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1-24 15:29:33

나무위키:편집지침/표제어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규정
기본방침 ( 문서 관리 방침 · 토론 관리 방침 · 이용자 관리 방침 · 운영 관리 방침 /운영진 선출) · 편집지침 ( 일반 문서 · 특수 문서 · 특정 분야 ( 인문사회 · 과학기술 · 문화예술 · 창작물) · 등재 기준 · 표제어)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도움말
FAQ · 도움말 ( 기능 · 편집 · 문법 ( 심화 · 수식 · 개발) · 토론 · 스킨 · 소명 · 권리침해 · 게시판) · 자주 하는 실수 · 문서 삭제식 이동 · 더미 · 다른 위키와의 차이점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운영
관리자 · 중재자 · 역대 운영진 · 운영진 지원 · 운영 도움말 ( 관리 · 중재 · 권한) · 접근 제한 ( 문서 목록) · 운영회의 ( 시행규칙 · 안건 건의) · 임명 회의 ( 관리자 · 중재자) · 봇 리스트 · 투명성 보고서 · 소급 적용 규정 일람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기능
분류 · 게시판 · 엔진 ( 업데이트) · 통계 · 데이터베이스 덤프 · 연습장 · 내 문서함 · 문서 작성 요청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분류
프로젝트 · 주요 페이지 링크 · 보존문서 · 파일 · · 템플릿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공식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운영에 사용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문서의 수정 자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중히 문서를 편집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나무위키:로고3.png
나무위키의 편집지침을 서술하는 문서입니다.

나무위키의 모든 문서는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편집지침은 개정 토론을 거쳐 개정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사항2. 일반 문서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
2.1. 표제어 기준2.2. 표제어 변경2.3. 범용성·보편성의 판단2.4. 정식 번역어2.5.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3. 특수 문서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
3.1. 프로젝트 문서3.2. 파일 문서
3.2.1. 파일명 통일
3.3. 리다이렉트 문서
4. 종속 문서 관련 표제어 지침
4.1. 문서의 종속 여부4.2. 종속 문서 설정 근거
5. 동음이의어·다의어 문서 관련 표제어 지침
5.1. 동음이의어·다의어 메타 문서5.2. 우선 노출 문서
5.2.1. 우선 노출 문서 후보5.2.2. 우선 노출 문서 선정
6. 특정 분야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
6.1. 인물·단체 문서6.2. 국가 문서
6.2.1. 국가간 관계에 대한 문서
6.3. 학술 분야
6.3.1. 고생물 문서
6.4. 방언 문서6.5. 외국어 단어 문서6.6. 대한민국 선거 관련 문서6.7. 창작물 분야
6.7.1. 리듬 게임 음악 문서6.7.2.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관련 문서6.7.3. 궤적 시리즈 관련 문서6.7.4. 하스스톤 관련 문서6.7.5. VOCALOID 등 음성 합성 엔진 관련 문서6.7.6. 프리티 시리즈 관련 문서6.7.7. SCP 재단 관련 문서6.7.8. 포켓몬스터 시리즈 관련 문서6.7.9. 슈퍼전대 시리즈 관련 문서
6.8. 철도 분야
6.8.1. 동음이의어인 철도역6.8.2. 일본 철도 관련 문서
6.9. 스포츠 문서6.10. 전자기기 분야
6.10.1. 조건부 작성 허용 공개 전 기기에 대한 지침6.10.2. iPad Pro 시리즈 문서
6.11. 여러 해에 걸친 기간에 대한 년도 표기법6.12. 행정구역 관련 문서6.13. 자연 지명6.14. 특정 사건 사고 관련 문서6.15. 대한민국의 외교공관 문서

1. 기본 사항


[1] 따라서 이름이 아닌 동음이의어 구분자는 표제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본용어예시] 예시: ' 배(과일)' 문서의 문서명은 '배(과일)'이며, 표제어는 '배'이고 구분자는 '(과일)'입니다. [기본용어예시]

2. 일반 문서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

2.1. 표제어 기준


[4] 1순위가 최상위 순위. [5] '정식 발매 명칭'이란 2.4. 문단에서 정하는 '정식 번역어'와 대한민국에서 상품으로 유통되었던 것의 등록된 상품명으로, 한국에서의 상품명을 말합니다. 내용물이 전혀 번역되지 않은 상태로 유통된 경우는 '정식 발매 명칭'으로 보지 않습니다. [예] 정부에서 일본군 위안부 대신 " 일본군 '위안부'" 명칭을 사용해줄 것을 권장한 것, 안명옥 국립중앙의료원장이 폐경 대신 "완경"을 사용해줄 것을 제안한 것, 박근혜 정부에서 정부 명칭을 박근혜 정부 대신 "박근혜정부"를 사용해줄 것을 권고한 것 등.

2.2. 표제어 변경


참고: 문서 이동 후 리다이렉트 연결이 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 주세요. 이중 리다이렉트는 작동하지 않으며, 문서명 변경으로 인해 목표 문서로 바로 도달할 수 없게 된 리다이렉트는 직접 변경하여야 합니다.
참고: 역링크가 매우 많아 직접 수정하기 힘들다면, 나무위키:프로젝트/역링크 개선 나무위키:사용 승인된 봇 계정 목록 등에 도움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단, 이 경우에도 깨진 링크는 리다이렉트를 생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3시간 이내에 정상화하여야 합니다.

[7] 다른 문서 내에서 빨갛게 보이는 하이퍼링크와, 목표 문서로 바로 도달할 수 없게 된 리다이렉트가 깨진 링크에 해당됩니다. 메타 문서로 연결되는 링크 등은 깨진 링크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8] 가장 권장하는 방법입니다.

2.3. 범용성·보편성의 판단

2.4. 정식 번역어


[9] 작품의 개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10] 원작과 2차적 저작물의 구분은 각각의 원어판을 기준으로 합니다. [11] 기존의 저작물을 다소 이용하였더라도 기존의 저작물과 실질적인 유사성이 없는 별개의 독립적인 신 저작물이 된 경우에는 2차적 저작물이 아닌 원작으로 간주합니다. [12] 미디어 믹스, 미디어 프랜차이즈, 원 소스 멀티 유즈를 총칭합니다. [13] 정식 유통된 작품이 없거나, 번역의 저작권이 소멸된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2.5.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3. 특수 문서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

3.1. 프로젝트 문서

3.2. 파일 문서

3.2.1. 파일명 통일

3.3. 리다이렉트 문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무위키:편집지침/특수 문서 문서
번 문단을
리다이렉트 문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종속 문서 관련 표제어 지침


[14] 동음이의어 구분자를 포함합니다.

4.1. 문서의 종속 여부


4.2. 종속 문서 설정 근거


[15] 창작물의 '/등장인물', '/목록' [16] 가상 인물의 '/작중 행적', 실존 인물의 '/사건사고', 게임의 '/업데이트 로그', 나라의 '/역사' [17] 인물 문서의 '/비판' [18] B에 종속된 문서의 서술도 포함 [19] 실존 인물, 창작물의 가상 인물(NPC나 적도 포함), 각각의 창작물, 개별적인 개념

5. 동음이의어·다의어 문서 관련 표제어 지침

5.1. 동음이의어·다의어 메타 문서

5.2. 우선 노출 문서

5.2.1. 우선 노출 문서 후보

5.2.2. 우선 노출 문서 선정


[20] 이때 한 문서에 동일 분야의 동음이의어가 모두 수록되었다면, 표제어 검색량에서 유효 페이지를 특정 개념이 아닌 분야로 검증이 가능합니다. [21] 예시로 열매 카카오가 근원이 되는 문서고, 카카오(기업)은 파생된 문서입니다. [22] 이미 별개의 메타 문서가 있을 경우 병합할 수 있습니다. [23] 예시로 일반명사 Apple(사과)에서 파생된 Apple(기업)이 있습니다. [24] 예시로 고유명사 Next Level(A$ton Wyld의 노래)에서 파생된 aespa의 리메이크곡 Next Level(aespa)이 있습니다. [25] 예시로 블라디미르 푸틴의 1, 2순위 표제어에 해당하지 않은 푸틴이 블라디미르 푸틴의 리다이렉트 문서가 되기 위해선 러시아 대통령 '푸틴'에 대한 유효한 검색 결과("푸틴" "대통령" 등)가 기타 동음이의어 '푸틴'에 대한 유효한 검색 결과("푸틴" "음식" 등)보다 10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26] 동음이의어가 존재하거나(예: 의원, 의사 등) 범위가 포괄적인 한정어도(예: 방송, 여행 등) 특정한 개념으로 압축할 수 있는 한정어가 될 수 있습니다. [27] '분야'가 아닌 '개념'입니다. 특정 분야로 검색을 하더라도 그 분야 내에서 동음이의어가 있다면, 해당 분야가 아닌 그 중 특정한 하나의 개념을 가리키는지로 검증합니다. [28] 한정어를 포함하지 않은 검색어라도 특정한 개념 하나만이 해당 조건을 충족한다면 해당 개념에 대한 유효한 검색어로 인정합니다. [29] 우선 노출 문서 후보가 아닌 파생된 동음이의어도 사용 빈도 비교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우선 노출 문서 후보의 사용 빈도가 파생된 동음이의어보다 월등히 높지 못할 경우, 우선 노출 문서는 메타 문서로 정합니다.

6. 특정 분야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

6.1. 인물·단체 문서


[30] 로마자 머리글자 부분의 예시로 ' 조지 H. W. 부시', 특이한 표기 부분의 예시로 일론 머스크의 아들 ​'X Æ A-Xii 머스크'가 있습니다. [31] 예시로 "콜드플레이" +"밴드"의 구글 검색 결과 수가 "coldplay" +"밴드"보다 높을 경우.

6.1.1. 동아시아 군주 문서


[32] 묘호·시호 포함 [33] 반란국 등 [34] 본성명을 우선합니다. [35] 사시 등 비정식 제호 제외

6.2. 국가 문서

6.2.1. 국가간 관계에 대한 문서


[36] 이때 '외교부 홈페이지의 국가/지역 검색' 등을 참조합니다. [37] 이때 '외교공관의 명칭 변경' 등을 확인합니다. [38] 두 국가간의 순서는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사용하는 순서를 따르나, 외교부의 표현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한국어로 된 양자조약·다자조약·법령에서의 명칭을 따릅니다. [39] 단, 약칭 사용시 다른 국가와 혼동이 없어야 합니다.

6.3. 학술 분야


[40] 예를 들어, ' 아드레날린'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독립 표제어로 수록되어 표제어 기준상 2순위를 만족하므로, 그에 대응하는 원어 명칭 'adrenaline'을 표제어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6.3.1. 고생물 문서

6.4. 방언 문서

6.5. 외국어 단어 문서


[41] 동음이의어·다의어 메타 문서는 고유명사 문서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42] 예를 들어 조조의 다른 한글 이름이지만 사용 빈도가 충분히 크다고 입증된 고유명사 문서 죠죠 조조(동음이의어) 메타 문서의 리다이렉트로 하지 않으며, 동음이의어 구분자도 추가하지 않습니다. [43] 문법 지식 예시로 a(관사), the, 문화적 배경 예시로 Geek, OK, 전문 분야 지식 예시로 Null 등이 있습니다. [44] 충돌 예시로 (門) 과 moon이 있습니다. [45] 랙(컴퓨터)처럼 특정 의미 자질에 관해서 심화하여 다루는 문서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46] 예를 들어 '에그'는 egg의 한글 이름 외에, 한국어 감탄사인 안타깝거나 안쓰러운 일을 볼 때 내는 소리라는 의미도 있으므로 동음이의어 문서로 합니다. [47] 예를 들어 그리드는 Greed와 Grid의 공통된 한글 이름이므로 동음이의어·다의어 문서로 합니다.

6.6. 대한민국 선거 관련 문서


[48] 예: 2019년 보궐선거는 선거 실시 지역 중 재선거 지역이 없고 모두 보궐선거 지역이므로, '보궐선거'를 표제어로 합니다.

6.7. 창작물 분야


[49]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애니메이션 2기' 제목, ' 사신 짱 드롭킥 애니메이션 2기' 제목 등. [50]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애니메이션 2기' 제목, '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애니메이션 2기' 제목 등. [51] 예: 재와 환상의 그림갈, 티어문 제국 이야기 ~단두대에서 시작하는 황녀님의 전생 역전 스토리~ [52] 예: 제목이 판매처나 ISBN에선 '본제 : 부제'로 표기되는데 표지에선 '본제 ~부제~'로 표기될 경우 후자 방식으로 표기. [53] 본제와 별도 표기되더라도 해당. [54] 예: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청춘 돼지 시리즈 [55] 예: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청춘 돼지는 바니걸 선배의 꿈을 꾸지 않는다 [56] 예시로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KOF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57] 예시로 길이 55인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메모리아 프레제~ 던메모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58] 예시로 무직전생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한다~ 무직전생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59] 규정을 적용 받지 않는 문서 예시로 세이버(4차), 세이버(5차), DIO(죠죠의 기묘한 모험 OVA) 등이 있습니다.

6.7.1. 리듬 게임 음악 문서


[60] 한국 서비스에서 제목이 번역되는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의 커버곡과 엑스트라 곡 사례가 여기에 해당되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61] 예: 나무위키:편집지침/특수 문서의 리다이렉트에서 "대상의 공식 명칭이 2개 이상인 경우, 공식 명칭들은 리다이렉트 수 제한에서 제외합니다." 적용시 공식 명칭 리다이렉트 갯수 제한 해제에서는 가능합니다. [62] Deemo 수록곡이 일본어를 영어로 음차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63] 예를 들어, 星空の花束 / Carnation은 이전에 일본어 명칭으로 발표된 적이 있었고, 이후 VOEZ에 수록되었으므로 원어(일본어)를, 君が残した世界で / Kimi ga Nokoshita Sekai de의 경우 Deemo에서 처음 발표되었고 영어로 수록되었으므로 영어로 문서 제목을 작성합니다.

6.7.2.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관련 문서

6.7.3. 궤적 시리즈 관련 문서


[64] 주요 등장인물과 메인 스토리, 게임 진행 방식의 일치 여부로 판단합니다.

6.7.4. 하스스톤 관련 문서


6.7.5. VOCALOID 등 음성 합성 엔진 관련 문서


[65] 대표적으로 VOCALOID, 하츠네 미쿠 NT, Synthesizer V, UTAU, CeVIO, VOICEROID 등이 있습니다. [66] 해당 게임을 위해 새로 제작된 곡을 뜻 합니다. [67] 미디어 믹스 관련 하위 문서에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68] 하나의 음성 합성 엔진으로만 발매된 경우 [69] VOCALOID가 아닌 타 음성 합성 엔진의 경우에는 구분자의 'VOCALOID' 자리에 그 음성 합성 엔진의 표제어를 삽입합니다. 예를 들어 CeVIO를 사용한 경우, (CeVIO)로 표기합니다. 단, 하츠네 미쿠 NT와 같이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NT 엔진을 적용한 가수는 (NT)로 표기합니다. [70] 예를 들어 VOCALOID, VOICEROID, CeVIO 등 여러 개의 음성 합성 엔진으로 발매된 유즈키 유카리와 같은 경우 [71] VOCALOID가 아닌 타 음성 합성 엔진의 경우에는 구분자의 'VOCALOID' 자리에 그 음성 합성 엔진의 표제어를 삽입합니다. 예를 들어 UTAU를 사용한 경우, (UTAU 오리지널 곡)으로 표기합니다. 단, 하츠네 미쿠 NT와 같이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NT 엔진을 적용한 곡은 (NT 오리지널 곡)으로 표기합니다. [V1] 예를 들어, VOCALOID 하츠네 미쿠 CeVIO 카후가 같이 사용된 경우 [V2] 해당 오리지널 곡에서 사용된 음성 합성 엔진의 종류가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경우 [74] 투고한 프로듀서의 표제어명 [75] VOCALOID가 아닌 타 음성 합성 엔진의 경우에는 구분자의 'VOCALOID' 자리에 그 음성 합성 엔진의 표제어를 삽입합니다. 예를 들어 UTAU를 사용한 경우, (YYYY년 UTAU 오리지널 곡)으로 표기합니다. 단, 하츠네 미쿠 NT와 같이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NT 엔진을 적용한 곡은 (YYYY년 NT 오리지널 곡)으로 표기합니다. [V3] '연도만으로 구분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YYYY년 MM월 DD일'의 순으로 최초공개 시점을 더 자세하게 표기할 수 있습니다. 곡 최초공개 시점의 기준은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창작물을 따릅니다. [V1] [V3] [V2]

6.7.6. 프리티 시리즈 관련 문서


[80] 1순위가 최상위 순위 [예시_1] 1순위인 한국어판 번안명에 따라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을 표제어로 하고, 그 일본어판 원제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는 2순위이므로 리다이렉트로 사용합니다. [예시_2] 일본어판에서 사용된 이름 '春音あいら'를 한글로 표기한 하루네 아이라를 표제어로 사용하고, 한국어판에서 사용된 이름 '아이라(SS애니멘트판)', '아라(동우A&E판)'는 표제어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시_3] 'チェギョン'은 일본어권 이름이 아닌 한국어권의 이름이므로 '체굔'이 아닌 '채경'을 표제어로 사용합니다. [84] 본래 언어권의 이름을 분명하게 판단할 수 없거나, 여러 가지 이름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경우 [예시_4] 'キラッとプリ☆チャン'은 일본어권이므로 한국어판에서 사용된 명칭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는 일본어권에 따른 한글 표기를 표제어로 사용하되,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 '기랏토 푸리☆찬'이 아닌 대중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 '키랏토 프리☆챤'을 사용합니다. '대중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에 이견이 있으면, 1순위인 한국어판에서 사용된 명칭이 나오기 전까지는 문서마다 토론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 [예시_5] '小鳥遊おとは'는 일본어권이므로 일본어권에 따른 한글 표기를 표제어로 사용하되,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 '다카나시 오토하'가 아닌 대중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 '타카나시 오토하'를 사용합니다. '대중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에 이견이 있으면 문서마다 토론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 일본어판에서 사용된 이름이 일본어권이 아닌 언어권의 이름인 경우에도, 해당 언어권에 따른 한글 표기의 기준은 '대중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입니다.

6.7.7. SCP 재단 관련 문서

6.7.8. 포켓몬스터 시리즈 관련 문서

6.7.9. 슈퍼전대 시리즈 관련 문서

6.8. 철도 분야

6.8.1. 동음이의어인 철도역


[예시] 국내에서 수입된 '爆竜戦隊 アバレンジャー'는 폭룡전대 아바레인저가 문서명으로 한국에서 수입된 표제어인 파워레인저 다이노썬더라는 명칭을 문서명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88] 미도리가오카역(홋카이도), 미도리가오카역(도쿄), 미도리가오카역(효고)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합니다. [89] 우지역(케이한), 우지역(JR)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합니다. [90] 모토야마역(타카마츠시), 모토야마역(미토요시)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합니다( 모토야마역 참고). [91] 우선순위는 번호가 작은 순부터입니다. [92] 덕천역, 만덕역 등의 문서가 이에 해당합니다. [93] 신평역, 초량역 등의 문서가 이에 해당합니다. [94] 부산진역, 범일역 등의 문서가 이에 해당합니다.

6.8.2. 일본 철도 관련 문서


[95] 예를 들어 上磯駅는 카미이소역, 中央本線은 츄오 본선, 北海道医療大学駅는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역, 京都貨物駅는 교토 화물역, 新潟貨物ターミナル駅는 니가타 화물터미널역, 成田空港駅는 나리타 공항역, 大阪港駅는 오사카항역, 境港駅는 사카이미나토역으로 표기합니다. [96] 예를 들어 羽田空港第1ターミナル駅는 하네다 공항 제1터미널역, 西4丁目駅는 니시4쵸메역, 祇園四条駅는 기온시조역으로 표기합니다. [97] 예를 들어 ユーカリが丘駅(역명에 식물 학명 Eucalyptus의 일본식 분류명이 들어감)는 유카리가오카역, ハウステンボス駅(역명에 네덜란드어 Huis Ten Bosch가 들어감)는 하우스텐보스역으로 표기합니다. [98] 예를 들어 テレコムセンター駅는 텔레콤센터역, 東京ディズニーランド・ステーション은 도쿄 디즈니랜드 스테이션으로 표기합니다. [99] 예를 들어 YRP野比駅는 YRP노비역, JR東日本은 JR 히가시니혼으로 표기합니다. [100] 명백히 틀린 표제어는 한자를 잘못 읽은 경우,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표기인 경우('ま'를 '미'로 표기한 경우 등)를 의미합니다.

6.9. 스포츠 문서

6.10. 전자기기 분야

6.10.1. 조건부 작성 허용 공개 전 기기에 대한 지침

6.10.2. iPad Pro 시리즈 문서

6.11. 여러 해에 걸친 기간에 대한 년도 표기법


[101] 공식 명칭에서 "/"를 사용하여 년도를 구별할 경우 "/"를 "-"로 대체합니다.

6.12. 행정구역 관련 문서


[예시1] 서울특별시 [예시2] 강서구(서울특별시) [예시4] 강원도(대한민국) | 강원도(북한) [예시5] 신장 위구르 자치구 [예시6] 철원군(대한민국 강원도) | 철원군(북한 강원도) [예시7] 철원군(대한민국) | 철원군(북한) [예시9] 펜실베이니아 [예시10] 뉴욕주 [예시11] 워싱턴 D.C. [예시12] 워싱턴 카운티 [예시13] 워싱턴 타운십(인디애나 워싱턴 카운티) | 워싱턴 타운십(아이오와 워싱턴 카운티) [예시14] 워싱턴 타운십(인디애나) | 워싱턴 타운십(아이오와) [예시15] 뉴욕 [예시16] 서울시 -> 서울특별시, 워싱턴 타운십(인디애나 워싱턴 카운티) -> 워싱턴 타운십(인디애나), 미시시피주 -> 미시시피, 도쿄 -> 도쿄도 [예시17] 오산시(선거구) | 성남시 중원구(선거구)

6.13. 자연 지명


[117] '-사막(沙漠)', '-해협(海峽)', '-호수(湖水)', '-화산(火山)' 등. [118] 이오섬 ↔ 이오지마, 타이핑섬 ↔ 타이핑다오, 노스 센티널섬 ↔ 노스 센티널 아일랜드 등.

6.14. 특정 사건 사고 관련 문서

6.15. 대한민국의 외교공관 문서