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에 대한 내용은 박석진(소방공무원)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
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군 | ||
'''70
박진만 [[틀:삼성 라이온즈 감독| ★ ]] · 73
정대현 · 75
손주인 · 77
배영섭· 84 강영식 · 85 이진영 · 87 박희수 · 97 강명구 · 98 채상병 · # 이종욱''' |
|||
2군 | |||
74
박한이 · 90
박찬도 · 92
정병곤 · #
이흥련 · # 박석진 · # 최일언 [[틀: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 ★ ]]
|
|||
(3군) 육성군 / 재활군 | |||
71 조동찬 · 79 정민태 · 82 김정혁 · # 김동호 · # 김응민 | |||
컨디셔닝 파트 | |||
83 윤석훈 · 96 허준환 · 08 김용해 · 09 염상철 · # 장근령 · # 최문석 · # 박성재 · # 김수영 · # 박창현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1군 엔트리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박석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박석진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05 |
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종목 동메달 |
200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박철순 OB 베어스 / 1.82 |
하기룡 MBC 청룡 / 2.33 |
장호연 OB 베어스 / 1.58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70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99 |
|
<rowcolor=#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89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21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17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13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55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염종석 롯데 자이언츠 / 2.33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0.78 |
정민철 빙그레 이글스 / 2.15 |
조계현 해태 타이거즈 / 1.71 |
구대성 한화 이글스 / 1.88 |
|
<rowcolor=#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김현욱 쌍방울 레이더스 / 1.88 |
정명원 태평양 돌핀스 / 1.86 |
임창용 삼성 라이온즈 / 2.14 |
구대성 한화 이글스 / 2.77 |
박석진 롯데 자이언츠 / 2.98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엘비라 삼성 라이온즈 / 2.50 |
바워스 현대 유니콘스 / 3.01 |
박명환 두산 베어스 / 2.50 |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 2.46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2.23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리오스 두산 베어스 / 2.07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2.33 |
김광현 SK 와이번스 / 2.80 |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82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2.45 |
|
<rowcolor=#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나이트 넥센 히어로즈 / 2.20 |
찰리 NC 다이노스 / 2.48 |
밴덴헐크 삼성 라이온즈 / 3.18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2.44 |
니퍼트 두산 베어스 / 2.95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피어밴드 kt wiz / 3.04 |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2.88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2.29 |
요키시 키움 히어로즈 / 2.14 |
미란다 두산 베어스 / 2.33 |
|
<rowcolor=#fff> 2022 | 2023 | 2024 | |||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 2.11 |
페디 NC 다이노스 / 2.00 |
네일 KIA 타이거즈 / 2.53 |
2000 프로야구 올해의 상 올해의 성취상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9번 | ||||
결번 | → |
박석진 (1995~1997. 6. 26.) |
→ |
최부락 (1998)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9번 | ||||
김종훈 (1994~1997. 6. 26.) |
→ |
<colbgcolor=#000> 박석진 (1997. 6. 27.~2004. 7. 12.) |
→ |
노장진 (2004. 7. 13.~2004)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8번 | ||||
노장진 (2000~2004. 7. 12.) |
→ |
박석진 (2004. 7. 13.~2004) |
→ |
김진웅 (2005)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9번 | ||||
김덕윤 (2003~2004) |
→ |
박석진 (2005~2006) |
→ |
강현성 (2007)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9번 | ||||
이왕기 (2005~2006) |
→ |
박석진 (2007~2007. 7. 28.) |
→ |
최길성 (2007. 7. 29.~2007) |
LG 트윈스 등번호 20번 | ||||
여승현 (2007~2007. 6. 20.) |
→ |
박석진 (2007. 7. 29.~2007) |
→ |
김광수 (2008) |
LG 트윈스 등번호 39번 | ||||
추승우 (2006~2007) |
→ |
박석진 (2008~2008. 5. 31.) |
→ |
김용의 (2008. 6. 3.~2008) |
LG 트윈스 등번호 89번 | ||||
박정훈 (2009~2011) |
→ |
박석진 (2012~2018) |
→ |
유동훈 (2019~2021) |
NC 다이노스 등번호 89번 | ||||
김영중 (2017~2018) |
→ |
박석진 (2019~2024) |
→ | 결번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번 | ||||
→ |
박석진 (2025~) |
→ | 현역 |
A대표팀 참가 경력 | |||||||||||||||||||
|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삼성 라이온즈 No. | |
박석진 朴石鎭 | Park Seok-Jin |
|
출생 | 1972년 7월 19일 ([age(1972-07-19)]세) |
부산직할시
동래구 (現 부산광역시 수영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부산수영초 - 대천중 - 경남고 - 단국대 |
신체 | 179cm, 80kg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사우타 |
프로 입단 | 1995년 신고선수 ( 삼성)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1995~1997) 롯데 자이언츠 (1997~2004) 삼성 라이온즈 (2004~2006) 롯데 자이언츠 (2007) LG 트윈스 (2007~2008) |
지도자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군 투수코치 (2010~2011) LG 트윈스 2군 투수코치 (2012~2013) LG 트윈스 1군 불펜코치 (2014~2015)[1] LG 트윈스 2군 투수코치 (2015~2018)[2] NC 다이노스 2군 투수코치 (2019~2021) NC 다이노스 1군 불펜코치 (2022~2024) 삼성 라이온즈 2군 투수코치 (2025~) |
프런트 | 삼성 라이온즈 스카우트 (2011)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적의 야구 코치.삼성 라이온즈, 롯데 자이언츠, LG 트윈스 소속의 사이드암 투수였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박석진/선수 경력 | |||||||
1995년 | 1996년 | 1997년 삼성 | |||||
1997~2000년 | 2001년 | 2002년 | |||||
2003년 | 2004년 롯데 | 2004년 삼성 | 2005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006년 | 롯데 2기 | LG 시절 | }}} | |||
2000년 |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에는 삼성 라이온즈에서 함께했던 투수 임창용의 도움을 받아 2008년 말부터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았고, 연수를 마친 후 2009년 말 야쿠르트의 2군 투수코치로 부임해 활동했다.야쿠르트에서 활동한 후 귀국하여 2011년 8월 10일 친정 팀 삼성 라이온즈의 스카우트를 맡았다. #
3.1. LG 트윈스
|
LG 트윈스 투수코치 시절[3] |
2011 시즌 후 현역 마지막 팀인 LG 트윈스의 2군 투수코치를 맡게 됐으며, 2013 시즌 후 기존 1군 불펜코치를 맡던 강상수가 차명석의 자리를 승계함에 따라 LG의 1군 불펜코치로 보직 이동했다. 2012년 차명석 투수코치가 당시 2군 투수코치였던 박석진을 두고 "선수들을 잘 만들어서 구리(2군)에서 1군으로 올려 주고 있다" 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평이 나쁘지는 않은 듯.
하지만 2015 시즌 LG가 부진하면서 노찬엽, 최태원과 같이 2군으로 내려가게 되었다. 반대급부로 2군에서 경헌호가 올라왔다.
그리고 2016, 2017, 2018 시즌 꾸준하게 부진하면서[4] 2018년 10월 19일 새 단장으로 차명석 해설이 임명됨과 동시에 재계약에 실패했다.
3.2. NC 다이노스
이후 2018년 10월 14일 NC 다이노스의 코치로 영입되었다. # 보직은 2군 투수코치를 맡는 것이 확정되었다. #2022년에는 1군 불펜코치로 올라왔다. 불펜코치로서는 그냥 무난하다는 평.
2024년 시즌 종료 후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고 팀을 떠났다.
3.3. 삼성 라이온즈
2025년 1월 21일, 친정 팀 삼성 라이온즈의 2군 투수코치로 합류했다. 이로서 지난 2011년 잠시 스카우트로 일했을 때 이후 약 14년 만에 삼성으로 돌아왔고,[5] 자신이 데뷔한 친정 팀에서 처음으로 코치 생활을 시작하게 됐다.4. 연도별 성적
- 붉은 글씨는 리그 1위 기록. 진한 표시는 리그 5위 내 기록.
역대 성적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1995 | 삼성 | 27 | 72⅔ | 4 | 6 | 0 | - | 0.400 | 4.71 | 85 | 3 | 26 | 30 | 44 | 38 | 1.42 |
1996 | 23 | 57⅔ | 2 | 2 | 2 | - | 0.500 | 4.68 | 71 | 6 | 26 | 26 | 37 | 30 | 1.51 | |
<rowcolor=#000>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1997 |
삼성 / 롯데 |
15 | 42⅓ | 1 | 4 | 0 | - | 0.200 | 7.02 | 64 | 3 | 14 | 24 | 40 | 33 | 1.75 |
1998 | 롯데 | 18 | 30⅔ | 0 | 1 | 0 | - | 0.000 | 6.46 | 41 | 8 | 15 | 18 | 24 | 22 | 1.66 |
1999 | 33 | 148⅓ | 11 | 3 | 2 | - |
0.786 (2위) |
3.58 | 123 | 14 | 58 | 101 | 65 | 59 |
1.13 (3위) |
|
2000 | 40 | 94⅓ | 7 | 6 | 8 | 6 | 0.538 | 2.48 | 79 | 5 | 34 | 65 | 26 | 26 | 1.10 | |
2001 | 47 | 133 | 4 | 10 |
14 (5위) |
1 | 0.286 |
2.98 (1위) |
127 | 6 | 53 | 81 | 50 | 44 | 1.21 | |
2002 | 1군 기록 없음 | |||||||||||||||
2003 | 5 | 2⅔ | 0 | 0 | 0 | 0 | - | 3.38 | 7 | 0 | 0 | 2 | 1 | 1 | 2.63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2004 | 롯데 / 삼성 | 48 | 62⅔ | 4 | 4 | 1 | 6 | 0.500 | 2.30 | 47 | 4 | 16 | 33 | 21 | 16 | 0.88 |
2005 | 삼성 |
70 (4위) |
62⅓ | 8 | 0 | 1 |
15 (2위) |
1.000 | 3.47 | 59 | 4 | 16 | 24 | 29 | 24 | 1.06 |
2006 | 26 | 22⅓ | 3 | 1 | 0 | 2 | 0.750 | 4.84 | 37 | 2 | 7 | 11 | 13 | 12 | 1.84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2007 | 롯데 / LG | 27 | 31 | 1 | 1 | 0 | 0 | 0.500 | 4.35 | 32 | 1 | 12 | 7 | 19 | 15 | 1.23 |
2008 | LG | 2 | 1 | 0 | 0 | 0 | 0 | - | 36.00 | 8 | 0 | 0 | 0 | 4 | 4 | 8.00 |
<rowcolor=#373a3c>
KBO 통산 (13시즌) |
381 | 761 | 45 | 38 | 28 | 30 | 0.542 | 3.83 | 780 | 56 | 277 | 422 | 373 | 324 | 1.26 |
완투, 완봉기록 | ||
연도 | 완투 | 완봉 |
1999년 | 2완투 | 1완봉 |
KBO 리그 통산 | 2완투 | 1완봉 |
5. 여담
- 프로 입단 초기에는 노안의 이미지였다. 50이 넘은 지금의 얼굴과 비교해 봐도 별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 세월이 지난 현재까지 미중년의 외모로 꾸준히 유지해 온 편이다.
- 말년에 LG 트윈스에서 잠깐 몸담은 걸 제외하면 삼성 라이온즈와 롯데 자이언츠를 두 번이나 오가며 선수 생활을 했다는 특이한 이력이 있다. 두 팀 모두 KBO 원년부터 팀명을 바꾸지 않은 팀이고 모두 경상도를 연고지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롯데와 삼성 두 팀에서 전천후 투수로 활약했으며 삼성에서는 우승 반지까지 하나 챙기는 데 성공했다. 이후 2019년부터 2024년까지 NC 다이노스에서 투수코치로 재직하면서 박석진은 영남권 3개 팀 유니폼을 모두 입어보게 되었다. 정작 본인이 선수 생활을 한 삼성이나 롯데에서는 한 번도 코치로 일해본 적 없었다가, 2025년부터 삼성의 2군 투수코치로 합류하며 이것도 옛말이 됐다.
- 흔히 비밀병기라고 불리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옆구리 투수 계보의 원조다. 한창 전성기던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대표팀에 차출되어 대표팀의 전천후 투수로 맹활약하면서 동메달 획득에 일조했기 때문. 이후 이 계보는 임창용- 정대현- 김병현- 고영표 등으로 이어진다.
- 삼성 라이온즈에서 몸담았을 적에 하필이면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과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을 잇는 낙동강의 교량 중 박석진교[6]가 존재한 탓인지, 박석진교의 유래가 본인의 이름으로 명명할줄 알고 삼성 팬들에 적지 않아 웃지 못할 오해가 있었다고. 하지만 박석진교는 본인과 전혀 무관하다.
- 아들 박민준도 야구선수로 2020년에 서울고등학교에 입학했다. 포지션은 투수. 아쉽게도 졸업반인 2022년에 진행된 2023년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지명을 받지 못했고 동원과학기술대로 진학하면서 미래를 기약하게 됐다. 대학 졸업반이 되는 2025년도 신인 드래프트에 나올 것으로 보였으나 2024년도 선수 명단에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아 군 입대로 추정된다.
6. 관련 문서
[1]
~6월 14일
[2]
6월 15일~
[3]
2014년 10월 20일 NC와의
준플레이오프 때 뜻하지 않게 기상악화로 인하여 경기가 취소되었다는 것을 심판진들로부터 전달받고 선수들에게 제스처를 보내고 있다.
[4]
특히, 2018 시즌
고우석의 폭망에 기여했다는 얘기가 있다. 다만 고우석의 부진은 혹사로 인한 구속 하락 탓이 크기는 하다.
[5]
선수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2006년 말 방출된 후 19년 만에 삼성 유니폼을 다시 입은 셈이다.
[6]
교량 완공 자체는 박석진이 입단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995년 중후반경.
고령군에서 달성산단이나
현풍읍으로 넘어갈 때 요긴하게 쓰이는 다리이긴 하지만, 주변에 고속도로 나들목이 없어 존재감이 적다. 낙동강 자전거길이 연결되어 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