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23:39:31

리오넬 조스팽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e43, #002654 20%, #002654 80%, #001e43);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르봉 왕정복고|
왕정복고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아르망 에마뉘엘 드 비네로 뒤 플레시스 장 조제프 데솔 엘리 디카즈
(제2대) 제5대 제6대 제7대
아르망 에마뉘엘 드 비네로 뒤 플레시스 조제프 드 빌리에 장 바티스트 게이 쥘 드 폴리냐크
제8대
카지미르 드 로슈슈아르
[[7월 왕정|
7월 왕정
]]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자크 라피트 카지미르 페리에 장드디외 술트 에티엔 모리스 제라르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위그베르나르 마레 에두아르 모르티에 빅토르 드 브로이 아돌프 티에르
제17대 (제11대) (제16대) (제11대)
마티외 몰레 장드디외 술트 아돌프 티에르 장드디외 술트
제18대 (제17대)
프랑수아 기조 마티외 몰레
[[프랑스 제2공화국|
제2공화국
]]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자크 샤를 뒤퐁 드 뢰르 프랑수아 아라고 루이외젠 카베냐크 오딜롱 바로
제23대 제24대
알퐁스 앙리 도풀 레옹 포셰
[[프랑스 제2제국|
제2제국
]]
제25대 제26대
에밀 올리비에 샤를 쿠쟁몽토방
[[프랑스 제3공화국|
제3공화국
]]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루이 쥘 트로쉬 쥘 아르망 뒤포르 알베르 드브뢰이 에르네스트 쿠르토 드시세
제31대 (제28대) 제32대 (제29대)
루이 뷔페 쥘 아르망 뒤포르 쥘 시몽 알베르 드브뢰이
제33대 (제28대) 제34대 제35대
가에탕 드 로슈부에 쥘 아르망 뒤포르 기욤 워딩턴 샤를 드프레이시네
제36대 제37대 (제35대) 제38대
쥘 페리 레옹 강베타 샤를 드프레이시네 샤를 뒤클레르
제39대 (제36대) 제40대 (제35대)
아르망 팔리에르 쥘 페리 앙리 브리송 샤를 드프레이시네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르네 고블레 모리스 르비에 피에르 티라르 샤를 플로케
(제43대) (제35대) 제45대 제46대
피에르 티라르 샤를 드프레이시네 에밀 루베 알렉상드르 리보
제47대 제48대 (제47대) (제46대)
샤를 뒤피 장 카지미르페리에 샤를 뒤피 알렉상드르 리보
제49대 제50대 (제40대) (제47대)
레옹 부르주아 쥘 멜린 앙리 브리송 샤를 뒤피
제51대 제52대 (제42대) 제53대
피에르 발데크루소 에밀 콩브 모리스 루비에 페르디낭 사리앵
제54대 제55대 제56대 제57대
조르주 클레망소 아리스티드 브리앙 에르네스트 모니 조제프 카요
제58대 (제55대) 제59대 제60대
레몽 푸앵카레 아리스티드 브리앙 루이 바르투 가스통 두메르그
(제46대) 제61대 (제55대) (제46대)
알렉상드르 리보 르네 비비아니 아리스티드 브리앙 알렉상드르 리보
제62대 (제54대) 제63대 제64대
폴 팽르베 조르주 클레망소 알렉상드르 밀랑 조르주 레이그
(제55대) (제58대) 제65대 제66대
아리스티드 브리앙 레몽 푸앵카레 프레데리크 프랑수아마르시알 에두아르 에리오
(제62대) (제55대) (제66대) (제58대)
폴 팽르베 아리스티드 브리앙 에두아르 에리오 레몽 푸앵카레
(제55대) 제67대 제68대 (제67대)
아리스티드 브리앙 앙드레 타르디외 카미유 쇼탕 앙드레 타르디외
제69대 제70대 (제67대) (제66대)
테오도르 스테그 피에르 라발 앙드레 타르디외 에두아르 에리오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68대)
조제프 폴봉쿠르 에두아르 달라디에 알베르 사로 카미유 쇼탕
(제72대) (제60대) 제74대 제75대
에두아르 달라디에 가스통 두메르그 피에르에티엔 플랑댕 페르낭 부아송
(제70대) (제73대) 제76대 (제68대)
피에르 라발 알베르 사로 레옹 블룸 카미유 쇼탕
(제76대) (제72대) 제77대 제78대
레옹 블룸 에두아르 달라디에 폴 레노 필리프 페탱
[[비시 프랑스|
비시 정권
]]
(제70대) (제74대) 제79대 (제70대)
피에르 라발 피에르에티엔 플랑댕 프랑수아 다를랑 피에르 라발
[[프랑스 임시정부|
임시정부
]]
제80대 제81대 제82대 (제76대)
샤를 드골 펠릭스 구앵 조르주 비도 레옹 블룸
[[프랑스 제4공화국|
제4공화국
]]
제83대 제84대 제85대 (제84대)
폴 라마디에 로베르 슈만 앙드레 마리 로베르 슈만
제86대 (제82대) (제86대) 제87대
앙리 쾨유 조르주 비도 앙리 쾨유 르네 플르뱅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앙리 쾨유 르네 플르뱅 에드가르 포르 앙투안 피네
제90대 제91대 제92대 (제88대)
르네 마예르 조제프 라니엘 피에르 망데스 프랑스 에드가르 포르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기 몰레 모리스 부르제스모누리 펠릭스 가야르 피에르 플림랭
(제80대)
샤를 드골
[[프랑스 제5공화국|
제5공화국
]]
제97대 제98대 제99대 제100대
미셸 드브레 조르주 퐁피두 모리스 쿠브 드뮈르빌 자크 샤방델마스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제104대
피에르 메스메르 자크 시라크 레몽 바르 피에르 모루아
제105대 (제102대) 제106대 제107대
로랑 파비위스 자크 시라크 미셸 로카르 에디트 크레송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피에르 베레고부아 에두아르 발라뒤르 알랭 쥐페 리오넬 조스팽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장피에르 라파랭 도미니크 드빌팽 프랑수아 피용 장마르크 에로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제119대
마뉘엘 발스 베르나르 카즈뇌브 에두아르 필리프 장 카스텍스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엘리자베트 보른 가브리엘 아탈 미셸 바르니에
}}}}}}}}}


파일:사회당 반전.png 사회당 제1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알랭 사바리
제2대
프랑수아 미테랑
제3대
리오넬 조스팽
제4대
피에르 모루아
제5대
로랑 파비위스
제6대
미셸 로카르
제7대
앙리 에마뉘엘리
제8대
리오넬 조스팽
제9대
프랑수아 올랑드
제10대
마르틴 오브리
제11대
아를렘 데세르
제12대
장 크리스토프 캄바델리
제13대
올리비에 포르
}}}}}}}}}}}}

<colcolor=#000092,#fff> 프랑스 제111대 총리
리오넬 조스팽
Lionel Jospin
파일:리오넬 조스팽.jpg
출생 1937년 7월 24일 ([age(1937-07-24)]세)
프랑스 일드프랑스 오드센주 뫼동
학력 장송 드 사이[1] 고등학교 ( 졸업)
파리 정치대학 국립행정학교 ( 졸업)
정당

직업 정치인
재임기간 제111대 총리
1997년 6월 3일 ~ 2002년 5월 6일
신장 181cm
배우자 엘리자베스 데넨뮐러[이혼]
실비안 아가생스키
약력 사회당 제1서기 (1981 ~ 1988, 1995 ~ 1997)
교육부 장관 (1998 ~ 1992)
프랑스 총리 (1997 ~ 2002)
프랑스 헌법위원회 위원 (2015 ~ 2019)
서명
파일:리오넬 조스팽 서명.svg

1. 개요2. 생애3. 가족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프랑스의 정치인. 소속은 사회당으로, 프랑수아 미테랑의 뒤를 이은 사회당의 거물로서 1997년 ~ 2002년 총리를 지냈다.

1990년대 이래 두차례(1995년, 2002년)에 걸쳐 자크 시라크에 맞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프랑스 정계 좌파 진영의 대표주자였지만, 결국 대통령에는 끝내 오르지 못했다. 그래도 총리 재임 시절에는 이원집정부제인 프랑스의 정부 체제에서 실질적인 행정부 수반으로서 5년 간 내치를 주도하여 나름 프랑스 정치사에 발자취를 남겼다.

2. 생애

파리 인근의 뫼동(Meudon)이라는 동네에서 로베르 조스팽과 미레유 당디외의 아들로 태어났다. 집안이 개신교 집안이었는데, 천주교 중심의 프랑스에서는 특이한 부분이다. 장송 드 사이(Janson de Sailly) 고등학교에서 수학했으며, 파리 정치대학 국립행정학교에서 대학 교육을 마쳤다.

그러나 졸업 전후로 알제리 전쟁이 벌어지고 있었고, 조스팽은 프랑스 학생국민연합에 참여해 반전운동을 벌였다. 후에는 독일 트리어에서 군복무를 마쳤다.

2.1. 정치 활동

1965년 외무부에 들어가 일하기 시작했으며, 이 때 훗날 프랑스 기업인운동의 대표가 되는 동갑내기 에르네앙투앙 세예레와 같이 일했다.

정치인이 된 조스팽은 본격적으로 좌파 색채를 드러내기 시작했는데, 온건한 중도좌파 색채를 드러내는 지금과는 달리 초기에는 극좌에 가까웠다. 당시 프랑스의 좌파는 분열되어 있었으나, 사실상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3]가 프랑스의 좌파를 대변하고 있었다. 하지만 조스팽은 SFIO에 부정적이었고, 대신에 국제공산주의기구(OCI)에 가맹했다. 그런데 좌파의 분열로 1969년 대선에서 그 어떠한 좌파도 결선에 진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고, 이에 따라 좌파대통합 논의가 진행된 끝에 신생 사회당이 탄생했다. 조스팽은 훗날 자신의 스승과도 같았던 프랑수아 미테랑과 함께 당초에는 입당을 보류하다가, 1971년에 입당한다.

이후에는 미테랑을 돕는 일을 하였고, 1974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 미테랑이 본격적으로 도전장을 내밀자 어김 없이 그를 지원했으나,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에 밀려 낙선하면서 또 다시 야당 정치인으로 살아야만 했다. 그러나 사회당은 낙선의 원인 등을 문제 삼으며 대대적인 쇄신에 들어갔고, 그 결과 1981년 대선에서 미테랑은 드디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프랑스 제5공화국 역사상 최초의 좌파 정권이 등장한 것. 이 무렵 조스팽은 사회당 제1서기가 되었다.

이제서야 여당 생활을 시작한 조스팽은 미테랑 정권의 총리 후보로 물망에 올랐지만, 다른 사람들에 밀려 낙마했다. 1984년 드디어 총리에 오르는 듯 싶었으나, 로랑 파비위스 에 밀려 또 낙마했다. 이는 당 내의 계파 갈등을 조장했고, 결국 1986년 총선에서 사회당은 원내 1당 자리는 유지했지만 의석수를 대폭으로 날려버려, 한마디로 참패했다. 파비위스는 이후 총리직을 사임한다.

하지만 사회당은 이후 다시 쇄신을 거쳤고, 미테랑은 1988년 대선에서도 어김 없이 재선했다. 이 무렵 조스팽은 당권을 내려 놓고, 대신 미테랑 정부 2기의 총리 후보로 다시 거론되었으나, 또 낙마했으며, 대신에 교육부 장관으로 등용되었다. 교육부 장관으로 있으면서, 당시 프랑스 교육계에 쌓여 있던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했고, 이를 통해 프랑스 국민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겨 주었다.

그러나 파비위스와의 갈등이 또 다시 불거지면서 그동안 좀 잠잠했던 계파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기 시작했고, 결국 1993년 총선에서 사회당은 제대로 참패했다. 이 때 자크 시라크가 이끌고 있던 공화국연합이 압승했고, 정작 사회당은 원내 3당으로 추락하는 굴욕을 피하지 못했다. 이 때 총선에서 주된 역할을 했던 파비위스 일대는 급격하게 약화되기 시작했고, 조스팽은 이에 반등을 얻어 다시 당권이 강화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대망의 1995년이 다가왔다.

2.2. 첫 번째 대권 도전 (1995년)


이후 사회당의 실질적인 주도자로 떠오른 조스팽은 1995년 2월 3일, 사회당 경선에서 65.85%를 득표해 34.15%만을 득표한 앙리 에마뉘엘리를 크게 꺾고 사회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당시에는 연임 제한이 없었기 때문에 미테랑의 3선이 가능했으나, 79세로 너무 고령이고 병마와 싸우고 있던 중이었고 미테랑에 대한 지지율도 높지 않았기 때문에 3선을 포기하기로 한 것.

사실 사회당은 미테랑의 당이라고 봐도 무관할 정도로 마땅한 거물이 없었으나, 에두아르 발라뒤르를 추월하는데 성공했고 선거운동기간 동안 자크 시라크와 엎치락 뒤치락했으나 4월 23일 1차 투표에서 23.3%를 득표해 20.84%를 득표한 시라크를 누르고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좌파 표심을 단순 합계할 경우 우파에 비해 훨씬 낮았는데, 우파 성향의 전 총리였던 에두아르 발라뒤르가 18.58%로 3위를 기록했고 극우 국민전선 장마리 르펜이 15%를 얻어 4위로 돌풍을 일으켰고 7위 후보이지만 5%를 득표한 펠레페도 우파성향의 후보였기때문에 우파 후보를 다 합치면 득표율이 60%에 육박하는 상황이었다.

이후로 여론조사에서 부동층을 다수 흡수하며 지지율을 차근차근 끌여올렸고 토론회에서도 상당한 선전을 했지만 결국 결선투표에서 47.4%로 패배한다. 다만 1993년 총선에서 사회당이 참패한것이나 1차 투표에서 우파 지지율이 60% 이상 나왔다는것을 생각하면 대단한 선전이었기에 "비록 지금은 떨어졌어도 다음에는 꼭 될 것"이라는 말을 했고 1997년 총선으로 총리로 등극하면서 현실화되는듯 했다. 그러나 그 누구도, 조스팽이 영원히 대통령이 되지 못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못 했다.

2.3. 총리 생활

이후 사회당은 14년 만에 야당으로 추락했고, 조스팽은 다시 사회당의 제1서기가 되었다. 대선에서 패배했지만 나름대로 선전했기는 했는데 그와 별개로 국회의석수가 적어 힘 못쓰는 야당의 이미지가 강했다. 하지만 1997년 총선에서 예상을 뒤엎은 압승을 거두며 분위기를 다시 뒤집는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는데, 시라크 정권 하에서 실업률 급증 등 경제가 좋지 않았고 사회당이 이에 반등을 얻은 것이다. 덕분에 조스팽은 프랑스 총리로 올랐으며 5년 간 재직하게 된다. 행정부의 권한을 대통령과 총리가 양분하는 프랑스의 이원집정부제 정치 구조상 이때 시라크 대통령은 외치만 담당하는 반쪽짜리 대통령으로 전락하고, 내정의 실질 권한은 총리 조스팽에게 돌아갔다.[4]

내정의 실권자가 된 조스팽은 오른 주 35시간 근무제를 도입했고, 아울러 차별금지법 등 사회에 있던 각종 폐단을 청산하면서 국민들의 지지를 다시 높이기 시작했다. 이 덕분에 우파는 지지율이 급락하기 시작했고 시라크 정권은 제대로 레임덕이 걸렸다. 분명한 것은, 조스팽이 총리라는 자리에 오르면서 그간 기회가 없어 보여주지 못했던 지도자로서의 리더십을 확실하게 보여주기 시작했고, 덕분에 대중에게 차기 대통령으로 눈도장을 확실히 찍었다. 2000년에는 1989년 이후 처음으로 4% 성장률을 기록했고, 채무비율과 실업률도 어느정도 낮추는데 성공했다. 2001년 IT버블 붕괴와 9.11 테러의 여파로 성장률이 주춤하기는 했지만 실업률은 여전히 하락하였다.

당초 조스팽은 학자 타입이라 대통령으로는 다소 부적합하다는 이미지가 강했지만, 총리로 재직하면서 성공적인 리더십을 발휘해 그러한 부정적 이미지는 사라졌으며 영국의 블레어, 독일의 슈뢰더와 함께 제3의 길을 이끄는 대표적인 중도좌파 정치인으로 이름을 날렸다.

2.4. 두 번째 대권 도전 (2002년)

이러한 국민들의 인기에 힘업어 2002년, 대선에 다시 한번 도전할 것을 선언했다. 그리고 사회당의 대선후보로 무난히 선출되었고, 이제는 대통령으로 확실할 것으로 보였다. 당시 재선에 도전하는 시라크가 여론 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1995년처럼 1차에서는 시라크가 1위를 하더라도 2차에서는 조스팽이 충분히 뒤집을 수도 있었다. 그래서 이것은 크게 문제가 될 것이 없었다.

그런데 좌파 진영에서 유독 정권 교체에 대한 열망이 높았고, 이에 각종 군소 좌파 정당들이 후보를 독자적으로 내기 시작했다. 문제는 상당수가 순수히 자신들의 힘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사회당에서 떨어져 나온 것이었다. 당장 극좌 성향의 노동자 투쟁의 후보로 나간 아를레트 라기예르, 시민운동의 장피에르 슈벤망, 녹색당의 노엘 마메르,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의 올리비에 브장스노, 프랑스 공산당의 로베르 위, 좌익급진당의 크리스티안 토비라, 21세기 시민참여행동당의 코린 르파제, 노동당의 다니엘 글뤼크슈타인이 그 독자세력들이었다. 이 수만 무려 8명이었고 전체 후보 수가 무려 16명에 달하는 유례 없는 상황이 벌어진 것.

특히 이 독자세력들의 힘도 무시무시할 수 없었던 것이, 이들의 지지율이 보통 1 ~ 5%대였다는 점이다. 무엇보다도 각 군소 후보들 간의 지지율 차는 크지 않았고, 여론 조사마다 여기서는 누가, 저기서는 또 누가 앞서는 등 엎치락뒤치락의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해당 후보들에게 사퇴 압박이 가해지기도 했지만, 어차피 결선 때 조스팽으로 저절로 단일화가 되는데 지금 왜 사퇴해야 하지?라며 전원이 사퇴를 거부했다. 비단 좌파뿐 아니라 우파도 마찬가지여서, 실제로 시라크와 조스팽은 큰 표를 얻을 것으로 보이지도 않았다.

뭐 이것 쯤이야는 그렇다 치더라도, 시라크와 조스팽 두 후보에게서 각종 의혹들이 터져 나오면서, 선거가 진행될 수록 두 후보의 지지율이 급락하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표심은 대안 후보를 찾고 있었는데, 문제는 그들이 다름아닌 극우인 장마리 르 펜이었던 것. 높은 실업률의 원인을 프랑스가 지금까지 장려한 이민 정책으로 몰아 넣은 국민전선은 이를 바탕으로 세를 불려나가기 시작했고, 가뜩이나 중도적인 양강 후보에게 질려 있었던 일부 표심은 르 펜으로 옮겨가기 시작했다. 거기다가 선거 막판에는 르 펜의 지지율이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일부를 중심으로 "설마 시라크 대 르 펜이 되지는 않겠지?"하는 우려심이 있었다.

다만 소위 " 찻잔 속의 태풍"이라는 말대로 르 펜은 그러한 정도로만 취급 받았고, 다들 이러한 유례 없는 고춧가루에도 불구하고 시라크 vs 조스팽이라는 구도를 유력하게 보면서 "만약에는 없다"는 식으로 일관했는데...

왔노라, 보았노라, 졌노라!

전국이 발칵 뒤집혔다. 설마설마 하면서 그냥 방심했는데 결국 사람을 잡은 것.

여론 조사에서 으레 그랬듯이 시라크는 출구조사에서 20%를 기록하면서 무난하게 1위를 했다. 뭐 이거야 결선에서 뒤집히는 것이 가능했지만, 문제는 그 상대가 조스팽이 아닌 극우파 장마리 르펜이 된 것. 르펜이 17%를 기록했는 데 반해, 조스팽은 16%로 3위로 확실시되어 본선 탈락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야말로 모두가 놀라고 말았다. 심지어 출구조사를 보도하던 앵커들마저 당혹함을 감추지 못했다. 심지어 1위를 기록해서 본선 진출이 확실해진 공화국연합마저 상대가 조스팽이 아닌 르펜이라는 사실에 충격을 감출 수 없었다.

당초에 어쩌다 이렇게 되었냐는 논란은 꾸준히 제기되었지만, 가장 큰 원인은 빼도 박도 못 할 고춧가루. 좌파 진영에서 자신들끼리 어떻게든 정권 교체를 하겠다고, 안 될 것을 무리하게 도전했다가 저렇게 고춧가루만 뿌려놓고 이 꼴을 낳고 말았다. 지금은 거의 잊혀졌지만, 아직도 프랑스의 좌파에서는 종종 반면교사로 남아서, 이후로는 사전에 일부 연대를 통해 지지율이 일부 있으나 당선 가능성이 희박한 후보들은 양보하는 식으로 해서 이러한 일이 반복되는 것을 막기 시작했다.

2.5. 은퇴

예상치 못한 충격적인 출구조사에 놀란 조스팽은 "이게 사실이면 정계를 은퇴하겠다"고 초강수를 두었고, 그 결과가 고스란히 사실로 드러나자 진짜로 정계 은퇴를 선언한다. 각 좌파 진영에서는 결선에 진출한 르 펜을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지만, 이미 조스팽은 본선에서 탈락했으므로 결과를 뒤엎을 수 없었으므로, 이들은 어쩔 수 없이 우파인 시라크를 찍어야만 했다. 당연히 우파를 반대하는 좌파들로서 시라크를 찍는 것은 매우 힘든 결정이었으며 본인들도 시라크를 좋아한 것은 전혀 아니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미 X됐으니 아무나 뽑자"고 했다가 르 펜이 되면 좌파들로서는 더더욱 받아들일 수 없었기에, 각계를 중심으로 시라크 몰표 운동이 일어난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 파쇼말고 사기꾼을 뽑자", "(구린내를 참기 위해) 코를 막고 투표하라"는 인상적인(?) 구호가 나오기 시작했고, TV에서도 극우세력의 위험성을 알리는 광고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러한 분위기를 감지한 조스팽도 시라크 지지를 선언했고, 결국 시라크는 82.2%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한다. 조스팽은 자신의 약속대로 정계에서 완전히 은퇴하였으며, 각계에서 복귀 제안이 들어왔으나 끝까지 거절하며 개인 생활만을 해 왔다. 그러나 시라크 정권의 2기가 또다시 레임덕이 걸리기 시작하고, 마침 2007년 대선이 다가오면서 일각에서 조스팽의 3수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실제로도 각계에서 조스팽을 차기 대권주자로 보기도 하였고, 이에 의식해서인지 조스팽은 2005년 은퇴를 번복하고 복귀해 2006년 사회당 경선에 도전했다. 하지만 막 떠오른 여성 거물인 세골렌 루아얄이 압도적인 지지율을 보였고, 조스팽은 여기에 한참 밀리면서, 도중에 사퇴한다.이거 완전...[5]

이후에는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살고 있으며, 2014년부터는 하원의장 클로드 바르톨론의 지명으로 프랑스 헌법위원회 위원으로 2019년까지 재직하였다. 한편 2017년 팔순을 기록했다.

202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는 1차 투표에서는 사회당의 안 이달고 후보를 지지했으나 1.75% 득표율로 결선투표 진출에 실패하자 뒤이어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재선을 지지했다.

2024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정국에서 마크롱의 의회 조기 해산을 비판하고 신인민전선을 지지했다. #

3. 가족

엘리자베스 다넨뮐러와 결혼했으나 이혼했다.

이후 1994년 폴란드계인 실비안 아가생스키와 재혼했다. 아가생스키는 다른 의미로 유명인인데, 바로 유명 철학자 자크 데리다와 불륜 관계였기 때문. 둘 사이에는 데리다의 친자인 다니엘이 있었다. 이 사실은 프랑스 내에서 이래저래 화제가 되었는데 아가생스키는 남편 조스팽의 선거운동 당시 선거운동을 위해 그가 데리다와의 혼외자를 받아준 사실을 활용하기도 했다. 여담으로, 조스팽은 교육부 장관이었던 시절 피에르 부르디외 자크 데리다를 위원으로 하여 프랑스 교육 전반을 개혁하는데 조언을 얻을 전문가 그룹을 만들기도 했다.

4. 둘러보기

프랑스 좌파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프랑스 좌익 정당
파일:불복하는 프랑스 신 로고.svg 파일:사회당(프랑스) 로고.svg 파일:프랑스 공산당 로고.svg
장뤼크 멜랑숑 올리비에 포르 파비앙 루셀
파일:유럽 생태녹색당 로고.svg 파일:운동세대 로고.svg 파일:프랑스 좌익급진당 로고.png
야니크 자도 브누아 아몽 기욤 라크루아 }}}
{{{#!wiki style="margin: -2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사상 공화주의 · 자코뱅주의 · 급진주의 · 사회주의 · 아나키즘 ·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 트로츠키주의 · 유럽공산주의) · 생디칼리슴 · 신좌파 · 사회민주주의 · 민주사회주의 · 생태사회주의 · 구조주의 ·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샤를 푸리에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 조르주 소렐 · 장폴 사르트르 · 모리스 메를로퐁티 · 시몬 드 보부아르 · 자크 라캉 · 롤랑 바르트 · 루이 알튀세르 · 미셸 푸코 · 질 들뢰즈 · 펠릭스 가타리 · 장 보드리야르 ·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 자크 데리다 · 피에르 부르디외 · 에티엔 발리바르 · 자크 랑시에르 · 알랭 바디우
정치인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 · 프랑수아 올랑드 · 에마뉘엘 마크롱*
주요 총리 아리스티드 브리앙 · 레옹 블룸 · 에두아르 달라디에 · 기 몰레 · 피에르 모루아 · 미셸 로카르 · 피에르 베레고부아 · 리오넬 조스팽 · 장마르크 에로 · 마뉘엘 발스 · 베르나르 카즈뇌브
기타 장폴 마라 · 조르주 당통 ·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 자크 르네 에베르 ·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 · 자크 루 · 필리포 부오나로티 · 장 조레스 · 자크 도리오 · 모리스 토레즈 · 자크 뒤클로 · 로랑 파비위스 · 세골렌 루아얄 ·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 안 이달고 · 다니엘 콩방디트 · 프랑수아 뤼팽
관련 인물 자크루이 다비드 · 외젠 들라크루아 · 귀스타브 쿠르베 · 빅토르 위고 · 에밀 졸라 · 알베르 카뮈 · 누벨바그( 장뤽 고다르 · 프랑수아 트뤼포 · 클로드 샤브롤 · 자크 리베트 · 에릭 로메르) · 아니 에르노 ·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 · 목수정
관련 집단 클뢰브 데 자코뱅( 몽테뉴파 · 에베르파) · 상퀼로트 · 클뢰브 데 코르들리에 · 마레파 · 앙라제 · 드레퓌스파 · 급진당 · 인민전선 · 레지스탕스 · 신인민전선( 신민중생태사회연합) · 파리 제8대학교 · 파리 낭테르 대학교
언론사 르몽드(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리베라시옹 · 뤼마니테 · 샤를리 엡도 · 카이에 뒤 시네마
관련 사건 프랑스 혁명 · 리옹 폭동 · 1832년 6월 봉기 · 프랑스 2월 혁명 · 파리 코뮌 · 드레퓌스 사건 · 68혁명 · 노란 조끼 운동
* 대통령 집권 이후로는 좌파 진영의 인사로 분류되지 않는다.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분파 }}}}}}}}}}}}


[1] Janson de Sailly [이혼] [3] 참고로 베트남의 국부 호치민이 여기서 활동했다. [4] 이런 선례로 이득을 본 인물은 다름 아닌 자크 시라크였다. 1986년 본인이 총리가 되었을 때, 프랑수아 미테랑과 대립하면서 대통령의 권한인 국방, 외교 분야를 제외한 내정의 실권을 차지했다. 결국 반대 상황이 되자 5년 동안 내치에 관한 권한을 잃고서 반쪽짜리 대통령에 머물렀다. [5] 정치경력이 정말 비슷하다. 비록 정치성향이 반대고 우리나라는 동거정부를 인정하지 않아 조금은 차이가 나긴한다. 하지만 둘다 정권교체로 무너져가던 여당을 되살려내고, 야당 총재로써 제1당을 차지하며 여소야대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그러한 정국속에서 엄청난 파워를 행사했기에 주로 많이 비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