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출생 년도
출생 시기 | |||
조선시대 | 1875년 | 이승만 | |
1897년 | 윤보선[1] | ||
광복 이전 | 1917년 | 박정희 | |
1919년 | 최규하 | ||
1924년 | 김대중 | ||
1929년 | 김영삼 | ||
1931년 | 전두환 | ||
1932년 | 노태우 | ||
1941년 | 이명박 | ||
미군정기 | 1946년 | 노무현[2] | |
대한민국 | 제1공화국 | 1952년 | 박근혜 |
1953년 | 문재인 | ||
제2공화국 | 1960년 | 윤석열 |
태어난 달은 12월이[3][4] 4명으로 가장 많고, 그 뒤로 1월[5]이 3명이 있고 2월[6], 3월[7], 7월[8], 8월[9], 9월[10], 11월[11]이 각 1명이다. 계절별로는 겨울[12]이 8명으로 전체의 절반을 넘고, 그 다음은 여름[13]과 가을[14]이 각 2명, 그 뒤로는 봄[15]이 1명이다.
2. 출생 지역
출생 지역 | |||
국내 | 서울특별시 | 성북구 | 윤석열 |
강원특별자치도 | 원주시 | 최규하 | |
충청남도 | 아산시 | 윤보선 | |
대구광역시 | 동구 | 노태우 | |
중구 | 박근혜 | ||
경상북도 | 구미시 | 박정희 | |
경상남도 | 합천군 | 전두환 | |
거제시 | 김영삼 | ||
문재인 | |||
김해시 | 노무현 | ||
전라남도 | 신안군 | 김대중 | |
북한 | 황해도 | 평산군 | 이승만 |
일본 | 오사카부 | 오사카시 | 이명박[16] |
3. 직업
직업 | ||
관료 | 이승만, 최규하 | |
군인 |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 |
기업인 | 김대중, 이명박 | |
정당인 | 윤보선, 김영삼, 박근혜 | |
법조인 | 변호사 | 노무현, 문재인 |
검사 | 윤석열 |
4. 종교[17]
종교 | ||
✝️ 개신교 | 이승만[18], 윤보선, 김영삼, 이명박 | |
✝️ 가톨릭 | 김대중[19], 문재인[20] | |
☸️ 불교 | 전두환[21], 노태우[22] | |
🈚️ 무종교 | 박정희[23], 최규하[24], 노무현[25], 박근혜[26], 윤석열[27] |
5. 성씨
성씨 | ||
김(金) | 김영삼[28], 김대중[29] | |
이(李) | 이승만[30], 이명박[31] | |
박(朴) | 박정희, 박근혜[32] | |
최(崔) | 최규하[33] | |
윤(尹) | 윤보선[34], 윤석열[35] | |
전(全) | 전두환[36] | |
문(文) | 문재인[37] | |
노(盧) | 노태우[38], 노무현[39] |
6. 약칭
이름 | 약칭 |
이승만 | 李 |
윤보선 | 尹, PS |
박정희 | PP |
최규하 | 崔 |
전두환 | 全, DH |
노태우 | 盧 |
김영삼 | YS |
김대중 | DJ |
노무현 | 盧, MH |
이명박 | 李, MB |
박근혜 | 朴, GH |
문재인 | 文 |
윤석열 | 尹 |
7. 자녀
- 이승만: 1남, 양자 2남[40]
- 윤보선: 2남 2녀[41]
- 박정희: 2남 3녀[42]
- 최규하: 2남 1녀[43]
- 전두환: 3남 1녀[44]
- 노태우: 1남 1녀[45]
- 김영삼: 3남 3녀[46]
- 김대중: 3남 1녀[47]
- 노무현: 1남 1녀[48]
- 이명박: 1남 3녀[49]
- 박근혜: 미혼
- 문재인: 1남 1녀[50]
- 윤석열: 무자녀[51]
자녀 여부들을 보면 이승만처럼 아들만 있고 딸은 전혀 없는 대통령은 있지만, 아들 없이 딸만 있는 대통령은 지금껏 단 한 번도 나온 적이 없다. 아울러서 한 자녀 대통령도 지금껏 한 번도 탄생한 적이 없다[52]. 또한 결혼은 했으나 자녀가 없는 대통령은 윤석열이 최초이자 유일하다.
8. 형제
부친 기준이다.- 이승만: 3남 2녀 중 3남[53]
- 윤보선: 6남 3녀 중 장남[54]
- 박정희: 6남 2녀 중 6남[55]
- 최규하: 3남 5녀 중 차남[56]
- 전두환: 6남 5녀 중 4남[57]
- 노태우: 3남 중 장남[58]
- 김영삼: 3남 5녀 중 삼남[59]
- 김대중: 6남 5녀 중 차남[60]
- 노무현: 3남 2녀 중 3남[61]
- 이명박: 4남 3녀 중 3남[62]
- 박근혜: 2남 3녀 중 차녀[63]
- 문재인: 2남 3녀 중 장남[64]
- 윤석열: 1남 1녀 중 장남[65]
9. 국회의원 선수
국회의원 선수 | ||
9선 | 김영삼 | |
6선 | 김대중 | |
5선 | 박근혜 | |
4선 | 윤보선[66] | |
재선 | 노무현, 이명박 | |
초선 | 이승만, 노태우, 문재인 | |
없음 |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윤석열[67] |
10. 당적
이름 | 당적 |
이승만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자유당(1951년)|]] |
윤보선 |
[[한국민주당| 한국민주당 ]][[민정당| [[민중당(1965년)| [[신한당|]] [[신민당(1967년)| [[국민당(1971년)| |
박정희 |
[[남조선로동당| [[민주공화당| |
최규하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전두환 |
|
노태우 |
[[민주자유당| |
김영삼 |
[[자유당(1951년)|]] [[신민당(1960년)| [[민정당| [[민중당(1965년)| [[신민당(1967년)| [[통일민주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
김대중 |
[[한국민주당| 한국민주당 ]][[민중당(1965년)| [[신민당(1967년)| [[통일민주당| [[평화민주당| [[신민주연합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
노무현 |
[[통일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
이명박 |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새누리당| |
박근혜 |
[[한국미래연합|]]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
문재인 |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시민통합당|]] [[민주통합당| [[민주당(2013년)| [[새정치민주연합| |
윤석열 |
|
11. 당선 전 공직 경력
이름 | 경력 |
이승만 |
초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총리 초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총재제헌 국회의원 초대 국회의장 |
윤보선 |
제2대
서울특별시장 제2대 상공부장관 원내총무 제3대 국회의원 제4대 국회의원 최고의원 제5대 국회의원 |
박정희 |
초대
국가재건최고회의 부의장 제2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
최규하 |
제7대 외무부차관 제14대 외무부장관 제12대 국무총리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
전두환 | 중앙정보부장 (서리) |
노태우 |
초대 정무제2장관 초대 체육부장관 제41대 내무부장관 제12대 국회의원 총재 |
김영삼 |
장택상 국회의원 보좌관 국무총리실 인사비서관 제3대 국회의원 제5대 국회의원 [[신민당(1960년)| 제6대 국회의원 [[민중당(1965년)| 제7대 국회의원 제7대 대통령 선거 [[신민당(1967년)| 제8대 국회의원 제9대 국회의원 제10대 국회의원 [[신민당(196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통일민주당| 제13대 국회의원 초대 [[민주자유당| 제14대 국회의원 [[민주자유당| |
김대중 |
제5대 국회의원 제6대 국회의원 [[민중당(1965년)| [[신민당(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제7대 대통령 선거 [[신민당(1967년)| 제8대 국회의원 [[평화민주당| 제13대 대통령 선거 [[평화민주당| 제13대 국회의원 [[신민주연합당| 초대 공동 대표 제14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제14대 국회의원 [[새정치국민회의| |
노무현 |
제13대 국회의원 대변인 최고의원 부총재 [[새정치국민회의| 제15대 국회의원 제6대 해양수산부장관 [[새천년민주당| |
이명박 |
제14대 국회의원 제15대 국회의원 제32대 서울특별시장 (민선 3기) |
박근혜 |
제15대 국회의원 제16대 국회의원 부총재 초대 [[한국미래연합|]] 대표 제4대 대표 제17대 국회의원 제17대 대통령 선거 경선 후보 제18대 국회의원 비상대책위원장 [[새누리당| 제19대 국회의원 |
문재인 |
초대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초대 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비서관 제3대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제29대 대통령비서실장 제19대 국회의원 제18대 대통령 선거 [[민주통합당| 제2대 [[새정치민주연합| 초대 대표 |
윤석열 | 제43대 검찰총장 |
[1]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바뀌기 두달 전에 출생하였다.
[2]
현재로서는 역대 대통령 중 유일하게 미군정기에 출생하였다.
[3]
노태우, 김영삼, 이명박, 윤석열. 이중 윤석열, 이명박, 김영삼은 생일이 하루씩 차이난다.(윤석열 18일, 이명박 19일, 김영삼 20일.)
[4]
일단 20대 대선 경선 이전만 봐도 12월생 대통령이 1명 더 늘어나게 되는 걸 알 수 있는데, 경선 1위였던
이재명과
윤석열, 경선 2위였던
이낙연과
홍준표 4명 모두 12월생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다만 홍준표는 호적상이라 실제로는 11월이다. 이재명도 호적상이긴 하나 실제로도 12월생이다.) 이 중 이낙연은 김영삼과 생일이 같다.
[5]
전두환, 김대중, 문재인.
[6]
박근혜.
[7]
이승만.
[8]
최규하.
[9]
윤보선.
[10]
노무현.
[11]
박정희.
[12]
12월, 1월, 2월.
[13]
6월, 7월, 8월.
[14]
9월, 10월, 11월.
[15]
3월, 4월, 5월.
[16]
다만
1945년
8.15 광복 직후 부모와 함께 귀국하여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실질적인 고향은 경상북도 포항시이다.
[17]
재임 당시 기준이다.
[18]
단, 이 쪽만 종파에서 차이가 있다. 뒤의 사람들이 전부
장로회인 것과 달리 이 쪽만 유일하게
감리회이다. 참고로 윤보선, 이명박은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교단 소속이고 김영삼 대통령만이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이다.
[19]
세례명:
토마스 모어
[20]
세례명:
티모테오
[21]
고등학생 때는
가톨릭 신자였다가 이후
불교로 개종했다. 따라서 전두환의 장례 절차 중 입관식은 불교식으로 진행되었다.
[22]
대통령 때는
불교 신자였다가 이후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따라서 노태우의 장례 절차 중 입관식은 천주교식으로 진행되었다. 세례명은
사도 요한
[23]
공식 악력에는 불교로 되어 있고,
불자인 배우자
육영수 여사의 영향으로 친불교적 성향도 보였으나 육영수 여사 사후에는 친불교적 행보는 물론 어떠한 종교들과도 가깝게 지내는 행보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종교가 무엇이냐고 물어보자 종교가 없다고 했다. 참고로
기독교와도 의외로 인연이 깊다. 어린 시절에는 꽤나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고 육영수와의 결혼식은
계산성당에서 했다. 아울러 차녀
박근혜를
가톨릭 계열
미션스쿨인
성심여자중학교-
성심여자고등학교-
서강대학교로 진학시켰다.
[24]
#
[25]
다만 무종교인일 뿐 무신론자는 아닌 듯 하다. 한 번은 본인보다 3개월 앞서 고인이 된
김수환
추기경과의 대화에서 신을 믿느냐는 질문에 대해 믿긴 한다고 대답한 바 있다. 대통령 취임 이전에는 인권 변호사로 활동하던 1986년 부산지역 민주화 운동가의 대부로 알려진
송기인
베드로 신부로부터 '유스토'라는 세례명으로
세례성사를 받은 바 있다. 그리고 불심이 매우 깊었던 배우자
권양숙 여사의 영향으로 친불교적 행보도 보인 바 있다.
[26]
이 쪽은 공식적으로는 무종교라지만
박근혜/비판/사이비 종교 논란이라는 문서까지 만들어졌듯이 좀 애매하다. 그나마 가톨릭
세례명(율리아나)과 불교
법명('대자행', '선덕화')을 모두 보유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조차도 특정 종교를 깊게 믿는 차원에서 받은 것은 아니다.
[27]
이런 저런 종교와 인연이 깊다. 아버지
윤기중 교수는 불교 신자였고 그가 졸업한
대광초등학교는
개신교 계열
미션스쿨이며 안암동 영암교회에 출석했다. 그러다 대학생 시절에는
명동성당에 나오더니
암브로시오라는 세례명으로
세례성사도 받았다. 검사가 된 후에는 무종교를 유지하고 있다.
[28]
김녕 김씨
[29]
김해 김씨
[30]
전주 이씨
[31]
경주 이씨
[32]
두 명 모두
고령 박씨
[33]
강릉 최씨
[34]
해평 윤씨
[35]
파평 윤씨
[36]
완산 전씨
[37]
남평 문씨
[38]
교하 노씨
[39]
광주 노씨
[40]
요절한 이봉수(1898~1904)만 친자고,
이강석과
이인수는 양자다. 이 둘을 양자로 들이기 전에 이은수(1917~1988)도
양자로 있었지만 훗날
파양하였다.
[41]
딸 윤완구(1915~2009)와 윤완희(1918~1920)은 전처 민경숙(1894~1938) 소생이고, 아들 윤상구(1949년생)와 윤동구(1952년생)는 후처이자 영부인인
공덕귀 소생이다.
[42]
이중 장녀
박재옥만 유일하게 전처
김호남 소생이고, 나머지 차녀
박근혜, 삼녀
박근령, 차남
박지만은 전원
육영수 소생이다. 왜 박지만이 차남이냐면
내연녀였던
이현란 소생의 요절한 아들(1948~1948)이 있기 때문이다.
[43]
장남 최준홍(1943년생), 차남 최종석(1951년생), 딸 최종혜(1953년생)가 있다.
[44]
장남
전재국, 장녀
전효선, 차남
전재용, 삼남
전재만이 있다.
[45]
딸
노소영과 아들
노재헌이 있다.
[46]
장녀 김혜영(1952년생), 차녀 김혜정(1954년생), 장남
김은철(1956년생), 차남
김현철, 삼녀 김혜숙(1961년생)이 있다. 또한 3남으로 혼외자 김상만(1959년생)이 있다.
[47]
차용애(1927~1959) 소생인 딸 김소희(1946~1947)는 아기 때 요절했고, 아들들 중 장남
김홍일과 차남
김홍업은 김소희처럼 전처 차용애 소생이고, 삼남
김홍걸은 후처이자 영부인인
이희호 소생이다.
[48]
아들
노건호, 딸 노정연(1975년생)이 있다.
[49]
장녀
이주연, 차녀 이승연(1973년생), 삼녀
이수연, 아들
이시형이 있다.
[50]
아들
문준용, 딸
문다혜가 있다.
[51]
정확히는 딸을 얻긴 했으나 유산했다고 밝혔다.
[52]
다만 친자녀로만 한정하면 이승만이 유일하게 한 자녀 부모이다.
[53]
형 둘은 이승만이 태어나기 전에 요절했으며 누나 두 명이 있다.
[54]
큰 남동생 윤완선(1901~1970), 둘째 남동생 윤원선(1901~1971), 셋째 남동생 윤한선(1912~1972), 넷째 남동생 윤택선(1914~1998), 다섯째 남동생 윤형선(1917~1987), 첫째 여동생 윤예경(1905~2001), 둘째 여동생 윤의경(1912~?), 셋째 여동생 윤계경(1918~2011)
[55]
큰 형 박??(1892~1894), 둘째 형
박동희(1895~1972), 셋째 형 박무희(1898~1960), 넷째 형
박상희(1905~1946), 다섯째 형 박한희(1910~1925?), 큰 누나 박귀희(1902~1974), 작은 누나 박재희(1913~1996)
[56]
족보 기준이다. 누나 최경하(1914~?), 형 최정희 (1916~?), 첫째 동생 최정하 (1920~?), 둘째 동생 최석하 (1922~?), 셋째 동생 최명하 (1924~1998), 넷째 동생 최무하 (1926~?), 다섯째 동생 최중하 (1930~2008)
[57]
큰 형 전열환(1915~1925), 둘째 형 전규곤(1916~1916), 셋째 형 전기환(1929~2019), 큰 남동생 전석환(1937~196?), 작은 남동생
전경환(1942~2021), 큰 누나 전홍렬(1918~1978), 둘째 누나 전명렬(1922~?), 셋째 누나 전선학(1928~2012 이후), 큰 여동생 전학렬(1934~사망 추정), 작은 여동생 전점학(1935~)
[58]
큰 남동생 노재우(1937~), 작은 남동생(193?~요절)
[59]
형 2명(요절), 큰 여동생 김호금(1932~), 둘째 여동생 김호아(1934~), 셋째 여동생 김호임(1936~), 넷째 여동생 김두선(1938~), 다섯째 여동생 김두아(1940~)
[60]
이복 형 김대봉(1920~1971), 이복 동생 김현광(1924~?), 이복 동생 김현정(1926~1997), 첫째 남동생 김대의(1927~1997), 둘째 남동생 김대현(1932~), 이복 누나 김매월(1917~1980), 이복 누나 김용례(191?~?), 누나 김안례(1921~2012), 여동생 김진찬(1935~1976), 이복 여동생 김진현(1938~1963)
[61]
큰 형
노영현(1932~1973), 둘째 형
노건평(1942~), 이복 누나 노명자(1928~2013), 누나 노영옥(1938~)
[62]
큰 형
이상은(1933~), 둘째 형
이상득(1935~2024), 남동생 이상필(1943~1950), 큰 누나 이귀선(1930~2010), 작은 누나 이귀애(1938~1950), 여동생 이윤진(1946~)
[63]
이복 오빠(1948~1948), 남동생
박지만(1958~), 이복 언니
박재옥(1937~2020), 여동생
박근령(1954~)
[64]
남동생 문재익(1958~), 누나 문재월(1949~), 큰 여동생 문재성(1955~), 작은 여동생 문재실(1957~)
[65]
여동생 윤신원(1964~)
[66]
대통령 재임 당시에는 3선이었고 대통령직 하야 후 국회의원에 재출마하여 4선에 당선되었다. 그래서 윤보선은 대통령 퇴임 후에도 현역 정치인으로 계속 활동한 유일한 대통령이다.
[67]
민주화 이후 직선제 대통령으로는 유일하게 국회의원 경력이 없다. 대선 경쟁상대였던
이재명도 선거 시점에선 국회의원 경력이 없었으나(이재명은 대신
광역자치단체장 경력이 있었다.) 낙선 후
2022년 6월 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어 국회의원 경력을 쌓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