures, ufotable 같은 곳에서 만드는 요즘의 화려한 애니메이션보다 영상이 밋밋해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후술될 콜라보 애니메이션들을 보면 본즈 나름의 영상미를 볼 수 있다. 본즈 작품 중에서 촬영 효과가 많이 들어간 작품을 보고 싶다면 촬영감독 이케가미 마사타카가 맡은 작품을 보면 된다. 정리하자면, 시각 효과를 적게 넣고 작화나 연출을 보여주려고 하는 회사라고 할 수 있다.

2010년대 중반 들어서는 본즈도 시각 효과를 화려하게 넣고 정적이고 미적인 미장센을 강조하는 작품도 늘어나는 추세다. 사실 이것도 감독의 성향에 따른 것으로 타무라 코타로, 이가라시 타쿠야 감독의 작품들이나 바니타스의 수기, 혈계전선 1기 같은 경우는 기존 본즈가 가진 고정관념과 다르게 액션의 움직임 보다는 구도를 강조하고 정적이면서 촬영 효과를 많이 넣는 미적인 연출이 더 많다. 이외에 나가사키 켄지도 액션과 별개로 촬영 효과를 엄청나게 넣는다.

2.4. 액션

본즈 전투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MHA1.gif
파일:팽랭열파.gif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1,2기
파일:United States of Smash.gif
파일:3242343432.webp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3,4기
파일:혈계전선12.gif
파일:혈개전선13.gif
혈계전선
파일:모브사이코2기5화1.gif
파일:에쿠보vs신수2a.gif
모브사이코 100
파일:엔데버 기술1.gif
파일:my hero academia zuku Midoriya 120%.webp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6,7기 }}}}}}}}}

본즈의 아이덴티티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본즈가 작화 면에서 탑급 제작사라는 평을 받는 이유는 바로 액션에 있다. 메카물, 몸싸움, 이능력등등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상관없이 본즈의 액션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본즈 특유의 양질의 액션을 제대로 보여준 애니는 대표적으로 강철의 연금술사, DARKER THAN BLACK 시리즈, 소울 이터, STAR DRIVER 빛의 타쿠토, 스트레인저 무황인담 등이 있고,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에서는 이타노 서커스를 선보이며 마크로스 시리즈조차 3D로 메꾸는 공중전을 손그림으로 때운 데다가 26화 등 힘이 들어간 에피소드를 보면 카우보이 비밥시절의 공중전 연출 관록을 떠올리게 한다.[12] 2010년대 초 흥행 부진에도 스페이스 댄디는 당해년도 수위급 액션으로 아직 죽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모브사이코 100의 경우 12화 내내 고퀄리티의 액션을 선보였으며, 첫 소년 점프 작품인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역시 1기는 아쉬웠지만 2기부터 수준급의 액션을 보여주고 있다.

또, 다른 제작사에서 기피하거나 넣고 싶어도 사정상 넣지 못하는 롱테이크 같은 수준 높은 기법들을 자주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액션에 CG 이펙트를 잘 사용하지 않고 인물이나 이펙트는 물론 휙휙 변하는 구도의 바닥이나 배경, 파편까지 손그림으로 때우는 장인정신을 보이기에 그 특유의 맛을 좋아하는 팬들이 많다. 하지만 CG를 잘 쓰지 않는 것은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화려함이 부족해 보일 수도 있으며, 특유의 투박한 손그림 작화가 호불호가 갈리기도.
파일:캡틴어스 원화.jpg
캡틴 어스의 원화.
메카닉은 전부 2D로 제작한다. 대부분의 제작사들이 3D로 전향한 2010년대 이후로도 많지는 않지만 2D 메카닉이 나오는 애니메이션을 계속 만들고 있는 중.[13] 메카는 모두 2D로 제작한다는 점에서 선라이즈와 더불어 2D메카의 보루라는 평.[14] 물론 본즈라도 완전 2D만 고집하는 게 아니라 곳곳에 3D를 사용하고 3D 스태프도 주기적으로 모집하고 있으며, 다른 제작사에 3D 제작협력으로도 자주 참여하기도 한다.[15] 미나미 마사히코이사는 인터뷰에서 기본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철은 CG로 메카닉은 2D 그림으로 하고 있으며 메카닉 역시 '캐릭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림으로 표현하는 방식은 CG에게 지지 않는다는 의견을 밝혔다. 다만 워낙 손이 많이 가고 메카닉을 구사할 수 있는 크리에이터도 갈수록 줄어서 예전만큼 2D로 밀지 못할 뿐이라고.[16]

초창기 본즈와 최근 본즈의 작품에서 작화와 액션씬의 특징이 꽤나 다르다. 초창기에는 구 강철의 연금술사 울프스 레인처럼 엄청난 고급 작화와 무게감 있는 액션이었으나[17], DARKER THAN BLACK -흑의 계약자-, 소울 이터 즈음부터는 한번에 빨리빨리 그리는 형식으로 선이 매우 얇고 속도감을 강조하는 액션이 많아졌다. 이래저래 호불호는 갈리지만 퀄리티가 엄청나다는 점은 똑같기에 본즈의 액션에 대해 토를 다는 사람은 드물다. 사실 본즈에서 유명한 액션씬들은 예나 지금이나 대부분 나카무라 유타카의 손에서 탄생한 작품들이기 때문에 그냥 나카무라 유타카의 스타일 변화나 새로 유입된 애니메이터들의 개성 때문에 예전과 달라보이는 것일수도 있다.

2.5. 오리지널

본즈에서 액션과 더불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바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다. 처음 설립한 이후로 계속 1년에 못해도 한개씩은 오리지널 작품을 만들어온 회사가 바로 본즈. 특히 SF 관련 오리지널의 경우에는 상당한 관록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비록 흥행은 별로였지만 크라우 팬텀 메모리나, 유레카 세븐만 보더라도 본즈의 SF에 대한 애정이 덕지덕지 묻어나오는 것을 볼 수 있고, DARKER THAN BLACK -흑의 계약자-도 단순한 능력자 배틀물의 범주를 넘어서는 모습을 보인다. 요즈음의 애니메이션에서 볼 수 있는 얄팍하고 단순한 설정놀음이 아니라, SF 전통적인 영역에서 쓰일 법한 소재 및 주제를 선택하고 밀도 있게 뽑아내는 것은 이젠 거의 본즈만의 아이덴티티이다.

이런 작품 위주로 나오는 것은 본즈의 사장 미나미 마사히코의 의향이 크다. 선라이즈에서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카우보이 비밥 같은 걸 만들던 인물로 선라이즈가 반다이에 인수되고 상업성을 추구하면서 이러한 작품을 못 만들게 하자 본즈를 창업하고 이러한 작품을 지속적으로 기획하고 있다. 당시 따라온 선라이즈 인원이 많았던 것도 그의 이러한 의향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냥 오리지널만 많이 만드는 것이 아니라, 원작이 있는 애니에서도 설정을 원작과 달리하거나[18] 초반에는 원작에 충실한 전개로 가다가 후반이나 결말부에 오리지널 전개로 진행하는 애니메이션이 많다.[19]

하지만 액션 부분과 다르게 오리지널 부분에서는 좋은 평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일부 오리지널 애니에서 보여준 난해함과 초반에 비해서 아쉬운 후반전개 때문이다. 특히 후반전개에서의 악평이 심한데, 이 평을 받은 대표적인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은 DARKER THAN BLACK 유성의 제미니, 미디어 믹스지만 오리지널 전개로 나갔던 경우는 소울 이터, 관희 챠이카 등이 있다.[20]

그렇다고 본즈가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을 평균적으로 못 만드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기동천사 엔젤릭 레이어, 구 강철의 연금술사[21], 샴발라를 정복하는 자,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스트레인저 무황인담, DARKER THAN BLACK -흑의 계약자-, UN-GO, 스페이스 댄디, 콘크리트 레볼루티오 초인환상, SK∞ 에스케이 에이트 시리즈 등 호평을 받는 오리지널 애니가 더 많다.

원작 있는 애니의 오리지널 결말도 노라가미 1기는 깔끔하게 끝났고, 본즈 부활에 기여한 혈계전선 SHOW BY ROCK!! 은 오리지널 결말이었는데, 혈계전선은 난해하기 짝이 없는 오리지널 메인 스토리보다 깔끔하고 감동적인 결말이 더 호평을 받았고, 쇼 바이 락은 후반부가 살짝 급전개이긴 했지만 욕먹을 수준은 아니었다.

정보전달의 불친절함이라는 비판의 경우, 사실 이것은 작품의 모든 암시를 떡밥으로 이해하고 이 모든 것들을 결말부에서 매듭짓기를 바라는 경직된 팬덤의 영향도 있다. 본즈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쿄다 토모키, 이가라시 타쿠야, 미야지 마사유키, 마츠모토 리에는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는 유럽 영화 식 연출을 하는 감독들이었다. 또한 이 회사의 대표적 원작자 겸 각본가인 아이카와 쇼도 떡밥 회수와 거리가 먼 호러 장르의 글을 쓰는 사람이라 떡밥 회수를 잘 안 한다. 마찬가지로 이 회사에서 활동하는 각본가 에노키도 요지도 해석의 여지를 열어두는 각본을 많이 쓴다. 본즈의 내러티브는 어느 정도 이런 작품의 세부를 일일이 다 내비치기보다는 공란으로 남겨두는 경향성이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본다면 이것은 비판할 점이라기보다는 취향의 영역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정말로 무책임하게 떡밥 투척만 하고 수습 못했다 싶은 작품이 없지는 않으나 상술했듯 그리 많지 않다. 그리고 이런 감독만 활동하는 게 아니고 여러 감독이 있다. 예로 미즈시마 세이지, 나가사키 켄지, 타무라 코타로 감독 같은 경우엔 이런 연출과 스토리텔링과는 거리가 있다.

순수 오리지널과 원작과 달라진 전개의 평은 이래저래 호불호가 갈리는데 반해, 원작을 기본으로 한 오리지널 스토리와 연출은 대부분 원작초월이라는 호평을 받는다.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에서 살짝 변경된 장면과[22] 보강된 액션신,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서 추가된 전투 등.

사실 이런 스토리는 제작사가 아니고 감독과 각본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본즈의 특징이라고 뭉뚱그려서 설명하려는 것 부터가 넌센스이다. 본즈는 애니메이터 위주의 회사라 애니메이터는 거의 고정이라 그림 질은 다 비슷해 보이겠지만 연출 감독과 각본가는 작품마다 달라진다. 그래서 스토리를 보려고 하는 경우엔 감독과 각본가 이름을 봐야한다. 사장 미나미 마사히코도 본즈에 유능한 감독들이 모이는 이유에 대해선 하고싶은 거 맘대로 하게 하니까. 라고 답변한 바가 있다. 즉 일단 기획하면 터치를 안 한다는 것이다. #

정리하면 이런 작품이 계속 만들어지는 일정한 경향은 사장의 의향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므로 특징적이지만 스토리의 세부 퀄리티와 연출의 질은 감독과 스태프 각각에게 맡기므로 특징으로 정의하기 힘들며 작품마다 따지는 것이 좋다.

2.6. 음악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혈계전선

제작 작품들의 OST의 퀄리티가 전반적으로 높다. 특히 강철의 연금술사를 비롯해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울프스 레인, 라제폰, DARKER THAN BLACK 시리즈, 스페이스 댄디, NO.6, 혈계전선, 문호 스트레이독스,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등이 OST 좋은 애니로 평가 받는다. 캐롤과 튜즈데이의 경우 주연들의 노래 담당 가수들을 전세계 오디션을 통해 뽑았다.

본즈와 주로 일하는 감독인 와타나베 신이치로, 쿄다 토모키, 미즈시마 세이지가 음악에 공을 들이는 편이라서 이런 경향이 나타난다. 위의 작품도 대부분 이 사람들 작품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작곡가가 다 달라서 확실한 것은 아니다.

2.7. 성우진

성우진이 매우 화려하다. 다른 제작사에서는 비용 때문에 쉽사리 캐스팅 못하는 경력 10 ~ 20년 차의 성우들로 꽉 차 있는 작품이 많고, 심지어 몇몇 작품은 한 두번 나오고 마는 엑스트라조차 중복 안 돌리고 유명 성우들로 채우는 경우도 많다. 심지어 한 두 작품에만 이런게 아니라 대부분의 작품들에 적용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작품이 혈계전선 스페이스 댄디. 혈계전선은 작가가 성우진 명단을 보고 이렇게 캐스팅 될 수 있냐는 의문을 품었다고. 스페이스 댄디는 하야시바라 메구미, 야마데라 코이치, 후루카와 토시오 같은 전설 취급 받는 성우들을 단역으로 쓰는 짓을 했다. 단순히 화려하기만 한 게 아니라 성우들의 연기와 캐릭터와의 싱크로율도 훌륭한 편이라 미스캐스팅 논란도 거의 안 일어난다. 이는 본즈 창립 멤버들이 선라이즈 출신이라 선라이즈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다.

자주 출연하는 성우는 있어도 다른 제작사에 비해 성우진이 고정적인 편은 아니다. 예외가 있다면 미야노 마모루. 첫 주연 작품이 울프스 레인이고 본즈 직원이라는 우스갯소리를 들을 정도로 주인공이든, 주연이든, 조연이든 많은 본즈 애니메이션에 참여했고 본즈 20주년 행사 파트1에서도 보이스 가이드를 맡았다. 2010년대에 들어선 이시다 아키라의 캐스팅도 많은편.

마모루를 제외하고 자주 기용하는 성우를 꼽자면 남자 성우로는 미야케 켄타, 미키 신이치로, 스와베 준이치[23], 이리노 미유, 오오츠카 아키오를 꾸준하게 기용하며 헤이 역으로 유명한 키우치 히데노부도 주연은 아니더라도 자주 출연한다. 여자 성우로는 쿠와시마 호우코, 사카모토 마아야, 미즈키 나나, 나즈카 카오리를 자주 기용한다. 박로미 쿠기미야 리에도 본즈 초기 작품에 나온 영향으로 가끔 나온다. 그외에 자주 출연하는 성우들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은 경우 여기를 보면 된다.

이는 본즈와 자주 함께 일하는 음향감독 와카바야시 카즈히로(若林和弘)[24], 미마 마사후미 두 사람의 취향과 인맥에서 유래하는 것이기도 하다. 두 사람의 취향상 배우 출신 성우들의 비중이 은근히 큰편이며, 반대로 두 사람이 캐스팅하지 않는 성우들은 다작하는 타입이라고 해도 자연스럽게 본즈의 작품에도 출연하는 경우가 적은 편이다.

2.8. 한국 방영

토에이, OLM, A-1 Pictures처럼 주로 한 회사가 수입해서 방영하지 않고[25], 대체로 골고루 나뉘는 편이다.

3. 역사

3.1. 설립

선라이즈 최고의 작화 팀이라 불리던 제2스튜디오 멤버들이 선라이즈의 프로듀서 미나미 마사히코를 따라 독립해서 세운 회사이다. 미나미 마사히코는 과거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부터 연출에 참여하여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카우보이 비밥 같은 작품을 만들었는데, 이 작품들은 평은 좋았고 나중에 입소문 재조명으로 흥행 성공작이 되었으나 방영 당시 흥행은 그렇게 좋지 않았고 선라이즈에서 "이런 작품 만들지 마라." 라는 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미나미 마사히코는 이에 반발해 "뼈대 있는 작품을 만들겠다." 라는 취지로 1998년 10월 10일 본즈를 설립하고 독립을 해버렸다. 설립 초기에는 하청사로서 선라이즈 작품을 만들었지만 회사 규모를 키우면서 선라이즈의 에이스였던 선라이즈 제2스튜디오 멤버를 대부분 데리고 나가버렸다. (미나미 마사히코와 기동무투전 G건담, 에스카플로네, 카우보이 비밥을 만들었던 나카무라 유타카, 오사카 히로시, 카와모토 토시히로, 이토 요시유키, 사노 히로토시 등이 회사 초기 멤버이다.

미나미 마사히코는 프리랜서로 활동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선라이즈에서 자신을 지도해줬던 선배가 "회사가 없으면 제작진은 어떻게 모을 것이냐"라는 충고를 해줬고, 제작진행을 맡고 있던 자신의 후배가 일을 잘 하는 것을 보던 미나미는 독립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한다. 설립 당시엔 미나미 마사히코가 돈이 별로 없어 회사 규모도 굉장히 작았다고 한다. 회사는 명의만 있고 일부 애니메이터만 계약 관계로 두고 시작해야 했다고 한다. 잡지 '오토나아니메' Vol.12호(2009년 4월)에 실린 미나미 대표이사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1999년 당시 본즈의 사원은 겨우 8명 뿐이었다고 한다.

이렇게 선라이즈에서 애니메이터를 빼서 설립한 회사라 선라이즈와 관계가 좋지 않다. 다만 초기에는 대놓고 인력을 빼간 게 아니라 관계가 괜찮았으며[27] 스폰서의 요구로 에스카플로네와 카우보이 비밥 극장판은 선라이즈와 합작을 했었으나 이후 멤버를 많이 빼가면서 관계가 악화되었다. 그러나 프리랜서인 나카무라 유타카[28], 쿠하라 시게키는 선라이즈 작품에 종종 참여하기도 했다.

3.2. 성장

이후 울프스 레인이나 라제폰 등의 개성 넘치는 애니메이션으로 조금씩 이름을 알렸다. 그러나 이때는 신생 제작사 딱지를 떼지 못했다. 그러나 강철의 연금술사를 제작했고 이 작품이 대히트를 치게 되면서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되었다. 초중반은 원작을 따라가다가 후반은 오리지널 스토리로 제작되었음에도 평균시청률 6% 이상, 평균 BD/DVD 판매량 55000장 이상, 누적 DVD 판매량 100만장 이상을 기록하며 본즈 역대 최고의 메가히트작으로 자리매김했다. 해외에서도 대호평을 받았고, 당대 최고의 애니로 손꼽히며 인기를 독차지했다.

2000년대 중후반에도 나름 흥행에서 망하지 않고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과 퀄리티를 뽑아냈다. 그리고 2009년 강철의 연금술사:브라더후드가 03년판만큼 아니었으나 매우 높은 인기를 끌었고, 평가는 03년판 이상으로 받으며 다시 한번 이름을 널리 알렸다.

3.3. 침체기

년도 제목 분기 판매량
2011년 GOSICK 1분기 2,521장
NO.6 3분기 3,479장
UN-GO 4분기 1,901장
2012년 유레카 7 AO 2분기 4,223장
절원의 템페스트 4분기 1,379장
2013년 텐카이나이트[29] 3분기 238장
2014년 스페이스 댄디 1분기
3분기
885장
793장
노라가미 1분기 4,113장
관희 챠이카 2분기
4분기
1,295장
874장
캡틴 어스 2분기 1,715장
소울 이터 NOT! 2분기 307장

위의 표는 2011년~2014년 본즈 제작 애니의 판매량. 당시 본즈 내 상황이 얼마나 심각했는지 알 수 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의 본즈의 상황은 굉장히 좋지 않았다. 2010년 STAR DRIVER 빛의 타쿠토 이후, 2011년부터 2014년까지의 본즈 작품들은 NO.6, 유레카 7 AO, 노라가미를 제외하고는 전부 판매량 부진이 심각했다. 노라가미 유레카 7 AO의 판매량 4천장대가 2011년~2014년 동안 가장 잘 팔린 애니였을 정도.[30] 평균으로만 따지면 꾸준히 4천장대를 팔은 유레카 7 AO가 더 높다. 작품들로만 보면 잘 만든 작품과 못 만든 작품 비율이 거의 1 : 1 수준인데, 그것과 상관없이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한 작품이 대부분. 소울 이터 NOT!에서는 아예 본즈라는 것을 믿기 힘들 정도로 불안한 퀄리티와 작화 붕괴를 보여주며 흥행에서나 작품성에서나 혹평이었다. 노라가미나 NO.6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동양에서 좋아하는 딱 떨어지는 작품이 거의 제작되지 않았으며 그래서 일본과 한국에선 한때 본즈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나빴다.

그러나 이때의 작품들도 해외에서는 반응이 좋았다. 이때의 본즈는 너무 유럽식 연출에 심취해 내수에 소홀히 했다고 볼 수도 있다.

3.4. 부활

파일:external/img5.onnada.com/2107157101_9fbdbf63_cats.png
본즈의 2016년 신년 일러스트.[31]

이렇게 5년 가까이 계속되었던 연속적인 부진은 2015년 혈계전선 SHOW BY ROCK!!으로 종결되었다. 특히 반응이 좋았던 혈계전선의 BD/DVD 1권 초동 판매량은 약 17000장. 평균판매량 역시 16000장대로, 본즈의 최고 흥행작인 강철의 연금술사(2003)의 판매량(평균 약 36,000장)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참고로 이전 흥행성적 2위는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평균 12326장)였다.

혈계전선과 쇼바이락의 성공이후, 본즈는 2016년에 공개될 히로아카, 모브사이코 100의 제작, 2017년 공개를 목표로 하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제작을 발표했다. 2017년 2분기에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2기가 확정되었고, 혈계전선 2기 또한 2017년 4분기에 방영되었다. 이외에도 2017년에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하나와 극장판 하나를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고, 그 극장판은 유레카 세븐의 재해석판,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하이에볼루션 1으로 밝혀졌다.

2016년 이후에도 호조는 이어져 2분기의 문호 스트레이독스는 뛰어난 작화와 연출, 액션씬으로 원작초월이라는 평을 들으며 흥행에 성공했다.[32][33]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1기의 경우 연출은 좋았고 원작재현은 잘했지만 12화 후반부를 제외하고는 힘빠지는 액션과 늘어지는 전개로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그럼에도 원작의 인기+상대적인 기대치가 아닌 절대적인 평가는 괜찮아서 1권이 약 5500장 정도의 성적을 냈다. 3분기의 모브사이코 100은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리는 화풍에도 불구하고 원펀맨을 연상시키는 압도적인 액션과 연출, 그리고 원펀맨에서는 볼 수 없었던 성장물로서의 내용 등이 호평을 받아 역시 흥행했다.[34]

부활 이후 제작한 다수의 작품이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다 콘레보와 빨강머리 백설공주를 제외한 2016년의 모든 본즈 애니가 초동 5천장을 넘겨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35] 2016년 이후의 애니들은 몇몇 작품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낮은 판매량을 보이고 있는데 본즈는 타 제작사에 비해 흥행하고 있는 셈.

그리고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가 2기 때부터 평가가 좋아지고 시청률에서 대박을 터뜨리기 시작하더니, 3기와 극장판까지 상업적으로나 비평적으로나 성공을 거듭하면서 제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2018년, 넷플릭스와 포괄적 업무 제휴 계약을 채결했다. 그리고 넷플릭스가 기존 방영작을 서비스 하는 것을 넘어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서비스한다는 방침을 세웠는데 본즈 역시 넷플릭스와 함께 A.I.C.O. -Incarnation-을 제작했다. 기사 그리고 드래곤 파일럿: 히소네와 마소땅이 본즈 TVA 최초로 넷플릭스에서 독점방송 되기도 했다.

2018년 하반기에 20주년 기념전을 개최했다. 파트1은 10월 26일부터 11월 12일까지, 파트2는 11월 14일부터 11월 25일까지 개최된다. # 2019년에는 출장판을 개최했다. 기사

2019년 말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2번째 극장판인 히어로즈 라이징이 전작보다도 높은 평가와 흥행을 기록했다. 작화와 액션만큼은 1기보다 퀄리티가 대폭 상승했다. 다만, 이때문에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4기 초중반부 연출이 다소 밋밋해졌고 아쉽다는 평을 받았다. 그래도 대호평받았던 2~3기덕분에 초반부터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퀄리티도 중반부 이후 괜찮아졌고, 초반부도 중요한 부분은 잘 뽑아내서 4기 1쿨 평가는 나쁘지 않은 편. 그리고 극장판-1쿨 병행으로 쏟지 못했던 퀄리티를 2쿨에 쏟아냈다. 마지막화는 본즈가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는것을 증명해냈다고 봐도 될 정도.

2024년 2월 13일부터 크런치롤과 DELTAROCKET[36]에서 만든 본즈의 25주년 역사를 기념하는 4부작 다큐멘터리 「BONES 25: DREAMING FORWARD」를 공개하는데, 아사기리 카프카, ONE 등의 작가부터 오오츠카 마나부, 미마 마사후미, 마츠쿠라 유지, 타치카와 유즈루, 나츠메 신고, 나가사키 켄지, 와타나베 신이치로, 미나미 마사히코, 이즈부치 유타카, 호리 모토노부, 이시카와 미츠히사, 혼마 미치유키[37], 쿄다 토모키, 오오야부 요시히로[38], 사토 나오키, 미즈시마 세이지, 안도 마사히로, 네모토 토시조[39], 아카네 카즈키, 아마노 나오키[40] 등의 스태프들이나 이토 유키히로[41], 마츠자키 요코[42], 카와사키 유키오[43]같은 방송계 중역 등 유명한 관계자들이 대거 출연하여 화제가 되었다.[44] 4부작의 제목은 각각 '본즈의 역사', '스타일과 독창성', '성공적인 적응', ' 메탈릭 루쥬: 본즈의 미래'.

4. 관련 인물

특정 감독이나 애니메이터 등이 본즈 작품에 자주 참여하는 편이다. 본즈 애니메이션으로 이름을 알린 쪽도 있다.

다만 리스트에는 적혀있어도 본즈 직원이 아니고 프리랜서라 다른 회사 작품도 자주하는 인물들도 섞여 있으니 참고할 것. 본즈 작품을 자주 한다는 것이지 본즈 전속이라는 게 아니다. 원래 애니메이션 업계는 프리랜서가 대부분이다.

한국에서는 특히 본즈 작품을 몇 작품만 한 애니메이터는 전부 본즈 애니메이터라고 몰아가며 본즈를 띄우거나 이 애니메이터들이 다른 회사 작품을 하면 본즈에서 불러왔다는 루머가 많이 도는데 본즈에서 데려오는 게 아니고 프리랜서라 데려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미나미 마사히코 사장 말로는 카와모토 토시히로, 코모리 타카히로, 이토 요시유키, 나카무라 유타카가 본즈의 '빅4'라고 한다. 그 다음 실력자는 사이토 츠네노리와 호리카와 코이치 (堀川耕一)라고 생각한다고. 오사카 히로시는 너무 일찍 죽어버린 천재라고. #

5. 스튜디오

2018년 현재 본즈에는 A, B, C, D, E 총 5개의 스튜디오가 있다. 건물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제작진(라인) 별로 묶어놓은 쪽에 가깝다고 보면 된다. A와 D는 본사 1층, B와 C는 2층을 쓰고 있다. 새로 만들어진 E스튜디오는 본사와 건물을 따로 사용한다. 미나미의 말에 따르면 같은 작품이라도 스튜디오가 다르면 그 느낌이 다를 것이라고.

다만 선라이즈처럼 책임자만 다르고 핵심적인 애니메이터는 서로 왔다갔다하므로 스튜디오마다 작품색을 엄격히 구분짓는 건 큰 의미가 없다. 각 애니메이션 항목의 스태프 리스트와 회차목록만 봐도 공유하는 인력이 많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미나미 마사히코의 말은 느낌만 좀 다르다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5.1. A스튜디오

리드 프로듀서는 아마노 나오키(天野直樹). 액션, 그 중에서도 주로 인물들간의 전투 위주로 작품을 만드는 스튜디오. (엔젤릭 레이어, 노라가미 등) 카와모토 토시히로가 자주 활약하는 스튜디오이기도 하다. 원청 작품이 일정하고, 다른 스튜디오의 그로스[59]를 받기도 한다. 여기에서 제작하는 작품들은 본즈 대부분 작품의 특징인 강렬하고 묵직한 액션보다는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액션들이 많이 탄생한다. 최근에는 넷플릭스 독점 방영 애니들이 주로 제작되고 있다.

5.2. B스튜디오

리드 프로듀서는 와타나베 마코토(渡辺マコト)[60]→일시 부재→나가노 유키(永野優希)→불명. 메카물을 자주 만드는 스튜디오. 본즈 내에서도 가장 수준 높은 애니메이터들이 많다고 한다. ( 라제폰, 유레카 세븐, 카우보이 비밥 극장판, 스페이스 댄디, 모브사이코 100 시리즈 등) 이를 증명하듯 본즈 애니메이션 중에서도 작화가 굉장한 작품들을 많이 제작해왔다.

다만 2010년대에 프로듀서 교체로 한 번 멤버가 크게 물갈이 되어서 전혀 새로운 멤버로 재편되었다. 원래 B에 있던 베테랑 메카 애니메이터들은 E로 갔다. 현재의 B는 본즈의 여러 스튜디오 중 가장 젊은 멤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WEB계 애니메이터 기용도 가장 많이 한다. 그래서 B스튜디오는 메카 애니메이션 제작은 잘 안 하게 되었다.

5.3. C스튜디오

리드 프로듀서는 오오야부 요시히로(大薮芳広). 강철의 연금술사 제작을 위해 만들어진 스튜디오. 가장 작품 폭이 넓은 스튜디오로 B 못지 않게 기술력이 높다. 역대 본즈 애니메이션 중 판매량이 상위권인 작품들은 대부분 C스튜디오 제작이다.[61] 이토 요시유키, 나카무라 유타카, 시바타 준이 주로 활약하는 스튜디오. 또 엔딩 애니메이션을 수려하게 잘 만들기로 유명한 스즈키 노리미츠도 이쪽이다.

5.4. D스튜디오

리드 프로듀서는 요나이 노리토모(米内則智)[62]→와타나베 마코토→스즈키 마리(鈴木麻里).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제작을 위해 당시 새로 설립한 스튜디오. A스튜디오와 마찬가지로 인물 위주로 제작한다. 원작이 있는 작품만 제작하는 게 특징이었으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SK∞ 에스케이 에이트가 2021년에 방송되었다.. B스튜디오 / 스튜디오 히바리[63] 관련인물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5.5. E스튜디오

리드 프로듀서는 와타나베 마코토. 신설 스튜디오. 쿄다 토모키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신극장판 시리즈를 지원하고자 따로 만들었다고 한다.

새로 만든 스튜디오라지만 멤버는 예전에 B 스튜디오에 있던 베테랑 멤버들이다. 와타나베 마코토를 따라온 걸로 보인다.

5.6. F 스튜디오

2020년대에 신설. 제작 작품은 곧 공개한다고 한다.

6. 사건 사고

7. 기타

8. 제작 작품

8.1. TV 애니메이션

파일:본즈(기업) 로고.svg 파일:본즈(기업) 로고 화이트.svg
2000년대
<rowcolor=#000> 년도 작품명 감독 제작 스튜디오 방영 화수 비고
2000년 기교기전 히오우전기 아미노 테츠로 A 26회
2001년 기동천사 엔젤릭 레이어 니시키오리 히로시 A 26회
2002년 라제폰 이즈부치 유타카 B 26회
2003년 울프스 레인 오카무라 텐사이 A 30회
스크랩드 프린세스 마스이 소이치 B 24회
강철의 연금술사 미즈시마 세이지 C 51회
2004년 현란무답제 마즈 데이브레이크 모리 쿠니히로 B 26회
크라우 팬텀 메모리 이리에 야스히로 A 24회
2005년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쿄다 토모키 B 50회
2006년 오란고교 사교클럽 이가라시 타쿠야 C 26회
수왕성 니시키오리 히로시 A 11회
천보이문 아야카시 아야시 니시키오리 히로시 A 25회
2007년 DARKER THAN BLACK -흑의 계약자- 오카무라 텐사이 C 25회
스컬맨 모리 타케시 B 13회
2008년 소울 이터 이가라시 타쿠야 C 51회
20면상의 딸 토미자와 노부오 A 22회 텔레콤 애니메이션 필름
공동 제작
2009년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이리에 야스히로 D 64회
도쿄 매그니튜드 8.0 타치바나 마사키 A 11회 키네마 시트러스
공동 제작
DARKER THAN BLACK -유성의 제미니- 오카무라 텐사이 C 12회
2010년대
<rowcolor=#000> 년도 작품명 감독 제작 스튜디오 방영 화수 비고
2010년 히어로맨 난바 히토시 A 26회
STAR DRIVER 빛의 타쿠토 이가라시 타쿠야 C 25회
2011년 GOSICK 난바 히토시 A 24회
NO.6 나가사키 켄지 D 11회
UN-GO 미즈시마 세이지 C 12회
2012년 유레카 7 AO 쿄다 토모키 B 24회
절원의 템페스트 안도 마사히로 D 24회
2013년 텐카이나이트 혼고 미츠루 C 51회
2014년 스페이스 댄디 와타나베 신이치로
나츠메 신고
B 26회
노라가미 타무라 코타로 A 12회
관희 챠이카 마스이 소이치 D 22회
캡틴 어스 이가라시 타쿠야 C 25회
소울 이터 NOT! 하시모토 마사카즈 A 12회
2015년 혈계전선 마츠모토 리에 A / C 12회
SHOW BY ROCK!! 이케조에 타카히로 D 12회
빨강머리 백설공주 안도 마사히로 B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margin-right: 3px; background: #ffe000; font-size: .8em" 13회
노라가미 ARAGOTO 타무라 코타로 A 13회
콘크리트 레볼루티오 초인환상 미즈시마 세이지 C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margin-right: 3px; background: #ffe000; font-size: .8em" 13회
2016년 빨강머리 백설공주 안도 마사히로 B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margin-right: 3px; background: #ffe000; font-size: .8em" 13회
콘크리트 레볼루티오 초인환상 미즈시마 세이지 C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margin-right: 3px; background: #ffe000; font-size: .8em" 11회
문호 스트레이독스 이가라시 타쿠야 D 12회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나가사키 켄지 A / C 13회
SHOW BY ROCK!! 쇼~트!! 이케조에 타카히로 D 12회
모브사이코 100 타치카와 유즈루 B 12회
SHOW BY ROCK!!# 이케조에 타카히로 D 12회
문호 스트레이독스 2기 이가라시 타쿠야 D 12회
2017년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2기 나가사키 켄지 C 25회
혈계전선 & 비욘드 타카야나기 시게히토 B 12회
2018년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3기 나가사키 켄지 C 25회
드래곤 파일럿: 히소네와 마소땅 히구치 신지
코바야시 히로시
A 12회
2019년 모브사이코 100 Ⅱ 타치카와 유즈루 B 13회
캐롤과 튜즈데이 와타나베 신이치로
호리 모토노부
A 24회
문호 스트레이독스 3기 이가라시 타쿠야 D 12회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4기 나가사키 켄지
무카이 마사히로
C 25회
2020년대
<rowcolor=#000> 년도 작품명 감독 제작 스튜디오 방영 화수 비고
2021년 SK∞ 에스케이 에이트 우츠미 히로코 D 12회
고질라: 싱귤러 포인트 타카하시 아츠시 A 13회 오렌지
공동 제작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5기 나가사키 켄지
무카이 마사히로
C 25회
문호 스트레이독스 멍! 키쿠치 토시히로
(菊池聡延)
N/A 12회 NOMAD
공동 제작
바니타스의 수기 이타무라 토모유키 A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margin-right: 3px; background: #ffe000; font-size: .8em" 12회
2022년 바니타스의 수기 이타무라 토모유키 A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margin-right: 3px; background: #ffe000; font-size: .8em" 12회
모브사이코 100 Ⅲ 타치카와 유즈루
하스이 타카히로
B 12회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6기 나가사키 켄지
무카이 마사히로
C 25회
2023년 문호 스트레이독스 4기 이가라시 타쿠야 D 13회
문호 스트레이독스 5기 이가라시 타쿠야 D 11회
2024년 메탈릭 루쥬 호리 모토노부 E 13회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7기 나가사키 켄지
나카야마 나오미
C 25회
일찍이 마법소녀와 악은 적대하고 있었다. 오오하시 아키요
(大橋明代)
D 미정
2025년 GACHIAKUTA 스가누마 후미히코 미정 미정
비질랜티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ILLEGALS- 스즈키 켄이치 미정 미정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FINAL SEASON 미정 C 미정
미정
<rowcolor=#000> 년도 작품명 감독 제작 스튜디오 방영 화수 비고
미정 SK∞ 에스케이 에이트 2기 우츠미 히로코 미정 미정

8.2. 극장 애니메이션

파일:본즈(기업) 로고.svg 파일:본즈(기업) 로고 화이트.svg
2000년대
<rowcolor=#000> 년도 작품명 감독 제작 스튜디오 러닝 타임 비고
2000년 에스카플로네 THE MOVIE 아카네 카즈키 A 98분 선라이즈
공동 제작
2001년 카우보이 비밥 극장판: 천국의 문 와타나베 신이치로 B 115분 선라이즈
공동 제작
2003년 라제폰 다원변주곡 이즈부치 유타카
쿄다 토모키
B 115분
2005년 극장판 강철의 연금술사 샴발라를 정복하는 자 미즈시마 세이지 C 105분
2007년 스트레인저 무황인담 안도 마사히로 B 102분
2009년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 포켓이 무지개로 가득 쿄다 토모키
하라구치 히로시
(原口浩)
B 115분 키네마 시트러스
공동 제작
2010년대
<rowcolor=#000> 년도 작품명 감독 제작 스튜디오 러닝 타임 비고
2011년 토와노쿠온 이이다 우마노스케
모리 타케시
B 45~50분(각 회) 총 6부작 개봉
극장판 강철의 연금술사 미로스의 성스러운 별 무라타 카즈야 D 111분
UN-GO episode:0 인과론 미즈시마 세이지 C 48분
2013년 스타 드라이버 THE MOVIE 이가라시 타쿠야 C 150분
2017년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하이에볼루션 1 쿄다 토모키
시미즈 히사토시
(清水久敏)
E 93분
2018년 문호 스트레이독스 DEAD APPLE 이가라시 타쿠야 D 90분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더 무비: 두 명의 영웅 나가사키 켄지 C 96분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하이에볼루션 2: 아네모네 쿄다 토모키 E 94분
2019년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더 무비: 히어로즈 라이징 나가사키 켄지 C 104분
2020년대
<rowcolor=#000> 년도 작품명 감독 제작 스튜디오 러닝 타임 비고
2020년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타무라 코타로 D 99분
2021년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하이에볼루션 3 쿄다 토모키 E 116분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더 무비: 월드 히어로즈 미션 나가사키 켄지 C 104분
2024년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더 무비: You're Next 오카무라 텐사이 C 110분

8.3. 웹 애니메이션

파일:본즈(기업) 로고.svg 파일:본즈(기업) 로고 화이트.svg
<rowcolor=#000> 년도 작품명 감독 제작 스튜디오 방영 화수 비고
2008년 망념의 잠드 미야지 마사유키 B 26회 파일:PlayStation_Network_logo.png
오리지널
2018년 A.I.C.O. -Incarnation- 무라타 카즈야 A 12회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오리지널
2021년 슈퍼크룩스 호리 모토노부 B 13회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오리지널
2024년 타임 패트롤 본 안도 마사히로 A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margin-right: 3px; background: #ffe000; font-size: .8em" 12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margin-right: 3px; background: #ffe000; font-size: .8em" 12회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오리지널

8.4. OVA

년도 제목
2003년 라제폰
2004년 울프스 레인
2006년 강철의 연금술사 프리미엄 컬렉션
2007년 천보이문 아야카시 아야시
2008년 DARKER THAN BLACK -흑의 계약자- 활짝 핀 벚꽃 아래
2009년
2010년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OVA 1~ 4
2010년 DARKER THAN BLACK -GAIDEN-
헤일로 레전즈 中 에피소드 'Prototype'
2012년 유레카 7 AO
2014년 노라가미
2015년 관희 챠이카
2015년
2016년
노라가미 ARAGOTO
2016년 빨강머리 백설공주
혈계전선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2017년 유레카 세븐 AO Final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Training of the dead
문호 스트레이독스 25화
2018년 모브사이코 100
2019년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올마이트 라이징
모브사이코 100 2

8.5. 게임

년도 제목
2003년 라제폰 창공 환상곡
강철의 연금술사 날 수 없는 천사
2004년 강철의 연금술사 2 붉은 엘릭시르의 악마
2005년 강철의 연금술사 3 신을 이어받는 소녀
유레카 세븐 TR1 : NEW WAVE
2006년 유레카 세븐 NEW VISION
2008년 소울이터 모노톤 프린세스
2009년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새벽의 왕자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황혼의 소녀
2012년 해방소녀
레이튼 교수 VS 역전재판
2013년 역전재판 5
2015년 페르소나 4 댄싱 올 나이트[65]
데스티니 차일드

8.6. 콜라보

년도 제목
2018년
Baby I love you[66]
2020년
GOTCHA![67]


[1] 男53/女27. [2] 일러스트 하단 - 카우보이 비밥 아인, 스트레인저 무황인담의 토비마루(개)와 코타로, 강철의 연금술사 검은 질풍, DTB 시리즈의 마오, 기교기전 히오우전기의 히오우와 마치, 울프스 레인의 키바. [3] 일러스트 중단 - 강철의 연금술사 에드워드 엘릭, 기동천사 엔젤릭 레이어 스즈하라 미사키, 스트레인저 무황인담의 이름 없는 무사, 현란무답제 더 마즈 데이브레이크의 그람 리버와 베스티모나 로렌, 수왕성의 토르, 라제폰 카미나 아야토, 스크랩드 프린세스 파시피카 카슬, DTB 시리즈의 헤이, 카우보이 비밥 스파이크 스피겔, 오란고교 사교클럽 후지오카 하루히, 강철의 연금술사 알폰스 엘릭. [4] 일러스트 상단 - 천보이문 아야카시 아야시의 류도 유키아츠, 기동천사 엔젤릭 레이어 히카루, 스컬맨의 스컬맨. 유레카 세븐 렌턴 서스턴 에우레카, 크라우 팬텀 메모리의 크라우와 크리스마스, 기교기전 히오우전기의 바타(앵무새). [5] 왼쪽부터 스트레인저 무황인담의 토비마루, DTB 시리즈의 헤이, 기교기전 히오우전기의 히오우, 강철의 연금술사 에드워드 엘릭, 유레카 세븐 극장판에서 나온 유생체 모습인 니르밧슈, 오란고교 사교클럽 후지오카 하루히, 울프스 레인의 키바, 유레카 세븐 렌턴 서스턴. 일러스트는 이토 요시유키가 그렸다. 여캐가 겨우 한 명 뿐이다. 그나마도 남장여자 [6] 그리고 이 세 작품도 라이트 노벨 특유의 모에코드가 상대적으로 덜하고, 노골적인 모에 연출이 나오지 않는 편. [7] 대표작인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 10주년 기념작인 소울 이터, 절원의 템페스트. [8] 오란고교 사교클럽, 빨강머리 백설공주 [9] 미즈시마 세이지와 콤비가 제작한 작품이 그러하다. [10] 예를 들자면 원 포 올의 구슬 연출, 베스트 지니스트의 개성 연출. [11] 본즈에서 촬영으로 유명한 인물로는 타케이 요시유키가 있다. [12] 이타노 서커스는 본문서에 나와있는 것처럼 제작자체가 고난이도며 이타노가 인정한 작품은 현재까지 손에 꼽는다. [13] 메카만 2D일 뿐이지, 주변 기차나 자동차는 3D처리한다. 대표적으로 DARKER THAN BLACK에서 등장하는 거의 대부분의 차량은 3D였다. 콘크리트 레볼루티오 초인환상 10화에서 에쿠스가 잠깐씩이지만 3D 모습으로 나왔다는 의견도 있다. 다만 이쪽은 2D와 3D의 중간 느낌이 나는 것이 직접 봐도 굉장히 헷갈리는 편. 2007년 스컬맨에서도 아주 잠깐이지만 3D 메카닉이 나온 적이 있다. [14] 다만 선라이즈는 이미 혁명기 발브레이브 코드기어스 망국의 아키토 등에서 3D메카를 제작했다. [15] 2017년작인 혈계전선 BEYOND 5화의 경우에도 3D 모델링 자동차와 2D 액션이 적절하게 잘 섞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16] 본즈의 메카닉 애니메이션에도 자주 참여하는 유명 애니메이터 오오츠카 켄 역시 메카닉 작화는 너무나 고된 작업이라 말한 적이 있다. 다만 타나카 히로노리나 아베 신고는 스타 드라이버 작화 코멘터리에서 '우리는 오히려 메카닉이 편하다'고 말했다. [17] 대표적으로 구강철에서 손꼽히는 명장면 중 하나인 에드vs그리드 전투씬. 그렇게 긴 싸움은 아니지만 굉장히 임팩트있고 묵직한 액션을 보여준다. [18] 구 강철의 연금술사, 기동천사 엔젤릭 레이어 등. [19] 오란고교 사교클럽, 소울 이터, 노라가미 1기, 혈계전선 등. [20] 다만 소울 이터는 원작과 방향성이 다른 결말로 욕을 먹었으나 원작을 안 본 사람들, 특히 서양에선 매우 고평가를 받는다. [21] 완결이 나지 않은 상황에서 완성도 높은 오리지널 전개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원작 기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중 평가와 흥행을 모두 잡은 드문 케이스 중 하나로 꼽힌다. [22] 26화에서 진리의 문에 끌려갈 때의 에드, 63화에서의 호엔하임의 죽음 등. [23] 본즈 20주년 행사 파트2의 보이스 가이드를 맡았다. [24] 본즈와는 전신인 선라이즈 2스튜디오 시절 천공의 에스카플로네부터 인연을 맺어온 음향감독. 오란고교 호스트부, 소울 이터, 문호 스트레이독스처럼 상대적으로 여성향 작품을 많이 감독한다. [25] 토에이는 대원방송, OLM은 투니버스, A-1은 애니플러스. [26] 미로스는 애니플러스 방영. [27] 비밥 극장판 개봉 당시만 해도 선라이즈 홈페이지에서 본즈를 선라이즈의 유전자를 이어받은 회사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미나미 마사히코 타카하시 료스케의 대담을 공개하기도 했다. [28] 나카무라는 본즈 전속으로 잘못 알려져 있으나 프리랜서이다. 그저 본즈 일을 많이할 뿐이다. [29] 미국,캐나다 방영기준. 일본에서는 2014년에 방영 했다. 이 작품은 아동용 애니라서 영상 매체 판매량보다 완구 판매량이 더 중요한 편. [30] 애니메이션이 인기가 없었다기보단 당시 경쟁작이 너무 쟁쟁해서 상대적으로 묻힌 경우가 많다. [31]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문호 스트레이독스, 모브사이코 100, 빨강머리 백설공주, 콘크리트 레볼루티오 초인환상이다. 그리고 곳곳에 껴있는 하얀 원숭이는 혈계전선의 소닉이다. [32] BD,DVD 1권 판매량 약 8000여장 [33] 1쿨은 원작이 그래서 어쩔 수 없는 실존 문호를 소재로 한 설정에서 호불호가 있었으나, 2쿨에 들어서부터 시작한 암흑시대 편은 암울한 느와르적 내용과 뛰어난 연출이 맞물려 더 좋은 평가를 받고있다. [34] BD/DVD 1권 판매량 약 7천장. [35] 빨강머리 백설공주도 선방한 편인데 원래 순정만화 원작 애니는 광매체가 잘 안팔린다. 그리고 심야 방영인데도 22화에서 시청률 3.5%를 찍기도 했다. 트위터 [36] 프랑스의 영화/다큐멘터리 제작사 [37] 스튜디오 피에로 대표이사 [38] 본즈 책임 프로듀서 [39] 메탈릭 루쥬 등 각본가, 울트라맨 데커 시리즈 수석 시나리오 작가 [40] 본즈 프로듀서 [41] BS 닛폰 전담 관리자 [42] 후지 테레비 이사보 [43] AT-X 대표이사 사장, TV 도쿄 전무이사 [44] 스와베 준이치가 내레이터로 참여하였다. [45] 선라이즈 시절부터 비밥 등 본즈의 주요 작품에서 활약해온 연출가. 본즈 독립 이후로도 여러 작품에 참여하고 있다. [46] 오란고교 사교클럽, STAR DRIVER 빛의 타쿠토, 캡틴 어스 등의 작품에서 호흡을 맞춰온 콤비. 스타 드라이버는 그래도 제법 호평이었고 판매량도 좋은 편이었지만 캡틴 어스는 엄청난 혹평을 들었다. 2016년에는 문호 스트레이독스를 제작한다. [47] 아이카와는 기교기전 히오우전기로, 미즈시마 감독은 강철의 연금술사 오리지널로 본즈 작품에 처음 참여했다. 좌파 성향이 강한 둘인지라 작품에 반전, 반체제 메시지를 자주 넣는 편. 2010년대 이후에도 UN-GO 콘크리트 레볼루티오 초인환상을 함께 제작한다. [48] 그를 유명하게 한 카우보이 비밥이 독립 이전의 본즈(선라이즈 제2스튜디오) 였다. 당연히 극장판 천국의 문을 이곳에서 제작하였고, 그 스탭들과 함께 한 스페이스 댄디를 2014년에 제작하였으며, 2019년에는 캐롤과 튜즈데이를 만들었다. [49] 개성적인 본즈 액션의 대명사와도 같은 인물로 액션 애니메이션에 있어서는 손에 꼽는 업계인이다. 오죽하면 애니메이터 이토 히데츠구는 '본즈에서 액션을 그리면 나카무라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라고 할 정도로 특유의 작풍은 회사 내외로 여러 영향을 끼쳤다. [50] 선라이즈 시절부터 동화를 담당하다가 본즈에서 동화 체커를 맡고 있다. 카와모토에게 전폭적인 신뢰를 받고 있다고 한다. 본즈의 주요 작품 엔딩롤을 보면 동화검사 담당으로 그의 이름이 자주 나온다. [51] 2014년 스페이스 댄디부터 본즈 작품에 참여하기 시작한 오스트리아인 애니메이터. 정말로 살아 움직이는 듯한 연출과 카메라 워크가 인상적이다. [52] 카와모토에게 실력을 인정받은 애니메이터. 스트레인저 무황인담의 캐릭터 디자인을 맡았다. 강철의 연금술사 당시엔 이토가 많이 바쁠 때 CD자켓 작업을 도와주곤 했다. [53] 강철 구작을 필두로 이토 요시유키와 함께 활동할 때가 많은 애니메이터. 블랙캣, 테큐 등으로 유명한 이타카기 신 감독과 친하다고 한다. [54] 애니메이터. 본즈 작품 중에서도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를 좋아하는 것으로 보인다. 트위터 프로필 사진은 미네타 미노루. [55] 대표작은 문호 스트레이독스, 관희 챠이카의 캐릭터 디자인. [56] 孝司라는 이름은 코우지라고도 읽을 수 있고 타카시라고 읽을 수도 있지만 정확한 영어 표기가 불명이다. [57] 아버지는 비우주세기 건담 시리즈에서 작화감독으로 활약했던 아베 쿠니히로(阿部邦博)이며 어머니 역시 여러 작품에 원화로 참여해온 베테랑 아베 미사오(阿部美佐緒), 가족 모두가 애니메이터이다. 눈에 띄게 허약해진 쿠니히로가 2018년 8월 15일 겨우 50세라는 나이로 세상을 떠나면서 아버지를 잃었다. [58] 剛'라는 이름은 보통 츠요시라고 읽을 때가 더 많아서 칸바야시 츠요시라도 알려지기도 했지만 본 항목에선 캡틴 어스 마지막화 오프닝에 나온 영어 표기를 따랐다. [59] 하청 회사에서 부탁받은 한 화를 통째로 제작해주는 방식. [60] D스튜디오 제작 라인으로 이동하였다가 E로 다시 이동. [61] 강철의 연금술사, 스타 드라이버, DARKER THAN BLACK, 혈계전선,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등. [62] 퇴사하여 2013년 부로 Lay-duce로 독립. [63] Lerche의 모회사. [64] 성우들이 마지막화 녹음 관련 이야기를 전혀 듣지 못했다, 콘티 작업조차 시작하지 않았다, 내년에나 방송될 예정이다 등등. [65] 스즈키 노리미츠가 혼자 만들었다. [66] 범프 오브 치킨이 음악을 담당한 일본 롯데 창업 70주년 기념 영상. [67] 포켓몬스터 소드 실드 익스팬션 패스 2탄의 발매를 기념해 범프 오브 치킨과 콜라보하여 만든 뮤직 비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