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500, #ffcc20 20%, #ffcc20 80%, #f0b500); color: #1e1e1d;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토 1세 | 오토 2세 | 오토 3세 | 하인리히 2세 | 콘라트 2세 |
하인리히 3세 |
하인리히 4세 루돌프 헤르만 |
콘라트 | 하인리히 5세 | 로타르 3세 | |
콘라트 3세 하인리히 |
프리드리히 1세 | 하인리히 6세 | 프리드리히 2세 |
필리프 오토 4세 |
|
프리드리히 2세 | 하인리히 |
콘라트 4세 하인리히 빌헬름 |
리하르트 알폰스 |
루돌프 1세 | |
아돌프 | 알브레히트 1세 | 하인리히 7세 |
루트비히 4세 프리드리히 |
카를 4세 귄터 |
|
벤첼 | 루프레히트 |
지기스문트 요프스트 |
알브레히트 2세 | 프리드리히 3세 | |
막시밀리안 1세 | 카를 5세 | 페르디난트 1세 | 막시밀리안 2세 | 루돌프 2세 | |
마티아스 | 페르디난트 2세 | 페르디난트 3세 | 페르디난트 4세 | 레오폴트 1세 | |
요제프 1세 | 카를 6세 | 카를 7세 | 프란츠 1세 | 요제프 2세 | |
레오폴트 2세 | 프란츠 2세 |
}}}}}} ||
바츨라프 4세 관련 틀 | ||||||||||||||||||||||||||||||||||||||||||||||||||||||||||||||||||||||||||||||||||||||||||||||||||||||||||||||||||||||||||||||||||||||||||||||||||||||||||||||||||||||||||||||||||||||||||||||||||||||||||
|
보헤미아 왕국 룩셈부르크 왕조 제3대 국왕 | ||||
로마왕
바츨라프 4세 Václav IV |
||||
|
||||
<colbgcolor=#ffcc20><colcolor=black> 제호 | <colbgcolor=#fff> 체코어 |
<colbgcolor=#fff>바츨라프 4세 (Václav IV) |
||
독일어 |
벤첼 (Wenzel) |
|||
출생 | 1361년 2월 26일 | |||
신성 로마 제국 독일 왕국 뉘른베르크 | ||||
사망 | 1419년 8월 16일 (향년 58세) | |||
보헤미아 왕국 프라하 쿤라티체 | ||||
재위기간 | 보헤미아 왕국의 왕 | |||
1378년 11월 29일 ~ 1419년 8월 16일 | ||||
독일왕 | ||||
1376년 6월 10일 ~ 1400년 8월 20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cc20><colcolor=#000> 배우자 | 바이에른의 요하나 (1370년 결혼 / 1386년 사망) | ||
바이에른의 조피 (1389년 결혼) | ||||
아버지 | 카를 4세 | |||
어머니 | 슈바이트니츠의 아나 | |||
형제 | 엘리자베트 | }}}}}}}}} |
[clearfix]
1. 개요
체코어: Václav IV (바츨라프 4세)독일어: Wenzel (벤첼)
라틴어: Venceslaus IV (벤체슬라우스 4세)
독일과 보헤미아의 왕, 룩셈부르크 공작. 대놓고 태만왕( Líný král, der Faule)이라는 별명이 붙었을 만큼 무능한 인물로 끊임없는 반란에 시달리다가 종국에는 이복 동생 지기스문트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파멸했다.
2. 생애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보헤미아 국왕인 카를 4세와 세번째 부인 슈바이트니츠의 아나의 아들로 제국 도시 뉘른베르크에서 태어났으며 성 제발트 성당에서 세례를 받았다. 프라하 대주교 파르두비체의 아르노스트와 얀 아코에게 교육을 받았다. 아버지 카를 4세는 1363년 그가 불과 2살 때에 보헤미아 왕위를 물려주었고[1] 1373년에 선제후령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령을 하사했다. 1376년 황제선거에서 카를 4세가 아들의 독일왕 선출을 확고히 했을 때 7표 중에서 2표를 카를 4세와 벤첼이 가지고 있었다.계승을 안정시킨 카를 4세는 제국 도시들에 주었던 특전을 취소하고 다른 귀족들에게 특전을 주었다. 그러나 도시들은 약하지 않았으며 강한 군대를 길렀다. 더욱이 카를 4세는 큰 규모로 협조하고 시도할 수 있는 연맹이 가능하도록 도시들을 조직했다. 1376년 7월, 벤칠이 독일왕으로 선출된 2일 뒤에 14개의 슈바벤 도시들이 새롭게 선출된 왕에 대항해 자신들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 슈바벤 동맹을 결성하고 뷔르템베르크의 백작 에버하르트 2세를 공격했다. 도시 동맹은 1389년 제국 내의 자주적인 주들로 활동할 수 있게 될 때까지 새로운 구성원을 모집했다.
2.1. 제위 등극
1378년 아버지가 사망한 이후, 벤첼은 보헤미아 왕위를 확실히 승계했으며 몬차의 대성당에서 롬바르디아 철관과 함께 이탈리아의 왕위를 이어받았다.1387년 바이에른의 프리드리히 공작과 잘츠부르크 대주교와 동맹을 맺은 슈바벤 동맹 간에 반목이 일어났다. 격리되어 약해졌고 상호간의 질시와 내부 분열을 거듭한 도시들은 1368년 8월 그라페나우 근처에서 에버하르트 2세에게 패배했다. 그들은 각자 흩어졌고 충격에 빠졌다. 벤첼이 1389년 에거에서 자치권을 가진 도시들 간의 동맹을 금지한다고 선언할 때 그들 대부분은 조용히 묵인했다. 이 평화령은 수 십년간 약간의 안정을 가져왔으나 도시들은 제국이 가지는 권위의 기반을 거부했다.
2.2. 계속되는 대립
긴 치세를 보냈지만 벤첼의 통치 능력은 형편없었다. 그래서 보헤미아의 로쥼베르크 가문이 이끄는 보헤미아 귀족들과 다시 대립했다. 이 두 번의 상황에서 그는 반란을 일으킨 귀족들에 의해 감금당하면서 무능함을 인증했다. 벤첼의 가장 큰 문제점은 룩셈부르크 왕조 내부에서 드러났다. 카를 4세는 죽기 전 재산을 아들들과 친척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이복 동생인 지기스문트는 브란덴부르크를 상속받고 삼촌 벤첼 1세가 룩셈부르크 백작이 되었으며 모라바는 사촌들이 나누어 가지면서 벤첼의 권한은 심각하게 약화되었다. 1386년 지기스문트가 헝가리- 크로아티아 왕이 되어 동유럽 정세에 관여하기 시작했다.또 그는 프라하 대주교와 보헤미아 귀족들의 심각한 반대에 직면했다. 베네딕토회 수도원장( 아빠스) 임명식을 둘러싼 대립에서 왕실 관료들에 의해 대주교의 총대리인 요한 네포무크가 고문당하고 살해당하자 1393년에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1394년에는 그의 사촌인 모라바의 요프스트가 섭정을 자칭했다. 헝가리-크로아티아 국왕이 된 지기스문트는 1396년 휴전을 주선했으며, 이로써 그는 벤첼의 후계자로 인정받았다.
서방교회 대분열에서 벤첼은 로마 교황 우르바노 6세를 지원하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보헤미아 국왕으로서 종교 개혁가 얀 후스를 보호하려고 했다. 당시 얀 후스의 추종자들은 그들을 이단으로 보고 진압하는 가톨릭에 저항하고 있었다. 이때문에 많은 독일인이 프라하 대학교를 떠났고 마이센 변경백 프리드리히 4세의 후원으로 라이프치히 대학교를 새로 세웠다. 후스는 1415년 콘스탄츠 공의회에 의해 콘스탄츠에서 처형당했고 이로 인하여 후스 전쟁이 일어났다.
벤첼은 이단 배제를 갈망하는 지기스문트와 새 교황 마르티노 5세의 압력을 받고 우왕좌왕하다가 1419년 2월 지기스문트에게 양보해 프라하의 교회를 가톨릭으로 반환하고 후스파 교회를 3개만 남겨두기로 결정했다. 이것이 발단이 되어, 7월 30일에 격분한 후스파가 일으킨 제1차 프라하 창밖 투척 사건을 계기로, 보헤미아는 후스 전쟁이 일어났다. 벤첼은 사건 소식을 듣고 충격으로 뇌졸중을 일으켜 8월 16일 5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370년 니더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 1세[2]의 딸 요하나(1362년경 ~ 1386년)와 결혼했고, 사별한 뒤 1389년 요하나의 사촌 바이에른뮌헨 공작 요한 2세(알브레히트 1세의 조카)의 딸 조피(1376년)와 재혼했다. 어느 결혼에서도 자식을 얻지 못해 사후 지기스문트가 상속인이 되었지만 보헤미아에는 후스 전쟁으로 오랫동안 들어가지 못해 그가 명실상부한 보헤미아 국왕이 된 것은 1436년에 후스 전쟁이 완전히 끝나고 나서였다.
[1]
대관식은 1363년에 열렸지만 실질적으로 보헤미아 왕권을 행사한 것은 1378년부터였다.
[2]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4세의 다섯째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